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527B1 -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527B1
KR100775527B1 KR1020070048390A KR20070048390A KR100775527B1 KR 100775527 B1 KR100775527 B1 KR 100775527B1 KR 1020070048390 A KR1020070048390 A KR 1020070048390A KR 20070048390 A KR20070048390 A KR 20070048390A KR 100775527 B1 KR100775527 B1 KR 10077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disk
buoy
river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최홍규
엄장일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7004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에 부유하여 하천의 수중정보를 수집하는 수문관측장비의 전방에 설치되어 하천의 수면 또는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로부터 수문관측장비의 수중에 설치된 정보부(특히 센서)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원활한 수문관측장비의 작동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에 부유하며, 하부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 형상의 부이; 상기 부이의 배면에 구비되며, 원판 형상이며 회전 가능한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원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유물 차단봉; 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천에 부유하는 부양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제어를 통한 하천 정보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들은 수중에 입수되어 있는 정보부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부양 장치에 걸리는 등 하천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부이, 디스크, 부유물 차단봉

Description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A floating matter blocking device for hydrological data measur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4의 C부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부이 : 10 고리 : 14
디스크 : 20 바퀴 : 21
날개 : 23 부유물 차단봉 : 30
수문관측장비 : 100
본 발명은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에 부유하여 하천의 수중정보를 수집하는 수문관측장비의 전방에 설치되어 하천의 수면 또는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로부터 수문관측장비의 수중에 설치된 정보부(특히 센서)를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며, 보다 원활한 수문관측장비의 작동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하천의 수문관측항목에는 수위, 유량, 수질 등이 있는데, 이들의 관측자료는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어 매시 측정을 수행해야 하며 대부분의 측정장비는 수중에서 작동하고 있다. 특히 유량측정은 유속계를 이용하는 방법, 부자를 이용하는 방법, 전자파표면유속계나 초음파유속분포측정기에 의한 방법 등이 있으며, 수위를 측정하여 일정한 유량 계산공식에 의하여 유량을 환산하는 웨어나 플륨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직접적인 측정을 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유량을 산정하는 방법들이 있다.
상기한 방법뿐만 아니라 하천의 수문자료(특히 유량)를 수집 및 분석하는 또 다른 것은 하천에 부유하는 부양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부양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관측장비를 상시 수면에 띄워 수중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평갈수기인 봄, 가을, 겨울에는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으나, 홍수기인 여름에는 크고 작은 부유물이 수중에 많아 수문관측을 방해한다.
즉, 상기 하천에 부유하는 부양 장치를 이용한 수문관측장비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부유물들은 수중에 입수되어 있는 정보부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부양 장치에 걸리는 등 하천의 수문관측정보를 수집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하천에 부유하는 부양 장치를 이용한 수문관측장비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들이 수중에 입수되어 있는 정보부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부양 장치에 걸리는 등 하천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에 부유하며, 뒷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 형상의 부이; 상기 부이의 배면에 구비되며, 원판 형상의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원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유물 차단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는 상기 부이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에 유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유물 차단봉은 그 하부 및 상기 디스크의 하부에 연결할 수 있 도록 체결부가 더 구비되어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에 부유하며, 뒷부분에 절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배 형상의 부이(10); 상기 부이(10)의 배면에 구비되며, 원판 형상의 디스크(20); 상기 디스크(20)의 원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유물 차단봉(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이(10)는 동력으로 운행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하천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이(10)는 하천에서 부유할 때 좌우 전도됨을 막을 수 있도록 좌우에 날개(12, 13)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하천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10)의 전면에 고리(14)가 구비되어 있어 교량의 교각 등에 매달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원판형상의 디스크(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상술하는 부유물 차단봉(30)을 연결하기 용이한 구조로 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 하여 원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유물이 상기 부유물 차단봉(30)에 걸릴 경우 유향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부이(10)의 좌우측으로 흘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유물 차단봉(30)은 다양한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위해 원통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천의 깊이가 다양한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상 부유물 차단봉(30)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부유물과 충돌시 상기 부이(10)에 충격력을 전달하지 않고 상기 부유물 차단봉(30)이 흔들림으로써 효과적으로 부유물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부이(1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퀴(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20)에 유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2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바퀴(21)가 구비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크(20)의 중심에 베어링(22)을 구비하여 디스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크(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다수의 날개(23)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부유물 차단봉(30)에 부유물이 걸리는 경우, 하천의 유속이 힘을 발생시켜 상기 디스크(20)가 회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효과적으로 부유물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물 차단봉(30)은 그 하부 및 상기 디스크의 하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31, 32)가 더 구비되어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리나라 하천의 깊이는 매우 다양하다. 이를 위해 부유물 차단봉(30)을 하천의 깊이마다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 부이(10)에 설치하는 것은 상당히 비경제적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부유물 차단봉(30)의 일측 단부에는 폐루프(closed loop)형태의 체결부(31)을 구비하며, 타측 단부에는 개루프(open loop)형태의 체결부(3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폐루프(closed loop)형태의 체결부(31)에 상기 개루프(open loop)형태의 체결부(32)을 끼운 후 볼트 또는 나사(33)로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길이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 디스크(20)와 상기 부유물 차단봉(30)간의 탈착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라 하겠다. 또한 이러한 체결부(31, 32)로 인하여 상기 부유물 차단봉(30)이 부유물과 충돌시 유연하게 흔들림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C부 확대사시도이다. 즉,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하천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교량의 교각 또는 하상고정 닻에 로프(15)를 묶고, 이를 부이(10)의 전면에 구비된 고리(14)이에 매단다. 후에 수문관측장비(100)를 본 발명과 봉(16)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하천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이 본 발명에 접촉하는 경우에 디스크(20) 및 상기 디스크(20)에 매달린 부유물 차단봉(30)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및 본 발명에 연결되어 있는 하천 정보수집 장치(100)의 좌우측으로 부유물이 우회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하천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형태이나, 하천의 저면에 납덩어리 또는 닻과 유사한 고정물체를 설치한 후 이를 수면에 구비된 부표와 와이어 또는 로프 등으로 상호 연결한다. 이후 본 발명인 부유물 차단장치를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과 연결된 수문관측장비의 후면과 부표를 로프 등으로 연결한 뒤 하천의 저면에 있는 고정물체와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하천에 일정하게 부유하면서 후방에 위치하는 수문관측장비를 하천의 부유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하천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3)
또한, 상기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에는 상기 수문관측장비(100)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부이(10)의 하류단에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상태에 서 시앵커(sea anchor, 3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앵커(34)는 수중에 설치되어 수중의 흐름에 의한 저항을 받는 장치로 물 밖의 기상상황에 상관없이 배를 흐름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연에 꼬리를 달아 연의 좌우 움직임을 없애는 것과 원리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시앵커(34)는 이러한 것을 응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구를 상기 수문관측장비(100)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부이(10)의 하류단에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시앵커(sea anchor, 34)가 더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하천에 부유하는 부양 장치를 이용하여 수문관측장비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들은 수중에 입수되어 있는 정보부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상기 부양 장치에 걸리는 등 하천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부유장치가 바람에 적은영향을 받고 하천흐름의 주된 방향으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Claims (5)

