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097B1 -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097B1
KR102182097B1 KR1020200073749A KR20200073749A KR102182097B1 KR 102182097 B1 KR102182097 B1 KR 102182097B1 KR 1020200073749 A KR1020200073749 A KR 1020200073749A KR 20200073749 A KR20200073749 A KR 20200073749A KR 102182097 B1 KR102182097 B1 KR 10218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nsor
depth
uni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혜
노혜란
안혜실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73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87Categories of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01N1/203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by deviating part of a fluid stream, e.g. by drawing-off or tapping
    • G01N2001/2071Removable sample bott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형상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 상기 몸체부(20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채수병(3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수납되어 수심을 측정하는 센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Water Sampler Assembly Having Means Water Lever}
본 발명은 하천이나 호소 등 수질 분석이 요구되는 시료를 샘플링하기 위한 채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수심 측정 센서와 복수개의 채수병이 구비되어 있어 정확한 수심에서 시료를 채수하고 또 1회 투하로도 복수 지점에서의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매일 일정량의 물을 마셔야 하며, 샤워나 세척 등 각종 용도로 다량의 물이 필요하다. 이렇게 우리가 매일 필요로 하는 물, 특히 수돗물은 강물이나 댐저류수 등으로부터 취수한 후 정수과정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이 제거된 물이라고 할 수 있다.
취수원은 음용수로서의 수질기준을 만족시켜야 하며, 특정 취수원으로서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는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시료를 샘플링하여 오염물질의 종류와 농도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강우 시에는 의도치 않은 오염물질들이 비에 씻겨 수계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 깊은 수질 분석이 요구된다.
한편, 하천수 수질을 분석하기 위한 샘플링 도구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05077호(도 1 참조)에는 수직방향으로 임시 고정되는 채수용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통과하는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말단 실링부; 상기 한 쌍의 말단 실링부의 외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씰 고정용 고리부;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제1 트리거; 상기 제1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보조 케이블; 및 상기 보조 케이블을 따라 하강하며 상기 제1 트리거를 해제하는 제1 메신저; 상기 씰 고정용 고리부를 구속하고 해제하는 제2 트리거; 상기 채수용 실린더 및 제2 트리거와 연결되고 수상으로 연장되는 메인 케이블; 상기 메인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여 제2 트리거에 구송된 씰 고정용 고리부들을 해제하는 제2 메신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한 말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수직고정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리거는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신저에 의해 상기 수직고정 고리부를 해제하여, 상기 실린더의 수평방향 회전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채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채수기는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실링부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메신저로 트리거를 타격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또 빈번한 타격으로 인해 트리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수심이 60㎝ 이하인 경우에는 위치에 관계없이 1개 지점의 시료만 채수하여 수질분석을 수행해도 무방하지만, 수심이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심별 3개 지점의 시료를 채수해야 하므로 이에 따라 투하와 인양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물살에 의해 채수기가 경사지게 하강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심에서 시료를 채수하는 것이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050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계에서 물살이 있더라도 원하는 수심에서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회 투하만으로도 수심이 상이한 복수 지점에서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는, 소정 형상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 상기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채수병(3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수납되어 수심을 측정하는 센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원통형의 상측 지지부(110); 상기 상측 지지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부는 개방된 채 측면과 복수개의 통공(121)이 형성된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하측 지지부(120); 상기 상측 지지부(110)와 하측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원형링으로 이루어진 수평 지지부(130); 상기 상측 지지부(110), 수평 지지부(130) 및 하측 지지부(120)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바(bar) 형상의 수직 지지부(140); 및 상기 수평 지지부(130)와 수직 지지부(140)가 만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고리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상기 캡부(200)는, 하면은 개방된 채 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상면에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된 슬릿홈(21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상기 채수병(300)은, 제2 고리부(310), 및 일측은 상기 제2 고리부(3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채수병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로프(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상기 센서부(400)는,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커버하는 센서 케이스(410), 일측이 상기 수심 측정 센서와 연결된 채 센서 케이스(410) 상부로 연장된 케이블(420), 및 일측이 상기 센서 케이스(410)의 상면 중앙에 연결된 채 상부로 연장된 제2 로프(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상기 몸체부(100)는,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상측 지지부(110); 상기 상측 지지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부는 개방된 채 측면과 복수개의 통공(121)이 형성된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하측 지지부(120); 상기 상측 지지부(110)와 하측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금속재질의 복수개 원형링으로 이루어진 수평 지지부(130); 상기 상측 지지부(110), 수평 지지부(130) 및 하측 지지부(120)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바(bar) 형상으로, 금속재질의 수직 지지부(140); 및 상기 수평 지지부(130)와 수직 지지부(140)가 만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고리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200)는, 하면은 개방된 채 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 