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486B1 -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486B1
KR101701486B1 KR1020140173955A KR20140173955A KR101701486B1 KR 101701486 B1 KR101701486 B1 KR 101701486B1 KR 1020140173955 A KR1020140173955 A KR 1020140173955A KR 20140173955 A KR20140173955 A KR 20140173955A KR 101701486 B1 KR101701486 B1 KR 10170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er
hull structure
stiffener
opening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347A (ko
Inventor
김명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4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은, 쓰러스터(thruster)를 선체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선체 구조물에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중공부에 쓰러스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쓰러스터가 선체 구조물에 지지되도록 보강재를 본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INSTALLATION METHOD FOR SHIP'S THRUSTER}
본 발명은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선체 저면에 달린 프로펠러가 돌며 만들어낸 추력(thrust)이 물살에 작용해 앞으로 전진한다. 이를 위한 추진기로는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선체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펠러의 작용 방향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아지무스 추진방식(Azimuth propulsion system)의 쓰러스터를 갖춘 선박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지무스 쓰러스터를 공급하는 업체는 전세계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아지무스 쓰러스터를 건조 중 또는 건조 완료된 선박에 바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6192호(2012.04.17, 모형선 운동시험용 아지무스 추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형선)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선박용 쓰러스터를 선박에 적용함에 있어 상기 쓰러스터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쓰러스터(thruster)를 선체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체 구조물에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에 상기 쓰러스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쓰러스터가 상기 선체 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강재를 본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선체 구조물은 원형의 제1 개구부를 갖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는 부착 가이드라인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 구조물에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재를 상기 부착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상기 선체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러스터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외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부착 가이드라인은 상기 제1 개구부의 중심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보다 큰 직경의 클리어런스(clearance) 서클라인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외경 및 원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클리어런스 서클라인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는 본용접 가이드라인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선박용 쓰러스터를 선박에 적용함에 있어 상기 쓰러스터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선박용 쓰러스터를 선체 구조물의 중공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공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체 구조물의 중공부에 선박용 쓰러스터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선체 구조물의 제1 플레이트 상에 부착 가이드라인과 클리어런스 서클라인과 본용접 가이드라인이 마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선박용 쓰러스터를 선체 구조물의 중공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공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체 구조물의 중공부에 선박용 쓰러스터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박(해양구조물을 포함)을 구성하는 선체 구조물(20)에 아지무스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를 설치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선박이라 함은 추진력을 갖고 자항 가능한 선박뿐만 아니라 해상에 계류된 상태로 사용되는 해양 플랫폼이나 해양 플랜트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아지무스 쓰러스터(10)는 내부에 동력부 등을 수용하는 상부 몸체(11) 및 상기 상부 몸체(1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펠러 포드부(도면에는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쓰러스터를 공급하는 업체가 전세계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쓰러스터(10)를 선박에 바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면,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에는 돌출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는 상부 몸체(11)의 외주연에서 측방향(횡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상부 몸체(11)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원통형 상부 몸체(11)의 외경(직경)을 확장시키는 돌출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2)는 원통형 상부 몸체(11)에 상응하여 그 외경이 확장하도록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리 형상의 돌출부(12)가 원통형 상부 몸체(11)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는 선박을 형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선박 구조물들 중 쓰러스터(10)을 지지하기 위한 선박 구조물(20), 즉 지지블록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상술한 돌출부(12)는 상부 몸체(11)가 선박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상부 몸체(11)가 선박 구조물(20)의 중공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보강재(30)가 상기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상부 몸체(11)를 선박 구조물(20)에 지지시키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보강재(30)의 상단 또는 하단이 돌출부(12)와 접촉되도록 맞물림으로써, 상부 몸체(11)의 하중을 선박 구조물(20)에 전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재(30)는 그 일단이 상부 몸체(11)의 중심부 영역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구조이므로(도 3 참조), 기성품인 상부 몸체(11)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구조물(20)의 중공부에 바로 삽입시킬 경우, 상부 몸체(11)의 돌출부(12)가 중공부 내측에 미리 설치되어 있던 보강재(30)와 간섭하게 된다(도 2 참조).
