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76Y1 - 파일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파일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76Y1
KR200481676Y1 KR2020160002583U KR20160002583U KR200481676Y1 KR 200481676 Y1 KR200481676 Y1 KR 200481676Y1 KR 2020160002583 U KR2020160002583 U KR 2020160002583U KR 20160002583 U KR20160002583 U KR 20160002583U KR 200481676 Y1 KR200481676 Y1 KR 20048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pedestal
wedge
fixed wed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이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철 filed Critical 이규철
Priority to KR2020160002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이 적재된 H-Beam이나 각목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일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적재된 파일이 구르지 못하도록 파일을 받쳐주는 것으로, 쐐기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고정쐐기와 상기 고정쐐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일이 적재되는 H-Beam 또는 각목에 끼움 고정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파일 지지수단인 각목이나 H-Beam의 구조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볼트 체결작업 없이 고정쐐기를 받침대를 통해 각목이나 H-Beam에 용이하게 끼움 고정할 수 있어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일 고정기구{Support for pile}
본 고안은 파일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파일이 적재된 H-Beam이나 각목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일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의 기초공사를 위해 사용하는 파일을 시공하거나 수거할 때 다수의 파일을 적재해놓고 시공하거나, 수거된 파일을 다수로 적재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보통 건설현장에서는,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이 주로 사용되고 파일의 형태는 시공상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가장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원형의 기둥 형상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파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공간을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로 높이방향으로 쌓아놓고 시공하거나 수거하게 된다.
이렇게 쌓아둔 파일은 형태의 특성상 지면에서 적은 힘에도 쉽게 굴러가게 되어있어서 파일이 구르지 못하게 쐐기형태의 받침목을 이용하여 제일 아래쪽에 있는 파일을 받쳐두고 그 위로 다른 파일들을 적재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시공현장에서는 대부분 지면이 평탄하지 않고 울퉁불퉁한 형태로 되어있어서, 이러한 지면에 파일을 바로 적재하기에는 파일이 안정적으로 적재되지 못하기 때문에 지면 위에 H-Beam이나 각목을 받쳐두고 그 위에 파일을 다층으로 적재하면서 쐐기 형태의 받침목을 받쳐 파일이 구르지 않게 하고 있다.
받침목을 사용할 경우 받침목이 H-Beam이나 각목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빠지는 경우 파일이 구르면서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장비가 파손되거나 파일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1(한국등록실용신안 20-0440440 발명의 명칭 : 파일 안전받침장치)에서는 구멍과 돌기, 또는 볼트결합을 통해 받침대 프레임에 쐐기를 체결하여 파일이 구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1은 H-Beam이나 각목을 사용하지 않고, 받침대 프레임이 쐐기와 구멍, 돌기, 볼트 등으로 결합 되도록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생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시공현장에서도 받침대 프레임에 다수의 쐐기를 각각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시간 지연으로 인해 시공기간이 연장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 실용신안 20-0440440(2008.06.13.)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층으로 적재된 파일을 구르지 않게 지지하기 위한 고정쐐기를 파일이 적재된 H-Beam이나 각목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일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적재된 파일이 구르지 못하도록 파일을 받쳐주는 것으로, 쐐기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고정쐐기;와, 상기 고정쐐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일이 적재되는 H-Beam의 상부 수평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고정쐐기가 설치되는 면을 제공해주는 쐐기설치면과, 상기 쐐기설치면의 폭 방향 양쪽 끝부분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후 다시 상기 받침대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H-Beam의 상부 수평면이 감싸지게 끼워지는 공간을 조성하는 끼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의 한쪽 끝부분에는 파일 고정기구가 H-Beam에 설치된 상태에서 H-Beam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H-Beam의 상부 수평면을 탄성력에 의해 압박 지지하는 집게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게부는, 상기 H-Beam의 상부 수평면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집게와, 상기 상부집게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부 수평면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집게 및 상기 상부집게와 하부집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집게를 항시 상부 수평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H-Beam(30)의 한쪽 끝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2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막음판(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적재된 파일이 구르지 못하도록 파일을 받쳐주는 