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174B1 -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174B1
KR102481174B1 KR1020210150507A KR20210150507A KR102481174B1 KR 102481174 B1 KR102481174 B1 KR 102481174B1 KR 1020210150507 A KR1020210150507 A KR 1020210150507A KR 20210150507 A KR20210150507 A KR 20210150507A KR 102481174 B1 KR102481174 B1 KR 10248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ransmission line
underground
positioning system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황현
Original Assignee
전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황현 filed Critical 전황현
Priority to KR102021015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3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in pavem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은, 내부에 송전선로를 수용하여 지층에 매설되는 ┗┛형 단면의 콘크리트 지지대; 매설된 송전선로를 따라 각각이상기 송전선로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표면에 설치되며, 장방형의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삽입되며 내부중앙에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상부면에 일정간격마다 LED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에삽입되는 LED설치대를 포함하는 LED램프조립체; 및 상기 콘크리트 지지대의 양쪽 수직부와 LED램프조립체의 양단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와,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의 제작검증 설치검증 및 정상동작검증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관찰장치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Transmission line positioning system in underground}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심으로 송전선로가 매설된위치에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송전선로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 화려한 미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력에 의한 LED램프 조립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파손 등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발전되어 최종 수요처인 공동주택이나 건축물까지 설치되는 송전선로는 안전과 미감을 위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매설된 송전선로는 매설된 위치가 명확하지 않을 경우 관리가 어려워 도로 등의 보수를 위한 굴착작업시, 파손될 위험이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47876호(2008.07.23.)에는 '공동주택의 지중케이블 위치 및 도로경계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중케이블 표시장치는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LED램프 조립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파손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47876호(2008.07.23.) '공동주택의 지중케이블 위치 및 도로경계 표시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심으로 송전선로가 매설된 위치에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송전선로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 화려한 미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력에 의한 LED램프 조립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파손 등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초기 제공을 위한 준비시점에서부터 설치 운용 전반에 이르는 부분에서 시스템의 검증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가능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사후에 입증자료로 제공가능하여 문제의 발생원인과 배상책임 등을 명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하여 즉각적인 실시간 조치가 가능하여 대량 작업과 대량 설치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오류와 피해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대상을 모니터하고, 주변 기후적 환경 혹은 동작조건 및 오염 노출상황 등에 대응하여 전체적 혹은 일부분의 보호수납, 동작의 선택적 제어 등이 가능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니터수단 자체의 내진구조와 충격완화를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있는 동작이 가능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은, 내부에 송전선로를 수용하여 지층에 매설되는 ┗┛형 단면의 콘크리트 지지대; 매설된 송전선로를 따라 각각이상기 송전선로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표면에 설치되며, 장방형의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삽입되며 내부중앙에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상부면에 일정간격마다 LED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에삽입되는 LED설치대를 포함하는 LED램프조립체; 및 상기 콘크리트 지지대의 양쪽 수직부와 LED램프조립체의 양단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과,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의 제작검증 설치검증 및 정상동작검증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관찰장치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심으로 송전선로가 매설된 위치에 표시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송전선로의 위치를 가시적으로확인할 수 있으면서 화려한 미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LED램프 조립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초기 제공을 위한 준비시점에서부터 설치 운용 전반에 이르는 부분에서 시스템의 검증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가능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사후에 입증자료로 제공가능하여 문제의 발생원인과 배상책임 등을 명확히 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하여 즉각적인 실시간 조치가 가능하여 대량 작업과 대량 설치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오류와 