KR100979145B1 -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 Google Patents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145B1
KR100979145B1 KR1020070106043A KR20070106043A KR100979145B1 KR 100979145 B1 KR100979145 B1 KR 100979145B1 KR 1020070106043 A KR1020070106043 A KR 1020070106043A KR 20070106043 A KR20070106043 A KR 20070106043A KR 100979145 B1 KR100979145 B1 KR 10097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y
base platform
land
floating
thr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608A (ko
Inventor
마현호
김병우
하문근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1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floating containers, barges or othe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 안벽으로의 연결을 위해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안벽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이용하여 육상의 안벽 상으로 자가 이동한 후, 육상 안벽의 연결 부위 정 위치상에 용이하게 연결 가능한 부유식 안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은 육상안벽에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부유식 안벽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 되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랫폼(Base Platform);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교량부; 및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하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이동 또는 전 방향 위치 조정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육상 안벽에 연결되는 부유식 안벽에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를 장착하여 이용함으로써, 종래 부유식 안벽의 이동에 터그보트를 이용하던 경우에 비하여 부유식 안벽의 연결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아울러 용이하게 고정 장탈 가능한 하나 이상의 연결교량을 이용함으로써, 부유식 안벽의 고정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
부유식 안벽, 육상 안벽, 베이스플랫폼, 스러스터(Thruster), 연결교량, 힌지(Hinge), 댐퍼(Damper), 로드셀(Load Cell)

Description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Floating structure of moving and controlling position}
본 발명은 육상 안벽으로의 연결을 위해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안벽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이용하여 육상의 안벽 상으로 자가 이동한 후, 육상 안벽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상에 용이하게 연결 가능한 부유식 안벽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항만은 직선식 육상 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육상 안벽 상에만 편중된 각종 크레인의 배치 구조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및 나아가 선박 건조와 관련된 제반 작업을 편 측으로 치우쳐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최근 육상 안벽에 대응하여 각종 크레인 작업을 양측에서 수행할 수 있는 부유식 안벽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66881호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은 부선(10)과, 상기 부선(10)을 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 충수탱크(21) 및 펌핑부(22)를 포함하는 부선고정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부선(10)은 예인선(미도시, 통상 이를 '터그보트(Tugboat)'라 한다)에 의해 항만의 안벽(50)으로 이동된다. 항만의 안벽(50) 상에서 상기 부선(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펌핑부(22)가 가동되고, 이후 상기 펌핑부(22)에 의해서 해수가 충수탱크(21) 내로 공급된다. 이러한 충수탱크(21) 내에 공급된 해수에 의해 부선(10)의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충수탱크(21)의 저면이 해저에 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선(10)의 보다 견고한 착지 및 안정된 지지력 발휘를 위하여, 상기 부선(10)이 고정될 해저 상에는 사전 지반처리 후 평탄한 사력층(60) 형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은 이동 시 다수의 예인선이 요구됨은 물론, 이동된 부선(10)을 정 위치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해저 지반처리 후 사력층(60) 형성 작업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62048호에는 또 다른 방식의 부유식 안벽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부유식 안벽은 해저 바닥면에 소정의 깊이로 설치되는 파일을 기초로 본체(70)의 일 측 상에 연결 설치된 계류파일(90)과, 상기 본체(70)의 타측 상에 형성된 가동수단(80) 및 상기 본체(70)를 육상의 안벽(50) 일 측에 연결하는 연결로(7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부유식 안벽의 본체(70)는 계류파일(90)을 기준으로 상기 가동수단(80)에 의해 육상의 안벽(50) 상에 연결 되도록 회동 가능한 구성을 갖는데, 상 기 가동수단(80)으로는 본체(7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본체(70)의 양 끝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윈치(81, Winch)와, 이러한 윈치(81)에 그 일 측 끝단이 고정되어 권취된 다수의 와이어(83)와, 상기 와이어(83)의 타 측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7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와이어(83)가 서로 엇갈리게 연장되는 위치의 해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석션파일(Suction Pile)앵커(8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윈치(81), 와이어(83) 및 석션파일앵커(85)는 각각 짝을 이루어 상기 본체(70)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안벽은 다수의 계류파일(90)을 