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5843A - 자재 인양함 - Google Patents

자재 인양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5843A
KR20150075843A KR1020130164197A KR20130164197A KR20150075843A KR 20150075843 A KR20150075843 A KR 20150075843A KR 1020130164197 A KR1020130164197 A KR 1020130164197A KR 20130164197 A KR20130164197 A KR 20130164197A KR 20150075843 A KR20150075843 A KR 2015007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ar
reinforcing frame
welded
lif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민
Original Assignee
정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민 filed Critical 정용민
Priority to KR102013016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5843A/ko
Publication of KR2015007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33Lift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1Handling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or like enclosed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bulky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재 인양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단 보강프레임의 자체 구조 및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인양본체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측부 보강프레임의 자체구조와 인양본체와의 연결구조도 개선하여 인양함 본체의 뒤틀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인양고리의 자체 구조뿐만 아니라 상단 보강프레임 및 인양본체와이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인양과정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인양고리의 파단 현상이나 인양본체와의 원치 않는 분리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재 인양함{Cargo transport box}
본 발명은 건축 자재 등을 고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인양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양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체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중량의 자재가 수용되더라도 비틀림 등의 파손우려를 최소화 하고 인양본체와 연결된 인양고리의 자체구조 및 인양본체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인양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인양고리의 파손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 공사나 토목 공사등의 현장에서는 건축자재를 고공으로 승강시켜 운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대량의 건축자재를 동시에 운반시켜야 하므로 많은 양의 건축자재를 별도의 인양함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동시에 운반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종래 인양함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태의 인양본체 상단 각 모서리 부근에는 타워크레인 등과 연결을 위한 인양고리가 위쪽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서 인양본체 내부에 건축자재를 수용시킨 뒤 인양와이어를 각 인양고리에 묶은 후 타워크레인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인양함 전체를 들어올려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인양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인양본체의 상단 테두리에는 인양고리의 설치를 위해 상단 보강프레임이 상단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각 상단 보강프레임에 의해 플랜지 구조를 갖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상단 보강프레임은 "ㄱ"자 형태로 이루어져 각 단부면이 상호 용접을 통해 연결되어 일체화 된다.
따라서 각 상단 보강프레임은 자체 구조 상 상호 간의 용접부위가 상부와 후측테두리에 국한되어 형성되므로, 그만큼 용접면적이 넓지 못해 충분한 강도를 얻기 힘들다.
또한 인양본체의 전후좌우면 중간 지점에도 인양본체의 뒤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측부 보강프레임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측부 보강프레임은 "ㅅ"자 구조로 벌어진 쪽 양측 단부가 인양본체 표면에 용접되므로, 보강프레임과 인양본체 간의 접촉지점이 마치 선접촉 형태로 이루어짐으로 상호간의 연결강도가 높지 못한 단점도 갖는다.
더불어 기존 인양함에 사용되는 인양고리는 단순 판재 형태이고 상단 부근에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이며 하단부가 상단 보강프레임에 용접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인양과정에서 중량에 의한 하중이 인양고리와 상단 보강프레임 간 연결부위에 집중되어 해당 연결부위가 파단될 우려가 크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인양고리는 금속 판재에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관통홀 형성과정에서 관통홀의 테두리가 날카롭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인양와이어가 권취된 상태에서 인양와이어 중 관통홀 테두리와 접촉되는 부분이 마찰로 인해 파단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인양고리가 단순히 상단 보강프레임에 용접되어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인양과정에서 적재물의 중량에 의한 하중이 용접부위에 집중될 경우 용접부위가 쉽게 파단될 가능성이 크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038930000호(1988.11.2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상단 보강프레임의 자체 구조 및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인양본체의 전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부 보강프레임의 자체구조와 인양본체와의 연결구조도 개선하여 인양함 본체의 뒤틀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인양고리의 자체 구조뿐만 아니라 상단 보강프레임 및 인양본체와이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인양과정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인양고리의 파단 현상이나 인양본체와의 원치 않는 분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인양본체, 단면이 "ㄷ"자 형태이고 