피해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검증과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다수의 대상을 모니터하고, 주변 기후적 환경 혹은 동작조건 및 오염 노출상황 등에 대응하여 전체적 혹은 일부분의 보호수납, 동작의 선택적 제어 등이 가능한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서 탄성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서 LED램프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서 LED램프조립체를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서 LED램프조립체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보호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보호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하판과 밀착수단이 홈부로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주요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는 내부에 송전선로(2)를 수용하여 지층(1) 내에 매설되는 ┗┛형 단면의 콘크리트 지지대(10), 매설된 송전선로(2)를 따라 각각이 상기송전선로(2)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표면에 설치되는 LED램프조립체(30) 및 상기 LED램프조립체(30)의 양단부를 콘크리트 지지대(10)의 수직부에 각각 탄성적으로 연결시키는 탄성연결부재(50)를 포함한다.상기 콘크리트 지지대(10)는 내부에 송전선로(2)를 수용하여 지층(1) 내에 매설되는 ┗┛형 단면의 콘크리트 부재로서, 양측면의 상단에는 삽입홈(11)이 각각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에는 ┰형 단면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긴 삽입구(12)가 각각 삽입되어 다수의 나사(14)로 고정결합된다. 상기 삽입홈(11)의 상부면에는 매설볼트(13)가 일정간격마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매설볼트(13)는 하기의 탄성연결부재(50)와 연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LED램프조립체(30)는 매설된 송전선로(2)를 따라 연속적으로 지표면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각각의 LED램프조립체(30)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송전선로(2)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LED램프조립체(30)는 지표면에 노출되는 외부케이스(31), 상기 외부케이스(31)의 내부에 결속되는 내부케이스(35), 상기 내부케이스(35)의 내부에 삽입되며 다수의 LED가 설치된 LED설치대(39) 및 상기 LED설치대(39)
를 일측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구(42)와 고정대(43)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31)는 장방형의 사각통으로서, 도 5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부에는 개방부(32)가 구비되어 상기 내부케이스(35)가 개방부(32)를 통하여상하로 요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31)는 내부의 양측면에 결속홈(33)이 형성되며, 하부면에 전후에 각각 관통공(34)이 천공된다.
상기 내부케이스(35)는 외부케이스(31) 내에 삽입되는 투명아크릴로 형성된 부재로서, 내부 중앙에 LED설치대(39)가 삽입되는 수용홈(36)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결속부(37)가 각각 수평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결속부(37)는 결속홈(33)에 삽입되는 부분인데, 상기 결속부(37)의 두께는 결속홈(33)의 폭보다 작으므로,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수용된 내부케이스는 그 차이만큼 상하로 요동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5)는 하부면 전후에 각각 상기 관통공(34)과 일치하는 볼트공(38)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31)의 관통공(34)과 내부케이스(35)의 볼트공(38)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탄성연결부재(50)가 연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LED설치대(39)는 내부케이스(35)의 수용홈(36)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부면에는 LED(40)가 일정간격마다설치되어 있어서, 전원이 인가될 때 점등됨으로서 송전선로(2) 및 도로경계의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42)와 고정대(43)는 LED설치대(39)를 일측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는 부재로서, 상기 지지구(42)는 일측면에 LED설치대(39)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LED설치대(39)의 일측단부와 결속되고, 상기 고정대(43)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44)에 상기 지지구(42)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LED설치대(39)가 삽입된 내부케이스(35)를 외부케이스(31)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구(42)와 고정대(43)를 각각 끼운 다음, 다수의 고정볼트(45)로 외부케이스(31)의 개방된 측면에 상기 고정대(43)를 고정결합시킴으로써 LED램프 조립체(30)가 완성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LED설치대(39)의 플러그(41)는 도면상에서는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전선이배선되어 있는 지지구(42)에 연결됨으로써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스위치(46)를 켜면 전원이 인가되어 LED(40)가 점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탄성연결부재(50)는 상기 LED램프조립체(30)의 양단부를 콘크리트 지지대(10)의 수직부에 각각 탄성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재로서, 연결관(51), 한 쌍의 자석(54), 너트형 연결구(55) 및 볼트형 연결구(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51)은 중앙이 막힌 관형의 부재로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폐쇄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폐쇄부(52)의 양쪽에는 양단부에 철재의 단부판(53a)이 장착된 스프링부재(53)가 각각 삽입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재(53)의 외측에는 자석(54)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측에는 철재로 형성된 너트형 연결구(55)와 볼트형 연결구(56)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너트형 연결구(55)는 콘크리트 지지대(10)와 연결되고, 상기 볼트형 연결구(56)는 LED램프 조립체(30)와 연결된다. 상기 너트형 연결구(55)는 일단부에 헤드부(55b)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 너트부(55a)가 형성되어 있어서, 자석(54)이 스프링부재(53)의 단부판(53a)과 헤드부(55b)를 양쪽으로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너트형 연결구(55)의 너트부(55a)가 매설볼트(13)와 나사결합됨으로써 탄성연결부재(50)와 콘크리트 지지대(10)를 상호 연결시킨다.