외측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된 슬릿홈(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채수병(300)은, 제2 고리부(310), 일측은 상기 제2 고리부(3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채수병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로프(320), 및 제1 고리부(15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리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 지지부(110), 하측 지지부(120), 수평 지지부(130) 및 수직 지지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수납되어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커버하는 센서 케이스(410), 일측이 상기 수심 측정 센서와 연결된 채 센서 케이스(410) 상부로 연장된 케이블(420), 및 일측이 상기 센서 케이스(410)의 상면 중앙에 연결된 채 상부로 연장된 제2 로프(43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420)과 제2 로프(430)는 상기 캡부(200)의 슬릿홈(210)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측 지지부(120)는 상면, 측면 및 하면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한 복수개의 통공(121)이 구비되되, 상기 하측 지지부(120)는 비중이 1 이상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상기 센서 케이스(410) 내부에는 수온 센서, 용존산소 센서 및 pH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 의하면, 몸체부 안에 수심 측정 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물살에 의해 채수병이 수직으로 하강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위치에서 시료를 채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채수 어셈블리에 의하면, 몸체부에는 복수개의 채수병이 장착되어 있어 1회 투하만으로도 수심이 상이한 복수 위치에서 채수가 가능하고, 따라서 채수에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의 채수 어셈블리에 의하면, 몸체부는 센서부와 채수병을 확실하게 수납 또는 고정하면서도 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살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채수 시 안정감 향상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채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센서부의 탈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채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채수 어셈블리는 채수해야 할 수계 지점에 1회 투하만으로도 수심 별 복수개의 시료를 채수할 수 있고, 또 물살이 있더라도 정확한 수심에서 시료 채취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채수 어셈블리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0),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채수병(300), 그리고 몸체부(100) 내부에 수납되어 수심을 측정하는 센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면서 가급적 물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수직하게 물속으로 내려가도록 유도하기 위한 몸체부(100)에 관해 먼저 설명하면, 상측 지지부(110), 하측 지지부(120), 수평 지지부(130), 수직 지지부(140) 그리고 제1 고리부(150)를 포함한다.
상측 지지부(110)는 캡부(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00)가 센서부(400)를 수납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될 수 있도록, 하측 지지부(120)는 상측 지지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한편, 센서부(400)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측면과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면에는 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몸체부(100)가 물속으로 내려갈 때, 저항을 최소화하고 또 가급적 수직하게 내려가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비록 도면에서는 바닥면에만 통공(121)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측면에도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계속해서, 수평 지지부(130)와 수직 지지부(140)는 전술한 상측 지지부(110)와 하측 지지부(120)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구성들이다.
즉, 수평 지지부(130)는 상측 지지부(110)와 하측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면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원형링이 소정 간격 이격된 채 위치한다.
그리고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바(bar) 형상의 수직 지지부(140)는 금속재질의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측 지지부(110), 수평 지지부(130) 및 하측 지지부(120)를 순차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견고한 몸체부(10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된 원형링의 수평 지지부(130)와 바(bar) 형상의 수직 지지부(140)를 채용하면, 몸체부(100)의 외형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물살에 몸체부(100)가 쓸려 경사지게 내려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수평 지지부(130) 및 수직 지지부(140)의 개수와 이격거리는 수납될 센서부(400)가 빠져 나가지 않을 정도라면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
후술할 제3 고리부(330)와 서로 연결되는 제1 고리부(150)는 수평 지지부(130)와 수직 지지부(140),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지지부(130)와 수직 지지부(140)가 만나 서로 고정되는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 지지부(130)에 제1 고리부(150)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수평으로 위치하는 원형링을 따라 제1 고리부(150)가 이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좌우 및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수평 지지부(130)와 수직 지지부(140)가 서로 만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캡부(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캡부(200)는 몸체부(100) 내부 공간에 수납된 센서부(4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이나 센서부(400) 교체 시에는 몸체부(100)로부터 센서부(400)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센서부(400)는 하면은 개방된 채 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이며, 전술한 몸체부(100) 측면 내측의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캡부(200) 측면 외측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체부(100)의 유실방지와 인양을 위한 당김줄(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면에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된 슬릿홈(21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채수한 시료를 담을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갖는 채수병(300)은 제2 고리부(310), 제1 로프(320) 및 제3 고리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고리부(310)는 채수병(300)의 마개 부근에 구비된 채, 제1 로프(32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채수병(300)의 개폐를 위한 제1 로프(320)의 타단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즉, 물 밖의 작업자가 제1 로프(320)를 당기게 되면 채수병(300)의 입구가 열리고, 반대로 당기지 않으면 입구가 막혀 외부의 물이 유입되지 않는데, 이와 같은 채수병의 상세한 구성 및 개폐원리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제2012314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채수병(3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3 고리부(330)는 전술한 몸체부(100)의 제1 고리부(150)와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료를 채수할 시에는 이들을 서로 채결한 뒤 물속으로 투하하고, 채수가 끝나면 채수병(300)을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한층 수월하다.
