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592B1 -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 Google Patents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592B1
KR101368592B1 KR1020130103960A KR20130103960A KR101368592B1 KR 101368592 B1 KR101368592 B1 KR 101368592B1 KR 1020130103960 A KR1020130103960 A KR 1020130103960A KR 20130103960 A KR20130103960 A KR 20130103960A KR 101368592 B1 KR101368592 B1 KR 10136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hip
unmanned
irradiation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주)씨테크알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주)씨테크알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10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빈 근처나 해안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해빈류 흐름의 관측시에 무선 조종으로 선박운항 및 각종 기기의 운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소형의 조사선에서 복수개의 부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투하 및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 구성으로 해빈류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사선 본체에 선박운항수단, 선박운항정보시스템, 동력전달부, 운용제어장치부가 구비되는 있는 무인 조사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사선 본체에 장착 및 투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장착제어부와; 상기 조사선 본체에서 투하되어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와; 상기 조사선 본체가 운항하면서 투하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있는 부표회수장치와; 상기 운용제어장치부는 관측자가 무선 조종장치부에서 원격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Unmanned ship for wave induced current obbservation}
본 발명은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빈 근처나 해안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해빈류 흐름의 관측시에 무선 조종으로 선박운항 및 각종 기기의 운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소형의 조사선에서 복수개의 부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투하 및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 구성으로 해빈류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빈류는 쇄파대에서 파랑의 잉여응력에 의해 해빈 근처나 해안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해안 수리현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해빈류는 사빈이 형성된 해수욕장이나 자연 사빈 해안에서 모래자원의 유실을 초래하는 힘으로 작용하여 백사장 침식에 따른 배후지의 붕괴와 사빈 해안의 유실로 국가적인 문제가 발생함과 아울러 다른 곳에서 침식된 모래가 작은 어항으로 유입되어 퇴적되는 작용으로 어항 기능의 상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 해빈류는 연안 가까이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이동시켜 주변 양식시설에 피해를 입히는 흐름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해빈류의 정확한 관측과 동시에 해역의 여러 지점에서 발생되는 해빈류의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신속하게 취득하여 해빈류에 대한 해안수리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해양조사자료를 필요로 한다.
대체적으로 해빈류의 관측시에는 수면에 부유하여 관측해역에서 해빈류를 따라 흐름 이동이 되는 부표를 투하하고, 이렇게 투하된 부표의 흐름 이동을 무인항공기 등에 의해 측정하여 이를 관측자가 해빈류 흐름상태를 파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해빈류의 관측시에는 부표 투하수단 및 부표 투하갯수, 부표 회수수단 등에 의해 해빈류 관측의 정확성 및 효율성, 경제성 등과 같은 관측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인 선박을 이용한 해빈류의 관측시에는 얕은 수심에서는 선박 항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관측수행에 차질이 발생하고, 용선할 선박의 사정에 따라 관측시간을 부득이하게 변경하여야 되며, 파고가 약간만 거칠어도 관측하기 어려운 환경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에 관측자의 입수에 의한 관측일 경우에는 관측자의 수행능력이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1회 관측시 부표의 갯수에 제한적이며, 소요시간 및 경비가 과다할 뿐만 아니라 해안환경에 따라 관측이 제한되는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10-1082326호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유무인 해양 조사선이 개시되어 원격제어 시스템을 통해서 유인 및 무인 겸용으로 해양 조사선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장착한 해양 조사선이 구비되어 유인 조사선의 경우 악천후 혹은 접근 위험지역에의 접근성이 떨어지지만 본 해양조사선을 통하여 수심 측정 불가능 지역이라도 용이하게 해양 조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유인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정크기 이상으로 선박을 필요로 하므로 이동성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무인으로 해양 조사선을 이용할 경우에도 작업자가 관측해역에 부표의 투하 및 부표의 회수를 직접 수행해야 되는 등 해빈류 관측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선조종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운항 및 운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소형의 조사선을 구비하고, 상기 조사선에 복수개의 부표를 장착하여 부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투하하여 해빈류 관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조사선에서 투하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해빈류 관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조사선 본체에 선박운항수단, 선박운항정보시스템, 동력전달부, 운용제어장치부가 구비되어 있는 무인 조사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사선 본체에 장착 및 투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장착제어부와; 상기 조사선 본체에서 투하되어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와; 상기 조사선 본체가 운항하면서 투하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회수장치와; 상기 운용제어장치부는 관측자가 무선 조종장치부에서 