비롯하여 다수의 석션파일앵커(85)의 설치를 요구하며, 윈치(81)를 이용한 와이어(83) 권양을 통해 본체(70)를 육상의 안벽(50) 상에 연결 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소요되는 많은 사전 작업 시간 낭비는 물론, 많은 비용 및 작업 인원이 필요하고, 아울러 와이어(83)의 복잡한 배치로 인하여 작업자 안전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부유식 안벽의 육상 안벽 연결에 있어서, 다수 예인선을 이용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이동 및 위치 조정이 가능함은 물론 부유식 안벽의 육상 안벽 연결 시, 별도의 사전 해저 지반 공사가 요구되지 않는 편리하고 경제성 높은 부유식 안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육상안벽에서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부유식 안벽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 되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랫폼(Base Platform);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교량부; 및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하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이동 또는 전 방향 위치 조정 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교량부는 일 단은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연결교량; 및 일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 1 연결교량에 연결 고정되도록 대응 형성된 제 2 연결교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교량은 상기 육상 안벽에 제 1 힌지(Hinge)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1 댐퍼(Damper)에 의해 좌우 완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교량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제 2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2 댐퍼에 의해 좌우 완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는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1 로드셀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는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2 로드셀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교량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상에서 연결 고정 가능하도록, 서로에게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장탈결합수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에 따르면, 육상 안벽에 연결되는 부유식 안벽에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를 장착하여 이용함으로써, 종래 부유식 안벽의 이동에 터그보트(Tug Boat)를 이용하던 경우에 비하여 부유식 안벽의 연결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아울러 용이하게 고정 장탈 가능한 하나 이상의 연결교량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부유식 안벽의 고정에 석션파일(Suction Pile)을 이용하던 경우에 비하여 부유식 안벽의 고정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러스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실시예(100)는 베이스플랫폼(102, Base Platform)과, 육상 안벽(200) 상에 설치된 제 1 연결교량(110)과,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플랫폼(102) 상에 설치된 제 2 연결교량(120) 및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일 측 하부 상에 각각 이격 장착된 스러스터(150, Thruster)를 포함한다.
육상 안벽(200)은 바다와 접하는 육지의 끝자락에 다수 개의 방괴 블록을 축조하여 형성한 구조물로서, 통상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플렛폼(102)은 상기 육상 안벽(200)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하부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150, Thruster)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설치 축으로부터 360도 전 방향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추진 프로펠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러스터(15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은 이동 및 위치 조정이 가능해진다.
육상 안벽(200)에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내측으로 형성된 내 홈이 다수 형성되며, 이러한 내 홈 내측에 제 1 연결교량(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은 일 단이 상기 육상 안벽(200)의 내 홈 내측에서 제 1 힌지(114)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러한 제 1 힌지(114)에 의해서 상기 제 1 연 결교량(110)은 해양의 조석간만의 차 등에 따른 해수면의 수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육상 안벽(200) 상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의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은 상기 육상 안벽(200)의 내 홈 양측 벽면에 이격 장착된 복수 개의 제 1 댐퍼(116)에 의해 좌우로 완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댐퍼(116)로는 고무 휀더(Fend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연결교량(110)은 상기 육상 안벽(200) 상의 내 홈 상에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 1 힌지(114)와 상기 제 1 댐퍼(116) 에 각각 제 1 로드셀(미도시, Load Cell)과 제 2 로드셀(미도시)을 적용하여, 제 1 연결교량(110)에 작용하는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힌지(114)에는 제 1 로드셀(미도시)을 적용하여 제 1 연결교량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댐퍼(116)에는 제 2 로드셀(미도시)을 적용하여 제 1 연결교량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하중은 제어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스러스터(150)의 제어에 이용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은 연결 부위 정 위치 미세 조정이 가능해 진다.