  1. 하천에 부유하며, 뒷부분에 절개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배 형상의 부이(10);
    상기 부이(10)의 배면에 구비된 원판 형상의 디스크(20);
    상기 디스크(20)의 원주면을 따라 결합되며,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부유물 차단봉(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20)는 상기 부이(10)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20) 및 상기 부이(10)의 배면사이에 바퀴(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20)의 하부면에는 유향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차단봉(30)의 하부 또는 상기 디스크(20)의 하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31, 32)가 더 구비되어 탈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에는 상기 수문관측장비(100)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부이(10)의 하류단에 일정거리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시앵커(sea anchor, 3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KR1020070048390A 2007-05-18 2007-05-18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KR10077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90A KR100775527B1 (ko) 2007-05-18 2007-05-18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90A KR100775527B1 (ko) 2007-05-18 2007-05-18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5527B1 true KR100775527B1 (ko) 2007-11-15

Family

ID=3906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390A KR100775527B1 (ko) 2007-05-18 2007-05-18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4785A (zh) * 2021-12-23 2022-04-01 江苏省苏力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水质自动站智能化管理系统
CN114753972A (zh) * 2022-04-29 2022-07-15 西南石油大学 一种提高平台载重的尾翼及载重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755A (ja) * 2005-02-16 2006-08-31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流量測定装置
KR20060108266A (ko) * 2006-09-27 2006-10-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하천수위 및 유속 모니터링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6755A (ja) * 2005-02-16 2006-08-31 Kant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流量測定装置
KR20060108266A (ko) * 2006-09-27 2006-10-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하천수위 및 유속 모니터링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4785A (zh) * 2021-12-23 2022-04-01 江苏省苏力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水质自动站智能化管理系统
CN114264785B (zh) * 2021-12-23 2024-04-12 江苏省苏力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水质自动站智能化管理系统
CN114753972A (zh) * 2022-04-29 2022-07-15 西南石油大学 一种提高平台载重的尾翼及载重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ctor et al. Fine sediment trapping in two mangrove-fringed estuaries exposed to contrasting land-use intensity, Palau, Micronesia
Pingree Flow of surface waters to the west of the British Isles and in the Bay of Biscay
Hofmann et al. The relative importance of wind and ship waves in the littoral zone of a large lake
Heiss et al. Influence of the small intertidal seagrass Zostera novazelandica on linear water flow and sediment texture
Bobykina et al. Winter storm activity in 2011–2012 and its consequences for the Southeastern Baltic coast
JP2021535311A (ja) 河川及び水流を清浄するシステム
KR100775527B1 (ko) 수문관측장비 보호용 부유물 차단장치
Elliott et al.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orcing on the Chesapeake Bay: The coupling between an estuarine system and its adjacent coastal waters
JP4721207B2 (ja) 流出土砂観測システム、流出土砂測定装置、及び土砂分離装置
JP5877395B2 (ja) 水力発電装置
KR101563074B1 (ko) 강수형태 구별이 가능한 적설감지장치 및 방법
KR101800794B1 (ko)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CN219948496U (zh) 一种水文测验浮标
Kappenberg et al. Seasonal, spring-neap and tidal variation of hydrodynamics and water constituents in the mouth of the Elbe Estuary, Germany
Filonov et al. Coastal response to the passage of tropical cyclone Juliette on the Central Pacific Coast of Mexico
Rankin et al. Nearshore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easured at notched groins
Eldho et al. Physical model study of scouring effects on pier foundations of bridges
Schumann et al. Tidal flow structures and sedimentation in the lower Kowie estuary, Port Alfred, South Africa
CN215178837U (zh) 一种隐蔽式dgt被动采样器投放装置
Perham Tests of frazil collector lines to assist ice cover formation
Ostrowski et al. Hydrodynamics and lithodynamics of dissipative and reflective shores in view of field investigations
da Silva et al. Airborne observations of frontal systems in the inlet channel of the Ria de Aveiro, Portugal
Barnes et al. Net flow of near-bottom waters on the inner Beaufort Sea shelf as determined from seabed drifters
Fadayomi et al. Engineering initiatives for water hyacinth control with emphasis on the design, control and installation of the water hyacinth boom (barrier) across River Niger, north of Kainji Lake
Vaikasas et al. Snowdrift formation in forested open drains: field study and modelling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