일정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의 상단 보강프레임이 상기 인양본체 상단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단부면이 타 상단 보강프레임의 측부면에 용접되어 있는 상단 보강부,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관통지점 하측 전체 구간이 상기 인양본체 외부 측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1바아, 상기 제1바아와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관통지점 하측 전체 구간이 상기 인양본체 외부 측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2바아 및 상기기 제1바아와 제2바아의 상단부를 연결하되 곡선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인양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고리바아를 갖는 인양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바아 및 제2바아 중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상하부면 관통지점은 각각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과 용접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면이 "ㄷ" 형태로 전측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후측면 전체 구간이 상기 인양본체의 외부측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밀착되어 용접연결되어 있는 측부 보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면이 "ㄷ"자 형태이고 일정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의 하단 보강프레임이 상기 인양본체 하단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단 보강프레임의 단부면이 타 하단 보강프레임의 측부면에 용접되어 있는 하단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아와 제2바아는 하단부가 상기 하단 보강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관통지점이 용접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ㄷ"자 단면구조를 갖는 각 상단 보강프레임의 단부면이 상호 용접 연결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각 상단 보강프레임 간의 용접연결부위가 증가되고, 그만큼 상단 보강부 전체의 강도가 증가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인양 고리부가 바아 형태로 분할되어 각각 상단 보강프레임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함에 따라, 그만큼 인양 고리부와 상단 보강프레임 간의 용접연결 위치도 많아짐으로써 상호 간의 연결강도가 증가되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인양 고리부의 제1바아와 제2바아가 상단 보강프레임을 관통한 뒤 그 아래쪽 구간 전체가 인양본체의 측부 상하 길이방향 전체 구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용접 연결됨으로써, 그만큼 제1, 2바아와 인양본체 간의 연결면적이 최대화되어,
인양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인양 고리부와 인양본체 간의 분리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상단 보강프레임과 동일한 구조의 하단 보강프레임이 인양본체 하단테두리에 형성되고 인양 고리부의 제1, 2바아의 하단부가 각 하단보강프레임의 상하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뒤 관통지점마다 용첩처리됨으로써,
인양 고리부가 인양와이어 연결기능은 물론 측부 보강프레임과 더불어 인양본체의 뒤틀림 등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추가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양 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인양본체와 분리되는 현상 또한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더불어 인양고리 중 고리바아가 전체적으로 바 형태를 띄며 구부러진 형태이고 이 상태에서 인양와이어가 고리바아에 묶이거나 권취됨에 따라,
인양 과정에서 인양와이어와 인양고리의 관통홀 간 마찰이 극심한 종래 기술과 달리 인양와이어의 파단 우려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전체 단면도
도3은 전체 평면 개략도
도4는 인양본체 하단부에 하단 보강부가 더 형성된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자재 인양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인양본체(100)와 상단 보강부(200), 인양 고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인양본체(100)는 실질적으로 건축 자재 등의 인양대상물이 수용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박스 형태이다.
이러한 인양본체(100)는 바닥판(120)의 사방 테두리에 판재 형태의 측부판(130) 하단부가 연결되어 세워진 형태이고, 바닥판(120)의 테두리와 각 측부판(130)의 하단부는 별도의 'ㄱ'자 형태의 하부연결프레임(600)을 통해 연결되어 하부연결프레임(600)과 연결되는 지점은 용접을 통해 일체화된다.
또한 각 측부판(130) 간 접하는 단부는 역시 'ㄱ'자 형태의 측부연결프레임(700)이 배치되어 측부연결프레임(700)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측부연결프레임(700)과 각 측부판(130)의 접합부분은 용접을 통해 일체화 된다.
따라서 인양본체(100)는 각 측부판(130)과 바닥판(120)이 상호 일체화 상태가 되되 각 연결부위마다 별도의 연결프레임이 배치됨으로써 연결부위의 충분한 강도확보를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인양본체(100)의 크기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인양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측부연결프레임(700)과 하부연결프레임(600)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측부판과 바닥판 간의 연결 및 보강 기능을 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양본체(100)에는 상단 보강부(200)가 형성된다.
상단 보강부(200)는 후술할 인양 고리부(300)를 인양본체(100)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인양 고리부(300)와 인양본체(100) 간의 분리 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ㄷ'형상의 상단 보강프레임(210)이 인양본체(100)의 각 상단테두리 상에 안착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인양본체(100)의 각 테두리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직선형 프레임 구조이고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이 상하 수평상태로 위치하며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의 후측단부가 후측편(21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단 보강프레임(210)은 인양본체(100)의 상단 테두리 변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후측편(216)이 각 상단테두리 외부면에 부착 형태로 위치된 상태에서 부착지점이 용접을 통해 일체화 된다.
