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148B1 -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148B1
KR101924148B1 KR1020180092931A KR20180092931A KR101924148B1 KR 101924148 B1 KR101924148 B1 KR 101924148B1 KR 1020180092931 A KR1020180092931 A KR 1020180092931A KR 20180092931 A KR20180092931 A KR 20180092931A KR 101924148 B1 KR101924148 B1 KR 10192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ort
stand
circular ring
sa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아
문현생
이소영
강태구
이재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9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호소 또는 해양의 물이나 퇴적물을 채취하는 채취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시료 채취용 스탠드에 있어서, 일측은 수면 아래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측은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며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채취기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천, 호소, 해양의 시료 채수 시, 바람이나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료를 정확하게 채수할 수 있는 채취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Stand for water and Sediment sampling}
본 발명은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호소, 해양의 물이나 퇴적 시료 채취 시, 바람이나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료를 정확하게 채수할 수 있는 채취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하천·호소 등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국가 물환경측정망에서는 수질 시료 채취 시 대상 지점에 대하여 수심의 정도에 따라 표층, 상, 중, 하층 또는 등 간격으로 5개 지점 이상의 수심 층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 2017-74호). 또한 퇴적물의 경우는 수면 아래의 퇴적물을 여러 점 채취하여 분석을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7-18호). 시료채취 시기와 연간 채취 횟수는 대상 지점의 대표성에 따라 주 1회, 월 1회, 분기나 반기 1회로 규정되어 있다(물환경측정망 운영계획, 환경부 고시 제 2017-74호).
따라서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일 지점 및 동일 수심층에서 시료채취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심에 따라 유속 변화가 심한 하천이나 호소의 경우에는, 유속으로 인해 채취 기구가 수직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유속을 따라 경사지게 하강하기 때문에 예정된 수심에서의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곤란하다.
게다가 선박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경우, 바람이나 물 흐름에 영향을 받아 선박이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조사 지점을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료의 채취가 어렵다.
채수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93421호에는 시료의 수위를 조절해주는 수위조절구가 상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채수되어 침강된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시료배출구가 하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하가 개구된 원통형의 침강용채수관과, 시료 채수 시 길이조정 및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상기 침강용채수관의 상단에 수직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고정구가 형성된 고정구본체가 상단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 원통형의 거리조절대와; 상기 침강용채수관과 상기 거리조절대)를 고정, 결합해주기 위해 상기 침강용채수관과 상기 거리조절대의 접촉부분에 끼워지는 연결부재와; 상기 침강용채수관 하단에 구비되며, 탄력성을 갖는 고정수단에 의해서 개폐되는 시료채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강용채수관은 거리조절대가 결합되어 시료가 채수된 후, 시료가 동요되지 않고 침강되도록 상기 침강용채수관을 고정시키며, 3열로 형성된 침강용스탠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능이 구비된 통합 침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19940호에는 강이나 하천을 포함한 수질오염도 측정장소에 설치되어 시료수를 흡인하여 측정소로 압송하는 시료수 채수장치로서; 상기 측정장소에 설치되어 주/보조수중펌프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측정소로 시료수를 압송하며 그 바닥면에 상기 주/보조수중펌프를 고정함은 물론 침전물의 흡입을 방지하는 스탠드가 장착된 용기부와; 상기 측정장소의 수위에 따라 부유되어 상기 시료수 유입관로의 경사도를 조절하며 그 하면에 상기 시료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걸러 제거하는 필터부재가 장착된 부유부; 상기 부유부에 힌지결합되어 시료수가 유입되는 링크덕트와, 상기 링크덕트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용기부로 시료수를 공급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에 조립되는 일반항목 측정수조)를 이용하여 상기 부유부에 유입되는 시료수를 상기 용기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용기부에 씌워지면서, 상기 주/보조수중펌프의 작동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주/보조경광등이 내장된 덮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변동 가변형 시료수 채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시료 채취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4-0005966호에는 원형의 단면 모양을 가지고 길게 연장된 관체의 내부에 토양시료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시료 채취관; 상기 시료 채취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 상기 시료 채취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 상기 상부마개에 형성된 니플(nipple) 삽입공; 상기 니플 삽입공에 결합되는 니플; 및 상기 니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니플은 상기 상부마개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부마개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관체부의 표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 너트의 내부면에는 제3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니플의 제1나사부와 상기 캡 너트의 제3나사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70986호에는 하단부는 역원뿔형상의 굴착단의 상부 외주면에 수개의 저항돌조와 이저항돌조 하방일측 채취구를 형성하고, 상기 채취구의 내측에 걸림턱과 막음판을 형성하여 상기 관체의 상판에 장볼트로 연결되는 덮개의 운두에는 장공으로 유설하고, 상기 덮개의 상면중앙의 로드연결봉에 다수의 로드와 핸들을 연결한 하천 및 호소바닥의 퇴적물 시료 채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선행기술들은 모두 채수장치나 퇴적물을 채취하기 위한 기술로서, 채수기를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채취용 