원격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운항수단은, 스크류가 장착되어 엔진에 의해 전달되는 추진동력으로 선박운항이 가능하도록 하되 스크류의 하부에 이물질 걸림방지 스키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용제어장치부는, 원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되어 무선 조종장치부에서 원격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표장착제어부는; 조사선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하향 개구되어 있는 수납부에 부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장착케이스와, 상기 장착케이스의 상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체결안내구멍과, 상기 체결안내구멍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작동부재에 의해 수평으로 전,후진하여 부표의 걸고리에 체결 및 분리가 되도록 한 체결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케이스는, 장방형으로 구비하고 복수개의 수납부를 각각 형성하여 복수개의 부표를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체결로드의 설치갯수에 대응하여 각각 구성되어지되, 복수개의 작동부재는 일시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운용제어장치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표는; 저면 중앙부에 일정길이로 연결되는 지지로프와, 상기 지지로프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는 측류판과, 상기 측류판의 상단 중앙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로프에 비해 짧은 길이의 당김줄과, 상기 당김줄의 상부 끝단은 걸고리를 형성하여 부표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된 연통구멍을 통해 부표장착 체결로드에 걸고리가 걸리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류판의 하단은 무게추를 설치하여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부표와 수면 아래에 높여진 측류판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표회수장치는; 상기 조사선 본체의 선미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후단에 연결되고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부표의 하부에서 측류판(33)을 일정길이로 연결하도록 한 지지로프가 걸리는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수안내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안내대는, 조사선 본체의 선미측에서 양측방으로 돌출되고 양쪽 끝단 방향이 완만한 전방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회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회수부의 내측부분에는 급격한 후방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집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수안내대는, 양쪽 끝단 및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장착대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보강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회수안내대와 보강지지대 사이는 부표가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되 회수안내대의 집수부에 위치한 보강지지대는 집수부의 후방경사각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하향되는 구성으로 이탈방지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은 해빈 근처나 해안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해빈류 흐름의 관측시에 무선 조종으로 운항 및 각종 기기의 운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소형의 조사선으로 구비되고, 조사선 본체에 구비되는 부표장착제어부에 복수개의 부표를 장착하여 부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투하하여 무인항공기 등에 의한 해빈류 관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해빈류를 관측하기 위해 투하된 부표를 회수할 때에도 조사선 본체가 운항하면서 조사선 본체에 구비되는 부표회수장치에 의해 복수개의 부표를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되어 해빈류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부착되는 부표장착제어부 및 부표회수장치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서 부표장착제어부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부착된 부표장착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구비되는 부표장착제어부 및 부표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장착되는 부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부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부표회수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부착된 부표회수장치에 의해 부표가 회수되는 것을 예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 장착되는 부표의 배치형태 및 이를 제어하는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에서 조사선 본체에 구비되는 기기의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은 해빈류의 관측을 하기 위해 해빈류를 따라 흐름 이동되는 부표를 장착하고 관측해역에서 부표를 투하하여 통상적인 무인항공기 등에 의해 부표의 흐름 이동정보를 측정하여 해빈류 흐름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관측이 끝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은 얕은 수심에도 선박 운항이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구비되고, 파랑이 부서지는 쇄파대의 부근이 주 관측해역에 해당됨을 고려하여 복원력과 수밀성, 견고성을 갖도록 한 조사선 본체(10)와; 상기 조사선 본체(10)에 선박운항수단(11), 선박운항정보시스템(12), 동력전달부(13), 운용제어장치부(14)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사선 본체(10)에는 장착 및 투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장착제어부(20)와; 조사선 본체(10)에서 투하되어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30)와; 상기 조사선 본체(10)가 운항하여 투하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회수장치(40)와; 상기 운용제어장치부(14)는 관측자가 무선 조종장치부(50)에서 원격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사선 본체(10)는 FRP 재질로 경량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조사선 본체(10)의 내부공간에 각종 설비들이 설치되도록 하되 각종 설비들의 설치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조립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하며,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볼트조립 및 방수를 위한 방수패드가 사용된다.
