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440Y1 - 파일 안전받침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안전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440Y1
KR200440440Y1 KR2020070003010U KR20070003010U KR200440440Y1 KR 200440440 Y1 KR200440440 Y1 KR 200440440Y1 KR 2020070003010 U KR2020070003010 U KR 2020070003010U KR 20070003010 U KR20070003010 U KR 20070003010U KR 200440440 Y1 KR200440440 Y1 KR 200440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pedestal frame
wedges
pi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영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3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4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단부용 쐐기 및 중간용 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안전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상기 단부용 쐐기와 중간용 쐐기를 고정할 수 있는 구멍, 볼트구멍 또는 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받침대 프레임에 단부용 쐐기와 중간용 쐐기가 체결되어 이루어진 여러 층으로 파일을 적재할 수 있는 파일 안전받침장치(SSPS)에 관한 것이다.
받침대 프레임, 단부용 쐐기, 중간용 쐐기

Description

파일 안전받침장치{Safety Stand for Pile Stockpile}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구체예에 따른 개략적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 구체예에 따른 개략적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A-A'에 따라 본 고안의 제1 구체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 구체예에 따른 개략적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 구체예에 따른 개략적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B-B'에 따라 본 고안의 제2 구체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 구체예에 따른 개략적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의 제3 구체예에 따른 개략적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9도는 제7도의 C-C'에 따라 본 고안의 제3 구체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층으로 파일을 적재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층으로 파일을 적재한 경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 받침대 프레임 5 : 구멍
6 : 볼트구멍 7 : 돌기
10 : 단부용 쐐기 11 : 중간용 쐐기
16 : 쐐기 볼트구멍 20, 21 : 쐐기발
30 : 파일 안전받침장치 31 : 파일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파일을 적재하기 위한 안전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 으로 본 고안은 공사 현장, 공장 등과 같이 파일을 여러 층으로 쌓아둘 필요가 있는 장소에 파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파일 안전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육상 및 해상 등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의 기초는 파일의 관입에 의하여 상부 하중을 지중에 전달하는데, 이러한 파일은 대부분 강관 파일과 콘크리트 파일이 주종을 이루고, 이들의 형상은 대부분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장이나 파일이 사용되는 공사 현장에서는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파일은 통상 여러 층으로 높게 쌓아두게 된다.
이렇게 쌓아둔 파일은 장비를 사용하여 한 본씩 필요한 장소로 옮기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파일의 원형 형상으로 인하여 뒤쪽 또는 앞쪽으로 굴러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파일 적재시 받침목 등의 각종 각재를 깔거나, 구르지 않도록 쐐기 형태의 목재를 받쳐둔다. 이러한 적재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받침목이나 쐐기가 부러지거나 빠져 파일이 굴러 떨어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작업 중인 장비가 손상되거나, 인근 구조물이 부서지는 등의 예기치 못한 피해를 가져온다. 또한 굴러 내린 파일은 그 충격으로 변형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파일 손상을 가져와 그 피해가 가중된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일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강도가 조절된 받침대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쐐기를 고정시켜 파일을 적재할 수 있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 파일을 여러 층으로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일이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적재하여 예기치 못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반복사용과 회수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파일 안전받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은 받침대 프레임(1)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쐐기(10, 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30)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상기 단부용 쐐기(10)와 중간용 쐐기(11)를 고정할 수 있는 구멍(5), 볼트 구멍(6) 또는 돌기(7)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단부용 쐐기(10)와 중간용 쐐기(11)가 체결되어 이루어진 여러 층으로 파일을 적재할 수 있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30)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1, 2 및 3을 참조하면, 받침대 프레임(1)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 구체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은 복수개의 파일의 양 단부를 지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단부용 쐐기(10)와 중간용 쐐기(11)는 각각의 파일이 받침대 프레임(1)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적재되는 복수개의 파일의 양 단부에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를 사용하는 경우 파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대 프레임(1)은 단부용 쐐기(10)와 중간용 쐐기(11)의 쐐기발(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은 제조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구멍(5)이 일체로 형성되고, 적재할 파일의 종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그 강도와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의 강도는 여러 층으로 파일을 적재하는 경우에도 지탱할 수 있도록 파일의 중량 및 크기를 충분히 고려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단부용 쐐기(10)는 받침대 프레임(1)의 양 단부 구멍에 삽입되어 단부의 파일이 바깥 방향으로 굴러 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중간용 쐐기(11)는 각각의 파일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용 쐐기(10) 사이에 적재될 파일의 수와 크기에 적합한 복수개의 중간용 쐐기(11)가 받침대 프레임(1)의 구멍(5) 에 삽입된다. 상기 쐐기(10, 11)의 강도와 크기는 적재될 파일의 크기 및 중량에 맞추어 제조되고, 상기 쐐기(10, 11)의 제조시 받침대 프레임(1)의 구멍(5)에 삽입될 수 있는 쐐기발(20)이 각 쐐기(10, 11)에 1 내지 3 개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단부용 쐐기(10)는 파일이 적재될 경우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므로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고정될 수 있는 쐐기발(20)은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쐐기(10, 11)에 쐐기발(20)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쐐기(10, 11)와 결합되는 받침대 프레임(1)의 구멍(5) 간격과 일치시켜 제조된다.
