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085B1 - 부유토사 채집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토사 채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085B1
KR101825085B1 KR1020160142977A KR20160142977A KR101825085B1 KR 101825085 B1 KR101825085 B1 KR 101825085B1 KR 1020160142977 A KR1020160142977 A KR 1020160142977A KR 20160142977 A KR20160142977 A KR 20160142977A KR 101825085 B1 KR101825085 B1 KR 101825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floating
base frame
floating soil
susp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윤
한민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에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위치되는 부표(B)가 구비된다. 상기 부표(B)에는 수중에 위치되어 수중의 부유토사가 유입되는 원통형의 부유토사 유입통(10)이 구비된다.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10)의 하단에는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10)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20)에는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20)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가 퇴적되어 저장되는 부유토사 저장통(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30)의 하부에는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50)이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앵커(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 의하면,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부유토사 채집 장치가 유실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계측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유토사 채집 장치{Suspended-load trap apparatus}
본 발명은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토사를 채집하는 동안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을 포함하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수중 환경 관리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바닥에 침전되는 퇴적물 등의 정확한 수중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특히, 준설공사나 강우기 또는 홍수기에는 부유토사가 바다, 하천 또는 호소 등에 방류되거나, 바닥에 퇴적된 퇴적물 등이 부유됨으로써 부유토사로 인해 물의 탁도를 높이고, 용존산소 등을 감소시켜 수질오염의 원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퇴적될 수 있는 부유토사를 정확히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444호 '해양 및 하천용 소류사 측정장치' 및 대한만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2954호 '연안용 부유사/소류사 포집장치'는 이러한 퇴적물 연구를 위하여 특정 지역의 퇴적물을 포집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부유토사가 쌓이는 소정의 시간까지 부표에 매달려 수중에 단순히 위치된 상태이므로,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장치가 유실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부유토사가 교란되어 부유토사 관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수중 환경 보호 및 수자원 관리를 위해 부유토사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도록 유동이 방지되는 구성을 가지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가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44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295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부유토사를 채집하는 동안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앵커가 구비되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장치에 따르면,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위치되는 부표와; 상기 부표에 연결되고, 수중에 위치되어 수중의 부유토사가 유입되는 원통형의 부유토사 유입통;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가 퇴적되어 저장되는 부유토사 저장통;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의 하부에 연결되고,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앵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커는,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는 작살과, 상기 작살이 내부에 발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작살수용관, 상기 작살수용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작살을 상기 작살수용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작살수용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작살을 고정하면서 상기 작살을 격발시키는 트리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작살수용관의 외면에 구비되는 고리와, 일단부는 상기 작살의 외면 일측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상기 고리와 힌지결합되는 걸이쇠, 그리고일측은 상기 걸이쇠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이쇠가 당겨져 회동되도록 외부로 연장되는 당김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살수용관은 상기 작살수용관으로부터 상기 작살이 경사지게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작살수용관에는 상기 브래킷과 힌지결합되는 힌지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에는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으로 유입된 부유토사를 인입하는 인입부와 인입된 부유토사를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으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의 내부는 상기 인입부의 직경보다 상기 배출부의 직경이 작도록 상기 인입부에서 상기 배출부를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 따르면,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작살이 격발되는 앵커가 구비된다. 따라서,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부유토사 채집 장치가 유실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계측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 장치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에는 부표(B)가 구비된다. 상기 부표(B)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위치된다. 상기 부표(B)는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의 위치를 수면 밖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 표시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B)와 아래에서 설명될 부유토사 유입통(20)은 와이어(W)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의 일단부는 상기 부표(B)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부유토사 유입통(2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부표(B)와 부유토사 유입통(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부표(B)와 부유토사 유입통(20)을 연결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와이어(W)의 일단부는 상기 부표(B)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 및 부유토사 저장통(40)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 프레임(5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표(B)에는 GPS(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현재 위치를 특정하여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발생시킴으로써 부유토사를 수집하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에는 부유토사 유입통(2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의 상단은 상기 와이어(W)에 의해 상기 부표(B)와 연결된다.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은 상방 및 하방이 개구되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은 부유토사가 유입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의 상부에는 거름망(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22)은 부유토사 이외에 쓰레기와 같은 다른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의 하단에는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은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은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의 상단에는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20)으로 유입된 부유토사를 인입하는 인입부(3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인입된 부유토사를 배출하는 배출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의 내부는 상기 인입부(31)의 직경보다 상기 배출부(33)의 직경이 작도록 상기 인입부(31)에서 상기 배출부(33)를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부유토사가 유수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의 하단에는 부유토사 저장통(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40)은 나사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4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42)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42)은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30)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가 퇴적되어 저장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40)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50)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은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은 부식이 방지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상면 중앙에는 와이어고정구(51)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고정구(5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4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는 와이어(W)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와이어고정구(51)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는 앵커(60)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6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앵커(60)는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가 유실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60)는 작살(61)이 구비된다. 상기 작살(61)은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는 것으로, 그 전단부에는 뾰족한 날이 형성된다.