것으로, 쐐기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고정쐐기;와 상기 고정쐐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일이 적재되는 각목의 상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고정쐐기가 설치되는 쐐기 설치면과, 상기 쐐기설치면의 폭 방향 양쪽 끝부분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각목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공간을 조성하는 끼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적재된 파일이 구르지 못하도록 파일을 받쳐주는 것으로, 쐐기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고정쐐기;와 상기 고정쐐기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1분할 받침대와, 상기 제1분할받침대와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쐐기의 다른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2분할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파일이 적재되는 H-Beam의 상부 수평면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받침대는 상기 고정쐐기가 설치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직자세를 갖는 판 형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구멍이 다수 형성된 쐐기설치면과, 상기 쐐기설치면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쐐기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후 다시 상기 받침대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H-Beam의 상부 수평면이 감싸지게 끼워지는 공간을 조성하는 끼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적재된 파일이 구르지 못하도록 파일을 받쳐주는 것으로, 쐐기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고정쐐기;와 상기 고정쐐기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1 분할 받침대와, 상기 제1 분할받침대와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쐐기의 다른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2 분할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파일이 적재되는 각목의 상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받침대는 상기 고정쐐기가 설치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직자세를 갖는 판 형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구멍이 다수 형성된 쐐기설치면과, 상기 쐐기설치면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쐐기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각목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공간을 조성하는 끼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고정쐐기를 H-Beam이나 각목에 끼워지는 받침대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기존의 H-Beam이나 각목의 구조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하면서 고정쐐기를 H-Beam이나 각목에 손쉽게 끼움 고정시킬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적은 비용으로도 쉽게 제작할 수 있어서 생산 원가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가 H-Beam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에 집게부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에서 분할형 받침대가 고정쐐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가 H-Beam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에서 분할형 받침대가 고정쐐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가 각목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파일을 구르지 않게 지지함에 있어서 기존 지지대로 사용하던 H-Beam이나 각목의 구조를 변경함이 없이 고정쐐기가 일체로 구비된 파일 고정기구를 통해 H-Beam이나 각목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파일 고정기구를 H-Beam에 적용한 제1실시예와 각목에 적용한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가 H-Beam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크게 파일을 받쳐주는 고정쐐기(10) 및 H-Beam에 끼워지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쐐기(10)는 파일(50)이 지지되는 부분에 파일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11)이 형성되고, 상기 파일을 지지하는 끝부분은 파일의 최하부 까지 삽입되어 파일(50)을 지지할 수 있게 뾰족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파일(50)이 적재된 반대편으로 갈수록 경사가 높아지면서 턱을 형성하여 파일(50)이 H-Beam(30)에 적재된 상태에서 구르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고정쐐기(1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H-Beam(30)에 고정쐐기(10)를 끼움 설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러한 받침대는, 상부에는 고정쐐기(10)가 설치되는 쐐기 설치면(21)과, 상기 쐐기 설치면(21)의 양쪽 끝부분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후 다시 받침대(20)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후술하는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이 감싸지게 끼워지는 끼움부(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H-Beam(3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H-Beam의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파일(50)이 적재되는 상부 수평면(31)과, 지면을 지지하는 하부 수평면(32)과, 상기 상부 수평면(31)과 하부 수평면(32)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부 수평면(31)과 하부 수평면(32)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22)는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을 감싸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면의 폭 방향 중앙은 수직 지지부(33)가 관통되며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의 길이 전체로 개방되어 있다.