조사선 본체(10)의 상부에는 내부공간에 설치된 각종 설비 등을 간단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3개의 해치(15)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운반손잡이(16)가 설치된다.
상기 선박운항수단(11)은, 통상의 조사선과 같이 스크류(17)가 장착되어 엔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달되는 추진동력으로 선박운항이 가능하도록 하되 스크류(17)의 하부에는 방향타(19)의 하단에 부착되어 이물질 걸림방지 스키드판(18)이 설치되어 수면위의 그물 등에 스크류(17)가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박운항정보시스템(12)은 GPS 위도와 경도 좌표, 수신기에 공급되는 BEC 전원 전압, GPS로 산출한 배의 속도, GPS로 산출한 배의 고도, 전원 공급원(밧데리) 전압, 모터가 소모하는 전류량, 전자변속기의 온도, 모터의 온도, 기계실 온도, 모터의 출력 등과 같은 각종 선박운항정보가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한 통상적인 시스템이나 이와 유사한 구조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3)는,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엔진동력과, 부표(30)의 장착상태 유지 및 투하가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기능 등과 같은 조사선 본체(10)에 설치되는 여러 동력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운용제어장치부(14)는, 원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조사선 본체(10)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들을 무선 조종장치부(50)에서 원격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표장착제어부(20) 및 부표회수장치(40)는 조사선 본체(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해빈관측지역에 부표(30)를 투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조사선 본체(10)에 부표장착제어부(20)를 부착하여 해빈관측지역에 부표(30)를 투하할 수 있도록 하고, 조사선 본체(10)에 의한 부표(30)의 회수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부표장착제어부(20)를 분리하고 부표회수장치(40)만을 부착하여 부표의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사선 본체(10)의 경량성이나 운항용이성 등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조사선 본체(10)에 부표장착제어부(20) 및 부표회수장치(40)를 함께 부착하여 부표의 투하 및 회수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부표장착제어부(20)는; 조사선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하향 개구되어 있는 수납부(22)에 부표(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장착케이스(21)와, 상기 장착케이스(21)의 상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체결안내구멍(23)과, 상기 체결안내구멍(23)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작동부재(24)에 의해 수평으로 전,후진하여 부표(30)의 걸고리(35)에 삽입되는 형태로 체결 및 분리가 되도록 한 체결로드(2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장착케이스(21)는 장방형으로 구비하고 복수개의 수납부(22)를 각각 형성하여 복수개의 부표(30)를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복수개의 부표(30)를 투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재(24)는 체결로드(25)의 설치갯수에 대응하여 각각 구성되어지되, 복수개의 작동부재(24)는 일시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운용제어장치부(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재(24)의 순차적인 작동 실시예는 도 9의 블록도에 나타낸 부표의 배치형태에서와 같이 무선으로 원격조정되는 무선 조종장치부(50)에서 입력한 부표(30)의 투하신호가 송출되어 조사선 본체(10)에 설치되는 운용제어장치부(14)의 수신기(26)를 통해 시퀀스 모듈(27)로 인가되면 시퀀스 모듈(27)에 의해 복수개의 작동부재(24) 중에서 설정된 작동부재(24)를 작동하여 체결로드(25)를 후진시켜 부표(30)의 걸고리(35)가 분리되면서 장착케이스(21)의 수납부(22)에 수납된 부표(30)가 자연낙하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투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부표(30) 투하순서는 조사선 본체(10)의 선단 및 선미쪽에 위치한 부표(30)가 먼저 투하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좌,우 양측의 장착케이스(21)에 수납된 부표(30)가 교번적으로 투하될 수 있도록 하되 예를 들어 작동부재(24)를 "①번 ⑩번 ⑥번 ⑤번 ... " 등의 순서로 작동부재(24)를 작동시켜 부표(30)가 순차적으로 