상기 볼트형 연결구(56)는 일단부에 헤드부(56b)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 볼트부(56a)가 형성되어 있어서, 자석(54)이 스프링부재(53)의 단부판(53a)과 헤드부(56b)를 양쪽으로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형 연결구(56)의 볼트부(56a)가 외부케이스(31)의 관통공(34)을 통하여 내부케이스(35)의 볼트공(38)에 나사결합됨으로써 LED램프 조립체(30)와 탄성연결부재(50)를 상호 연결시킨다.
즉, 상기 탄성연결부재(50)는 콘크리트 지지대(10)와 LED램프 조립체(30) 사이에서 너트부(55a)와 매설볼트(13)가 결합하고 볼트부(56a)가 관통공(34)을 통해 볼트공(38)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지지대(10)와 LED램프 조립체(30)를 상호 탄성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지표면에 노출된 LED램프 조립체(30)가 통행인 등에 의해 하중을 받아도 스프링부재(53)에 의해 탄지되는 내부케이스(35)가 일정폭 만큼 상하로 요동할 수 있어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부케이스(35,31) 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100)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100)는 내,외부케이스(35,31) 간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외부케이스(35,31)의 양측틈새가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면서 외력에 의한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보호부(100)는 외력에 의해 LED램프 조립체(30)가 원활하게 승,하강되면서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보호부(100)는 내부케이스(35)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면서 내,외부케이스(35,31) 간을 덮는 보호커버(110), 보호커버(110)의 상부를 내부케이스(35)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0) 및 보호커버(110)의 하부를 외부케이스(31)에 고정하는 밀착수단(130)을 포함한다.
보호커버(110)는 내부케이스(35)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내,외부케이스(35,31) 간을 덮어 외부로부터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커버(110)는 내부케이스(35)의 상부로 밀착되는 상판(111), 외부케이스(31)로 밀착되는 하판(112) 및 상,하부판(111,112)을 연결하는 연결판(113)을 포함한다.
내부케이스(35)는 상부 양측에 보호커버(110)의 상부가 인입되는 함몰부(35a)가 형성된다. 외부케이스(31)는 상부 양측에 하부판(112)이 인입되는 홈부(31a)가 형성된다.
상판(111)은 수평을 이루면서 함몰부(35a)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하부판(112)은 수직을 이루면서 홈부(31a)로 인입된다. 연결판(113)은 곡면을 이루면서 외력에 의한 상판(111)의 승,하강에 따른 탄발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커버(110)는 일정 강도를 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커버(110)는 내,외부케이스(35,31)와 접하는 하부면에 밀착부재(114)가 구비되면서 내,외부케이스(35,31)로 의 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120)는 함몰부(35a)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121) 및 돌기(121)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22)을 포함한다.
보호커버(110)는 상부에 결합공(110a)이 형성되면서 고정부재(120)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고정부재(120)는 함몰부(35a)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결합공(110a)은 고정부재(120)에 대응되도록 보호커버(1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형성된다. 걸림턱(122)은 결합공(110a)을 통과하여 상판(111)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상판(111)이 내부케이스(35)에 고정되도록 한다.