이때, 끼움부(22)가 조성하는 내부 공간의 폭과 높이는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의 폭과 두께에 대응되는 폭과 높이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끼움부(22)와 H-Beam(30)은 서로 유격 없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건설현장에서 파일(50)을 시공하거나 수거하기 위해 지면에 놓인 H-Beam(30)에 파일(50)을 적재할 때, 받침대(20)가 H-Beam(30)에 끼움 고정된 상태로 고정쐐기(10)가 파일(50)의 한쪽 면을 지지하고 있어서, 고정쐐기(10)가 파일(50)을 지지한 상태에서 밀리거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일(50)이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에 집게부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파일 고정기구에는 파일 고정기구가 H-Beam(30)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일 고정기구가 H-Beam(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집게부(23)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집게부(23)는 받침대(20)의 쐐기 설치면(21)과 일체로 구비되어 상부 수평면(31)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집게(23a)와, 상기 상부집게(23a)의 하부에 상부집게(23a)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부 수평면(31)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집게(23b) 및 힌지에 설치되어 상부집게(23a)와 하부집게(23b)에 상부수평면(31)을 압박 지지하는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23c)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집게(23b)는 받침대(20)와 독립되게 구비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집게부(23)가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을 압박 지지하여 파일 고정기구가 H-Beam(30)에서 밀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건설현장에서 파일을 적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H-Beam(30)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파일 고정기구를 H-Beam(30)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켜 파일(50)이 구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면에 H-Beam(30)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대(20)의 끼움부(22)와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을 결합한다.
이후 H-Beam(30)에 적재될 파일(50)의 크기나 양에 따라 파일(50)이 적재될 위치에 맞게 파일 고정기구를 이동시키고 파일(50)을 적재하면서 파일 고정기구를 파일(50) 측으로 완전히 밀착시켜 파일(50)이 구르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때, 파일이 고정쐐기(10)의 경사면에 밀착 가압되면서 고정쐐기(10)의 경사면에 수평인 힘과 함께 수직인 힘(아래로 눌려지는 힘)도 작용함에 따라 고정쐐기(10)가 H-Beam(30)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20)는 H-Beam(30)과 결합된 상태에서 H-Beam(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적재하고자 하는 파일(50)의 양과 크기에 따라 받침대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파일(50)의 크기와 적재되는 양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20)에 집게부(23)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받침대(20)를 H-Beam(30)과 결합하기 전 집게부(23)를 벌린 상태로 받침대(20)를 H-Beam(30)에 끼운 후 원하는 위치까지 파일 고정기구가 이동되면 집게부(23)를 놓아주어, 스프링(23c)의 탄성력에 의해 집게부(23)가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을 압박 지지하여 파일 고정기구가 H-Beam(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 유지된다.
나아가, H-Beam(30)에서 파일 고정기구가 끼움 결합된 방향의 끝부분에는 막음판(60)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막음판(60)은 볼트를 이용해 고정할 수도 있으나 볼트결합을 위해서는 볼트공을 따로 구비해야 하는 시공상 추가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일(50)이 적재되는 최대량에 따라 H-Beam(30)의 끝부분 까지 파일 고정기구가 이동되더라도 H-Beam(30)에서 받침대(2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 역시 파일을 각목에 적재할 경우 각목의 구조 변경 없이 각목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파일을 각목에 적재 시에 사용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받침대(20)가 끼워지는 방식에 있어서, H-Beam(30)이 아닌 각목(40)에 끼워진다는 점에서 받침대(2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받침대(20) 상부에는 고정쐐기(10)가 설치되는 쐐기 설치면(21)이 구비되고, 상기 쐐기 설치면(21)의 양쪽 끝부분에서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각목(40)의 상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끼움부(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끼움부(22)는 제1실시예와 달리 아래쪽 전체가 개방된‘ㄷ’자 형상으로 되어있어, 각목(40)의 상부에 간단하게 끼우는 동작에 의해 고정쐐기(10)를 각목(40)에 고정하여 파일(5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끼움부(22)가 조성하는 내부 공간의 폭은 각목(40)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끼움부(22)와 각목(40)은 서로 유격 없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각목(40)에서 파일 고정기구가 끼움 결합된 방향의 끝부분에는 막음판(60)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막음판(60)은 금속재질로 되어 관통되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볼트를 이용해 각목(40)에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파일(50)이 적재되는 최대량에 따라 각목(40)의 끝부분 까지 파일 고정기구가 이동되더라도 각목(40)에서 받침대(2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하 고정쐐기의 좌우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분할형 받침대를 H-Beam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에서 분할형 받침대가 고정쐐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가 H-Beam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제1실시예,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받침대(20)가 고정쐐기(10)와 결합되는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고정쐐기(10)와 받침대(20)가 일체로 구비된 반면에 제3실시예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분할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받침대(20)는 서로 대칭하게 이루어진 제1분할 받침대(20a)와 제2분할 받침대(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분할 받침대(20a)는, 수직자세를 갖는 판 형태로 되어, 고정쐐기(10)의 한쪽 측면과 결합되는 쐐기 설치면(21a)이 구비되고, 상기 쐐기 설치면(21a)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쐐기(10)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수평 연장된 끝부분에서 고정쐐기(10)의 아래쪽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 후 다시 받침대(20)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된다.