상기 작살(61)의 일측에는 걸림홈(6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62)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쇠(67)의 일단부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살(61)은 작살 수용관(63)의 내부에 발사가능하게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살수용관(63)은 상기 베이스프레임(5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작살수용관(63)의 내부에는 탄성부재(S)가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상기 작살(61)을 상기 작살수용관(6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S)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살수용관(63)에는 트리거(65)가 설치된다. 상기 트리거(65)는 상기 탄성부재(S)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작살(61)을 고정하면서 상기 작살(61)을 격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65)는, 상기 작살수용관(63)의 외부에 구비되는 힌지축(66)과, 상기 힌지축(66)과 힌지결합되는 걸이쇠(67), 그리고 당김줄(68)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쇠(67)의 일단부는 상기 작살(61)의 외면 일측, 즉, 상기 작살(61)의 걸림홈(62)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66)과 힌지결합된다. 상기 걸이쇠(67)는 상기 힌지축(66) 내부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일단부가 상기 작살(61)의 걸림홈(62)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걸이쇠(67)의 일단부는 상기 작살(61)의 외면 일측, 즉, 상기 작살(61)의 걸림홈(62)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상기 힌지축(66)과 힌지결합된다. 상기 걸이쇠(67)는 상기 힌지축(66) 내부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일단부가 상기 작살(61)의 걸림홈(62)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당김줄(68)의 일측은 상기 걸이쇠(67)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이쇠(67)가 당겨져 회동되도록 외부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당김줄(68)의 타측은 상기 부표(B)에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살(61)에는 회수줄(70)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수줄(70)의 일측은 상기 작살(6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B)에 고정된다. 상기 회수줄(70)은 상기 작살(61)이 수중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살(61)을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잡아당겨지는 부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살수용관(63)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 일체로 구비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살수용관(63)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작살(61)이 경사지게 격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는 브래킷(80)이 구비되고, 상기 작살수용관(63)에는 상기 브래킷(80)과 힌지결합되는 힌지암(8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는 상기 작살수용관(63)이 회동되는 반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의 상부에는 무게추(P)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P)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이 수중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채집 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를 설정된 곳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의 베이스 프레임(50)이 수중 바닥면에 밀착될 때까지 상기 와이어(W)를 풀어 내린다.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의 베이스 프레임(50)이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면, 상기 당김줄(68)을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당김줄(68)과 연결된 걸이쇠(67)가 상기 작살 수용관(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작살(61)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면서 소정의 깊이로 수중 바닥면에 박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살(61)이 수중 바닥면에 소정의 깊이로 수중 바닥면에 박힌 상태가 되면,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가 유실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흐른 뒤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으로 상기 회수줄(70)을 잡아당겨 상기 작살(61)을 수중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W)를 잡아당겨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를 회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부유토사 채집 장치(10)는 유속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계측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부유토사 채집 장치 20: 부유토사 유입통
30: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 31: 인입부
33: 배출부 40: 부유토사 저장부
50: 베이스 프레임 60: 앵커
61: 작살 62: 걸림홈
63: 작살수용관 65: 트리거
66: 힌지축 67: 걸이쇠
68: 당김줄 70: 회수줄
80: 브래킷 82: 힌지암
B: 부표 S: 탄성부재
W: 와이어 P: 무게추

Claims (6)

  1.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위치되는 부표;
    상기 부표에 연결되고 수중에 위치되어 수중의 부유토사가 유입되는 원통형의 부유토사 유입통;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가 퇴적되어 저장되는 부유토사 저장통;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의 직경보다 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앵커;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앵커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앵커는,
    수중 바닥면의 하방을 향해 격발되는 작살;
    상기 작살이 내부에 발사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작살이 경사지게 격발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과 힌지결합되는 힌지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작살수용관;