계속해서, 센서부(400)에 관해 설명하면, 센서부(400)는 센서(미도시)를 커버하는 센서 케이스(410), 케이블(420) 및 제2 로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센서는 채수 어셈블리가 위치하는 곳의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심 센서와, 해당 수심에서의 온도, 용존산소 및 pH를 측정하기 위한 수온 센서, 용존산소 센서 및 pH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심 센서는 깊이에 따라 변하는 수압을 측정함으로써 수심을 측정할 수 있으나,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센서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센서는 외부충격에 약하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센서 케이스(4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센서에서 측정한 각종 결과가 물 밖의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일측이 센서와 연결된 채 센서 케이스(410) 상부로 노출된 케이블(420)이 길게 연장되어 있고, 센서 케이스(410)의 상면 중앙에는 제2 로프(430)가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에서 센서부의 탈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채수 어셈블리에서, 센서 케이스(410)는 몸체부(100)의 공간부, 상세하게는 몸체부(100)의 상측 지지부(110), 하측 지지부(120), 수평 지지부(130) 및 수직 지지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센서 케이스(410)를 몸체부(100)의 공간부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케이블(420)과 제2 로프(430)를 캡부(200)의 슬릿홈(210)을 관통시키고 이후 캡부(200)와 상측 지지부(110)를 암수나사 방식으로 고정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홈(210)은 캡부(200) 상면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되어 있는데, 이는 케이블(420)과 제2 로프(430)가 캡부(2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체결을 위해 캡부(200)를 회전시킬 시 케이블(420)과 제2 로프(43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하측 지지부(120)를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인 하측 지지부(120)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변형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0)의 하측 지지부(120)는 상면, 측면 그리고 하면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한 복수개의 통공(1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게다가 비중이 1 이상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변형 실시예에서와 같이 통공(121)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이 금속 재질로 채워져 이루어져 있을 시에는 몸체부(100) 하단부의 무게가 증가하여 물살에 더욱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구성을 갖는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채수하는 방법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천이나 강 등 시료의 채수가 필요한 수계에 도착하면, 몸체부(100)의 상측 지지부(110), 하측 지지부(120), 수평 지지부(130) 및 수직 지지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센서가 내장된 센서 케이스(410)를 수납시킨 후, 상측 지지부(110)와 캡부(200)를 체결한다.
이때, 수평 지지부(130) 및 수직 지지부(140)가 서로 만나는 위치에는 채수해야 할 시료 개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채수병(300)이 장착되어야 하고, 복수개의 제1 로프(320), 케이블(420) 및 제2 로프(43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거나 별도의 고정구에 걸어두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후, 몸체부(100)를 물속으로 천천히 하강시키면서 케이블(420)을 통해 전송되는 결과인 수심을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확인한다.
채수해야 할 위치인 1차 수심에 도착하면, 몸체부(100)의 하강을 중단한 채, 제1 로프(320)를 당겨 시료를 담는다.
1차 시료 채수가 끝나면 계속해서 몸체부(100)를 물속으로 하강시키면서 모니터(미도시)로 전송된 수심을 확인하고, 정해진 수심에 도착하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시료를 채수한다.
