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87U -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 Google Patents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87U
KR20140000687U KR2020120006522U KR20120006522U KR20140000687U KR 20140000687 U KR20140000687 U KR 20140000687U KR 2020120006522 U KR2020120006522 U KR 2020120006522U KR 20120006522 U KR20120006522 U KR 20120006522U KR 20140000687 U KR20140000687 U KR 201400006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e plate
plate
reinforcement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6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687U/ko
Publication of KR20140000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bo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강재의 취부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강재를 수직으로 세워 취부하기 위한 보강재 취부지그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며,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삽입되는 수평지지홈이 형성된 받침부;상기 받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며, 보강재의 두께에 대응되되 보강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하게 삽입되는 수직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Stiffener jig of a ship's block or a pffshore structure's block}
본 고안은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강재의 취부 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대한 건조는 여러 형상의 선체 블록들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 블록들을 도크(Dock)에서 서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각 블록을 제작하고 또한 이를 결합하기 위한 용접 공정은 전체 선박 또는 전체 해양구조물 건조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이다.
선박의 경우, 중,대형 선박 1척을 건조하는데 250~400개의 선체 블록들이 만들어지며, 선체 블록 내부에는 용접 셀이 수백개 정도가 존재하므로 1척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수직 교차부들을 용접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안쪽 내벽 등에는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블록 조립체가 널리 조립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블록 조립체는 선체 블록의 중요한 구성요소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선박의 뼈대를 이루는 블록 조립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블록 조립체는 다수개의 티바(T-BAR:1)가 일정 간격으로 용접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와, 다수개의 지지브래킷(3)이 용접된 수직 지지대(4)가 서로 수직으로 용접 결합 되어 형성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2)와 수직 지지대(4)는 서로 수직으로 용접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티바(1)는 플랜지(1a)의 중심부를 따라 웨브(1b)가 직각 방향으로 부착되어 형성됨으로써, 단면이 T모양의 긴 막대기처럼 보이기 때문에 티바(1)라고 통칭되며, 선박의 뼈대라고 할 수 있는 티바(1)는 각각의 블록 조립체에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로서 널리 이용된다.
한편, 다수개의 티바(1)를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결합시킨다.
그리고, 다수개의 지지브래킷(3)을 평판인 수직 지지대(4)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용접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다수개의 티바(1)가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와, 다수개의 지지 브래킷(3)이 결합된 수직 지지대(4)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용접 결합시킨다.
티바(1) 사이의 간격과 지지 브래킷(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여야 하는 데, 이는 지지 브래킷(3)의 일측 끝단이 티바(1)의 플랜지(1a) 상에 용접 결합되기 때문이다.
각각의 티바(1)는 수직으로 지지 브래킷(3)에 일대일 대응하여 용접 결합되며, 티바(1)와 지지 브래킷(3)의 용접 결합은 티바(1)의 웨브(1b)와 지지 브래킷(3)을 일직선으로 맞춘 후에, 서로 용접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2)에 티바(1)가 용접되기 위해서는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에 티바(1)를 가용접(tack welding)시킨 후에 본용접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티바(1)를 베이스 플레이트(2)에 세워 가용접시키기 위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2) 상에서 티바(1)가 넘어지지 않도록 취부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해 티바(1)를 운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에 세워 지지시킨 후, 작업자에 의해 티바(1)의 가용접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티바 취부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크레인 또는 마그네틱 리프터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해 베이스 플레이트(2)에 티바(1)를 취부하는 일련의 과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2)에 티바(1)가 취부되는 동안 크레인 또는 마그네틱 리프터 등의 중장비가 타공정에 투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적인 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였던 것이다.
