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43U - 블록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블록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43U
KR20150004643U KR2020140004685U KR20140004685U KR20150004643U KR 20150004643 U KR20150004643 U KR 20150004643U KR 2020140004685 U KR2020140004685 U KR 2020140004685U KR 20140004685 U KR20140004685 U KR 20140004685U KR 20150004643 U KR20150004643 U KR 201500046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ing hole
present
fix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740Y1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4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Abstract

본 고안의 블록 지지장치는 블록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를 포함하는 제1본체 및 상기 블록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REINFORCEMENT OF BLOCK}
본 고안은 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을 지지하여 블록의 변형을 방지하며, 블록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고, 길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블록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블록에 고정되는 부분이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블록에 사용될 수 있는 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블록(Block)들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선박 제작에 사용되는 블록들은 지상에서 큰 블록으로 조립된 후 선대 위에 탑재되어 하나의 선체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은 운송 과정 또는 작업 과정에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을 운송하거나 조립하는 등 작업을 진행할 때 블록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블록의 내부에 지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장치는 블록의 내부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의 크기에 따라 지지장치는 길이가 다르게 제작되므로, 서로 다른 블록에는 동일한 지지장치가 사용될 수 없다.
또한, 블록의 모양 즉 지지장치가 설치될 면의 모양에 따라 설치될 지지장치가 서로 다른 모양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블록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며, 다양한 모양의 블록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지지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0687호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가 가변되어 크기가 다양한 블록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블록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블록과 고정되는 부분이 교체되어 다양한 블록에 사용될 수 있는 블록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블록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를 포함하는 제1본체 및 상기 블록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의 일측면 및 상기 블록의 타측면에 보강부재가 형성될 때,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는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홀 및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가 상기 제1고정홀에 의해 고정될 때의 길이에 비하여 다른 길이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고정홀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2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족장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고정길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블록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제1바디는 제1결합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고, 제2바디는 제2결합부로부터 착탈이 가능하여 블록에 따라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교체됨으로써 다양한 블록에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의 제1바디 및 제2바디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에 족장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블록에 범용으로 사용되며,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블록에 사용될 수 있는 블록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가 블록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며, 블록과 고정되는 부분이 교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블록 지지장치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블록 지지장치는 제1본체 및 제2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본체는 블록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본체는 블록의 타측면에 고정되고, 제1본체에 고정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제2본체는 제1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는 고정부재(450,460)가 삽입되도록 제1고정홀(400) 및 제2고정홀(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홀(400)은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50)가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홀(410)은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가 제1고정홀(400)에 의해 고정될 때의 길이에 비하여 다른 길이로 결합되도록, 제1고정홀(400)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홀(400)과 마찬가지로 제2고정홀(410)에도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6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홀(400) 및 제2고정홀(41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가 제1고정홀(400)에 의해 고정되는 길이와 제2고정홀(410)에 의해 고정되는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인접한 두 개의 제1고정홀(400) 사이의 거리(d1)는 제1고정홀(400)과 제2고정홀(410) 사이의 거리(d2)에 비해 멀 수 있다. 따라서,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는 블록(50)의 크기에 따라 제1고정홀(400) 또는 제2고정홀(41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고정홀(410)과 제1고정홀(400)이 다른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고정홀(410)과 제1고정홀(400)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며, 가까이 형성될 때 제1고정홀(40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450)의 상부(450a)와 인접한 제2고정홀(41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460)의 상부(460a)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제1고정홀(400) 및 제2고정홀(41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고정홀(400) 및 제2고정홀(410) 사이의 거리를 줄여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의 고정길이가 작은 폭으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홀(400) 및 제2고정홀(41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450,46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여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길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블록(50)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블록과 고정되는 부분이 교체될 수 있어, 다양한 블록(50)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의 제1본체(100)는 제1결합부(110) 및 제1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본체(200)는 제2결합부(210) 및 제2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결합부(110)는 블록(5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1바디(120)는 제1결합부(1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210)는 블록(50)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바디(220)는 제2결합부(2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착탈이 가능하여 제1바디(120) 및 제2바디(220)는 블록(50)에 범용으로 사용되고,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210)는 블록(50)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살펴보면, 블록(50)의 일측면 및 블록(50)의 타측면에 보강부재(300)가 형성될 때,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는 보강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블록(50)은 보강부재(300)가 형성되어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300)는 블록(50)의 내측면으로부터 블록(50)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210)는 보강부재(300)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210)는 보강부재(3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장치가 용접 등 고정작업에 의해 블록에 고정될 때 지지장치가 결합된 블록(50)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블록(50)의 보강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블록(5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형성된 보강부재(300)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보강부재(3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110) 또는 제2결합부(210)는 블록(5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0)는 보강부재(300) 사이로 블록(50)에 결합되며, 이와 달리 제2결합부(210)는 보강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5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210)가 제1바디(120) 및 제2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50)에 형성된 보강부재(310,320)의 크기에 따라 제1결합부(110a,110b) 및 제2결합부(210a,210b)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110a) 및 제2결합부(210a)가 결합되는 보강부재(310)가 제1결합부(110b) 및 제2결합부(210b)가 결합되는 보강부재(3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110a,110b) 및 제2결합부(210a,210b)는 보강부재(310,320)의 크기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110a,110b) 및 제2결합부(210a,210b)는 제1바디(120) 및 제2바디(2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일측면 또는 타측면이 곡면(470)으로 형성된 블록(50)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살펴보면, 블록(50)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10)는 블록(50)의 곡면(470)에 고정되는 부분이 블록(50)의 타측면과 같이 곡면(47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제1결합부(110)가 제1바디(12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고, 제2결합부(210)가 제2바디(22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여 블록(50)에 따라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210)가 교체될 수 있어 다양한 블록(50)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길이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블록(50)에 범용으로 사용되며, 블록(50)에 따라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210)가 교체될 수 있어 다양한 블록(50)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00) 및 제2본체(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족장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장치는 블록(50)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용접 등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족장판(500)의 설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블록 100: 제1본체
110,110a,110b: 제1결합부 120: 제1바디
200: 제2본체 210,210a,210b: 제2결합부
220: 제2바디 300,310,320: 보강부재
400: 제1고정홀 410: 제2고정홀
450,460: 고정부재 450a,460a: 상부
470: 곡면 500: 족장판