투하되도록 함으로써 조사선 본체(10)의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비교적 안정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표장착제어부(20)를 조사선 본체(10)에서 분리한 다음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동부재(24)의 동력전달 및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커넥터 등의 접속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접속수단에 의해 조사선 본체(10)에 구비되는 운용제어장치부(14)에서 부표장착제어부(20)에 구비되는 작동부재(24)의 작동 및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표(30)는; 부력발생이 용이한 폼재질로 사용하며, 이러한 부표(30)의 저면 중앙부에는 일정길이의 지지로프(32)를 연결하고 지지로프(32)의 길이방향 하부 끝단은 측류판(33)의 상단 중앙부와 연결하여 부표(30)의 투하시에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부표(30)과 수면 아래에 있는 측류판(33)이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구성으로 부표회수장치(40)에 의한 부표(30)의 회수시에 부표(30)와 측류판(33) 사이에서 길게 늘어서 있는 지지로프(32)에 의해 회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 상기 측류판(33)의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로프(32)에 비해 길이가 짧은 당김줄(34)을 연결하고 당김줄(34)의 상부 끝단은 걸고리(35)를 형성하여 부표(30)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된 연통구멍(31)을 통해 부표장착 체결로드(25)에 걸고리(35)가 걸리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당김줄(34)을 위로 당겨서 부표(30)와 측류판(33)을 최대한 근접시켜 상하 부피를 축소시킨 다음 부표를 수납하는 장착케이스(2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부표(30)의 투하시에는 당김줄(34)이 부표(30)의 연통구멍(31)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측류판(33)의 하단은 무게추(33a)를 설치하여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부표(30)와 수면 아래에 높여진 측류판(33)이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부표(30)의 흐름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부표회수장치(40)는 해빈류 관측을 하기 위해 관측해역에 투하되어 부유상태에 있는 부표(30)를 회수하는 경우에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에 부착되어 선박이 운항하면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부표회수장치(40)는 해수에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 등의 금속제 강선으로 구비되되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장착대(41)와, 상기 장착대(41)의 후단에 연결되고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부표(30)의 하부에서 측류판(33)을 일정길이로 연결하도록 한 지지로프(32)가 걸리는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수안내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수안내대(42)는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측에서 양측방으로 돌출되고 양쪽 끝단 방향이 완만한 전방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회수부(43)를 구비하여 조사선 본체(10)의 양측방에서 회수부(43)에 지지로프(32)가 용이하게 걸려서 안쪽으로 모여지는 형태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회수부(43)의 내측부분에는 급격한 후방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집수부(44)가 형성되어 회수부(43)를 통한 회수되는 부표(30)가 집수되어 회수부(43)의 부표 회수작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수안내대(42)는 양쪽 끝단 및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장착대(41)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보강지지대(45)가 구비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회수안내대(42)와 보강지지대(45) 사이는 부표(30)가 끼워질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되 회수안내대(42)의 집수부(44)에 위치한 보강지지대(45)는 집수부(44)의 후방경사각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하향되는 구성으로 이탈방지부(46)를 구비하여 집수부(44)에 지지로프(32)가 걸린 상태로 집수되어 있는 부표(3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은 