게다가, 여러 개의 취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중장비를 이용한 취부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즉, 크레인이나 마그네틱 리프터가 이동중 또는 티바(1)를 취부하고 있는 중에, 크레인이나 마그네틱 리프터의 오작으로 인한 티바(1)의 낙하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9277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강재의 취부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강재를 수직으로 세워 취부하기 위한 보강재 취부지그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며,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삽입되는 수평지지홈이 형성된 받침부;상기 받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며, 보강재의 두께에 대응되되 보강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하게 삽입되는 수직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홈은, 제1수평플레이트 및 제1수평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제2수평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홈은, 제1수평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 수직플레이트의 중간부와 제1수평플레이트의 중간부에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제1수평플레이트의 상방으로 제3수평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3수평플레이트에도 수직지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제1수평플레이트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보강재 취부작업을 위하여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타공정에 중장비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장비의 오작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둘째, 취부지그에 대한 운반이 용이하므로, 작업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여러 보강재에 대한 취부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을 조립체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가 티바를 취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가 티바를 취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이하, '보강재 취부지그'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보강재 취부지그는 선박의 블록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강재의 취부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고, 여러 개의 보강재에 대한 취부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보강재 취부지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와, 지지부(200)와, 보강리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100)는, 보강재를 취부하는 과정에서 보강재의 무게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에 지지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받침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받침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2)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지지홈(110)을 형성한다.
이때, 수평지지홈(110)은 베이스 플레이트(2)의 두께에 대응된다.
수평지지홈(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플레이트(120)와 제2수평플레이트(13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수평플레이트(120)는 받침부(100)의 상부를 구성하며,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수평플레이트(130)는 제1수평플레이트(120)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제1수평플레이트(120)와 제2수평플레이트(1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수평지지홈(110)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지지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보강재(1)가 지지되는 부위이다.
이를 위해, 지지부(200)는 보강재(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부(200)는, 보강재(1)가 베이스 플레이트(2)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보강재(1)의 단부가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지지홈(210)을 형성한다.
이때, 수직지지홈(210)은 보강재(1)의 두께에 대응된다.
수직지지홈(2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의 선단부(베이스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방향)로부터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플레이트(220)에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플레이트(220)의 중간부에 수직지지홈(210)이 형성됨으로써, 수직지지홈(210)을 기준으로 양측의 수직플레이트(220)가 보강재(1)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수직플레이트(220)의 수직지지홈(210)을 통해 보강재(1)가 삽입됨에 따라 제1수평플레이트(120)와의 간섭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120)의 중간부에도 보강재(1)의 두께에 대응되는 수직지지홈(210)이 형성된다.
한편, 수직플레이트(220)에는 제3수평플레이트(140)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3수평플레이트(140)는 보강재(1)를 지지하는 수직플레이트(22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함으로써, 제1수평플레이트(120)의 상방으로 수직플레이트(220)에 용접을 통해 설치된다.
이때, 제3수평플레이트(140)의 형태는 제1수평플레이트(120)의 형태와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제3수평플레이트(140)의 중간부에도 보강재(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수직지지홈(2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보강리브(300)는 제3수평플레이트(140)와 더불어 수직플레이트(220)의 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보강리브(300)는 수직플레이트(220)와 받침부(100)의 제1수평플레이트(120)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때, 보강리브(300)는 수직지지홈(2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강재 취부지그의 취부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상 보강재(1)는 티바(T-bar)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취부시키고자 하는 티바(1)를 베이스 플레이트(2)에 운반한다.
이후, 티바(1)의 웨브(1b)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2)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보강재 취부지그를 이용해 티바(1)의 양단부를 베이스 플레이트(2)에 취부시킨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의 측단부는 받침부(100)의 수평지지홈(110)에 삽입이 되고, 티바(1)의 측단부는 지지부(200)의 수직지지홈(210)에 삽입이 된다.
