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395B1 -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 Google Patents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395B1
KR100732395B1 KR1020070027026A KR20070027026A KR100732395B1 KR 100732395 B1 KR100732395 B1 KR 100732395B1 KR 1020070027026 A KR1020070027026 A KR 1020070027026A KR 20070027026 A KR20070027026 A KR 20070027026A KR 100732395 B1 KR100732395 B1 KR 10073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weight
sample
cylindrical case
dril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화
엄인권
권이균
김민준
김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2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E21B49/025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of underwater soil, e.g. with grab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의 바닥면에 퇴적된 퇴적물을 검사하는데 사용하는 퇴적물 시추기에 관한 것으로, 퇴적물 속에 박혀 퇴적물의 시편을 취출하는 퇴적물 취출부와 상기 퇴적물 취출부를 지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 시추기의 자유낙하를 도와주는 웨이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퇴적물 시추기에서, 상기 몸체부가 원통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어 낙하 방향을 잡아 주는 방향키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가 원통 케이스의 외면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상 하부 걸림테에 걸려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걸림테가 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는 몸체부에 장착된 웨이트의 자중만을 이용하여 깊은 곳으로 자유낙하시킬 수가 있고, 낙하하는 동안에는 상기 웨이트가 고정 걸림테와 가동 걸림테 사이에 끼워져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고정지지 되게 하며, 상기 시추기가 바닥면에 닿으면 충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웨이트를 지지하는 하부 걸림테가 아래로 내려와 웨이트의 결속상태를 해제시켜 웨이트가 몸체부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 별도의 외부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웨이트의 무게만을 이용하여 자중에 의해 퇴적물 속으로 박혀져 퇴적물을 채취하게 하는 한편, 퇴적물이 채취된 다음에는 웨이트가 분리되어 가벼워진 시추기를 손쉽게 인양하여 끌어올릴 수 있게 한다.
자중, 퇴적물, 시추기,

Description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A CORER WITH AUTOMATIC WEIGHT SEP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에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b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에서 웨이트가 분리되어 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에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a는 도면 3에서 “A”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로서,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도면 3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로서, 웨이트가 분리되어 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퇴적물 취출부 3 - 몸체부
105 - 웨이트 7 - 원통케이스
9 - 방향키 11 - 로프
13 - 로프 고리 15 - 상부걸림테
17 - 하부 걸림테 19 - 고정나사
21 - 스프링 23 - 고정지지대
본 발명은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의 바닥면에 퇴적된 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하는 퇴적물 시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자중에 의해 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채취한 시료를 손쉽게 끌어올릴 수 있게 한 퇴적물 시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의 바닥면에는 물에 휩쓸려 온 여러 가지 물질이 퇴적된 연질 퇴적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퇴적층의 퇴적물을 검사함으로써 생태계의 파악은 물론 강이나 호수, 바닷물의 오염 또는 더 나아가서는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퇴적층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퇴적물이 싸인 그대로를 살펴야 하므로,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할 때도 퇴적물을 흩트리지 않고 그대로 깨끗하게 채집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연질 퇴적물은 바다나 강 또는 호수 등에서 생성되므로, 이러한 퇴적물을 채취하고자 할 때는 바다나 강물 또는 호수 위에서 배를 타고 하여야 하고, 배 위에서 시료 채취기를 바닥면으로 투입할 때 퇴적물 시추기의 시료 채취기가 퇴적층에 깊이 들어가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전동기나 기타 다른 동력을 사용하여 시료 채취기가 퇴적물 속으로 박혀 들어가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 동력을 사용하는 경우에 퇴적물 시추기에 부가하여 별도의 동력 발생기가 필요하므로 배에 이러한 동력 발생기를 싣고 있어야 한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동력 발생기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시료 채취비용이 증가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퇴적물 시추기에 소정의 무게를 부가하는 웨이트를 설치하여 외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중(自重)에 의해 시추기가 퇴적물 속으로 박혀져 퇴적물을 깨끗하게 채취할 수 있게 한 장치가 “중력진공식 시료 채취기”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328820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한 바의 발명에 따른 종래의 시료 채취기는 시료를 담는 시료 취출부의 상단에 웨이트가 설치되어, 이 웨이트의 무게에 의해 시료 취출부가 외부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게 