상기 제2분할 받침대(20b)는, 제1분할 받침대(20a)와 대칭되게 이루어지며, 고정쐐기(10)의 제1분할 받침대(20a)가 결합된 반대쪽에 제1분할 받침대(20a)와 서로 마주보며 결합된다.
이로 인해 H-Bema(30)의 상부 수평면(31)이 감싸지게 끼워지는 끼움부(22)가 구비된다.
이때, 고정쐐기(10)와 받침대(20)는 제1분할 받침대(20a) 및 제2분할 받침대(20b)의 상부에 구비된 쐐기설치면(21a)(21b)에 다수로 형성된 볼트 체결구멍(H)을 통해 고정쐐기(1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12)에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끼움부(22)가 조성하는 내부 공간의 폭은 H-Beam(3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구비되고, 고정쐐기(10)의 폭에 따라 양측에 결합되는 받침대(20)의 폭도 변화된다.
이로 인해 받침대(20)는 파일(50) 적재에 사용되는 H-Beam(30)과 고정쐐기(10)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 역시 파일을 각목에 적재할 경우 각목의 구조 변경 없이 각목에 용이하게 고정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파일을 각목에 적재 시에 사용되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에서 분할형 받침대가 고정쐐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가 각목과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제3실시예와 비교하여 받침대(20)가 끼워지는 방식에 있어서, H-Beam(30)이 아닌 각목(40)에 끼워진다는 점에서 받침대(20)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받침대(20)는 서로 대칭하게 이루어진 제1분할 받침대(20a)와 제2분할 받침대(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분할 받침대(20a)는, 수직자세를 갖는 판 형태로 되어, 고정쐐기(10)의 한쪽 측면과 결합되는 쐐기 설치면(21a)이 구비되고, 상기 쐐기 설치면(21a)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쐐기(10)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수평 연장된 끝부분에서 고정쐐기(10)의 아래쪽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다.
상기 제2분할 받침대(20b)는, 제1분할 받침대(20a)와 대칭되게 이루어지며, 고정쐐기(10)의 제1분할 받침대(20a)가 결합된 반대쪽에 제1분할 받침대(20a)와 서로 마주보며 결합된다.
이로 인해 각목(40)의 상부가 감싸지게 끼워지는 끼움부(22)가 구비된다.
이러한 끼움부(22)는 아래쪽 전체가 개방된‘ㄷ’자 형상으로 되어있어, 각목(40)의 상부에 간단하게 끼우는 동작에 의해 고정쐐기(10)를 각목(40)에 고정하여 파일(5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쐐기(10)와 받침대(20)는 제1분할 받침대(20a) 및 제2분할 받침대(20b)의 상부에 구비된 쐐기설치면(21a)(21b)에 다수로 형성된 볼트 체결구멍(H)을 통해 고정쐐기(10)에 형성된 볼트 체결홀(12)에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끼움부(22)가 조성하는 내부 공간의 폭은 각목(4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구비되고, 고정쐐기(10)의 폭에 따라 양측에 결합되는 받침대(20)의 폭도 변화된다.
