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142B1 - 채수 장치 - Google Patents

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142B1
KR102405142B1 KR1020210157925A KR20210157925A KR102405142B1 KR 102405142 B1 KR102405142 B1 KR 102405142B1 KR 1020210157925 A KR1020210157925 A KR 1020210157925A KR 20210157925 A KR20210157925 A KR 20210157925A KR 102405142 B1 KR102405142 B1 KR 10240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losing
dispenser body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준
박시온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안현준
박시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준, 박시온 filed Critical 안현준
Priority to KR102021015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 채수구를 갖는 복수의 채수 캐비티가 형성되는 채수기 본체; 상기 채수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 개비티 각각에 인접 설치되는 개폐 유닛; 상기 채수기 본체에 구비되어 수심을 검출하는 수심 검출 모듈; 및 상기 채수기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개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수심 검출 모듈의 검출 신호를 외부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제작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고, 소정 수심의 깊이의 물을 정확히 채수할 수 있게 하며, 하나의 장치로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채수 장치 {WATER SAMPLER}
본 발명은 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제작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고, 소정 수심의 깊이의 물을 정확히 채수할 수 있게 하며, 하나의 장치로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게 하는 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 검사는 물의 물리학적 성질이나 물에 포함된 화학적 성분 또는 미생물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상수도 수원을 선정할 때, 수원의 오염도를 점검 및 감시할 때, 수질 기준에 대한 수돗물 합격 여부를 검사할 때, 강이나 하천 또는 바다의 환경 오염도를 측정할 때, 그리고 공업용 수도나 하수도의 오염도를 검사할 때 등 다양한 목적 하에 시행된다.
수질 검사 방법에는 이화학적 시험, 세균학적 시험, 생물학적 시험의 3 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수질에 대한 판정은 동일한 시료(試料)를 각각 다른 측면에서 독자적 방법으로 시험한 다음 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판정한다. 수질을 검사할 때는 현장의 환경도 함께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결과들을 모아서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수질 검사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수질 검사를 위해서는 먼저 현장에서 전체 수질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시료(이하, "물"이라 지칭한다.)를 채수하여야 하는데, 수질 검사의 대상이 우물, 강물, 하천, 바다 등과 같이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수심에 따라 수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질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심 별로 시료를 채수하거나 기준이 되는 수심에서 평균적 수질을 갖는 시료를 채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수면 위에서 수심이 깊은 곳으로부터 시료를 간편하게 채취할 수 있는 채수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채수 장치는 통상 채수통 주입구에 마개를 구비하여 이를 끈과 연결함으로써, 채수 장치가 일정 수심에 도달하면 끈을 잡아당겨 마개를 열어 채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마개와 연결된 끈을 잡아당길 때 채수기가 따라서 상승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수통의 재질과 마개에 의하여 채수통 내에 밀폐되어 있던 공기의 영향으로 원하는 깊이만큼 정확하게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채수 장치는 채수통이 원통형으로 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내부에 있는 부품들의 탈, 부착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 보수 및 유지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분리형 채수기를 개시하고 잇으며, 하부 채수통 및 상부 채수통으로 분리 형성된 채수통; 및 채수통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채수통 내부에 있는 덮개 등의 부품을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고, 채수통 내의 세척, 보수 등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한,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의 채수 장치는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채수통의 내측에 이물질이 쉽게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채수통과 연결된 로프에 일정 길이마다 매직 등으로 체크된 것을 보고 수심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수심을 확인하는데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3442호(2011.04.06.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5175(2018.09.28. 등록)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제작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고, 소정 수심의 깊이의 물을 정확히 채수할 수 있게 하며, 하나의 장치로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게 하는 채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각각 채수구를 갖는 복수의 채수 캐비티가 형성되는 채수기 본체; 상기 채수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 개비티 각각에 인접 설치되는 개폐 유닛; 상기 채수기 본체에 구비되어 수심을 검출하는 수심 검출 모듈; 및 상기 채수기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개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수심 검출 모듈의 검출 신호를 외부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채수기 본체는, 일자 형 중공관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구비되는 2개의 구획벽에 의해 3개의 상기 채수 캐비티로 구획되되, 각각의 상기 채수 캐비티는 개별적으로 상기 채수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 유닛은,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채수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 부재; 상기 채수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채수 캐비티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채수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채수 캐비티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채수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개폐 작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 작동 수단은, 상기 채수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구비되는 탄성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개폐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상기 회전축에 권선 및 권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개방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 부재는, 그 회전축 측에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을 일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는, 끈 또는 케이블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개폐 부재의 중심 또는 회전축과 반대되는 측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회전 모터의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상기 개폐 유닛을 개별 제어하되,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상기 채수 캐비티를 개별적으로 폐쇄하여 복수의 상기 채수 