걸림턱(122)은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덮혀지면서 상부에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밀착수단(130)은 홈부(31a)로 인입되면서 하판(112)을 외부케이스(31)에 결속하는 결속바(131)를 포함한다. 결속바(131)는 하판(112)과 함께 홈부(31a)로 인입되면서 하판(112)이 홈부(31a)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결속바(131)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성보강을 위해 내측에는 보강바(132)가 구비될 수 있다. 결속바(131)는 일측에 돌기(133)가 형성되고, 외부케이스(35)는 홈부(31a)를 이루는 내측면에 인입홈(31b)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바(131)는 하판(112)과 함께 홈부(31a)로 인입되면서 압착되는 한편, 돌기(133)가 인입홈(31b)으로 인입되면서 홈부(31a)로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호부(100)는 내,외부케이스(35,31) 간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LED램프 조립체(30)가 원활하게 승,하강되면서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를 참조하면,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은, 내부에 송전선로를 수용하여 지층에 매설되는 ┗┛형 단면의 콘크리트 지지대; 매설된 송전선로를 따라 각각이상기 송전선로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표면에 설치되며, 장방형의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삽입되며 내부중앙에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상부면에 일정간격마다 LED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에삽입되는 LED설치대를 포함하는 LED램프조립체; 및 상기 콘크리트 지지대의 양쪽 수직부와 LED램프조립체의 양 단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를 포함하며,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의 제작검증 설치검증 및 정상동작검증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관찰장치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관찰장치는,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모듈이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상기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관찰장치는, 상기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상기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31')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이 무회전되는 일반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수용모듈(310')이 축회전되는 회전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되, 상기 제1감시부(CM1)는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감시부(CM2)는 상기 제1감시부(CM1)와 대향하도록 상기 수용모듈(310')의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와 대향하는 제2영역과,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의 대향하는 제3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장착체(341')와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장착체(3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장착체(341')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되며,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3온도조절부(333')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모듈(31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1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1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1강도보다 약한 제2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2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은, 각각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1장착체(341')와 상기 제2장착체(34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가동모듈(2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구동패널(352')과,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 사이에 구비되는 하방가동모듈(360')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일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4온도조절부(361')가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의 상부 타측는 상부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5온도조절부(36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제2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제1동작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2유체분사를 수행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제2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한다.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는 상기 제1장착체(341')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되며,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는 상기 제2장착체(342')의 대향하는 위치로 구비된다.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3장착체(370')와 상기 제3장착체(370') 좌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3장착체(370') 우측에 위치되며, 상부로 돌출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5장착체(37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제1감시부(CM1)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감시부(CM2) 중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제4온도조절부(361')와 대향하는 제4영역과, 상기 제5온도조절부(362')와 대향하는 제5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유체분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4장착체(371')와 상기 제5장착체(372')는, 상기 제2동작모드를 급정지 시키도록 기설정된 제3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3정지모드와, 상기 제2동작모드를 점진적으로 정지 시키도록 상기 제3강도보다 약한 제4강도로 상기 수용모듈(310')을 누르는 제4정지모드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1구동패널(351')과 상기 제2구동패널(352')은, 상기 제1기동모듈과 상기 제2기동모듈로부터 상하로 제2위치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방가동모듈(360')은, 상기 제2위치이동에 기반하여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상기 제3장착체(370'), 상기 제4장착체(371') 및 상기 제5장착체(372')의 누름정도가 저감 혹은 보강되도록 한다.