상기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는 상기 쐐기(10, 11)의 쐐기발(20)이 받침대 프레임(1)의 구멍(5)에 삽입되어 이루어지므로, 적재될 파일의 크기에 따라 삽입되는 구멍(5)을 달리하여 쐐기(10, 11)의 쐐기발(20)을 고정함으로써 각기 다른 크기의 파일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 프레임(1),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는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를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기 용이하고, 적재될 파일의 크기 및 중량에 적합한 쐐기의 종류를 달리하여 여러 종류의 파일을 적재할 수 있다.
도 4, 5 및 6을 참조하면, 받침대 프레임(1)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2 구체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는 받침대 프레임(1)에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가 볼트(15)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은 단부용 쐐기(10)와 중간용 쐐기(11)가 볼트(15)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단면에 볼트 구멍(6)이 형성된다. 이러한 볼트구멍(6)은 받침대 프레임(1)의 제조시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제조 방법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부용 쐐기(10)와 중간용 쐐기(11)의 하단부에는 상기 받침대 프레임(1) 측면의 볼트구멍(6)과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구멍(6)과 크기가 동일한 쐐기 볼트구멍(16)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 볼트구멍(16)은 쐐기(10, 11)가 받침대 프레임(1)에 결합되는 경우 유격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대 프레임(1)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쐐기 볼트구멍(16)이 형성되며, 상기 단부용 쐐기(10)와 중간용 쐐기(11)의 제조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의 볼트 구멍(6)과 쐐기(10, 11)의 구멍(16)을 일치시킨 후 받침대 프레임(1)의 측면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시켜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단부용 쐐기(10)는 받침대 프레임(1)의 단부에 고정되고 중간용 쐐기(11)는 적재될 파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제2 구체예에 따라 받침대 프레임(1)에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를 볼트에 의해 고정시켜 이루어진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는 무거운 파일이나 크기가 큰 파일을 적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받침대 프레 임(1)과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를 볼트에 의해 단단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여러 층으로 파일을 적재하는 경우 파일의 중량에 의해 받침대 프레임(1)으로부터 쐐기(10, 1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 8 및 9를 참조하면, 받침대 프레임(1)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3 구체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는 받침대 프레임(1) 내부의 돌기 사이에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의 쐐기발(21)이 끼워져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은 내부 양쪽 측면에 돌기(7)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조된다. 상기 돌기(7)는 받침대 프레임(1)의 제조시 받침대 프레임(1) 내부의 양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결합되는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는 받침대 프레임(1)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7)의 사이에 결합되는 쐐기발(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쐐기(10, 11)의 강도와 크기는 적재될 파일의 크기 및 중량에 맞추어 제조되고, 상기 쐐기(10, 11)의 제조시 받침대 프레임(1)의 돌기(7)에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쐐기발(21)이 각 쐐기(10, 11)에 1 내지 3 개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단부용 쐐기(10)는 파일이 적재될 경우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이므로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 고정될 수 있는 쐐기발(21)은 두 개 이상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쐐기(10, 11)에 쐐기발(21)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쐐기(10, 11)와 결합되는 받침대 프레임(1)의 돌기(7) 간격과 일치시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쐐기발(21)은 받침대 프레임(1) 내부에 형성된 돌기 간격, 돌기 형상 및 받침대 프레임(1)의 높이를 고려하여 유격 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단부용 쐐기(10)는 받침대 프레임(1)의 단부에 고정되고, 적재될 파일의 종류와 크기에 적합한 중간용 쐐기(11)가 받침대 프레임(1)에 고정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를 사용하여 파일(31)을 여러 층으로 적재한 경우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를 사용하여 파일(31)을 적재한 후 바로 그 위에 상기 파일 안전받침 장치(30)를 사용하여 파일(31)을 적재하는 방식으로 여러 층의 파일(31)을 쌓을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 많은 파일을 