함과 더불어 바닥면의 퇴적물에 깊이 박히면서 퇴적물을 채취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료 채취기는 웨이트가 시료 채취기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는데, 예컨대 시료 채취기를 바닥의 퇴적층으로 내려보낼 때는 시료 채취기에 연결된 로프를 풀어 주면서 아래로 내려보내면 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시료를 채취한 후에는 채취된 시료와 함께 웨이트를 끌어 올려야하므로 큰 힘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웨이트를 함께 끌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시료 채취기를 인양하기 위한 별도의 큰 동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동력을 얻기 위한 별도의 동력 발생장치가 필요하거나 인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큰 힘이 소요된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출원 10-2007-0005558호로 출원한 퇴적물 시추기를 출원한 바가 있는데, 상기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는 퇴적물을 직접 채집하는 퇴적물 취출부를 지지하는 본체가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본체에 장착된 웨이트가 본체의 2중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어지게 하고, 퇴적물 시추기가 지면에 닿으면 자동적으로 웨이트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게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러한 상기 발명에 따른 시추기는 본체가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상기 웨이트가 상하 걸림테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 걸림테를 항상 위쪽으로 잡아당기고 있어야 웨이트가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다루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퇴적물 시추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퇴적물을 채칩하기 위해 시추할 때도 외부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시추할 수가 있고, 퇴적물을 채집한 후에도 시추기를 적은 힘으로 손쉽게 인양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웨이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다루기가 용이하게 퇴적물 시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는, 퇴적물 속에 박혀 퇴적물의 시편을 취출하는 퇴적물 취출부와 상기 퇴적물 취출부를 지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 시추기의 자유낙하를 도와주는 웨이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퇴적물 시추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원통 케이스에 낙하 방향을 잡아주는 방향키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원통 케이스의 상단에 로프를 걸어 주기 위한 로프 고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 케이스의 바깥면에 웨이트를 걸어 주기 위한 상 하부 걸림테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부 걸림테는 원통 케이스에 대해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하부 걸림테는 원통 케이스를 따라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서 원통 케이스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스프링의 상단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은 퇴적물 취출부에 고정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는 몸체부에 장착된 웨이트의 자중만을 이용하여 깊은 곳으로 자유낙하시킬 수가 있고, 낙하하는 동안에는 상기 웨이트가 고정 걸림테와 가동 걸림테 사이에 끼워져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고정지지 되게 하며, 상기 시추기가 바닥면에 닿으면 충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웨이트를 지지하는 하부 걸림테가 아래로 내려와 웨이트의 결속상태를 해제시켜 웨이트가 몸체부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 별도의 외부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웨이트의 무게만을 이용하여 자중에 의해 퇴적물 속으로 박혀져 퇴적물을 채취하게 하는 한편, 퇴적물이 채취된 다음에는 웨이트가 분리되어 가벼워진 시추기를 손쉽게 인양하여 끌어올릴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의 사시도이고, 도면 2a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에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면 2b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에서 웨이트가 분리되어 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는 퇴적물 속에 박혀 퇴적물의 시편을 취출하는 퇴적물 취출부(1)와 상기 퇴적물 취출부(1)를 지지하는 몸체부(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에 시추기의 자유낙하를 도와주는 웨이트(5)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3)는 원통케이스(7)와 상기 원통케이스(7)의 상단에 설치되어 낙하 방향을 잡아 주는 방향키(9)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케이스(7)의 상단에 로프(11)를 걸어 주기 위한 로프 고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케이스(7)의 바깥면에 웨이트(5)를 걸어 주기 위한 상/하부 걸림테(15,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림테(15)는 원통케이스(7)의 바깥에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되어 있으면서 고정나사(19)를 사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하부 걸림테(17)는 원통 케이스(7)를 따라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걸림테(17)의 아래쪽에 원통 케이스(7)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할 수 있게 끼워진 스프링(21)이 장착되어 하부 걸림테(17)가 스프링(19)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스프링(21)의 하단은 고정지지대(23)에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걸림테(15)는 원통 케이스(7)를 따라 자유로이 이동하게 되어 있고, 필요한 위치에서 상기 고정나사(19)를 사용하여 위치 고정할 수가 있다.