해빈 근처나 해안 가까이에서 발생하는 해빈류 흐름의 관측시에 무선 조종으로 운항 및 기기의 운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조사선 본체(10)에 장착시킨 복수개의 부표(30)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투하하여 통상의 무인항공기 등에 의해 부표의 흐름 이동정보를 측정하여 해빈류 흐름을 관측하고, 관측이 끝난 부표(30)는 조사선 본체(10)가 운항하면서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해빈류 흐름의 관측시에는 조사선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장착케이스(21)의 하향 개구되어 있는 수납부(22)를 통해 부표(30)를 수납하는 형태로 장착을 하되 부표(30)의 하부에 연결된 측류판(33)을 당김줄(34)로 위로 당겨 상하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킨 다음 당김줄(34)의 상측 걸고리(35)를 돌출된 상태로 전진시킨 부표장착 체결로드(25)에 걸고리(35)가 걸리도록 하여 부표(30)가 수납부(22)에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조사선 본체(10)에 복수의 부표(30)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조사선 본체(10)를 관측자가 무선 조종장치부(50)에 의해 원격조종하여 해빈류를 관측하기 위한 부표(30)의 투하지점으로 선박운항을 하여 투하지점에 도달하면 작동부재(24)에 의해 체결로드(25)를 후진시켜 부표(30)를 장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당김줄(34)의 걸고리(35)를 체결로드(25)와 분리하게 되면 부표(30)가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투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조사선 본체(10)에 복수개의 부표를 장착하여 부표(30)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복수개의 부표(30)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투하하여 통상의 무인항공기 등에 의해 부표(30)의 흐름 이동정보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해빈류 흐름 관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측해역에 투하된 부표(30)에 의한 해빈류 관측이 완료되면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에 부착되는 부표회수장치(40)에 의해 선박이 운항하면서 부표를 회수하게 된다.
즉,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에 부표회수장치(40)의 장착대(41)가 부착되어 있고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측에서 양측방으로 회수안내대(42)가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부표(30)의 회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사선 본체(10)가 운항하여 일측의 회수안내대(42)가 부유상태에 있는 부표(30)의 하부로 진행하도록 하면 투하된 부표(30)와 그 직하부의 측류판(33)를 연결하고 있는 지지로프(32)가 회수안내대(42)의 회수부(43)에 걸리게 되고 조사선 본체(10)의 계속적인 전진 진행시에 지지로프(32)에 매달린 상태로 회수부(43)에 매달린 상태로 부표(30)와 측류판(33)은 후방쪽에 위치하면서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아울러 지지로프(32)는 경사각을 따라 안쪽 집수부(44)로 모여지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에 부착된 부표회수장치(40)의 회수안내대(42)에 의해 부표(30)를 회수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회수안내대(42)의 회수부(43)에서 지지로프(32)가 안쪽의 집수부(44)로 모여져서 회수되는 부표(30)가 안쪽에 집적이 되므로 계속적인 조사선 본체(10)의 운항으로 또 다른 부표(30)의 회수작업을 할 때 회수안내대(42)의 회수부(43)에 의한 부표(30)의 회수작업에 지장을 주지않게 되어 복수개의 부표 회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으로 조종되는 조사선 본체(10)에 구비되는 부표장착제어부(20)에 복수개의 부표(30)를 장착하여 부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관측해역에 투하하여 무인항공기 등에 의한 해빈류 관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해빈류를 관측하기 위해 관측해역에 투하된 부표(30)를 회수할 때에도 조사선 본체(10)가 운항하면서 조사선 본체(10)에 구비되는 부표회수장치(40)에 의해 복수개의 부표를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조사선 본체 11 : 선박운항수단
12 : 선박운항정보시스템 13 : 동력전달부
14 : 운용제어장치부 15 : 해치
16 : 손잡이 17 : 스크류
18 : 스키드판 19 : 방향타
20 : 부표장착제어부 21 : 장착케이스
22 : 수납부 23 : 체결안내구멍
24 : 작동부재 25 : 체결로드
26 : 수신기 27 : 시퀀스 모듈
30 : 부표 31 : 연통구멍
32 : 지지로프 33 : 측류판
33a : 무게추 34 : 당김줄
35 : 걸고리 40 : 부표회수장치
