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794B1 -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794B1
KR101800794B1 KR1020160155296A KR20160155296A KR101800794B1 KR 101800794 B1 KR101800794 B1 KR 101800794B1 KR 1020160155296 A KR1020160155296 A KR 1020160155296A KR 20160155296 A KR20160155296 A KR 20160155296A KR 101800794 B1 KR101800794 B1 KR 10180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anchor
winch
buoy
harv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윤
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B63B22/14Buoy-to-object securing means responsive to hydrostat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10)에는 부표(B)가 구비된다. 상기 부표(B)와 선박(C) 사이는 케이블(20a, 20b)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20a, 20b)의 일단은 상기 부표(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선박(C)에 연결된다. 상기 부표(B)의 하부에는 앵커(40)가 연결된다. 상기 앵커(40)는 상기 부표(B)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수중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부유토사를 채집하는 동안 선박 및 부표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계측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Floating type fixing apparatus for craft}
본 발명은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토사 채집을 위해 선박이 바다, 호수, 하천 등지에서 부유토사를 채집하는 동안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을 포함하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수중 환경 관리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 등의 정확한 수중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특히, 준설공사나 강우기 또는 홍수기에는 부유토사가 바다, 하천 또는 호소 등에 방류되거나, 바닥에 퇴적된 퇴적물 등이 부유됨으로써 부유토사로 인해 물의 탁도를 높이고, 용존산소 등을 감소시켜 수질오염의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퇴적될 수 있는 부유토사를 정확히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선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유토사 채집기를 달아서 한 달 이상 소형 선박을 하천, 호수, 바다 등에 부유한 상태로 정박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박은 주로 소형으로, 단순히 닻을 내려 정박시킨 상태이므로, 부유토사가 쌓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상기 소형 선박이 떠내려가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부유토사가 교란되어 부유토사 관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수중 환경 보호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 부유토사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도록 유동이 방지되는 구성을 가지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444호 대한만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295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부유토사를 채집하는 동안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앵커가 구비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에 따르면, 선박을 수면에 정위치 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선박용 고정 장치로서, 부력에 의해 수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선박의 외곽에 배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부표; 상기 각각의 부표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선박에 타단이 제각기 연결되어 상기 선박을 상기 부표에 구속시키는 복수 개의 케이블; 및 상기 부표에 연결되고, 상기 부표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수중 바닥면에 고정되는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표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앵커를 낙하시키고 회수하는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부표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윈치케이스와, 상기 앵커의 상부와 일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윈치케이스의 설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앵커의 낙하 시 상기 와이어의 풀림을 허용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와 연결되고 상기 윈치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앵커를 회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앵커는,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는 작살, 상기 작살이 내부에 발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작살수용관, 상기 작살수용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작살을 상기 작살수용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작살수용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작살을 고정하면서 상기 작살을 격발시키는 트리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작살수용관의 외면에 구비되는 고리와, 일단부는 상기 작살의 외면 일측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상기 고리와 힌지결합되는 걸이쇠, 그리고
일측은 상기 걸이쇠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이쇠가 당겨져 회동되도록 외부로 연장되는 당김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살수용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살수용관은 상기 작살수용관으로부터 상기 작살이 경사지게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작살수용관에는 상기 브래킷과 힌지결합되는 힌지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면서 서로 교차된 상태로 상기 선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은, 부유토사 채집을 위한 부유토사 채집용 선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에 따르면, 부유 타입 고정 장치에는 부표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표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수중 바닥면에 고정되는 앵커가 구비된다. 따라서,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부유토사를 채집하는 동안 선박 및 부표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계측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10)에는 복수 개의 부표(B)가 구비된다. 상기 부표(B)는 부력에 의해 수면에 위치된다. 상기 부표(B)는 선박(C)의 외곽에 배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부표(B)는 상기 부유 타입 고정 장치(10)의 위치를 수면 밖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 표시역할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B)와 선박(C) 사이는 케이블(20a, 20b)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20a, 20b)의 일단은 상기 부표(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선박(C)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20a, 20b)은 물에 의해 녹이 슬지 않는 비산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20a, 20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두 개가 한 조를 이루고, 우측에서 두 개가 한 조를 이루면서 다른 조에 속한 케이블과 대칭된 방향에서 상기 부표(B)를 당기면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조에 속한 케이블 간에 'X'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하여 설치된다. 예컨대 도 1에서는 20a의 케이블과 20b의 케이블이 교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케이블(20a, 20b)이 교차한 형태로 설치되면 상기 선박(C)에 대하여 장력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C)에는 부유토사 채집기(30)가 구비될 수 있다. 부유토사 채집기(30)는 부유토사를 채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유토사 채집기(30)의 내부에는 상기 부유토사 채집기(30)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가 퇴적되어 저장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B)의 하부에는 앵커(40)가 연결된다. 상기 앵커(40)는 상기 부표(B)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수중 바닥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앵커(40)는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상기 선박(C) 및 부표(B)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40)는 작살(41)이 구비된다. 상기 작살(41)은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는 것으로, 그 전단부에는 뾰족한 날이 형성된다.