이로 인해 받침대(20)는 파일(50) 적재에 사용되는 각목(40)과 고정쐐기(10)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일 고정기구는 고정쐐기를 H-Beam이나 각목에 끼움 고정되는 받침대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파일을 시공하거나 수거하기 위해 적재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받침대 프레임을 제작하거나 또는 고정쐐기를 받침대 프레임에 볼트 결합하는 번거로운 공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사비용과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고정쐐기 11 : 경사면
12 : 볼트 체결홀 20 : 받침대
20a : 제1분할 받침대 20b : 제2분할 받침대
21 : 쐐기 설치면 22 : 끼움부
23 : 집게부 23a : 상부집게
23b : 하부집게 23c : 스프링
30 : H-Beam 31 : 상부 수평면
32 : 하부 수평면 33 : 수직 지지부
40 : 각목 50 : 파일
60 : 막음판

Claims (4)

  1. 적재된 파일이 구르지 못하도록 파일을 받쳐주는 것으로, 쐐기형태의 경사면(11)을 가지는 고정쐐기(10);
    상기 고정쐐기(10)의 한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1분할 받침대(20a)와, 상기 제1분할받침대(20a)와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고정쐐기(10)의 다른 쪽 측면에 결합되는 제2분할 받침대(20b)로 이루어지며, 파일(50)이 적재되는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받침대(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받침대(20)는 상기 고정쐐기(10)가 설치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직자세를 갖는 판 형태로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구멍(H)이 다수 형성된 쐐기설치면(21)과, 상기 쐐기설치면(21)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쐐기(10)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아래로 수직하게 절곡된 후 다시 상기 받침대(20)의 중심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H-Beam(30)의 상부 수평면(31)이 감싸지게 끼워지는 공간을 조성하는 끼움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고정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2583U 2016-05-13 2016-05-13 파일 고정기구 KR200481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83U KR200481676Y1 (ko) 2016-05-13 2016-05-13 파일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583U KR200481676Y1 (ko) 2016-05-13 2016-05-13 파일 고정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101U Division KR200481039Y1 (ko) 2016-01-07 2016-01-07 파일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76Y1 true KR200481676Y1 (ko) 2016-10-31

Family

ID=5723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583U KR200481676Y1 (ko) 2016-05-13 2016-05-13 파일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7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634A (ja) * 1996-10-11 1998-05-12 Nikkari Co Ltd 車両積載荷物の固定装置
KR200440440Y1 (ko) 2007-02-21 2008-06-13 석정건설주식회사 파일 안전받침장치
KR20150000789U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직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634A (ja) * 1996-10-11 1998-05-12 Nikkari Co Ltd 車両積載荷物の固定装置
KR200440440Y1 (ko) 2007-02-21 2008-06-13 석정건설주식회사 파일 안전받침장치
KR20150000789U (ko) *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직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052B1 (en) Structural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CA2867802C (en) Modular safety rail system
CA2741013C (en) Construction frame shear lug
KR101288683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장치
JP6660092B2 (ja) プレテンション付与装置
KR200481676Y1 (ko) 파일 고정기구
KR200481039Y1 (ko) 파일 고정기구
US3219157A (en) Key clamp with lock pin
JP3350818B2 (ja) 耐震建造物構造
CN210459267U (zh) 一种标高可调节的钢结构柱脚
KR200440440Y1 (ko) 파일 안전받침장치
JP2019190001A (ja) 支柱固定用台座
KR20120008752U (ko) 선박구조물 받침구조
CA3082798C (en) Roller cart for excavation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215511008U (zh) 一种预制板材的托盘
CN210888288U (zh) 一种新型公路工程用焊接网隔离栅装置
US10604907B2 (en) Corner roller cart for excavation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217680685U (zh) 一种高层民建外墙穿插防砸棚
KR101341673B1 (ko)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토류판
CN210714074U (zh) 井场防护围栏
JP6294657B2 (ja) 構造物の解体工事あるいは建設工事で使用する柱体昇降支持装置
JP3183188U (ja) 錘ブロック構造体
CN113502814B (zh) 抗疲劳组合房屋的钢结构
US20040261339A1 (en) Safety barrier
KR20120111488A (ko) 파일야적을 위한 플라스틱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