캐비티에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서로 다른 수심의 물을 채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채수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제작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고, 소정 수심의 깊이의 물을 정확히 채수할 수 있게 하며, 하나의 장치로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 유닛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모든 개폐 유닛이 개방된 완전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수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 유닛 2개소만 개방된 일부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 유닛 1개소만 개방된 일부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와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 유닛의 폐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모든 개폐 유닛이 개방된 완전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수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 유닛 2개소만 개방된 일부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개폐 유닛 1개소만 개방된 일부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채수기 본체(100), 개폐 유닛(200), 수심 검출 모듈(300) 및 제어 모듈(4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는 프로펠러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각각 채수구(101)를 갖는 복수의 채수 캐비티(102)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외부와 연통되는 상기 채수구(101)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상기 채수 캐비티(102)에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상기 제어 모듈(4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개폐 유닛(200)의 폐쇄로 복수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 각각에 물이 채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일자 형 중공관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구비되는 2개의 구획벽(110)에 의해 3개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로 구획되되, 각각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는 개별적으로 상기 채수구(101)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양 단부와 중앙부 측에 상기 채수구(101)가 형성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2개의 상기 구획벽(110)이 형성되어 3개의 상기 채수 캐비피(10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상기 채수구(101)의 가장자리에 오링 부재 또는 씰링 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상기 개폐 유닛(200)의 폐쇄 상태에서 기밀성을 보강하여 채수된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외부의 수질 측정자 측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로프 등으로 연결 가능한 연결 구멍(121)이 형성되는 연결 브라켓(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채수기 본체(100)는 그 일측에 관형체의 모터 수용부(130)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유닛(200)은 상기 채수구(101)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 개비티(102) 각각에 인접 설치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 유닛(200)은 개폐 부재(210), 회전 모터(220) 및 개폐 작동 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210)는 일측을 축(힌지축일 수 있다.)으로 회전하여 상기 채수구(10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 부재(210)는 상기 채수구(101)의 상단부 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일면(상기 채수구(101)를 향하는 면)이 상기 채수구(101)를 수밀하게 폐쇄시킬 수 있는 형상(또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 부재(210)는 그 일면에 상기 개폐 작동 수단(230)과의 연계 연결을 위한 체결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210)의 가장자리에는 오링 부재 또는 씰링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채수구(101)에 구비되는 오링 부재 또는 씰링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물론, 오링 부재 또는 씰링 부재(미도시)는 상기 개폐 부재(210)와 상기 채수구(101) 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모터(220)는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채수 캐비티(102)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채수기 본체(100)를 관통하여 상기 채수 캐비티(102)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221)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 모터(220)는 복수의 상기 채수구(101) 각각을 개폐하는 상기 개폐 부재(210)를 각각(개별적으로) 동작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 모터(220)는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상기 모터 수용부(130)에 개별적으로 수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220)은 정역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개폐 부재(210)의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개폐 동작을 위하여 스텝 모터와 같이 특정 회전 각도로 회전하거나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작동 수단(230)은 상기 회전 모터(220)의 회전력으로 상기 개폐 부재(210)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상기 개폐 작동 수단(230)은 상기 채수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부재(210)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구비되는 탄성 부재(미도시), 및 일단부는 상기 개폐 부재(2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 모터(220)의 상기 회전축(221)에 권선 및 권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는 상기 개폐 부재(210)의 회전축(힌지축)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부재(210)를 개방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부재(210)는 그 회전축(힌지축) 측에 상기 개폐 부재(210)의 개방을 일정 각도(예: 90도 개방)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231)는 끈 또는 케이블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개폐 부재(210)의 중심 또는 회전축과 반대되는 측(이때, 상기 체결부(211)에 일단부가 고정 체결될 수 있음)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회전 모터(220)의 상기 회전축(221)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부재(231)는 상기 회전 모터(220)의 정역회전에 의해 감기고 풀리게 구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개폐 부재(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개폐 유닛(200)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정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폐 작동 수단(230)은 상기 회전 모터(220)가 정방향(상기 연결 부재(231)의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결 부재(231)가 풀려서 상기 연결 부재(231)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210)의 회전을 구속시키기 않게 되고, 상기 개폐 부재(210)는 상기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개폐 유닛(200)의 개방 상태를 정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작동 수단(230)은 상기 회전 모터(220)가 역방향(연결 부재(231)의 감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연결 부재(231)가 감겨서 상기 연결 부재(231)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210)는 끌어당겨져서 상기 채수구(101)를 폐쇄하게 되어 상기 개폐 유닛(200)의 폐쇄 상태를 정의하게 된다.