상기 작살(41)의 일측에는 걸림홈(4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2)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쇠(47)의 일단부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살(41)은 작살 수용관(43)의 내부에 발사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작살 수용관(43)은 물에 의해 녹이 슬지 않는 비산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살수용관(4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S)가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작살(41)을 상기 작살수용관(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살수용관(43)에는 트리거(45)가 설치된다. 상기 트리거(45)는 상기 탄성부재(S)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작살(41)을 고정하면서 상기 작살(41)을 격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45)는, 상기 작살수용관(43)의 외부에 구비되는 힌지축(46)과, 상기 힌지축(46)과 힌지결합되는 걸이쇠(47), 그리고 당김줄(48)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쇠(67)의 일단부는 상기 작살(41)의 외면 일측, 즉, 상기 작살(41)의 걸림홈(42)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46)과 힌지결합된다. 상기 걸이쇠(47)는 상기 힌지축(46) 내부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일단부가 상기 작살(41)의 걸림홈(42)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당김줄(48)의 일측은 상기 걸이쇠(47)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이쇠(47)가 당겨져 회동되도록 외부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당김줄(48)의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될 홀딩케이스(6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고리(69)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살(41)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는 상기 작살(4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윈치(65)에 권취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작살(41)이 수중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살(41)을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잡아당겨지는 부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살수용관(43)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베이프 프레임(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은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작살수용관(43)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작살(41)이 경사지게 격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는 브래킷(52)이 구비되고, 상기 작살수용관(43)에는 상기 브래킷(52)과 힌지결합되는 힌지암(5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는 상기 작살수용관(43)이 회동되는 반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관통공(5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B)의 일측에는 홀딩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 홀딩부재(60)는 상기 앵커(40)를 낙하시키고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딩부재(60)에는 윈치케이스(61)가 구비된다. 상기 윈치케이스(61)는 아래에서 설명될 윈치(65)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63)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살(41)의 일단부에는 와이어(W)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부표(B)의 일측에 구비되는 윈치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는 윈치()에 권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63)에는 상기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윈치(6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는 상기 작살(4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윈치(65)에 권취된 상태이다. 상기 윈치(6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40)의 낙하 시 상기 와이어(W)의 풀림을 허용하여 상기 앵커(40)가 자유낙하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윈치(65)의 일측에는 상기 윈치케이스(61)를 관통하여 손잡이(67)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67)는 상기 윈치(65)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윈치(65)가 상기 와이어(W)를 감아 상기 앵커(40)를 회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윈치케이스(61)의 외면 일측에는 고정고리(69)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고리(69)는 상기 당김줄(48)의 타단부가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윈치(65)의 일측에는 손잡이(67)가 연결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윈치(65)의 일측에는 상기 윈치(65)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모터(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선박(C)을 설정된 곳에 정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앵커(40)가 수중 바닥면에 밀착될 때까지 상기 손잡이(67)를 돌려 상기 와이어(W)를 풀어 내린다.