이러한 제 1 연결교량(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베이스플랫폼(102)에는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대응된 제 2 연결교량(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은 일 단이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내 홈 내측에 서 제 2 힌지(124)에 의해 연결되는데, 여기서의 제 2 힌지(124)는 전술된 제 1 힌지(114)의 역할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의 타 단은 육상 안벽(200)에 형성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연결되도록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 2 연결교량(120)은 본 실시예의 육상 안벽(200) 연결 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의 설치 위치, 설치 간격, 설치 개수 및 끝 단 형상은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 대응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연결교량(120)은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내 홈 양측 벽면에 이격 장착된 복수 개의 제 2 댐퍼(126)에 의해 좌우 완충 가능한 데, 여기서 상기 제 2 댐퍼(126)는 전술된 제 1 댐퍼(116)와 동일하게 고무 휀더(Fend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의 제 2 힌지(124)와 제 2 댐퍼(126)에는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 제 1 로드셀과 제 2 로드셀이 적용된다. 이러한 제 1 로드셀 및 제 2 로드셀은 제 1 연결교량(110)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연결교량(120)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한다.
제 1 연결교량(110)과 제 2 연결교량(120)의 연결 방향 끝 단은 서로 맞물려 연결 고정되도록, 각각 서로에게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장탈결합수단(140a, 140b)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서로에게 대응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요홈(140a)과 돌부(140b)가 격순으로 배치 형성된다.
제 1 연결교량(110)과 제 2 연결교량(120)을 연결하여 본 실시예(100)를 육 상 안벽(200)에 연결할 경우, 상기 제 1 연결교량(110)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에서는 조석 간만의 차에 따른 서로 간의 높이 차를 비롯한 각종 컨디션에 따라 예기치 못한 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힌지(114) 또는 상기 제 2 힌지(124)에 장착된 제 1 로드셀은 이러한 하중을 검출하여, 사전에 지정된 한계 하중과 비교하는데, 경우에 따라 이러한 제 1 로드셀에서 검출된 하중이 한계 하중보다 더 크면, 스러스터(150)를 적정 가동시켜, 베이스플랫폼(102)의 위치를 미세 조정한다.
아울러, 제 1 연결교량(110)과 제 2 연결교량(120)을 연결하여 본 실시예(100)를 육상 안벽(200)에 연결할 경우, 상기 제 1 연결교량(110)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에서는 또 다른 예기치 못한 환경외력에 의해 좌우로 편중된 하중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해, 본 실시예(100)에서는 상기 제 1 댐퍼(116) 또는 상기 제 2 댐퍼(126)에 장착된 제 2 로드셀을 이용하여 좌우 완충 역할은 물론 발생된 하중을 검출한다.
이때, 제 2 로드셀에서 검출된 하중이 사전에 지정된 한계 하중에 비해 더 크면, 스러스터(150)를 적정 가동시켜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위치를 미세 조정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육상 안벽(200)에 안전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육상 안벽(200)으로부터 해상의 베이스플랫폼(102) 측으로 제 1 연결교량(110) 2개가 적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랫폼(102) 상에 는 육상 안벽(200)의 제 1 연결교량(110)에 대응된 간격으로 제 2 연결교량(120) 2개가 이격 형성된다. 베이스플랫폼(102)이 육상 안벽(200)으로부터 원 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하부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150)를 가동시켜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을 육상 안벽(200) 가까이로 이동시킨다.
제 1 연결교량(110)에 상기 베이스플랫폼(102)의 제 2 연결교량(120)이 근접된 시점에서, 상기 스러스터(150)를 적정 가동시켜, 상기 제 1 연결교량(110)의 연결 방향 끝 단 부위와 상기 2 연결교량(120)의 연결 방향 끝 단 부위를 연결 고정시킨다.