상기 관찰장치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기둥모듈(1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1고정모듈(4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위치고정시키는 제2고정모듈(51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기둥모듈(1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1연장부(1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모듈(410')은, 하부의 제1본체패널(411')과, 상기 제1본체패널(4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1서브압입모듈(4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패널(411')은 상기 제1연장부(1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1압입모듈(412')은 상기 제1연장부(1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은 상기 제1기둥모듈(1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제2기둥모듈(210')은 하방단부에 외주면이 축소된 제2연장부(2101')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모듈(510')은, 하부의 제2본체패널(511')과, 상기 제2본체패널(511')의 상부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압입모듈(5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2서브압입모듈(51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본체패널(511')은 상기 제2연장부(2101')가 거치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은 상기 제2연장부(2101')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하며,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상기 제2기둥모듈(210')의 둘레부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을 기반으로 압입을 수행하되, 상기 제1서브압입모듈(413')과 상기 제2서브압입모듈(513')은 각각 상기 제1압입모듈(412')과 상기 제2압입모듈(512')에서 둘레방향 회전과 함께 상기 제1기둥모듈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향하여 둘레방향회전과 함께 근접이동이 가미되어 압입을 수행한다.
상기 제1압입모듈(412')의 상부에 제1연장바(4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1고정플랜지(4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2압입모듈(512')의 상부에 제2연장바(513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 상단에 설치되는 제2고정플랜지(513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1연장바(4131')는 상기 제1기둥모듈(1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 외측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2연장바(5131')는 상기 제2기둥모듈(210')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1연장바(4131')와 상기 제2연장바(5131')의 하강에 기반하여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가 상기 제1기둥모둘(110')과 상기 제2기둥모듈(210')을 하부로 당겨 고정력을 부여한다.
상기 관찰장치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관체(610')가 덮어지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제1고정플랜지(4132')와 상기 제2고정플랜지(5132')에 안착되며, 상기 보관체(610')는 상기 관찰장치을 밀폐시켜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상기 유체분사와 상기 제2유체분사에 따라 유체가 내부 충진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지층 2 : 송전선로
10 : 콘크리트 지지대 30 : LED램프 조립체
40 : LED 50 :탄성연결부재

Claims (2)

  1. 삭제
  2.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은
    내부에 송전선로를 수용하여 지층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지지대;
    매설된 송전선로를 따라 각각이 상기 송전선로와 직각을 이루도록 지표면에 설치되며, 장방형의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내부중앙에 수용홈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상부면에 일정간격마다 LED가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LED설치대를 포함하는 LED램프조립체; 및
    상기 콘크리트 지지대의 양쪽 수직부와 LED램프조립체의 양단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한 쌍의 탄성연결부재; 로 구성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과,
    상기 송전선 위치확인 시스템의 제작검증 설치검증 및 정상동작검증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관찰장치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찰장치는,
    일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1기둥모듈(110')과,
    타측에 위치되는 바 형상의 제2기둥모듈(210')과,
    상기 제1기둥모듈(11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기둥모듈(210')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몸체(215')와,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대향하는 양측 사이에 설치되며 촬영을 수행하는 관리모듈이 장착되는 바 형상의 수용모듈(310')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모듈은 제1감시부(CM1)와 제2감시부(CM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모듈(310')은,
    일측면에 상기 제1감시부(CM1)가 장착되며 타측면에 상기 제2감시부(CM2)가 장착되며,
    상기 제1구동몸체(115')와 상기 제2구동몸체(215') 사이에서 설정반경으로 축회전되며,
    상기 관찰장치는,
    상기 제1구동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구동몸체(215')의 상부로 설치되는 제2서브기둥모듈(220')과,
    상기 제1서브기둥모듈(120')과 상기 제2서브기둥모듈(220')의 대향하는 양측으로 설치되는 가동패널(320')과,