스탠드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59342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919940호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4-000596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709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이나 물의 흐름에 관계없이 정확한 지점에서 물이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 호소 또는 해양의 물이나 퇴적물을 채취하는 채취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시료 채취용 스탠드에 있어서, 일측은 수면 아래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측은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며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및 상기 지지대(100)와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채취기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는, 수위가 변동하더라도 상기 지지대(100)의 타측이 항상 수면위로 돌출할 수 있도록 부구체(170)가 상기 지지대(100) 소정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취용 스탠드는,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상부를 감싸는 커버(1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190)는 부구체(17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취용 스탠드는, 수면 아래를 향하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측에는 지지판(110)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110)의 하면에는 지지판(110)을 수면 아래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 고정부재(1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채취용 스탠드는, 수위가 변동하더라도 상기 지지대(100)의 타측이 항상 수면위로 돌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00) 소정 위치에 구비된 부구체(170);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상부를 감싸며 부구체(17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90); 일측은 지지대(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도르레(150)가 연결되어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상부에 구비된 제1 수평봉(130); 일측은 지지대(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와이어 고정구(160)가 연결되어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대(100) 하부에 구비된 제2 수평봉(140); 일측은 상기 고정구(16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도르레(150)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위치하는 와이어(250); 및 상기 제1 수평봉(130)과 제2 수평봉(140) 사이에는 채취기 가이드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채취기 가이드부(200)는, 일측은 상기 지지대(100)가 관통하는 제1 원형링(210), 타측은 채수기(300)가 고정되는 제4 원형링(230), 및 상기 제1 원형링(210)과 제4 원형링(230)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250)가 관통하는 제3 원형링(220)이 구비된 제3 수평봉(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에 의하면, 시료 채취를 위한 지지대를 수면 아래 바닥에 고정되어 있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수질이나 퇴적물의 오염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는 채취기 가이드부가 구비되어 있어,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채취기를 수직으로 떨어뜨리거나 들어 올릴 수 있어 원하는 위치의 시료를 채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는 지지대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채취한 퇴적물 시료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에서 지지대와 지지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에서 제1 수평봉과 도르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에 채수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물을 채취하는 반돈 채수기나 퇴적물을 채취하는 그랩 샘플러 모두 사용이 가능하므로, 반돈 채수기를 예를 들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채취용 스탠드는 일측은 수면 아래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타측은 수면 위로 돌출하도록 직립한 지지대(100), 그리고 채수기(300)가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채수기 가이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00)는 단면이 원형이고 내부가 비어 있는 긴 봉 형상으로, 강우에 의해 수위가 상승하거나 가뭄으로 인해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타측이 항상 수면 위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지대(100) 상부 소정 위치에는 부구체(170)가 고정되어 있는 한편, 지지대(100)는 외경이 상이하고 테이퍼진 2개 이상의 단위 봉들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100)가 2개의 단위 봉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어느 하나의 봉은 나머지 하나의 봉 내부로 삽입 또는 돌출됨으로써 전체 길이가 조절되고 이러한 신축 가능한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부구체(170) 소정 위치에는 후술할 제4 원형링(230)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231)를 걸기 위한 후크 고정구(171)가 부착되어 있고,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에서 지지대와 지지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지지대(100) 일측, 즉 바닥을 향하는 하부 끝단을 바닥에 바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지지대(100)의 안정감과 후술할 지지대(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지지판 고정부재(120)가 하면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판(110)과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판(110)은 지지대(100)의 절단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면에는 지지대(100)의 하부 끝단을 수용하는 지지대 수용홈(111) 그리고 하면에는 다수개의 지지판 고정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료 채수를 위한 지지대(100)를 수면 아래 바닥에 고정시켜 두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채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수질변화의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다.
한편, 지지대(100) 외측 벽면에는 원형볼(101)이 구비되어 있고, 지지대 수용홈(111)에는 상기 원형볼(101)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 벽면을 따라 원형볼(101)과 동일한 개수의 원형볼 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걸림턱(미도시)에 의해 원형볼(101)의 일부만 지지대(100) 외측으로 돌출되며, 원형볼(101) 후방에는 스프링(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상단의 손잡이(180)를 잡고 돌리면, 원형볼(101)이 스프링을 압축하여 원형볼 수용홈(11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시켜 인근의 원형볼 수용홈(112)에 원형볼(101)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100)를 다시 고정시킬 수 있다.
