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450A -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450A
KR20140056450A KR1020120119155A KR20120119155A KR20140056450A KR 20140056450 A KR20140056450 A KR 20140056450A KR 1020120119155 A KR1020120119155 A KR 1020120119155A KR 20120119155 A KR20120119155 A KR 20120119155A KR 20140056450 A KR20140056450 A KR 2014005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am
frame structure
support
socket
sock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19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450A/ko
Publication of KR2014005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로서, 프레임 구조물에 연결 가능한 제1 소켓부; 프레임구조물에 연결 가능한 제2 소켓부;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에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운반 중의 프레임 구조물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받는 인장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보를 프레임 구조물에 볼트나 용접에 의한 체결이 아닌 소켓부재를 통하여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해체시 지지보의 손상이 없어, 반복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보 내부에 탄성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압축력을 받는 지지보의 좌굴을 감소시키고, 지지보의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운반용 지지구조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REUSABLE TRANSPORT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 플랜트구조물 등의 프레임 구조물의 운반 중 임시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구조물의 운반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구조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 구조물의 운반용 지지구조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과 두 개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단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물의 운반 시 철골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 임시보강용 부재를 빗대어 배치함으로써 외력의 작용에 따른 운반과정에서의 구조물의 지지와 변형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철골구조물 및 플랜트 구조물 등의 프레임 구조물은 제작장에서 모듈 단위로 제작 후 육상, 해상 운반하여 현지 제작장 또는 현장에 설치하는 공정을 가짐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운반용 임시 지지구조는 크게 압축력, 인장력을 제공하는 H형강 등의 지지보와 이를 프레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등의 체결부재 혹은 용접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운반용 지지구조는 운반을 위해 볼트와 용접 등에 의해 프레임구조물 등에 체결되고, 운반이 종료된 후 현지 제작장 등에 도착시 다시 볼트를 해체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바 인력의 소모가 심하고, 비용 부담이 증가하며, 공사기간의 연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된 운반용 지지구조의 해체는 용접된 지지보 부분을 가스 절단하는 등의 방법에 의하는바 운반용 지지보의 말단부의 손상이 필연적이다. 따라서 이미 사용된 부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폐기처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비용의 증가 및 공사기간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운반용 지지구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점들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레임 구조물 등의 운반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외력(압축력, 인장력)에 의해 구조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 해체시 지지보의 손상이 없어, 반복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압축력을 받는 지지보의 좌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프레임 구조물의 운반시 작용되는 외력에 따른 적정한 수의 지지보와 인장재를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인장재를 연결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 구조물에 연결 가능한 제1 소켓부; 프레임구조물에 연결 가능한 제2 소켓부;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에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보;를 포함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보는 복수의 지지보부재와 상기 지지보부재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지보는 제1 소켓부에 연결되는 제 1지지보부재와, 제1 지지보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소켓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보부재와, 제2 지지보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보는 제1 소켓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보부재와, 제1 지지보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지지보부재와, 상기 제2 지지보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제2 지지보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2 소켓부에 연결 가능한 제3 지지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지보는 외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가설고정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는 운반 중의 프레임 구조물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받는 인장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장재는 프레임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1 연결구와, 지지보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관통구가 형성된 제2 연결구를 양측 말단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부재와, 지지보, 제1 소켓부, 제2 소켓부,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구조물의 운반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외력에 의해 구조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지보를 프레임 구조물에 볼트나 용접에 의한 체결이 아닌 소켓부를 통하여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시 지지보의 손상이 없이 반복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보 내부에 탄성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압축력을 받는 지지보의 좌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복수의 지지보가 서로 슬라이딩되게 연결되어 지지보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구조물의 운반시 작용되는 외력에 따른 적정한 수의 지지보와 인장재를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 가능하여, 프레임 구조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장재를 용이하게 설치 할 수 있는 운반용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프레임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지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2b는 도2a의 “A” 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3(a) 및 도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지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4b는 도4a의 “B” 부분의 확대상세도이다.
도4c는 도4a의 "C-C" 부분의 단면상세도이다.
도5a, 도5b 및 도5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보를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먼저, 도1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참고로,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지지구조를 구비하는 프레임구조물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a 내지 도3(b), 도5a 내지 도5c는 지지보 내부에 인장재가 설치되지 않은 본 발명에 의한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용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4a 내지 4c는 지지보 내부에 인장재가 추가로 설치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각 실시예에서 공통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하였으며,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동일한 도면부호의 구성은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 내지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100)는 제1 소켓부(10), 제2 소켓부(20), 지지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장재(4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F)은 좌우의 두 개의 수직프레임과 상하의 두 개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단위 프레임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물(F)에는 H형강, ㅁ형강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지는 형강이나 앵글로 이루어진 철골구조물이나 플랜트구조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구조물(F)에는 후술하는 제1 소켓부(10)와 제2 소켓부(20)가 연결되는 프레임구조물 체결부(C)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구조물 체결부(C)는 프레임 구조물(F)에 이미 형성되어 있거나, 추후에 프레임 구조물(F)에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도2a 및 도2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반용 지지구조(100)에 구비되는 제1 소켓부(10)와 제2 소켓부(20)에 대해서 살펴본다.