상기 하부 걸림테(17)는 원통 케이스(7)를 따라 자유로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스프링(21)에 의해 탄력지지 되어, 스프링(21)의 수축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림테(15)와 하부 걸림테(17) 사이에 좌우 2개로 분할된 웨이트(5)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웨이트(5)를 장착할 때는 고정나사(19)를 풀어서 상부 걸림테(15)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웨이트(5)의 하단을 하부 걸림테(17)에 끼워 넣고 다시 상부 걸림테(15)를 아래쪽으로 내려서 웨이트(5)의 상단에 끼워 맞추어지게 한 후, 고정나사(19)를 조여 주면 웨이트(5)가 단단하게 장착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채취기는 스프링(21)과 상 하부 걸림테(15,17)를 사용하여 웨이트(5)를 간단하게 장착해 줄 수가 있으면서, 장착된 웨이트(5)가 스프링(21)에 의해 탄력지지 되어있기 때문에 웨이트(5)가 장착된 상태에서 다루기가 쉬워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퇴적물 취출부(1)는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가 퇴적물 속으로 깊이 투입될 수 있게 뾰쪽한 형태로 이루어진 투입척(25)과, 상기 투입척(25)에 연결되어 퇴적물이 담기는 원통형 시료 케이스(27) 및, 상기 시료 케이스(27)의 상단에 설치되어 시료 케이스(27) 속으로 퇴적물 시료가 주입될 때 시료 케이스(27)의 상단을 개방하고 퇴적물 시료가 주입된 다음에는 시료 케이스(27)의 상단을 막아 차단해 주는 개폐밸브(2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료 케이스(27)의 하단 입구 쪽에는 퇴적물 시료의 출입을 제어하는 출입 제어판(31)이 설치되고, 상기 시료 케이스(27)는 서로 분리 가능한 외부 케이스(27a)와 내부 케이스(27b)로 이루어져, 상기 투입척(25)을 통하여 투입된 퇴적물 시료가 상기 내부 케이스(27b) 속에 채워지게 되어 있으며, 퇴적물 시료가 채워진 내부 케이스(27b)를 외부 케이스(27a)에서 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케이스(27)의 하단 입구에 설치된 출입 제어판(31)은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선단에서 반경의 상방 안쪽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뻗어 나온 다수개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방사상 핀(31a)을 갖춘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시료 케이스(27) 속으로 퇴적물 시료가 투입될 때는 상기 출입 제어판(31)의 방사상 핀(31a)이 위쪽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접혀 지면서 퇴적물 시료가 통과하여 들어갈 수 있게 하고, 시료 케이스(27) 속으로 퇴적물 시료가 투입된 후에는 상기 방사상 핀(31a)이 퇴적물 시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아래쪽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의 상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가 물속에서 방향을 바꾸지 않고 곧장 아래로 내려가게 하기 위한 방향키(9)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부 걸림테(15,17) 사이에 웨이트(5)를 끼워 넣어 고정나사(19)를 사용하여 상부 걸림테(15)를 고정하면 웨이트(5)의 체결이 완성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에 웨이트(5)를 장착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를 물속에 넣고 로프(11)를 빠른 속도로 풀어 주면서 시추기가 자유 낙하하게 하면, 시추기에 별도의 동력을 부가하지 않아도 웨이트(5)의 무게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3)의 상단에 설치된 방향키(11)가 시추기의 낙하 방향을 잡아 주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시추기가 물살에 의해 휩쓸리지 않고 가능한 수직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게 하여 원하는 지점의 퇴적물 시편을 채취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여 퇴적물 시추기가 퇴적물 층으로 내려가 퇴적물에 닿게 되면, 빠른 속도로 내려온 시추기의 뾰쪽하게 생긴 투입척(25)이 먼저 닿으면서 퇴적물 층 속으로 파고들어가게 한다.
상기 투입척(25)이 퇴적물 층 속으로 파고 들어가면, 퇴적물의 일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투입척(25)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렇게 투입척(25) 속으로 들어간 퇴적물을 계속하여 시료 케이스(27) 속으로 밀고 들어가 상기 투입척(25)이 파고 들어간 만큼의 퇴적물이 시료 케이스(27) 속에 쌓이게 된다.