따라서 상단 보강부(200)는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이 인양본체(100)의 상단테두리 둘레를 둘러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은 상호 접하는 단부가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화 됨으로써 상단 보강부(200) 전체와 인양본체(100) 전체가 상호 일체화 된다.
이렇게 상단 보강부(200) 까지 설치된 인양본체(100)에는 측부 보강프레임(400)이 설치된다.
측부 보강프레임(400)은 인양본체(100) 각 측부판(130)의 뒤틀림 등의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ㄷ' 형태를 갖는 직선 프레임 구조이고 인양본체(100) 각 측부판(130)의 중간지점과 마주하는 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일측면이 각 측부판(130)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연결된다.
즉 각 측부 보강프레임(400)이 각 측부판(130)을 상하 가로지르는 형태로 일체화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각 측부 보강프레임(400)의 상단부는 이와 마주하는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하단편(214) 하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역시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화 된다.
이렇게 각 측부 보강프레임(400)이 인양본체(100)의 각 측부판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그만큼 이송과저에서 인양본체의 각 측부판이 적재물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는 등이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상단 보강부(200) 까지 설치된 인양본체(100)에는 인양 고리부(300)가 설치된다.
인양 고리부(300)는 인양본체(100)를 크레인 등의 이송수단과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 및 고리바아(330)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1바아(310)는 인양 고리부(300)와 인양본체(100)간 연결 및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인양본체(100)의 상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직선 바아 형태이고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상단부가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을 상하 동시에 관통한 상태에서 그 아래쪽 구간은 하단편(214)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위치된다.
따라서 제1바아(310) 중 하단편(214) 아래쪽으로 돌출된 구간은 인양본체(100)의 측부판(130)과 마주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제1바아(310) 중 측부판(130)과 마주하는 전체 구간과 측부판(130)은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화 연결된다.
더불어 제1바아(310) 중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의 관통지점 또한 용접처리됨에 따라 상단 보강프레임(210)과도 일체화 된다.
그리고 제2바아(320)는 제1바아(310)와 더불어 인양 고리부(300)와 인양본체(100)가 연결 및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바아(310)와 동일한 구조, 즉 인양본체(100)의 상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직선바아 형태이고 제1바아(310)의 일측에 수평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단부가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을 동시에 관통하고 그 아래쪽 구간이 하단편(214)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2바아(320) 중 하단편(21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전체구간과 인양본체(100)의 측부판(130)도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화되고, 제2바아(320) 중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의 관통지점 또한 용접처리됨에 따라 상단 보강프레임(210)과도 일체화된다.
즉 이처럼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이 'ㄷ'형태를 이룸에 따라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와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은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을 통해 2지점에 걸쳐 상단 보강프레임(210)과 일체로 연결되고 그 아래 구간이 인양본체(100)의 측부판(130)과 일체로 연결되되, 측부판과 마주하는 전체 구간이 용접처리됨에 따라, 인양본체(100)와의 연결면적이 최대화 된다.
이러한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를 비롯해 인양 고리부(300)를 구성하는 고리바아(330)는 인양 고리부(300) 중 크레인(미도시)과의 실질적인 연결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를 이루은 바아 형상이고 양측 하단부가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 중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상단편(212)을 관통하여 위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인양 고리부(300)는 전체적으로 'U' 형상이 거꾸로 위치한 형태를 가지며 이렇게 연결된 인양 고리부(300)는 상단 보강부(20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한다.
참고로 위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 및 인양 고리부(300)를 별개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기다란 바아 중간지점을 절곡시켜 인양 고리부(300) 전체가 일체인 상태로 제작된다.