    상기 가동패널(32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모듈(310')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상방가동모듈(330')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부(331')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의 좌측에 해당되는 상기 가동패널(320')의 일측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부(332')가 구비되며,
    상기 상방가동모듈(330')은 하부에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관리모듈에 대한 온도를 조절하는 제3온도조절부(3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온도조절부(331')와 상기 제2온도조절부(332')는 상기 수용모듈(310')에 대한 유체분사를 통해 설정오도로의 냉각 또는 히팅을 수행하되,
    상기 수용모듈(310')이 무회전되는 일반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동작모드와,
    상기 수용모듈(310')이 축회전되는 회전상태에서 상기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2동작모드로 동작 가능하되,
    상기 제1감시부(CM1)는 상기 수용모듈(310')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2감시부(CM2)는 상기 제1감시부(CM1)와 대향하도록 상기 수용모듈(310')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동작모드를 통해 상기 제1감시부(CM1)와 상기 제2감시부(CM2)에 상기 유체분사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KR1020210150507A 2021-11-04 2021-11-04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KR10248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07A KR102481174B1 (ko) 2021-11-04 2021-11-04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507A KR102481174B1 (ko) 2021-11-04 2021-11-04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174B1 true KR102481174B1 (ko) 2022-12-26

Family

ID=8454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07A KR102481174B1 (ko) 2021-11-04 2021-11-04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1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76B1 (ko) 2008-04-02 2008-07-2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공동주택의 지중케이블 위치 및 도로경계 표시장치
KR101291102B1 (ko) * 2013-04-29 2013-08-01 박순섭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20200079091A (ko) * 2018-12-24 2020-07-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워터 그리드 맞춤형 기계 과부하시 오감기술을 이용한 무인 수처리 시스템
KR102135388B1 (ko) * 2020-04-11 2020-07-17 (주) 에스엠엔디 발전소 초고압 선로 감시 시스템
KR102259752B1 (ko) * 2020-11-30 2021-06-02 제일항업(주)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876B1 (ko) 2008-04-02 2008-07-2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공동주택의 지중케이블 위치 및 도로경계 표시장치
KR101291102B1 (ko) * 2013-04-29 2013-08-01 박순섭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보호패널
KR20200079091A (ko) * 2018-12-24 2020-07-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워터 그리드 맞춤형 기계 과부하시 오감기술을 이용한 무인 수처리 시스템
KR102135388B1 (ko) * 2020-04-11 2020-07-17 (주) 에스엠엔디 발전소 초고압 선로 감시 시스템
KR102259752B1 (ko) * 2020-11-30 2021-06-02 제일항업(주)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7670C (zh) 用于机械连接建筑构件的连接件
KR102481174B1 (ko)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KR102199024B1 (ko) 도심 지중배전선로의 위치 표시장치
KR101171870B1 (ko) 현장조립식 상수도 맨홀 구조
US9638381B2 (en) In-ground light fixture system with improved installation closure mechanism and drainage
KR2007010794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JP3165719U (ja) 設備用基礎構造物
CN211012958U (zh) 一种用于自动化监测的分段式全站仪监测站
JP4464359B2 (ja) ケーブルトンネル用セントル及びケーブルトンネル覆工におけるケーブルトレイ取付用埋込金物の設置方法
JP5743919B2 (ja) フロアヒンジ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KR102357003B1 (ko) 철골조 공동주택 건축물의 외단열 시스템 제공방법
JP4317769B2 (ja) 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の基礎構造
KR100609472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JP2006161407A (ja) コンクリート躯体壁面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JPH0452254Y2 (ko)
KR102518986B1 (ko) 지중 송전선로 보호시스템 제공방법
JP4211095B2 (ja) 弾性滑り支承を基礎と構造物との間に設置する方法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JP3821296B2 (ja) 組立式防火塀及びその施工方法
JP4757420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トンネルの脱着型応力開放装置並びに該装置のボックスカルバートトンネルへの取付け施工方法
KR102464140B1 (ko) 방수기능을 갖춘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단자함 시스템 제공방법
JP4390550B2 (ja) 天井下地工法、天井下地接着構造、天井構成材接着ユニット
JPS5833289Y2 (ja) 合成樹脂板の取付け構造
JPH0875269A (ja) 屋外設備機器取付具
CA2548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barrier op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