상기 시료 케이스(27) 속으로 퇴적물이 밀어 들어올 때, 시료 케이스(27)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밸브(29)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밀고 올라오는 퇴적물의 압력에 의해 도면 3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들려져 올라가면서 퇴적 물과 함께 올라오는 물이 배출되게 함으로써, 시료 케이스(27) 속으로 밀고 들어오는 퇴적물에 대한 배압이 걸리지 않게 하여, 시료 케이스(27) 속에 퇴적물 시편이 원활하게 주입되어 들어오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가 빠른 속도로 하강할 때는, 퇴적물 시추기가 아래쪽으로 자유낙하 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로프(11)가 팽팽하게 당겨져 웨이트(5)가 상하부 걸림테(13,15)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려오게 된다.
그런데, 퇴적물 시추기의 하단에 설치된 투입척(25)이 퇴적물 속으로 파고들어가서 정지되는 그 순간, 본 고안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의 아래쪽에서 반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 반력에 의해 스프링(21)이 도면 2(b)와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되면서 하부 걸림테(17)가 아래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하부 걸림테(17)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상기 하부 걸림테(17)에 하부 걸림턱(5b)을 통하여 걸려 있는 웨이트(5)가 함께 내려가면서 도면 4(a)의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가 도면 4(b)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웨이트(5)의 하부 걸림턱(5b)이 걸려 있는 하부 걸림테(17)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웨이트(5)의 상부 걸림턱(5a)이 고정나사(1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부 걸림테(15)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 웨이트(5)의 상부 걸림턱(5a)이 상부 걸림테(15)에서 빠져나오면 웨이트(5)의 결속 상태가 해제되어, 도면 2(b)와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웨이트(5a,5b)가 분할되면서 양쪽으로 벌어져 떨어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는 별도의 외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서도 상기 웨이트(5)에 의해 퇴적물 속으로 깊숙하게 파고들어가 퇴적물 시편을 채취할 수 있게 하고, 퇴적물 시편이 채취되고 나면 별도의 다른 조작 또는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상기 웨이트(5)가 퇴적물 시추기에서 자동으로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웨이트(5)가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고 나면,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의 전체 무게가 가벼워지게 되므로, 배 위에서 로프(11)를 당겨 퇴적물 시편이 채취된 퇴적물 시추기를 적은 힘으로 가볍게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는 상기 시료 케이스(27) 속에 시료가 채취된 상태에서 물 위로 끌어올릴 때는, 상기 개폐밸브(29)가 자중에 의해 도면 3에서 실선으로 그린 상태와 같이 다시 아래쪽으로 내려가 시료 케이스(27)의 상단을 막아 주게 되므로, 시료 케이스(27) 속에 채취된 시료가 아래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한편, 상기 시료 케이스(27)의 하단에 설치된 출입 제어판(31)의 방사상 핀(31a)도 시료 케이스(27) 속으로 밀고 들어온 퇴적물 시료가 아래쪽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단에서 받쳐 지지해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 고리(13)에 매어진 로프(11)를 잡아당기면 본 발명의 퇴적물 시추기가 가볍게 끌려져 올라오게 되고, 이때 상기 시료 케이스(27) 속에 채취된 시료는 안전하게 보관된 상태로 올라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는 웨이트(5)를 사용하여 퇴적물 시추부(1)를 퇴적물이 쌓인 곳에 깊숙이 꽂아 넣어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웨이트(5)가 본체(3)를 이루는 원통 케이스(7)의 상하 단에 설치된 상부 걸림테(15)와 하부 걸림테(17)에 걸려져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부 걸림테(17)가 스프링(21)에 의해 탄력지지된 구조로 이루어져, 퇴적물 시추부(1)가 퇴적층에 닿으면 그 반력에 의해 스프링(21)이 수축되면서 웨이트(5)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는 웨이트(5)를 장착한 상태에서 하부에 충격을 가하지 않으면 웨이트(5)가 해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추기는 웨이트(5)를 장착한 상태에서 물속에 투하하기 전에 다루기가 용이하고, 보관하기에도 편리하다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고,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원가를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퇴적물 속에 박혀 퇴적물의 시편을 취출하는 퇴적물 취출부(1)와 상기 퇴적물 취출부를 지지하는 몸체부(3)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 시추기의 자유낙하를 도와주는 웨이트(5)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퇴적물 시추기에 있어서,
