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752B1 -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752B1
KR102259752B1 KR1020200164514A KR20200164514A KR102259752B1 KR 102259752 B1 KR102259752 B1 KR 102259752B1 KR 1020200164514 A KR1020200164514 A KR 1020200164514A KR 20200164514 A KR20200164514 A KR 20200164514A KR 102259752 B1 KR102259752 B1 KR 10225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pport
lower support
base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제일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항업(주) filed Critical 제일항업(주)
Priority to KR102020016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Abstract

항공촬영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항공촬영 운용 시스템은,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130'), 상기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110') 및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120')을 구비한 도화기(100')와;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0')를 구비한 저장장치(200')와;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1100');를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및 상기 함체(1100')가 설치되는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1100')와 상기 함체(1100') 주변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AVIATION PHOTOGRAPH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항공촬영 기술 분야 중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촬영과 관련하여,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에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상의 적어도 일부 구성으로서 예컨데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에 대한 동작 및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이러한 함체주변부의 대상물을 모니터링하여 항공촬연 운영을 위한 보안과 동작 안정성 등 다양한 부분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에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자동으로 인식해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야 한다. 아울러 이러한 부분외에도 시스템 전반의 효율적인 운용과 관리, 설치, 유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을 모두 만족시키는 기술이 부재하거나 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352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항공촬영과 관련하여,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에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상의 적어도 일부 구성으로서 예컨데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에 대한 동작 및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이러한 함체주변부의 대상물을 모니터링하여 항공촬연 운영을 위한 보안과 동작 안정성 등 다양한 부분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시스템의 구성인 예컨데, 함체 등의 모니터링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모니터링 수단의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도록 동작하여 시스템 운용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하고, 유지 관리 보수 비용을 절감시켜 안정적, 효율적 시스템 구현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항공촬영 운용 시스템은,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130'), 상기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110') 및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120')을 구비한 도화기(100')와;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0')를 비한 저장장치(200')와;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1100');를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및 상기 함체(1100')가 설치되는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1100')와 상기 함체(1100') 주변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지지대(1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대(20);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대(30); 상기 상측 지지대(3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가로대(4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의 구비되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1삽입패드(130)가 구비되는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마주하는 제2베이스패널(2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타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2삽입패드(230)가 구비되는 제2대향패널(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대향패널(1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3삽입패드(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4삽입패드(240)가 구비되는,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각각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에서 하부로 일정거리 유동되어, 상기 제1삽입패드(130) 내지 상기 제4삽입패드(240)를 통해, 상기 하측지지대(10)를 당김 고정시키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는 중앙받침구(310)가 구비되되, 일측상부의 제1끼움돌기(411)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하부에 체결되며, 타측상부의 제2끼움돌기(511)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치지도제작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공촬영과 관련하여,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에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상의 적어도 일부 구성으로서 예컨데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에 대한 동작 및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이러한 함체주변부의 대상물을 모니터링하여 항공촬연 운영을 위한 보안과 동작 안정성 등 다양한 부분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의 구성인 예컨데, 함체 등의 모니터링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모니터링 수단의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도록 동작하여 시스템 운용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하고, 유지 관리 보수 비용을 절감시켜 안정적, 효율적 시스템 구현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 내 좌표점에 대해 항공삼각측량으로 좌표값을 입력하는 종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순차 도시한 예시적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에서 수치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예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함체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함체를 구성하는 물탱크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의 씰링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함체 내부에 설치되는 흡기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모니터링장치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 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서 사전에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이하 '촬영이미지')을 합성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고정밀 항공촬영영상, 즉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제작한다.
참고로, 고정밀 항공촬 영상이미지, 즉 촬영이미지는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밀도를 높인 상태로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이며, 수치지도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화이미지에 등고선 및 각종 정보가 삽입된 지형이미지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형이미지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촬영이미지에 기초해서 사전에 작성해야 한다. 이렇게 완성된 지형이미지에는 기준점이 구성되는데,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지형이미지를 합성 및 연결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형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 사전에 완성해야 하는 도화이미지를 도화작업을 통해 제작하는 시스템으로서 보다 정밀하면서 사용자가 지형 이해가 쉽도록 하고, 도화 작업자의 작업 효율과 편의가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도화기(100')와, 저장장치(200') 및 후술되는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1100, 도 8 참조')를 포함한다.