상기 개폐 작동 수단(230)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대신에, 상기 회전 모터(220)의 회전력을 복수의 링크로 전달하여 상기 개폐 부재(210)를 개폐시키는 링크 연동 방식, 상기 회전 모터(220)의 회전력을 기어열에 전달하는 것을 통해 상기 개폐 부재(210)를 개폐시키는 기어 트레인 방식, 또는 링크와 기어열이 복합되어 구성된 링크-기어 트레인 연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은 상기 채수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수심을 검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은 상기 채수기 본체(100)에 구비되되, 수면 아래로 하강하는 상기 채수기 본체(100)에 작용하는 수압을 검출하는 수압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은, 1개소 구비될 수 있으나, 3개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 각각에 인접하도록 3개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양 단부 측에 구비되는 2개소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는 관 형의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수평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개폐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의 검출 신호를 외부 컨트롤러(미도시)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개폐 유닛(200)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상기 모터 수용부(130)에 인접하여 개별적으로 수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 모듈(400)은 1개소 구비되고, 이에 상기 개폐 유닛(200) 및 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이 모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통합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외부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상기 개폐 유닛(200)을 개별 제어하되,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를 개별적으로 폐쇄하여 복수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에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서로 다른 수심의 물을 채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400)은 상기 외부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특정 수심(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의 신호 정보를 활용)에서 복수개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를 모두 폐쇄하여 특정 수심에서 다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특정 수심(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의 신호 정보를 활용) 별로 복수개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를 폐쇄하여 3개의 수심 별 채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수심 별로 채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모듈(400)은 도 2의 개방 상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를 물 속으로 하강시킨 후, 제 1 특정 수심에서 도 4의 상태로 1개소(상단)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를 폐쇄하고, 제 2 특정 수심에서 도 5의 상태로 1개소(중단)의 상기 채수 캐비티(102)를 더 폐쇄한 후, 제 3 특정 수심에서 도 1의 상태로 나머지 1개소(하단)의 상기 채수 캐비티(103)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개폐 유닛(200)을 개별 제어하여 3개 수심 별 채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400)과 상기 외부 컨트롤러(미도시)는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양 단부 측에 구비되는 상기 수심 검출 모듈(300)을 통해 관 형의 상기 채수기 본체(100)의 수평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 모듈(400)은 상기 외부 컨트롤러(미도시)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펠러 모듈(미도시)은 상기 채수 캐비티(102)의 상기 구획벽(110) 측에 구비되고, 프로펠러(미도시) 및 상기 제어 모듈(400)의 제어 신호로 상기 프로펠러(미도시)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프로펠러 모듈(미도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수 장치가 상기 개폐 부재(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채수하고자 하는 특정 수심에 도착할 시 동작하여 하강 중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 후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해당 수심의 물이 빠르게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자연 유수에 의한 채움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신속한 채수를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채수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제작성 및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키고, 소정 수심의 깊이의 물을 정확히 채수할 수 있게 하며, 하나의 장치로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질 분석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채수기 본체
101: 채수구
102: 채수 캐비티
110: 구획벽
120: 연결 브라켓
121: 연결 구멍
130: 모터 수용부
200: 개폐 유닛
210: 개폐 부재
211: 체결부
220: 회전 모터
221: 회전축
230: 개폐 작동 수단
231: 연결 부재
300: 수심 검출 모듈
400: 제어 모듈

Claims (8)

  1. 각각 채수구를 갖는 복수의 채수 캐비티가 형성되는 채수기 본체;
    상기 채수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 개비티 각각에 인접 설치되는 개폐 유닛;
    상기 채수기 본체에 구비되어 수심을 검출하는 수심 검출 모듈; 및
    상기 채수기 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개폐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수심 검출 모듈의 검출 신호를 외부 컨트롤러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 유닛은,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채수구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 부재;
    상기 채수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채수 캐비티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채수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채수 캐비티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회전 모터; 및
    상기 채수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개폐 작동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수기 본체는,
    일자 형 중공관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구비되는 2개의 구획벽에 의해 3개의 상기 채수 캐비티로 구획되되, 각각의 상기 채수 캐비티는 개별적으로 상기 채수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작동 수단은,
    상기 채수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개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이 인가되도록 구비되는 탄성 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개폐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 모터의 상기 회전축에 권선 및 권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개방시키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그 회전축 측에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을 일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끈 또는 케이블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개폐 부재의 중심 또는 회전축과 반대되는 측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회전 모터의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상기 개폐 유닛을 개별 제어하되, 일정 수심에서 다 방향의 물을 채수하거나 복수의 수심 별로 채수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상기 채수 캐비티를 개별적으로 폐쇄하여 복수의 상기 채수 캐비티에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서로 다른 수심의 물을 채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 장치.