이에 따라, 티바(1)는 수직지지홈(210) 상에서 양측의 수직플레이트(220)에 지지되므로, 넘어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티바(1)를 베이스 플레이트(2)에 취부시키며, 취부된 간격은 동일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후, 작업자는 베이스 플레이트(2)와 티바(1) 사이를 가용접(tack welding) 함으로써,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재 취부지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보강재의 취부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 등의 중장비가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취부하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티바를 동시에 취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받침부 110 : 수평지지홈
120 : 제1수평플레이트 130 : 제2수평플레이트
140 : 제3수평플레이트 200 : 지지부
210 : 수직지지홈 220 : 수직플레이트
300 : 보강리브

Claims (4)

  1.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강재를 수직으로 세워 취부하기 위한 보강재 취부지그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대응되며, 베이스 플레이트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삽입되는 수평지지홈이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형성되며, 보강재의 두께에 대응되되 보강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수직하게 삽입되는 수직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홈은, 제1수평플레이트 및 제1수평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제2수평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홈은, 제1수평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 수직플레이트의 중간부와 제1수평플레이트의 중간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에는 제1수평플레이트의 상방으로 제3수평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3수평플레이트에도 수직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제1수평플레이트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KR2020120006522U 2012-07-23 2012-07-23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KR201400006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522U KR20140000687U (ko) 2012-07-23 2012-07-23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522U KR20140000687U (ko) 2012-07-23 2012-07-23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87U true KR20140000687U (ko) 2014-02-04

Family

ID=5244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522U KR20140000687U (ko) 2012-07-23 2012-07-23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68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643U (ko) 2014-06-20 2015-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지지장치
CN107520564A (zh) * 2017-08-29 2017-12-29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焊接用的焊接定位装置
CN108621076A (zh) * 2018-03-23 2018-10-09 中电科芜湖钻石飞机制造有限公司 飞机油箱装配工装
CN113172563A (zh) * 2021-04-23 2021-07-27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平面分段组立胎架及其使用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4643U (ko) 2014-06-20 2015-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지지장치
CN107520564A (zh) * 2017-08-29 2017-12-29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焊接用的焊接定位装置
CN107520564B (zh) * 2017-08-29 2024-04-23 张家港凯航通力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焊接用的焊接定位装置
CN108621076A (zh) * 2018-03-23 2018-10-09 中电科芜湖钻石飞机制造有限公司 飞机油箱装配工装
CN108621076B (zh) * 2018-03-23 2023-11-14 中电科芜湖钻石飞机制造有限公司 飞机油箱装配工装
CN113172563A (zh) * 2021-04-23 2021-07-27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平面分段组立胎架及其使用方法
CN113172563B (zh) * 2021-04-23 2023-03-07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平面分段组立胎架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711614B1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2119926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WO2018120091A1 (zh) 一种撬装式冷箱及其预制结构和装配方法
JP2018035556A (ja) 屋根構造体の構築方法
JP2009097274A (ja) 柱の構築工法及び柱型枠ユニット
JP6432786B2 (ja) 梁材荷重負担構造および梁材修復方法
JP2016023410A (ja) 構台
KR20150060069A (ko) 조립식 비계장치용 고정부재
JP6261962B2 (ja) 外装パネルユニットの製作方法
CN104947804A (zh) 一种钢托架及利用其构建梁柱节点结构的施工方法
CN104675020A (zh) 劲性骨架及用劲性骨架控制大型构件钢筋绑扎精度的方法
KR20140018738A (ko) H-타입 빌트-업 거더 제조장치 및 방법
JP2015071884A (ja) 地下ピット構造
JP5938275B2 (ja) 耐震部材、耐震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1608010B1 (ko) 상부터렛 리프팅용 지그, 이의 제조 방법 및 상부터렛 리프팅 방법
KR20140056450A (ko)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KR101429984B1 (ko) 가새 접합구조물
JP5100100B2 (ja) 作業台の組上げ方法
KR20150001961U (ko) 지그 구조체
JP2010229662A (ja) 拡張ユニ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拡張ユニットの取付方法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JP2017155489A (ja) 外壁パネルの地組架台および外壁面材の施工方法
CN206307236U (zh) 撑管封固用锁紧工件
JP6922130B2 (ja) 建築物の外壁への鋼材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