상기 제1 소켓부(10)는 프레임 구조물(F)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만나는 상측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소켓부(20)는 프레임 구조물(F)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만나는 하측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소켓부(10), 제2 소켓부(20)의 연결위치는 반드시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강이 필요한 위치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켓부(10)와 제2 소켓부(20)는 프레임구조물의 체결부(C)에 삽입되어 프레임구조물(F)에 연결되고,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 혹은 다각형 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반용 지지구조(100)에 구비되는 지지보(30)에 대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상기 지지보(30)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F)에 구비되어 수평 혹은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운반용 지지구조(100)의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 프레임 구조물(F)에 발생하는 압축력을 지지하여 프레임 구조물(F)의 변형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지지보(30)는, 복수개의 지지보부재(31,32,33)와 지지보부재(31,32,33)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관통부(34)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보(30)의 일단은 제1 소켓부(10)에 삽입되어 프레임 구조물(F)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소켓부(20)에 삽입되어 프레임 구조물(F)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보(3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내부의 공간을 별도로 활용이 가능하며, 후술하는 인장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보부재(31), 제2 지지보부재(32), 제3 지지보부재(33)는 인접한 지지보부재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으로 상호 슬라이딩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보(30)는 제1 지지보부재(31)는 상단부가 제1 소켓부(10)에 삽입되어 프레임 구조물 체결부(C)에 연결되고, 제2 지지보부재(32)는 상단부가 제1 지지보부재(31)에 슬라이딩 연결되고, 하단부가 제2 소켓부(20)에 삽입되어 프레임 구조물 체결부(C)에 연결되며, 내부에 탄성부재(35)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보(30)는 제1 지지보부재(31)는 상단부가 제1 소켓부(10)에 삽입되어 프레임 구조물 체결부(C)에 연결되고, 제2 지지보부재(32)는 상단부가 제1 지지보부재(31)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제3 지지보부재(33)에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부재(35)를 구비한다. 제3 지지보부재(33)는 상단부는 제2 지지보부재(32)에 슬라이딩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2 소켓부(20)에 삽입되어 프레임 구조물 체결부(C)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1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물(F)에 설치되는 지지보(30)는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되는 지지보(30)의 수는 운반시에 발생하는 외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프레임 구조물에 2개의 지지보(30)가 교차되어 설치될 수 있고, 하나의 지지보(30)만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탄성부재(35)는 지지보(30) 내부에 구비되고, 일단은 제1 지지보부재(31)의 하단면에 접하고, 타단은 제2 지지보부재(32) 또는 제3 지지보부재(33)에 접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5)의 위치는 지지보(30) 내부의 일단이나 중앙부에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3(a), 도3(b) 및 도5a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반용 지지구조(100)에 구비되는 가설고정연결부(4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가설고정연결부(40)는 프레임 구조물(F)에 지지보(30)를 설치시, 상기 지지보(30)를 리프트하기 위한 크레인의 와이어가 고정되는 부분이고, 지지보(3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4a, 도4b 및 도4c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반용 지지구조(100)에 구비되는 인장재(50)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인장재(50)는, 운반 중 프레임 구조물(F)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한 프레임 구조물(F)의 변형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상기 인장재(50)는, 지지보(30)의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제1 연결구(51)와, 하나 이상의 인장부재(52)와, 제2 연결구(53), 및 핀(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연결구(51)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 체결부(C)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 일 예로 용접에 의해 고정 접합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소켓부(10)와 제2 소켓부(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구(51)와 제2 연결구(53)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타이에 관통부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플랫타이와 플랫타이, 플랫타이와 플랫타이를 감싸는 덧관 및 콘너트와 타이볼트의 연결 등의 다양한 형태의 연결방법이 변형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인장부재(52)는 프레임 구조물(F)의 운반시 가해지는 인장력을 받는 부재이고,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인장부재(52)를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인장부재(52)는 강선, 와이어 등의 선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구(53)는 인장부재(52)의 양측 말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연결구(51)와는 후술되는 핀(54)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인장재(50)의 관통부는 제1 연결구(51)와 제2 연결구(5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핀(54)은 도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보(30), 제1 소켓부(10), 인장재(50)의 제1 연결구(51) 및 제2 연결구(53)에 형성된 관통부(11,21, 34)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운반용 지지구조(100)가 인장재(50)가 더 포함되는 경우 제1 소켓부(10), 제2 소켓부(20), 지지보(30), 인장재(50) 등에는 인장재(50)를 프레임 구조물(F)에 연결시키기 위한 핀이 통과하는 관통부(11,21,34)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4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켓부(10)와 