적재하는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파일 안전받침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공장, 공사 현장 등의 협소한 공간에 여러 층으로 파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비록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범위에서 청구된 고안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받침대 프레임(1) 및 상기 받침대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쐐기는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단부용 쐐기(10) 및 상기 2개의 단부용 쐐기(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받침대 프레임(1)과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중간용 쐐기(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에는 쐐기발(20, 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는 상기 쐐기발(20, 21)이 고정될 수 있는 복수개의 구멍(5) 또는 돌기(7)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
  4. 받침대 프레임(1) 및 상기 받침대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쐐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쐐기는 상기 받침대 프레임(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단부용 쐐기(10) 및 상기 2개의 단부용 쐐기(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받침대 프레임(1)과 결합되는 1개 이상의 중간용 쐐기(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용 쐐기(10) 및 중간용 쐐기(11)에는 쐐기 볼트구멍(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 프레임(1)에는 상기 쐐기 볼트구멍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볼트구멍(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쐐기(10, 11)와 받침대 프레임(1)이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안전받침 장치.
KR2020070003010U 2007-02-21 2007-02-21 파일 안전받침장치 KR200440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10U KR200440440Y1 (ko) 2007-02-21 2007-02-21 파일 안전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10U KR200440440Y1 (ko) 2007-02-21 2007-02-21 파일 안전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440Y1 true KR200440440Y1 (ko) 2008-06-13

Family

ID=4164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010U KR200440440Y1 (ko) 2007-02-21 2007-02-21 파일 안전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44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039Y1 (ko) 2016-01-07 2016-08-05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200481676Y1 (ko) 2016-05-13 2016-10-31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20210001221U (ko) 2019-11-25 2021-06-02 성병준 콘크리트 기둥 적재용 받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039Y1 (ko) 2016-01-07 2016-08-05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200481676Y1 (ko) 2016-05-13 2016-10-31 이규철 파일 고정기구
KR20210001221U (ko) 2019-11-25 2021-06-02 성병준 콘크리트 기둥 적재용 받침대
KR20210001790U (ko) 2019-11-25 2021-08-03 성병준 콘크리트 기둥 적재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718B1 (en) Construction safety railing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for storage, transport, and installation
US7614511B2 (en) Locking cross bar
KR101800327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US20120247058A1 (en) Supporting multiple mats
KR200440440Y1 (ko) 파일 안전받침장치
US7387470B2 (en) Stackable concrete forming apparatus components
WO2014071011A2 (en) Elevated equipment assemblies, equipment-supporting platforms, and related methods
JP2018040169A (ja) 飛散防止装置
JP6151337B2 (ja)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US20090050405A1 (en) Scaffold base device for stabilizing scaffolding
JP5596230B2 (ja) 積荷ユニット、特に、コンクリート製パイロン部分セグメントの保護足
KR100811158B1 (ko) 절곡된 금속부재의 적재 및 운반용 파렛트
KR20100033627A (ko) 작업용 발판
KR101938988B1 (ko) 메쉬망을 이용한 토류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5437142B2 (ja) テントフレーム
JP6163661B1 (ja) パネル式防護柵の横ずれ防止金具及び構造
KR20050120606A (ko) 건축용 안전발판
KR200481676Y1 (ko) 파일 고정기구
CN213062983U (zh) 可拆卸式卸料平台
JP7083243B2 (ja) 補強土壁に設置する安全柵
JP6109275B1 (ja) 立体倉庫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KR200481039Y1 (ko) 파일 고정기구
JP5968390B2 (ja) 仮設足場
JP6522217B1 (ja) 壁鉄筋の配筋方法、鉄筋材の揚重補助装置及び揚重装置
KR20180072420A (ko) 건설용 가설자재 전용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