모든 시료의 채수가 끝나면 제2 로프(430)를 당겨 몸체부(100)를 물밖으로 들어 내고, 이후 각 채수병(300)에 충만된 시료를 별도의 보관 용기에 담거나 채수병(300) 채로 실험실로 운반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몸체부
110 : 상측 지지부
120 : 하측 지지부
121 : 통공
130 : 수평 지지부
140 : 수직 지지부
150 : 제1 고리부
200 : 캡부
210 : 슬릿홈
300 : 채수병
310 : 제2 고리부
320 : 제1 로프
330 : 제3 고리부
400 : 센서부
410 : 센서 케이스
420 : 케이블
430 : 제2 로프

Claims (8)

  1. 소정 형상의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200);
    상기 몸체부(10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채수병(300); 및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수납되어 수심을 측정하는 센서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100)는,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 높이를 갖는 원통형의 상측 지지부(110); 상기 상측 지지부(1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면, 측면 및 하면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한 복수개의 통공(121)이 구비되며 비중이 1 이상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하측 지지부(120); 상기 상측 지지부(110)와 하측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금속재질의 복수개 원형링으로 이루어진 수평 지지부(130); 상기 상측 지지부(110), 수평 지지부(130) 및 하측 지지부(120)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바(bar) 형상으로, 금속재질의 수직 지지부(140); 및 상기 수평 지지부(130)와 수직 지지부(140)가 만나는 위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고리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200)는, 하면은 개방된 채 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암나사산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측면 외측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를 향해 소정 폭으로 절개된 슬릿홈(2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채수병(300)은, 제2 고리부(310), 일측은 상기 제2 고리부(3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채수병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로프(320), 및 제1 고리부(150)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고리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 지지부(110), 하측 지지부(120), 수평 지지부(130) 및 수직 지지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수납되어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수심 측정 센서, 수온 센서, 용존산소 센서 및 pH 센서를 커버하는 센서 케이스(410), 일측이 상기 수심 측정 센서와 연결된 채 센서 케이스(410) 상부로 연장된 케이블(420), 및 일측이 상기 센서 케이스(410)의 상면 중앙에 연결된 채 상부로 연장된 제2 로프(43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420)과 제2 로프(430)는 상기 캡부(200)의 슬릿홈(210)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하천 또는 호소용 채수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73749A 2020-06-17 2020-06-17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KR10218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49A KR102182097B1 (ko) 2020-06-17 2020-06-17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749A KR102182097B1 (ko) 2020-06-17 2020-06-17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097B1 true KR102182097B1 (ko) 2020-11-23

Family

ID=7368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749A KR102182097B1 (ko) 2020-06-17 2020-06-17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0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9947A (zh) * 2020-12-22 2021-04-30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可串联式深水自动定深水质样品采集器
CN113203604A (zh) * 2021-05-10 2021-08-03 湖南唯楚果汁酒业有限公司 一种用于酿酒企业废水综合利用的废水采样方法
CN113740119A (zh) * 2021-09-08 2021-12-03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产养殖用的水质取样检测装置
KR102405142B1 (ko) * 2021-11-16 2022-06-07 안현준 채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58B1 (ko) * 2013-10-18 2015-02-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채수장치
CN106053139A (zh) * 2016-07-24 2016-10-26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多层水样持续、自动采集的深水采样装置
KR101805077B1 (ko) 2017-08-28 2017-12-07 대한민국 수평 채수기
CN108680391A (zh) * 2018-08-03 2018-10-19 苏州市苏测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河流水质检测取样装置
KR102069007B1 (ko) * 2019-08-13 2020-01-22 대한민국 수심 측정 기능이 구비된 채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58B1 (ko) * 2013-10-18 2015-02-12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채수장치
CN106053139A (zh) * 2016-07-24 2016-10-26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多层水样持续、自动采集的深水采样装置
KR101805077B1 (ko) 2017-08-28 2017-12-07 대한민국 수평 채수기
CN108680391A (zh) * 2018-08-03 2018-10-19 苏州市苏测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河流水质检测取样装置
KR102069007B1 (ko) * 2019-08-13 2020-01-22 대한민국 수심 측정 기능이 구비된 채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9947A (zh) * 2020-12-22 2021-04-30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可串联式深水自动定深水质样品采集器
CN113203604A (zh) * 2021-05-10 2021-08-03 湖南唯楚果汁酒业有限公司 一种用于酿酒企业废水综合利用的废水采样方法
CN113740119A (zh) * 2021-09-08 2021-12-03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产养殖用的水质取样检测装置
CN113740119B (zh) * 2021-09-08 2023-07-14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产养殖用的水质取样检测装置
KR102405142B1 (ko) * 2021-11-16 2022-06-07 안현준 채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097B1 (ko)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KR101924148B1 (ko)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CN205300978U (zh) 一种水样采集器
CN211825259U (zh) 一种河道水质检测分层取样装置
KR102069007B1 (ko) 수심 측정 기능이 구비된 채수기
CN209606154U (zh) 一种深水采样器
KR101700333B1 (ko)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CN113092177B (zh) 一种具有样品自动收纳机构的深海长柱状取样器
KR101805077B1 (ko) 수평 채수기
CN107560889B (zh) 一种大通量底泥柱状采样装置及采样方法
KR200261997Y1 (ko) 채수기
EP0278321B1 (en) Sampler for liquid substances
JP2005325615A (ja) 試料採取装置及び試料採取方法
KR100732395B1 (ko)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CN110887698A (zh) 一种浅层水样取样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20017332A (ko) 하천 및 해양용 채수기
CN206556918U (zh) 深水水样采样器
CN211735561U (zh) 一种泥浆检测取样装置
US3969925A (en) In situ oceanographic sample separator
CN205404173U (zh) 一种地浸钻孔定深取样装置
CN211877466U (zh) 一种小口径钻井分层水样取样器
KR101493350B1 (ko)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KR101486285B1 (ko) 개폐식 관정수 포집기
CN211452953U (zh) 取样器
CN209416771U (zh) 一种水体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