종래에는, 상부 몸체(11)를 중공부 내에 위치시키기 위해, 각각의 보강재(30)의 끝단 부분을 필요한 만큼 제거한 다음, 상부 몸체(11)가 삽입된 이후에 상기 제거되었던 끝단 부분을 각각의 보강재(30)의 원래 위치에 재용접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거나, 또는 상부 몸체(11)를 중공부 내에 먼저 위치시킨 다음에, 필요한 개수만큼의 보강재(30)를 중공부의 좁아진 틈새를 통해 설치 위치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협소한 공간을 통해 보강재(30)를 이동시켜 설치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뿐만 아니라 작업시수 및 관리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강재(30)의 끝단을 제거하였다가 다시 재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 시수의 증가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뿐만 아니라 각각의 용접 작업의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선박용 쓰러스터(10)를 선박에 적용함에 있어 상기 쓰러스터(10)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 및 관리할 수 있는 구현된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는 선체 구조물의 제1 플레이트 상에 부착 가이드라인과 클리어런스 서클라인과 본용접 가이드라인이 마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은, 쓰러스터(10)를 선체 구조물(20)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선체 구조물(20)을 제공하는 단계(S100); 상기 중공부에 상기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선체 구조물(20)에 보강재(30)를 부착하는 단계(S200); 상기 중공부에 상기 상부 몸체(11)를 삽입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상부 몸체(11)가 상기 선체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강재(30)를 본용접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부가 형성된 선체 구조물(20)을 제공할 수 있다(S100). 이때, 선체 구조물(20)에 형성된 중공부는 그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부의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선체 구조물(20)는 원형의 제1 개구부(21a)를 구비한 제1 플레이트(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21a)에 상응하는 제2 개구부(22a)를 갖는 제2 플레이트(2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21)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 간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 구조물(20)을 제공하는 단계(S100)는, 상기 제1 개구부(21a)를 중심으로 하는 부착 가이드라인(40)을 상기 제1 플레이트(21)에 마킹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21a)보다 큰 직경의 클리어런스 서클라인(clearance circle line, 50)을 상기 제1 플레이트(21)에 마킹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구조물(20)을 제공하는 단계(S100)는, 상기 제1 개구부(21a)를 중심으로 하는 본용접 가이드라인(60)을 상기 제1 플레이트(21)에 마킹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개구부(21a)는 원통형 상부 몸체(1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2)의 횡방향 외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부착 가이드라인(40)은 보강재(30)가 부착될 위치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제1 개구부(21a)의 중심점(C, 도 5 참조)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미도시)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개구부(21a)의 중심점(C)을 통과하는 수많은 가상의 직선에 대해 부착 가이드라인(40) 각각이 경사각을 갖도록 제1 플레이트(21)에 마킹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재(30)는 후술할 보강재 부착 단계(S200)에서 부착 가이드라인(40)에 맞춰 선체 구조물(20)에 미리 부착된 상태로 선박 건조 현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재(30)의 부착은 예를 들어 보강재(30)와 선체 구조물(20) 사이를 가용접으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추후에 작업자가 보강재(30)를 본용접 가이드라인(60)으로 옮겨 설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가용접 방법을 통해 보강재(30)를 부착 가이드라인(40)에 임시로 부착시킴으로써, 추후에 보강재의 본용접 단계(S400)에서 작업자가 보강재(30)를 부착 가이드라인(4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선체 구조물(20)에 보강재(30)를 부착하는 단계(S200)는, 보강재(30)를 부착 가이드라인(40)에 맞춰 선체 구조물(20)에 부착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재(30)를 부착하는 단계(S210)는 전술한 부착 가이드라인(40) 마킹 단계(S110) 이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마킹 단계들(S110, S120, S130)이 모두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강재(30)를 부착하는 단계(S210)는 마킹 단계들(S110, S120, S130)이 수행된 이후에, 제1 플레이트(21)와 제2 플레이트(22)와 연결부재(23)를 조립하여 선체 구조물(20)을 완성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체 구조물(20)에 형성된 부착 가이드라인(40)에 맞추어 보강재(30)를 임시로 부착한 상태로 보강재(30)를 구비한 선체 구조물(20)를 선박 건조 현장으로 제공함으로써, 선체 구조물(20)의 중공부에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를 삽입할 때, 상부 몸체(11)의 돌출부(12)가 중공부 내측에 배치된 보강재(30)와 간섭하는 경우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 구체적으로는 상부 몸체(11)의 돌출부(12)가 중공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재(30)가 부착된 선체 구조물(20)이 건조 작업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S100, S200), 이후에는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가 중공부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S300).
또한, 쓰러스터(10)의 상부 몸체(11)가 선체 구조물(20)의 중공부에 삽입된 이후에는, 상기 쓰러스터(10)가 상기 선체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강재(30)를 선체 구조물(20)에 본용접할 수 있다(S400).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재(30)를 본용접하는 단계(S400)는, 상기 쓰러스터(10)가 상기 선체 구조물(20)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강재(30)를 부착 가이드라인(40)으로부터 본용접 가이드라인(60)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본용접 가이드라인(70)에 맞추어 본용접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부착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임시로 부착되어 있던 보강재(30)는, 상기 부착 가이드라인(40)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도 5에 도시된 본용접 가이드라인(70)으로 이동되어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은,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S200)와 보강재를 본용접하는 단계(S40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도록 보강재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종래와 같이 보강재(30)를 선체 구조물(20)에 미리 가공하여 설치할 경우, 보강재(30)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중공부의 원중심(C)을 향해 돌출된 단부가 중공부를 통해 삽입될 쓰러스터(10)의 돌출부(12)와 간섭을 일으켜, 쓰러스터(10)의 설치 작업이 불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 구조물(20)을 제공하는 단계(S100)에서 부착 가이드라인(40)에 맞추어 선체 구조물(20)에 보강재(30)를 부착하는 단계(S200)를 더 추가함으로써, 보강재(30)가 쓰러스터(10)의 돌출부(12) 간의 간섭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 가이드라인(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21a)의 중심점(C, 도 5 참조)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미도시)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보강재(30)의 단부가 제1 개구부(21a) 영역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강재(30)의 단부가 상기 제1 개구부(21a)을 통해 삽입될 쓰러스터(10)의 돌출부(12)와 간섭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클리어런스 서클라인(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부(21a)의 외경(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성으로, 부착 가이드라인(40)을 따라 부착될 보강재(30)가 제1 개구부(21a)의 중심부 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재(30)는 제1 개구부(21a)의 외경 및 원중심(C)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클리어런스 서클라인(50)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리어런스 서클라인(50)은 제1 개구부(21a)와 동일한 원중심을 가진다.