41 : 장착대 42 : 회수안내대
43 : 회수부 44 : 집수부
45 : 보강지지대 46 : 이탈방지부
50 : 조종장치부

Claims (11)

  1. 조사선 본체(10)에 선박운항수단(11), 선박운항정보시스템(12), 동력전달부(13), 운용제어장치부(14)가 구비되는 무인 조사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사선 본체(10)에 장착 및 투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장착제어부(20)와; 상기 조사선 본체(10)에서 투하되어 해빈류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회수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부표(30)와; 상기 조사선 본체(10)가 운항하면서 투하된 부표를 회수할 수 있도록 있는 부표회수장치(40)와; 상기 운용제어장치부(14)는 관측자가 무선 조종장치부(50)에서 원격운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부표회수장치(40)는; 상기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장착대(41)와, 상기 장착대(41)의 후단에 연결되고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부표(30)의 하부에서 측류판(33)을 일정길이로 연결하도록 한 지지로프(32)가 걸리는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회수안내대(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운항수단(11)은, 스크류(17)가 장착되어 엔진에 의해 전달되는 추진동력으로 선박운항이 가능하도록 하되 스크류(17)의 하부에 이물질 걸림방지 스키드판(1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제어장치부(14)는, 원격으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되어 무선 조종장치부에서 원격 조정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장착제어부(20)는;
    조사선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하향 개구되어 있는 수납부(22)에 부표(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장착케이스(21)와, 상기 장착케이스(21)의 상면에 수직으로 관통된 체결안내구멍(23)과, 상기 체결안내구멍(23)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작동부재(24)에 의해 수평으로 전,후진하여 부표(30)의 걸고리(35)에 체결 및 분리가 되도록 한 체결로드(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케이스(21)는, 장방형으로 구비하고 복수개의 수납부(22)를 각각 형성하여 복수개의 부표(30)를 각각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24)는, 체결로드(25)의 설치갯수에 대응하여 각각 구성되어지되, 복수개의 작동부재(24)는 일시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운용제어장치부(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30)는; 저면 중앙부에 일정길이로 연결되는 지지로프(32)와, 상기 지지로프(32)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는 측류판(33)과, 상기 측류판(33)의 상단 중앙부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로프(32)에 비해 짧은 길이의 당김줄(34)과, 상기 당김줄(34)의 상부 끝단은 걸고리(35)를 형성하여 부표(30)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된 연통구멍(31)을 통해 부표장착 체결로드(25)에 걸고리(35)가 걸리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측류판(33)의 하단은 무게추(33a)를 설치하여 수면에 부유하고 있는 부표(30)와 수면 아래에 높여진 측류판(33)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안내대(42)는, 조사선 본체(10)의 선미측에서 양측방으로 돌출되고 양쪽 끝단 방향이 완만한 전방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회수부(43)를 구비하고, 상기 양측 회수부(43)의 내측부분에는 급격한 후방경사각을 이루도록 한 집수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안내대(42)는, 양쪽 끝단 및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장착대(41)와 동일한 수평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보강지지대(45)가 구비되고 상기 회수안내대(42)와 보강지지대(45) 사이는 부표(30)가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되 회수안내대(42)의 집수부(44)에 위치한 보강지지대(45)는 집수부(44)의 후방경사각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하향되는 구성으로 이탈방지부(4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KR1020130103960A 2013-08-30 2013-08-30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KR10136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960A KR101368592B1 (ko) 2013-08-30 2013-08-30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960A KR101368592B1 (ko) 2013-08-30 2013-08-30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592B1 true KR101368592B1 (ko) 2014-02-28