제2 소켓부(20)이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프레임구조물(F)에 인장재(5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5a 내지 도5c 를 참조하여 지지보(30)의 설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지지보(30)를 리프트하고, 도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보부재(31)의 상단을 제1 소켓부(10)에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와이어를 더 리프트하면, 제1 지지보부재(31)와 제2 지지보부재(32)가 상호 슬라이딩되면서 지지보(3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이에 의해 탄성부재(35)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보부재(32)의 하단은 제2 소켓부(2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도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를 하강시키면, 탄성부재(35)에 가해졌던 압축력이 제거되면서 지지보(30)의 길이가 원상태로 복귀하고 지지보(30)의 하단부는 제2 소켓부(2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운반용 지지구조 F: 프레임 구조물
C: 프레임 구조물 체결부 10: 제1 소켓부
11: 관통부 20: 제2 소켓부
21: 관통부 30: 지지보
31: 제1 지지보부재 32: 제2 지지보부재
33: 제3 지지보부재 34: 관통부
35: 탄성부재 40: 가설고정연결부
50: 인장재 51: 제1 연결구
52: 인장부재 53: 제2 연결구
54: 핀

Claims (7)

  1. 프레임 구조물에 연결 가능한 제1 소켓부;
    상기 프레임구조물에 연결 가능한 제2 소켓부;
    상기 제1 소켓부와 제2 소켓부에 연결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는,
    복수의 지지보부재와 상기 지지보부재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는,
    상기 제1 소켓부에 열결되는 제1 지지보부재와, 상기 제1 지지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소켓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보부재와, 상기 제2 지지보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는,
    상기 제1 소켓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보부재와, 상기 제1 지지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지지보부재와, 상기 제2 지지보부재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보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소켓부에 연결 가능한 제3 지지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5.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는,
    상기 지지보의 외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가설고정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6.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반 중의 프레임 구조물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받는 인장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7.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체결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지지보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관통구가 형성된 제2 연결구를 양측 말단에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장부재와, 상기 지지보, 제1 소켓부, 제2 소켓부, 제1 연결구 및 제2 연결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핀을 포함하는 인장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KR1020120119155A 2012-10-25 2012-10-25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KR20140056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55A KR20140056450A (ko) 2012-10-25 2012-10-25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55A KR20140056450A (ko) 2012-10-25 2012-10-25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450A true KR20140056450A (ko) 2014-05-12

Family

ID=5088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155A KR20140056450A (ko) 2012-10-25 2012-10-25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64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4211A (zh) * 2017-03-28 2017-08-15 宝业西伟德混凝土预制件(合肥)有限公司 一种夹芯保温外墙板玻璃纤维拉结件损伤的修复加固工艺
CN109680803A (zh) * 2017-10-19 2019-04-26 阳地钢(上海)装配式建筑股份有限公司 钢结构房屋框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4211A (zh) * 2017-03-28 2017-08-15 宝业西伟德混凝土预制件(合肥)有限公司 一种夹芯保温外墙板玻璃纤维拉结件损伤的修复加固工艺
CN109680803A (zh) * 2017-10-19 2019-04-26 阳地钢(上海)装配式建筑股份有限公司 钢结构房屋框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JP5594987B2 (ja) コンクリート製架台の製造方法、コンクリート製架台、および、繋ぎ材
JP4164117B1 (ja) 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の型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角柱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5602264B2 (ja) 山留壁の架構構造
JP2011005689A5 (ko)
KR100777212B1 (ko) 버팀보 조인트
KR101665482B1 (ko) 무지보 연속화를 통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장경간 교량 시공방법
JP5927599B2 (ja) 仮設鉄塔ユニット及び仮設鉄塔
JP5660569B2 (ja) 建物の昇降装置
KR101624102B1 (ko) 강봉을 이용한 띠장 보강장치, 이를 구비한 띠장 조립체 및 토류벽 시공방법
KR20140056450A (ko)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JP3144708U (ja) 鉄筋仮固定装置
JP6401937B2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JP2009013765A (ja) 鉄塔の部材取替工法およびその工法で用いられる装置
JP4449875B2 (ja) 大断面のトンネル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CN103993738A (zh) 一种穿楼板锚固式悬挑卸料钢平台
KR101538579B1 (ko) 강재 뼈대 구조의 시공 방법
KR20140000687U (ko) 선박 블록 또는 해양구조물 블록의 보강재 취부지그
JP5282483B2 (ja) 配管ユニット及びその連結構造
CN102011432A (zh) 新型多边形组合式钢管
KR101360287B1 (ko) 조립식 갱폼
JP2011214383A (ja) 再利用可能なブラケット、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及び方法
JP2017014730A (ja) 梁材荷重負担構造および梁材修復方法
KR20150075843A (ko) 자재 인양함
KR101440559B1 (ko) 가변형 파이프랙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