상기 앵커(40)가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면, 상기 당김줄(48)을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당김줄(48)과 연결된 걸이쇠(47)가 상기 작살수용관(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작살(41)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면서 소정의 깊이로 수중 바닥면에 박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살(41)이 수중 바닥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중 바닥면에 박힌 상태가 되면, 상기 선박(C)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부표(B)를 수면에 띄우고, 부유토사 채집기(30)를 수중으로 넣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상기 선박(C)이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앵커(40)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으로 상기 앵커(40)가 이동되도록 상기 손잡이(67)를 돌려 상기 윈치(65)가 와이어(W)를 감아 올리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20a, 20b: 케이블
30: 부유토사 채집기 40: 앵커
41: 작살 42: 걸림홈
45: 트리거 46: 힌지축
47: 걸이쇠 48: 당김줄
50: 베이스 프레임 52: 브래킷
54: 힌지암 60: 홀딩부재
61: 윈치케이스 63: 설치공간
65: 윈치 67: 손잡이
69: 고정고리 B: 부표
C; 선박 W: 와이어
S: 탄성부재

Claims (9)

  1. 선박을 수면에 정위치 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선박용 고정 장치로서,
    부력에 의해 수면에 위치되면서 상기 선박의 외곽에 배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부표;
    상기 각각의 부표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선박에 타단이 제각기 연결되어 상기 선박을 상기 부표에 구속시키는 복수 개의 케이블; 및
    상기 부표에 연결되고, 상기 부표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수중 바닥면에 고정되는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는,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는 작살,
    상기 작살이 내부에 발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작살수용관,
    상기 작살수용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작살을 상기 작살수용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작살수용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작살을 고정하면서 상기 작살을 격발시키는 트리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앵커를 낙하시키고 회수하는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부표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윈치케이스와,
    상기 앵커의 상부와 일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윈치케이스의 설치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앵커의 낙하 시 상기 와이어의 풀림을 허용하는 윈치, 및
    상기 윈치와 연결되고 상기 윈치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앵커를 회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작살수용관의 외면에 구비되는 고리와,
    일단부는 상기 작살의 외면 일측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상기 고리와 힌지결합되는 걸이쇠, 그리고
    일측은 상기 걸이쇠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이쇠가 당겨져 회동되도록 외부로 연장되는 당김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살수용관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살수용관은 상기 작살수용관으로부터 상기 작살이 경사지게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작살수용관에는 상기 브래킷과 힌지결합되는 힌지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케이블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면서 서로 교차된 상태로 상기 선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부유토사 채집을 위한 부유토사 채집용 선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KR1020160155296A 2016-11-21 2016-11-21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KR10180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96A KR101800794B1 (ko) 2016-11-21 2016-11-21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296A KR101800794B1 (ko) 2016-11-21 2016-11-21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794B1 true KR101800794B1 (ko) 2017-11-27

Family

ID=6081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296A KR101800794B1 (ko) 2016-11-21 2016-11-21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279A (ko) * 2021-04-19 2022-10-26 김승진 부이 앵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4279A (ko) * 2021-04-19 2022-10-26 김승진 부이 앵커
KR102478023B1 (ko) 2021-04-19 2022-12-15 김승진 부이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39406A1 (en) Underwater equipment recovery
CN113194271B (zh) 一种漂流性鱼卵监测设备及提高孵化率的梯级水库调度方法
CN109156403B (zh) 一种抗风浪深水养殖网箱
Roseman et al. Adaption of egg and larvae sampling techniques for lake sturgeon and broadcast spawning fishes in a deep river
KR101800794B1 (ko)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AU2020100787A4 (en) Recovery Device for Seabed Base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without Release Function and Recovery Method Thereof
KR101825085B1 (ko) 부유토사 채집 장치
KR20130024655A (ko)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KR20110071859A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설치방법
CN109596108B (zh) 一种新型转动式脱淤海床基
GB21056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il pollution of water
Smolowitz et al. The design of an electrohydraulic dredge for clam surveys
KR102074685B1 (ko) 체인 타입 해저 공사용 사석 투하장치
KR102451988B1 (ko) 전방향 해양 부유쓰레기 차집 시스템
JP2004359081A (ja) 係留系の水中計測装置及びその回収方法
JP2012034627A (ja) 浮魚礁装置
KR200379254Y1 (ko)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Michel Spills of nonfloating oil: evaluation of response technologies
KR100775527B1 (ko)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KR101368592B1 (ko)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KR102022999B1 (ko) 심해 해수 취수공법
KR20190032728A (ko) 심해 말뚝박는 유압해머 장치
US20240060261A1 (en) Sediment traps and sky moisture accumulating and dissipating inducing technology
Phillips et al. A surface plankton sampler for the larval stages of the western rock lobster.
KR101629849B1 (ko) 해저 계류기기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