    상기 작살수용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작살수용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작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작살수용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킨 상태로 상기 작살을 고정하면서 상기 작살을 격발시키는 트리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작살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관통하여 수중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수중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데 더하여,
    상기 브래킷 및 상기 힌지암에 의해 상기 작살수용관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살이 경사지게 격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바닥면에 대하여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여 유실이나 이동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고, 부유토사 시료의 교란이 방지되어 정확한 계측이 가능한 동시에, 계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작살수용관의 외면에 구비되는 고리;
    일단부는 상기 작살의 외면 일측에 걸어지고 타단부는 상기 고리와 힌지결합되는 걸이쇠; 및
    일측은 상기 걸이쇠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이쇠가 당겨져 회동되도록 외부로 연장되는 당김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에는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으로 유입된 부유토사를 인입하는 인입부와 인입된 부유토사를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으로 배출하는 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의 내부는 상기 인입부의 직경보다 상기 배출부의 직경이 작도록 상기 인입부에서 상기 배출부를 향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
KR1020160142977A 2016-10-31 2016-10-31 부유토사 채집 장치 KR10182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77A KR101825085B1 (ko) 2016-10-31 2016-10-31 부유토사 채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977A KR101825085B1 (ko) 2016-10-31 2016-10-31 부유토사 채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085B1 true KR101825085B1 (ko) 2018-02-02

Family

ID=61223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977A KR101825085B1 (ko) 2016-10-31 2016-10-31 부유토사 채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0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3824A (zh) * 2018-12-24 2019-03-08 常州市环境科学研究院 一种浮游生物垂向迁移捕集装置
CN117147204A (zh) * 2023-09-07 2023-12-01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浮游植物群落试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119B2 (ja) * 2005-09-15 2011-08-31 田丸 重徳 天蓋付き底棲生物用養殖礁、およびそれによる底棲生物の養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119B2 (ja) * 2005-09-15 2011-08-31 田丸 重徳 天蓋付き底棲生物用養殖礁、およびそれによる底棲生物の養殖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3824A (zh) * 2018-12-24 2019-03-08 常州市环境科学研究院 一种浮游生物垂向迁移捕集装置
CN109443824B (zh) * 2018-12-24 2024-02-06 常州市环境科学研究院 一种浮游生物垂向迁移捕集装置
CN117147204A (zh) * 2023-09-07 2023-12-01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浮游植物群落试验装置
CN117147204B (zh) * 2023-09-07 2024-02-20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浮游植物群落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974B2 (en) Suspended sediment sampler
Barnett et al. A multiple corer for taking virtually undisturbed samples from shelf, bathyal and abyssal sediments
KR101924148B1 (ko)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RU2013125037A (ru) Морская сейсморазведка в покрытых льдом или имеющих препятствия водах
KR101825085B1 (ko) 부유토사 채집 장치
US8404122B1 (en) Oil recovery system and method
MA29832B1 (fr) Dispositif de captage de resurgences sous-marines d'eau douce
US4336709A (en) Retrieval of articles from beneath the surface of a body of water
FR2531031A1 (fr) Procede de descente au fond de l'ocean et de remontee en surface d'une station de recherches a de grandes profondeurs, et station mettant en application ledit procede
Webster et al. Sediment resuspension within a microtidal estuary/embayment and the implication to channel management
KR101262364B1 (ko)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
Raischi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USE OF NEW STURGEON MIGRATION MONITORING SYSTEMS ON THE LOWER DANUBE.
KR101800794B1 (ko)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
Peterson et al. Sampling the vertical particle flux in the upper water column using a large diameter free-drifting NetTrap adapted to an Indented Rotating Sphere sediment trap
CN109443848A (zh) 海底勘察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Smolowitz et al. The design of an electrohydraulic dredge for clam surveys
CN216753258U (zh) 一种滤食性贝类生物沉降原位测定装置
KR102111790B1 (ko) 심해 말뚝박는 유압해머 장치
Laberg et al. The Lofoten Drift, Norwegian Sea
RU97536U1 (ru) Поверхностный поплавок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корости водотока "поплавок дерягина"
KR20160091479A (ko) 침전물 채집 장치
Sanderson et al. Sediment–laden ice measurements and observations, and implications for potential interactions of ice and large woody debris with tidal turbines in Minas Passage
JP2011226108A (ja) 水流エネルギー利用水位追随型流水中浮遊物除去装置
WO2009115657A2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aptation d'eau douce sous-marine
KR101491112B1 (ko) 저수지 수위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