이러한 연결 고정 작업 중에 상기 제 1 연결교량(110)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120)에 발생되는 하중은 제 1 힌지(114) 및 제 2 힌지(124) 상에 장착된 제 1 로드셀(미도시) 또는 제 1 댐퍼(116) 및 제 2 댐퍼(126) 상에 장착된 제 2 로드셀(미도시)을 통해 검출할 수 있는데, 이렇게 검출된 하중을 토대로 상기 스러스터(150)를 미세 가동하여 연결 정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부유식 안벽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부유식 안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러스터(Thruster)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실시예 102: 베이스플랫폼(Base Platform)
105: 연결교량부 110: 제 1 연결교량
114: 제 1 힌지(Hinge) 116: 제 1 댐퍼(Damper)
120: 제 2 연결교량 124: 제 2 힌지
126: 제 2 댐퍼 140a: 요홈
140b: 돌부 150: 스러스터(Thruster)
200: 육상 안벽

Claims (7)

  1. 육상 안벽에서 이격되어 해양에 위치하는 부유식 안벽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랫폼(Base Platform);
    일 단은 상기 육상 안벽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이 연결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연결교량;
    일 단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제 1 연결교량에 연결 고정되도록 대응 형성된 제 2 연결교량;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하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이동 또는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360도 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러스터(Thruster);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교량은, 상기 육상 안벽에 제 1 힌지(Hinge)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1 댐퍼(Damper)에 의해 좌우 완충되며,
    상기 제 2 연결교량은, 상기 베이스플랫폼에 제 2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양측에 장착된 제 2 댐퍼에 의해 좌우 완충되며,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는,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힌지 또는 상기 제 2 힌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1 로드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는,
    상기 베이스플랫폼을 상기 육상 안벽 상에 연결 시, 상기 베이스플랫폼의 연결 부위 정 위치 조정을 위해 스러스터가 미세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연결교량 또는 상기 제 2 연결교량의 위치 및 자세 변위에 따라 상기 제 1 댐퍼 또는 상기 제 2 댐퍼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는 제 2 로드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교량 및 상기 제 2 연결교량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상에서 연결 고정 가능하도록, 서로에게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장탈결합수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KR1020070106043A 2007-10-22 2007-10-22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KR10097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43A KR100979145B1 (ko) 2007-10-22 2007-10-22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43A KR100979145B1 (ko) 2007-10-22 2007-10-22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608A KR20090040608A (ko) 2009-04-27
KR100979145B1 true KR100979145B1 (ko) 2010-08-31

Family

ID=40763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043A KR100979145B1 (ko) 2007-10-22 2007-10-22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69B1 (ko) * 2009-09-29 2011-04-05 한국해양연구원 하이브리드 안벽 운항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101045045B1 (ko) * 2009-12-14 2011-06-29 한국해양연구원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모형실험 장치
CN115140575B (zh) * 2022-06-27 2023-10-13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用于大水位差的全天候作业码头及其装卸作业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97B1 (ko) * 1977-01-19 1981-09-28 군나르 길베르크 선박 도킹 플랜트
JP2000226122A (ja) 1999-02-04 2000-08-15 Nkk Corp コンテナターミナ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97B1 (ko) * 1977-01-19 1981-09-28 군나르 길베르크 선박 도킹 플랜트
JP2000226122A (ja) 1999-02-04 2000-08-15 Nkk Corp コンテナターミナ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608A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3977B1 (en) Water anchors
CN106114762A (zh) 浅水浮式平台系泊装置及方法
US20050058509A1 (en) Floating modular breakwater
CN201268389Y (zh) 多功能施工平台
KR100979145B1 (ko)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KR20230151547A (ko) 부유식 설비를 위한 반잠수식 서비스 선박 및 그 방법
TWI834746B (zh) 具備起重機之作業台船及其起重機運用方法
JP2001310793A (ja) 船舶係留装置
KR101315190B1 (ko)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제작방법
JPH09195281A (ja) 海上におけるケーソンの据付方法
KR101092487B1 (ko) 플로팅 안벽
CA2306945C (en) Passive stabilizer for floating petroleum-production systems
KR20150008271A (ko) 부력 장치
KR20120011570A (ko) 선박의 건조 방법
JP4258792B2 (ja) 双胴式ケーソン回航支援装置
KR101172421B1 (ko) 모바일 하버의 해상 계류 방법
KR20130003914A (ko) 선박용 아지무스 쓰러스터의 육상 설치 방법
KR102493444B1 (ko) 부유체 안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로드아웃 방법
EP4347376A1 (en) A floating fabrica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of building floating structures
KR20170036268A (ko) 극한환경에서의 안벽 계류 능력이 우수한 해상 부유체
KR20220026931A (ko) 부유식 안벽 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5106435B2 (ja) 係留装置
JP4619137B2 (ja) 一般船侵入防止ガード
KR20150004998A (ko) 부력 장치
JP2003212181A (ja) 小型作業船および小型作業船の回収・進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