    몸체부(3)는 원통케이스(7)의 상단에 설치되어 낙하 방향을 잡아 주는 방향키(9)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5)가 원통케이스(7)의 외면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상하부 걸림테(15,17)에 걸려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걸림테(17)가 스프링(21)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추기
KR1020070027026A 2007-03-20 2007-03-20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KR10073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26A KR100732395B1 (ko) 2007-03-20 2007-03-20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26A KR100732395B1 (ko) 2007-03-20 2007-03-20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395B1 true KR100732395B1 (ko) 2007-06-27

Family

ID=3837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26A KR100732395B1 (ko) 2007-03-20 2007-03-20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3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978B1 (ko) 2012-06-14 2012-11-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코어 내 시료의 손실과 교란현상이 방지되는 시추장치
WO2013022233A2 (ko) * 2011-08-11 2013-02-14 한국해양연구원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CN103558056A (zh) * 2013-10-31 2014-02-05 东北农业大学 水底自动取样装置
KR101368908B1 (ko) 2013-12-02 2014-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
CN114485569A (zh) * 2022-01-27 2022-05-13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一地质大队(山东省第一地质矿产勘查院) 一种基于北斗导航的地质灾害调查勘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0117A (ja) 1997-03-17 1998-09-29 Nec Corp 土壌サンプル採取装置
JP2002054382A (ja) 2000-08-10 2002-02-20 Kajima Corp 地下水採取装置および採水方法
KR200328820Y1 (ko) 2003-07-18 2003-10-01 이천훈 중력진공식 시료채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0117A (ja) 1997-03-17 1998-09-29 Nec Corp 土壌サンプル採取装置
JP2002054382A (ja) 2000-08-10 2002-02-20 Kajima Corp 地下水採取装置および採水方法
KR200328820Y1 (ko) 2003-07-18 2003-10-01 이천훈 중력진공식 시료채취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233A2 (ko) * 2011-08-11 2013-02-14 한국해양연구원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WO2013022233A3 (ko) * 2011-08-11 2013-04-11 한국해양연구원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US9416654B2 (en) 2011-08-11 2016-08-16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Compound sample extraction apparatus
KR101205978B1 (ko) 2012-06-14 2012-11-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코어 내 시료의 손실과 교란현상이 방지되는 시추장치
CN103558056A (zh) * 2013-10-31 2014-02-05 东北农业大学 水底自动取样装置
CN103558056B (zh) * 2013-10-31 2015-06-10 东北农业大学 水底自动取样装置
KR101368908B1 (ko) 2013-12-02 2014-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
CN114485569A (zh) * 2022-01-27 2022-05-13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一地质大队(山东省第一地质矿产勘查院) 一种基于北斗导航的地质灾害调查勘测装置
CN114485569B (zh) * 2022-01-27 2024-05-28 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一地质大队(山东省第一地质矿产勘查院) 一种基于北斗导航的地质灾害调查勘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395B1 (ko) 추 자동이탈 퇴적물 시추기
KR101061400B1 (ko) 피스톤식 자유낙하 주상시료 채취기
KR100896979B1 (ko) 중력추를 이용한 지하수 시료 채수기 및 그의 채수방법
CN104614203B (zh) 触发式海底水样采集系统
US9416654B2 (en) Compound sample extraction apparatus
CN104880336B (zh) 底层水分层采水装置
JP2015099059A (ja) 採泥器
KR101613193B1 (ko) 상자식 채니기
CN112255037A (zh) 一种具有防扰动结构的重力振动复合型深海状取样器
CN110455573A (zh) 深海沉积物原位插管装置
KR101515536B1 (ko) 다중 시료채집기
KR20130141302A (ko) 비교란 채취가 가능한 주상시료 채취기
KR100713565B1 (ko) 자중을 이용한 퇴적물 시추기
JP3188856U (ja) 採泥器
CN211042817U (zh) 一种沉积物采样装置
JP2018505387A (ja) 液体からサンプルを引き出す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410605B1 (ko) 표층 퇴적물 채집장치
KR100666533B1 (ko) 수중 자동채수 컨베이어 시스템
CN104677680B (zh) 海底水样采集设备
CN114459824A (zh) 一种环境质量检测用区域性水质取样器及检测方法
CN112389657A (zh) 基于无人机平台的抛投式取液装置
KR200328820Y1 (ko) 중력진공식 시료채취기
JPH02103439A (ja) 水中試料採取器
CN214471983U (zh) 一种适用于浅水硬质底泥的采样装置
CN112393952B (zh) 抛投式定深定量取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