동일 지점별 1회의 채수만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분석해야 할 항목이 많거나 채수기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2회 이상 수중으로 채수기를 수중으로 낙하시켜 시료를 채수해야 하고, 이때 채수기로 인해 바닥층에 쌓여 있던 퇴적물이 부상하기도 하여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10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부상한 퇴적물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그랩 샘플러를 사용하여 퇴적물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지지대(100)를 중심으로 돌아가면서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퇴적물 시료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지지대(100) 하단 소정 위치에는 제2 수평봉(140)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은 지지대(100)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타측은 와이어(250)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구(160)가 구비되어 있고, 제2 수평봉(14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일측은 제2 수평봉(140)과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대(100)와 연결되는 제2 경사봉(142)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제2 수평봉(140)과 제2 경사봉(142)을 연결하는 제2 수직봉(141)이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수면 위로 나와 있는 지지대(100) 상단 소정 위치에는 제1 수평봉(130)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은 지지대(100)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타측은 와이어(250)가 감겨 있는 도드레(150)와 연결되어 있고, 제1 수평봉(13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일측은 제1 수평봉(130)과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대(100)와 연결되는 제1 경사봉(132)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제1 수평봉(130)과 제1 경사봉(132)을 연결하는 제1 수직봉(131)이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서 제1 수평봉(130)과 도르레(150)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제1 수평봉(130)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는 클램프(133)에 도르레(150)가 장착된다. 여기서, 도르레(150)는 인위적 또는 모터구동방식으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수위 변동에 따라 지지대(100) 길이가 변하더라도 와이어(250)가 자동으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와 같이 구동하는 도르레(150)는 공지된 구성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에는 도르레(150)를 포함한 지지대(100) 상부를 감싸는 커버(19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버(190)는 부구체(17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190)에 부구체(170)가 탈착가능한 구조라면 이들의 결합구조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은 채취기 가이드부(2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채취기 가이드부(200)는 물의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직으로 채수기(300)를 물속으로 떨어뜨리거나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취기 가이드부(200)는 다수개의 원형링, 수평봉 그리고 와이어(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수평봉(130)과 제2 수평봉(140) 사이에 위치하는 채취기 가이드부(200)는 일측은 상기 지지대(1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1 원형링(210)이 구비되고, 타측은 채수기(300)를 고정하는 제4 원형링(230) 그리고 제1 원형링(210)과 제4 원형링(230) 사이에는 와이어(250)가 관통하는 제3 원형링(220)이 구비되어 있는 제3 수평봉(2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채수기(300)를 수중으로 떨어뜨리면, 제3 원형링(220)은 도르레(150)와 고정구(160)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250)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1 원형링(210)은 지지대(100)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물의 흐름방향에 관계없이 채수기(300)를 수직으로 떨어뜨리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3 수평부(240)가 기울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제3 수평부(240) 소정 부위와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대(100)를 감싸는 제2 원형링(211)과 연결된 제3 경사봉(242)과 이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3 수평부(240)와 제3 경사봉(242)을 연결하는 제3 수직봉(241)이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취용 스탠드에 채수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수중으로 투하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채수기(300)는 제3 수평봉(240) 타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4 원형링(230)에 연결 지지되며, 일예로 채취기 연결로프(231)와 후크(232)를 이용하여 제4 원형링(230)과 채수기(300) 손잡이(310)가 탈착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채수기(300)의 덮개 개폐조절부(320) 인근에는 무게추(340)를 관통하는 채수기 인용로프(330)가 연결되어 있고, 무게추(340)가 덮개 개폐조절부(320)를 타격함으로써 채수기(300) 덮개(미도시)가 밀폐되고, 상기와 같은 채수기(300)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시료의 채수가 완료된 이후에는 제4 원형링(230)과 연결되어 있는 후크(232)는 부구체(170)의 후크 고정구(171)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원형링(230)에 채수기(30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손으로 채수기 인양로프(330)를 잡아 당김으로써 채취기 가이드부(200)를 수면부근이나 밖으로 노출시킬 수 있지만, 시료 채취가 끝나 채수기(300)를 분리시킨 이후에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간다. 수심이 얕은 지점이라면 특별히 곤란하지 않지만, 수심이 깊은 지점인 경우에는 바닥 부근에 위치하는 채취기 가이드부(200)를 수면 부근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료 채취용 스탠드를 사용하여 하천, 호소 등의 시료(물)를 채수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채취용 스탠드가 고정되어 있는 시료 채취 지점에 도착하면, 후크 고정구(171)에 고정되어 있는 후크(232)를 풀고, 제4 원형링(230)과 채수기(300) 손잡이(310)를 연결한다. 이후 무게추(340)가 장착되어 있는 채수기 인양로프(330)를 제4 원형링(230)을 관통시킨 후 손으로 잡고, 인양로프(330)를 천천히 풀어 채수기(300)가 소정 위치, 즉 채수가 필요한 위치(수심)에 도달하면 무게추(340)를 떨어뜨려 채수기의 양측 개구부를 덮개로 막는다. 이어서, 채수기 인양로프(330)를 잡아 당겨 수면 위로 채수기(300)를 끌어 올리고, 덮개를 개방하여 채수기에 채워진 시료를 별도의 샘플용기에 담는다.