물론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 및 고리바아(330)를 나누어 제작한 뒤 용접 등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인양 고리부(300)는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도면과 같이 상단 보강프레임(210)이 4개로 나뉘어 설치되었을 때 4개가 구비되는데, 인양 고리부(300)의 형성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양본체(100)의 형상 및 상단 보강부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인양 고리부(300)는 상단 보강부(200)를 통해 인양본체(100)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단 보강부(200)를 구성하는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이 'ㄷ'형태이기 때문에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와 각 상단 보강프레임(210)은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을 통해 2지점에 걸쳐 상단 보강프레임(210)과 일체로 연결되고, 제1바아(310) 및 제2바아(320) 중 그 아래쪽 구간 전체 길이가 인양본체(100)의 측부판(130) 상하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해당 구간 전체가 인양본체(100)의 측부판(130)과 용접츨 통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그만큼 인양 고리부(300)와 인양본체(100) 간의 연결강도가 최대화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기존처럼 단순히 상단 보강프레임이 단순 'ㄱ'형태인 경우에 비해 인양 고리부(300)와 상단 보강프레임 간의 연결지점이 증가되고, 상단 보강프레임과의 연결만을 통해 인양본체(100)와 인양 고리부(300) 간의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와 달리 제1바아 및 제2바아의 전체 구간에 걸쳐 인양본체(100)와의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짐으로 전체적으로 인양 고리부와 인양본체(100)간의 견고한 연결구조를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한다.
인양본체(100)의 수용공간(110)에 이송할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각 인양 고리부(300)의 고리바아(330)에 연결와이어(미도시)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각 연결와이어는 크레인 등의 이송수단과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이 작동하면 인양본체(100)를 비롯해 적재물 전체가 들어올려진 후 원하는 지점으로 이송된다.
이렇게 크레인이 연결와이어를 통해 인양본체(10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인양본체(100)를 비롯해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처짐 발생되는 하중은 각 인양 고리부(300)에 집중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인양 고리부의 제1바아(310) 및 제2바아(320)가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을 관통하고 관통지점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 구간 전체가 인양본체(10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양 고리부(3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인양 고리부 전체에 걸쳐 분산된다.
따라서 단순히 인양 고리부가 상단 보강프레임의 한지점에만 연결되어 해당 연결지점에 하중이 집중되는 종래기술에 비해, 하중에 의해 인양 고리부(300)와 인양본체(100) 및 상단 보강프레간의 연결부위가 파단 되어 분리될 가능성이 최소화 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파단 현상으로 인해 인양함의 추락되어 발생될 안전사고도 방지되고, 기존에 비해 적재물의 적재양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인양본체(100)의 하단부에 별도의 하단 보강부(500)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인양본체(100)의 뒤트림 현상을 더욱 방지함은 물론 인양 고리부(300)와 인양본체 간의 연결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추가로 적용되는 하단 보강부(500)는 상단 보강부(200)와 동일한 구조, 즉 'ㄷ'형태의 하단 보강프레임(510)이 인양본체(100) 하단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각 하단 보강프레임(510)의 후측편이 인양본체(100)의 측부판(130)에 용접연결 된다.
따라서 인양본체(100)는 상단부가 상단 보강부(200)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중간지점이 측부 보강프레임(400)에 보강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하단 보강부(500)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에 따라 뒤틀림 등의 방지효과가 극대화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각 인양 고리부(300)의 각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의 하단부는 각 하단 보강프레임(510)의 상단편(212)과 하단편(21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관통지점은 용접을 통해 일체화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예에서의 인양 고리부(300)는 제1바아(310)와 제2바아(320)가 상단 보강프레임(210)의 상단편(512)과 하단편(514), 인양본체(100)이 측부판(130), 하단 보강프레임(510)의 상단편(512) 및 하단편(514)에 동시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인양 고리부의 설치 강도가 최대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청구항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인양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바닥판 130 : 측부판
200 : 상단 보강부 210 : 상단 보강프레임
212 : 상단편 214 : 하단편
216 : 후측편 300 : 인양 고리부
310 : 제1바아 320 : 제2바아
330 : 고리바아 400 : 측부 보강프레임
500 : 하단 보강부 510 : 하단 보강프레임
600 : 하부연결프레임 700 : 측부연결프레임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인양본체,
    단면이 "ㄷ"자 형태이고 일정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의 상단 보강프레임이 상기 인양본체 상단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단부면이 타 상단 보강프레임의 측부면에 용접되어 있는 상단 보강부,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관통지점 하측 전체 구간이 상기 인양본체 외부 측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1바아, 상기 제1바아와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관통지점 하측 전체 구간이 상기 인양본체 외부 측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2바아 및 상기기 제1바아와 제2바아의 상단부를 연결하되 곡선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인양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고리바아를 갖는 인양 고리부
    를 포함하는
    자재 인양함.