따라서, 클리어런스 서클라인(50)은 작업자가 보강재(30)를 가용접 방식으로 임시 부착하는 과정에서 보강재(30)가 제1 개구부(21a) 중심부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용접 여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성품으로 제공되는 선박용 쓰러스터를 선박에 적용함에 있어 상기 쓰러스터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쓰러스터 11: 상부 몸체
12: 돌출부 20: 선체 구조물
21: 제1 플레이트 21a: 제1 개구부
22: 제2 플레이트 22a: 제2 개구부
23: 연결부재 30: 보강재
40: 부착 가이드라인 50: 클리어런스 서클라인
60: 본용접 가이드라인

Claims (6)

  1. 쓰러스터(thruster)를 선체 구조물에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된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체 구조물에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중공부에 상기 쓰러스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쓰러스터가 상기 선체 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상기 보강재를 본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체 구조물은 원형의 제1 개구부를 갖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는 부착 가이드라인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쓰러스터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외경을 확장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의 횡방향 외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부착 가이드라인은 상기 제1 개구부의 중심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구조물에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강재를 상기 부착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상기 선체 구조물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보다 큰 직경의 클리어런스(clearance) 서클라인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외경 및 원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클리어런스 서클라인의 외측에 부착되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는 본용접 가이드라인을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마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KR1020140173955A 2014-12-05 2014-12-05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KR10170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55A KR101701486B1 (ko) 2014-12-05 2014-12-05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55A KR101701486B1 (ko) 2014-12-05 2014-12-05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47A KR20160068347A (ko) 2016-06-15
KR101701486B1 true KR101701486B1 (ko) 2017-02-01

Family

ID=5613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955A KR101701486B1 (ko) 2014-12-05 2014-12-05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500706B1 (de) * 2021-09-30 2022-11-08 Zhoushan Changhong Int Shipyard Co Ltd Verfahren zum Ziehen eines Drahtes vor dem Schweißen an einer Heckschubbasi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32B1 (ko) * 2009-06-29 2011-05-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 구조물과 스러스터 리셉터클의 일체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47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8624B2 (ja) ホイール取り付けシステム
US20080121165A1 (en) Unmanned Underwater Vessel
KR101701486B1 (ko) 선박용 쓰러스터 설치 방법
JP7033390B2 (ja) デッキクレーンの設置構造及び船舶
CN205195194U (zh) 船舶电缆应急托架装置
CN103935416B (zh) 一种焊缝探伤装置
KR102477627B1 (ko) 선박용 러더 및 그 설치방법
CN103934596B (zh) 一种船体爬壁焊接装置
JP4681436B2 (ja) 液体運搬船、船舶
KR101784771B1 (ko) 보강 장치
US9097374B2 (en) Assembly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a vessel and a turret structure mounted in said vessel
US10815736B2 (en) Underwater SCR lifting frame
KR101903136B1 (ko) 방향키 구조체
JP2017009006A (ja) パイプライン接合部用防護部材、パイプラインおよびその敷設工法
KR20130068797A (ko) 덱 하우스 모듈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덱 하우스 모듈이 시공된 선박
KR20140046903A (ko)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KR20140003123A (ko) 블록형 터릿 조립구조 및 블록형 터릿 조립방법
KR20140088353A (ko) 해양 구조물의 케이슨 탑재 공법
KR20130138535A (ko) 선박의 체인 록커 및 그 시팅 플레이트 형성 방법
US20230021441A1 (en) System for protecting the mouth of a pip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system
KR101873984B1 (ko) 선박용 프로텍션 바 취부 장치
WO2020075260A1 (ja) 液化天然ガスタンクの移載方法
KR101825229B1 (ko) 드릴쉽의 스러스터 캐니스터 락킹장치 보강구조
KR101854664B1 (ko) 해상 크레인 조립 방법
KR101844274B1 (ko) 리프팅 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