한편, 동일한 지점에서 2회 이상의 시료를 채수하는 경우라면, 지지대(100) 상부의 손잡이(180)를 잡고 소정 각도 회전시킨 후, 위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시료를 채수한다.
채수기(300)가 도달하는 위치(수심)는 채수기 인양로프(330) 자체에 눈금을 새겨 두거나 별도의 줄자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한 시료는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법에 따라 분석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지지대
101 : 원형볼
110 : 지지판
111 : 지지대 수용홈 112 : 원형볼 수용홈
120 : 지지판 고정부재
130 : 제1 수평봉
131 : 제1 수직봉 132 : 제1 경사봉
133 : 클램프
140 : 제2 수평봉
141 : 제2 수직봉 142 : 제2 경사봉
150 : 도르레
160 : 와이어 고정구
170 : 부구체
171 : 후크 고정구
180 : 손잡이
190 : 커버
200 : 채취기 가이드부
210 : 제1 원형링 211 : 제2 원형링
220 : 제3 원형링
230 : 제4 원형링
231 : 후크
240 : 제3 수평봉
241 : 제3 수직봉 242 : 제3 경사봉
250 : 와이어
300 : 채수기
310 : 손잡이
320 : 덮개 개폐조절부
330 : 채수기 인양로프
340 : 무게추

Claims (5)

  1. 하천, 호소 또는 해양의 물이나 퇴적물을 채취하는 채취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시료 채취용 스탠드에 있어서,
    일측은 수면 아래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측은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며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및
    상기 지지대(100)와 체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채취기 가이드부(200)를 포함하되,
    수위가 변동하더라도 상기 지지대(100)의 타측이 항상 수면위로 돌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00) 소정 위치에 구비된 부구체(170);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상부를 감싸며 부구체(17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90);
    일측은 지지대(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도르레(150)가 연결되어 수면 위로 돌출한 지지대(100) 상부에 구비된 제1 수평봉(130);
    일측은 지지대(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와이어 고정구(160)가 연결되어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지지대(100) 하부에 구비된 제2 수평봉(140);
    일측은 상기 고정구(16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도르레(150)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위치하는 와이어(250); 및
    상기 제1 수평봉(130)과 제2 수평봉(140) 사이에는 채취기 가이드부(200)가 구비되되, 상기 채취기 가이드부(200)는, 일측은 상기 지지대(100)가 관통하는 제1 원형링(210), 타측은 채취기(300)가 고정되는 제4 원형링(230), 및 상기 제1 원형링(210)과 제4 원형링(230)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250)가 관통하는 제3 원형링(220)이 구비된 제3 수평봉(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용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수면 아래를 향하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측에는 지지판(110)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110)의 하면에는 지지판(110)을 수면 아래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 고정부재(1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취용 스탠드.