KR1020210157925A 2021-11-16 2021-11-16 채수 장치 KR102405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25A KR102405142B1 (ko) 2021-11-16 2021-11-16 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25A KR102405142B1 (ko) 2021-11-16 2021-11-16 채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142B1 true KR102405142B1 (ko) 2022-06-07

Family

ID=8198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25A KR102405142B1 (ko) 2021-11-16 2021-11-16 채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51B1 (ko) * 2022-12-21 2024-01-11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기어방식 지하수 채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442U (ko) 2009-09-30 2011-04-06 한국전력공사 분리형 채수기
CN108007726A (zh) * 2017-12-27 2018-05-08 南京萃智水利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用分层取样装置及其制造和取样方法
KR101905175B1 (ko)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채수장치
KR20190085347A (ko) * 2018-01-10 2019-07-1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수질 채수장치
CN111024453A (zh) * 2019-12-31 2020-04-17 金宇龙 一种多级式海洋水质分层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KR102182097B1 (ko) * 2020-06-17 2020-11-23 대한민국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442U (ko) 2009-09-30 2011-04-06 한국전력공사 분리형 채수기
CN108007726A (zh) * 2017-12-27 2018-05-08 南京萃智水利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用分层取样装置及其制造和取样方法
KR20190085347A (ko) * 2018-01-10 2019-07-1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수질 채수장치
KR101905175B1 (ko)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채수장치
CN111024453A (zh) * 2019-12-31 2020-04-17 金宇龙 一种多级式海洋水质分层取样设备及其取样方法
KR102182097B1 (ko) * 2020-06-17 2020-11-23 대한민국 수심 측정 수단이 구비된 채수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851B1 (ko) * 2022-12-21 2024-01-11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기어방식 지하수 채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41630B (zh) 一种用于水质自动采样的无人船装置
KR100999169B1 (ko) 자동수질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CN208888020U (zh) 一种测量土壤酸碱度的检测装置
CN208206579U (zh) 一种多区域水质采样检测设备
KR102405142B1 (ko) 채수 장치
KR102010249B1 (ko) 드론 설치용 채수장치
KR102405170B1 (ko) 채수 장치
KR100945652B1 (ko) 원격 자동 수질 감시시스템
KR20200082429A (ko) 수질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CN103063478B (zh) 水中石油类污染物自动采样装置
CN207336151U (zh) 一种分层水样采集装置
CN204177625U (zh) 一种测量沉积物粒度的取样装置
KR101492558B1 (ko) 채수장치
KR101577892B1 (ko) 채수기 및 이를 이용한 채수 겸용 기능의 다항목 수질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측정 방법
KR20160133036A (ko)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NO179268B (no)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analyse av et flerfase-fluidum som strömmer i en ledning
KR101183613B1 (ko) 강우량 측정기
TWI770916B (zh) 可自動清潔感測器的水質監測裝置
CN214667924U (zh) 河流水质采样与在线检测装置
JP3776234B2 (ja) 試薬容器の傾斜設置装置
CN211086295U (zh) 一种可实地检测多项数据的土壤检测装置
CN115060539A (zh) 一种用于水环境中农用化学品残留分析的水样采集器
KR102553691B1 (ko) 자동 채수기
CN117566043B (zh) 一种建筑周围河道水用水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