Family

ID=5027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960A KR101368592B1 (ko) 2013-08-30 2013-08-30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7093A (zh) * 2017-09-08 2018-01-19 广东华中科技大学工业技术研究院 一种基于无人艇的湖泊动态库容的监测方法及装置
CN108674591A (zh) * 2018-06-06 2018-10-19 甘肃省景泰川电力提灌管理局 牵引式河流观测漂浮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579A (ja) * 1998-01-27 1999-08-03 Hitachi Zosen Corp 多目的作業船
KR20080056147A (ko) * 2005-07-05 2008-06-20 마린 프로펄션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선박용 다중 노즐 벤투리 시스템
KR101082326B1 (ko) * 2011-09-06 2011-11-10 지오션(주) 원격제어가 가능한 유무인 해양 조사선
KR101109411B1 (ko) 2010-12-22 2012-02-22 대한민국 전개판식 측류부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8579A (ja) * 1998-01-27 1999-08-03 Hitachi Zosen Corp 多目的作業船
KR20080056147A (ko) * 2005-07-05 2008-06-20 마린 프로펄션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선박용 다중 노즐 벤투리 시스템
KR101109411B1 (ko) 2010-12-22 2012-02-22 대한민국 전개판식 측류부이
KR101082326B1 (ko) * 2011-09-06 2011-11-10 지오션(주) 원격제어가 가능한 유무인 해양 조사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7093A (zh) * 2017-09-08 2018-01-19 广东华中科技大学工业技术研究院 一种基于无人艇的湖泊动态库容的监测方法及装置
CN107607093B (zh) * 2017-09-08 2020-01-21 广东华中科技大学工业技术研究院 一种基于无人艇的湖泊动态库容的监测方法
CN108674591A (zh) * 2018-06-06 2018-10-19 甘肃省景泰川电力提灌管理局 牵引式河流观测漂浮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76905A (ja) 無人飛行体を用いた水中調査システム及び水中調査方法
CN106240774B (zh) 一种无人船及系统
CA2636117C (en) Underwater equipment recovery
CN107301689B (zh) 一种基于无人船的网箱巡检装置及其方法
US11939831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samples from a bed of a waterbody
CN110712719A (zh) 基于海底观测网的实时传输潜标系统
KR20160137773A (ko) 선박 추진장치를 구비한 수질 검사용 멀티콥터 및 이를 이용한 수질 검사 방법
JP5884978B2 (ja) 水中航走体の揚収装置及び揚収方法
AU2020100787A4 (en) Recovery Device for Seabed Base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without Release Function and Recovery Method Thereof
KR101368592B1 (ko) 해빈류 관측용 무인 조사선
KR101430252B1 (ko) 해빈류 관측 장치
CN115258105A (zh) 基于卫星链路传输的全海深近实时海底观测平台及方法
JP5881484B2 (ja) 水中浮魚礁およびその回収方法
CN207867045U (zh) 一种基于水下移动平台的水声阵列装置
CN218986923U (zh) 一种分体式海床基
JP5813025B2 (ja) 水中観測機器の回収設備および水中観測機器の回収方法
CN110186706A (zh) 一种长续航海底样品采集装置
Marouchos et al. A profiling acoustic and optical system (pAOS) for pelagic studies; Prototype development and testing
CN210761197U (zh) 基于海底观测网的实时传输潜标系统
González-Pola et al. LanderPick, a Remote Operated Trawled Vehicle to cost-effectively deploy and recover lightweight oceanographic landers
CN214356538U (zh) 一种浮标系统
US20230356806A1 (en) Floating vertical wind profile sensor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vertical wind profile
KR102648692B1 (ko) 계류형 해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Nakajoh et al. 7000m Operable Deep-Sea ROV System,“KAIKO7000”
CN220809721U (zh) 一种深海浮标观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