  5. 삭제
KR1020180092931A 2018-08-09 2018-08-09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KR10192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31A KR101924148B1 (ko) 2018-08-09 2018-08-09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31A KR101924148B1 (ko) 2018-08-09 2018-08-09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148B1 true KR101924148B1 (ko) 2018-12-04

Family

ID=6466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931A KR101924148B1 (ko) 2018-08-09 2018-08-09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14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484A (zh) * 2019-04-29 2019-07-30 中国矿业大学 一种井下淋水水样收集装置及其方法
CN110095313A (zh) * 2019-06-18 2019-08-06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近海的水质和沉积物的多点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CN110389052A (zh) * 2019-08-22 2019-10-29 合肥市宇驰检测技术有限公司 多点多深度水体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CN112414770A (zh) * 2020-09-29 2021-02-26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转动式底层水采集装置及水样采集方法
CN112553062A (zh) * 2020-12-21 2021-03-26 莆田市天然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养殖水池全天候定时采样静置微生物自检测设备
CN114323813A (zh) * 2022-01-04 2022-04-12 煜环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重金属污染物的大气沉降收集装置及其施工工法
CN114354263A (zh) * 2022-01-08 2022-04-15 余彩萍 可进行多层水域采集的水利工程水质取样装置及其方法
CN114397148A (zh) * 2022-01-18 2022-04-26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具备抗洋流扰流能力的海底沉积物冲散式多管联合取样器
CN114962866A (zh) * 2022-01-18 2022-08-30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多功能水体水位遥感监测设备
CN116007980A (zh) * 2023-01-31 2023-04-25 山东方能毅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监测用捕获设备
CN116972922A (zh) * 2023-09-22 2023-10-31 黑龙江中科工程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水利防洪应急用水流量监测装置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484A (zh) * 2019-04-29 2019-07-30 中国矿业大学 一种井下淋水水样收集装置及其方法
CN110068484B (zh) * 2019-04-29 2024-02-20 中国矿业大学 一种井下淋水水样收集装置及其方法
CN110095313B (zh) * 2019-06-18 2024-01-30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近海的水质和沉积物的多点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CN110095313A (zh) * 2019-06-18 2019-08-06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近海的水质和沉积物的多点取样装置及其取样方法
CN110389052A (zh) * 2019-08-22 2019-10-29 合肥市宇驰检测技术有限公司 多点多深度水体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CN112414770A (zh) * 2020-09-29 2021-02-26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转动式底层水采集装置及水样采集方法
CN112414770B (zh) * 2020-09-29 2024-02-09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转动式底层水采集装置及水样采集方法
CN112553062A (zh) * 2020-12-21 2021-03-26 莆田市天然星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养殖水池全天候定时采样静置微生物自检测设备
CN114323813A (zh) * 2022-01-04 2022-04-12 煜环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重金属污染物的大气沉降收集装置及其施工工法
CN114323813B (zh) * 2022-01-04 2024-02-09 煜环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重金属污染物的大气沉降收集装置及其施工工法
CN114354263B (zh) * 2022-01-08 2023-09-12 余彩萍 可进行多层水域采集的水利工程水质取样装置及其方法
CN114354263A (zh) * 2022-01-08 2022-04-15 余彩萍 可进行多层水域采集的水利工程水质取样装置及其方法
CN114397148B (zh) * 2022-01-18 2023-08-08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具备抗洋流扰流能力的海底沉积物冲散式多管联合取样器
CN114962866A (zh) * 2022-01-18 2022-08-30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多功能水体水位遥感监测设备
CN114397148A (zh) * 2022-01-18 2022-04-26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具备抗洋流扰流能力的海底沉积物冲散式多管联合取样器
CN114962866B (zh) * 2022-01-18 2024-02-27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多功能水体水位遥感监测设备
CN116007980A (zh) * 2023-01-31 2023-04-25 山东方能毅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监测用捕获设备
CN116007980B (zh) * 2023-01-31 2023-07-07 山东方能毅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环境监测用捕获设备
CN116972922A (zh) * 2023-09-22 2023-10-31 黑龙江中科工程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水利防洪应急用水流量监测装置
CN116972922B (zh) * 2023-09-22 2023-12-15 黑龙江中科工程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水利防洪应急用水流量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148B1 (ko)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US7757573B2 (en) Bed water sampling device
CN106124240B (zh) 一种无扰动柱状沉积物采集器
KR101277324B1 (ko)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CN110186716B (zh) 一种高保真定深水样采集装置
KR20190063039A (ko) 채수기
KR102182097B1 (ko)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KR20200082429A (ko) 수질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CN111795864B (zh) 一种抽取方式采集水样设备
JP4074865B2 (ja) 試料採取装置及び試料採取方法
US5864069A (en) Lysimeter for collecting chemical samples from the vadose zone
CN107462445B (zh) 一种滑动水样采集器及采集方法
JP2733460B2 (ja) 採取式堆積厚測定器
CN110887698A (zh) 一种浅层水样取样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604009U (zh) 一种微扰动定深地下水采集及水位测量装置
KR101486285B1 (ko) 개폐식 관정수 포집기
CN211042799U (zh) 一种水环境检测用取样装置
CN209727519U (zh) 一种定深度采样器
CN106840777B (zh) 一种环境监测用露水取样器
CN109297769A (zh) 一种采集新兴海洋污染物的装置
CN109374357A (zh) 一种用于海洋污染物的样本采集装置
CN110887705A (zh) 一种污水采集设备
CN219319782U (zh) 一种土壤水分测定取样装置
WO1995022750A1 (en) Lysimeter for collecting chemical samples from the vadose zone
CN212539768U (zh) 适用于山区河流的手持自沉式悬移质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