  2. 제1항에서,
    상기 제1바아 및 제2바아 중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의 상하부면 관통지점은 각각 상기 상단 보강프레임과 용접 연결되어 있는
    자재 인양함.
  3. 제1항에서,
    단면이 "ㄷ" 형태로 전측면이 개방된 구조이고 후측면 전체 구간이 상기 인양본체의 외부측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밀착되어 용접연결되어 있는 측부 보강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자재 인양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단면이 "ㄷ"자 형태이고 일정길이를 갖는 바아 형태의 하단 보강프레임이 상기 인양본체 하단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단 보강프레임의 단부면이 타 하단 보강프레임의 측부면에 용접되어 있는 하단 보강부
    를 더 포함하는 자재 인양함.
  5. 제4항에서,
    상기 제1바아와 제2바아는 하단부가 상기 하단 보강프레임의 상단과 하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관통지점이 용접 연결되어 있는
    자재 인양함.
KR1020130164197A 2013-12-26 2013-12-26 자재 인양함 KR20150075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97A KR20150075843A (ko) 2013-12-26 2013-12-26 자재 인양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197A KR20150075843A (ko) 2013-12-26 2013-12-26 자재 인양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43A true KR20150075843A (ko) 2015-07-06

Family

ID=5378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197A KR20150075843A (ko) 2013-12-26 2013-12-26 자재 인양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58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348A (zh) * 2016-03-23 2016-07-1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核心筒梁柱钢管柱内混凝土浇筑施工方法
CN105756356A (zh) * 2016-03-23 2016-07-1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柱筒安装调整对准方法
CN105804402A (zh) * 2016-03-23 2016-07-27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核心筒梁柱钢管柱内混凝土下料浇筑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348A (zh) * 2016-03-23 2016-07-1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核心筒梁柱钢管柱内混凝土浇筑施工方法
CN105756356A (zh) * 2016-03-23 2016-07-1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柱筒安装调整对准方法
CN105804402A (zh) * 2016-03-23 2016-07-27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核心筒梁柱钢管柱内混凝土下料浇筑方法
CN105756356B (zh) * 2016-03-23 2018-01-09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柱筒安装调整对准方法
CN105756348B (zh) * 2016-03-23 2018-05-15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核心筒梁柱钢管柱内混凝土浇筑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687760U (zh) 工程升降起重吊笼
CN107226291B (zh) 罐式集装箱
KR20150075843A (ko) 자재 인양함
CN205907855U (zh) 一种钢管板组合钢板剪力墙
CN105178615A (zh) 一种卸料平台
CN209522050U (zh) 一种预制墙板整体运输架
KR200465321Y1 (ko) 지게차에 설치되는 방파제 구조물 이송용 지그
CN104481071B (zh) 一种装配式的组合楼板总成及其制作工艺
CN204173756U (zh) 一种大型薄壁槽体吊运装置
CN105923290B (zh) 一种集装箱钢卷加固方法
CN203667268U (zh) 吊装运输系统及j型吊装运输托架
JP3173693U (ja) 箱型容器の吊り具
CN205527291U (zh) 一种用于吊装两块叠合板的框型架
CN205822508U (zh) 一种剪力墙内的钢板拉筋结构
CN209009113U (zh) 一种铁质周转托盘
KR20150001390U (ko) 리프팅 러그
CN211568797U (zh) 一种用于40吨门机钩头的存放架
CN208361703U (zh) 箍紧吊篮
KR101423687B1 (ko) 강판 운송 및 적층 보관이 가능한 와이어 타입 파렛트
CN203345398U (zh) 圆形储罐运输固定架
CN204356955U (zh) 一种装配式的组合楼板总成
CN204021420U (zh) 一种叉车专用的防坠箱笼
KR20140056450A (ko) 재사용이 가능한 운반용 지지구조
CN208531071U (zh) 钢丝用简易包装箱
KR20150117347A (ko) 선박 블록 받침용 지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