Claims (4)

  1. 블록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를 포함하는 제1본체; 및
    상기 블록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에 고정되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제1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본체;를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일측면 및 상기 블록의 타측면에 보강부재가 형성될 때,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는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되는 블록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형성된 제1고정홀; 및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가 상기 제1고정홀에 의해 고정될 때의 길이에 비하여 다른 길이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고정홀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2고정홀;을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및 상기 제2본체의 상측에 설치되는 족장판을 더 포함하는 블록 지지장치.
KR2020140004685U 2014-06-20 2014-06-20 블록 지지장치 KR200479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5U KR200479740Y1 (ko) 2014-06-20 2014-06-20 블록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685U KR200479740Y1 (ko) 2014-06-20 2014-06-20 블록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43U true KR20150004643U (ko) 2015-12-30
KR200479740Y1 KR200479740Y1 (ko) 2016-03-03

Family

ID=5517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685U KR200479740Y1 (ko) 2014-06-20 2014-06-20 블록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4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687U (ko) 2012-07-23 2014-0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354Y1 (ko) * 2007-05-21 2008-08-11 (주)보고 잠수정용 내부보강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687U (ko) 2012-07-23 2014-0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740Y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740Y1 (ko) 블록 지지장치
JP2015077715A (ja) トランスを有する射出成形機
KR200479739Y1 (ko) 선박 구조물 지지장치
KR200474654Y1 (ko) 철근 배근용 스페이서
KR101110857B1 (ko) 블록 지지장치용 지지캡
KR102455882B1 (ko) 대상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101873984B1 (ko) 선박용 프로텍션 바 취부 장치
JP6801864B2 (ja) 外装材の仮支持部材
KR101701486B1 (ko)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KR20130005479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KR20150004635U (ko) 족장 연결장치
KR101705411B1 (ko) 블록 조인트 부분에 설치되는 의장품 유닛화 설치방법
KR20140002456U (ko) 드릴링용 마킹 지그
US20220396930A1 (en) Tubular structural member for exterior of construction machine
KR20150070455A (ko) 구형탱크 지지장치
KR101571326B1 (ko) 확장형 가이드 장치
KR20140005517U (ko) 크레인 연결용 지그
KR20140006209U (ko) 펌프 설치용 더미 장치
KR20220006411A (ko) 선박용 구조물 고정부재
KR20150000759U (ko) 선박 건조용 족장 구조
WO2018110102A1 (ja) 搬送用治具
KR20140003910U (ko) 선박의 케이블 정리용 고리
KR20130006772U (ko) 판계판 턴오버 장치
JP2020060148A (ja) 電力設備収納用箱体
KR20140005426U (ko) 곡판 용접용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