보통, 도화기(100')는 플립 구조로 된 한 쌍의 입출력수단(130')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지점의 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수단(130')에 동시에 출력시키면서 도화 작업자가 도화 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촬영이미지는 상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130')에 출력하고,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작업한 도화이미지는 하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130')에 출력할 수 있는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모든 입출력수단(130')에 촬영이미지를 출력시키고, 이 중 한 곳에서 상기 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이미지가 오버레이어(Over Layer') 형태로 도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저장장치(200')는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0')를 포함한다. 촬영이미지는 항공촬영된 이미지들로서, 위치와 배율 등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링크해 저장한다. 도화이미지는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완성된 지상 이미지로서, 이웃하는 도화이미지 간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이미지 간의 배율은 물론 상기 경계에 위한 지상물이미지의 형상을 일체화시킨다. 저장장치(200')는 도화기(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도화기(100')는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는 표정처리수단(110')과 도화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입출력수단(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출력시킴은 물론, 각종 입력값을 입력시킨다. 상기 입력값은 도화 작업자가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입력기기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화면 터치방식은 공지, 공용의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입력기기 방식은 키보드, 조이스틱 등과 같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표정처리수단(110')과 도화수단(120')은 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상기 입력값에 따라 입출력수단(130')을 통해 출력시키고, 상기 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저장장치(200')에 저장하며, 상기 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새롭게 편집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표정처리수단(110')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표정처리모듈(115')과, 이미지분석모듈(111')과, 경계확인모듈(112')과, 좌표확인모듈(113')과, 보정모듈(114')을 포함한다. 이미지분석모듈(111')은 표정처리 과정 중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상기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전체 모양을 분석한다.
경계확인모듈(112')은 분석된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고, 더 나아가 상기 지상물이미지 내부의 경계를 확인한다. 상기 촬영이미지는 색깔로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경계확인모듈(112')은 상기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계확인모듈(112')은 지상물이미지(GI, 도 5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는 층경계확인모듈(112a')과, 지상물이미지(GI', 도 6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되는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하는 종경계확인모듈(112b')과, 지상물이미지(GI,GI'')의 그림자를 확인하는 그림자확인모듈(112c')과, 촬영이미지 내 지상에서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공간을 확인하는 구역설정모듈(112d')로 구성된다.
층경계확인모듈(112a'), 종경계확인모듈(112b'), 그림자확인모듈(112c') 및 구역설정모듈(112d')에 대한 구성은 후술한다. 좌표확인모듈(113')은 상기 좌표점의 지상물이미지 내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더불어서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해당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여부 또한 확인한다. 보정모듈(114')은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만 통일시켜서 상기 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정모듈(114')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표정처리모듈(115')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모듈로서, 후술하는 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 처리를 진행한다. 도화수단(120')은 표정처리된 촬영이미지를 대상으로 도화해서 도화이미지를 완성하고, 완성된 상기 도화이미지를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시스템의 동작순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S10:내부표정 단계] 내부표정(Interior Orientation')은 촬영이미지 자체가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는 카메라의 특성, 대기의 굴절, 지구의 곡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왜곡이발생한다. 이와 같은 왜곡으로 촬영이미지상에서 왜곡이 없는 경우 (x'a,y'a')의 좌표이어야 할 지점이 왜곡으로 인해서(xa,ya')의 좌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왜곡을 갖는 항공사진의 각 좌표 (xa,ya')를 왜곡이 보정된 새로운 좌표 (x'a,y'a')로 재배열시키는 것이 내부표정이다. 아날로그 항공사진의 경우 내부표정을 위해서는 항공사진의 주점을 도화기의 출력 중심에 일치시키고 초점거리를 도화기의 눈금에 맞춘다. 즉, 도화기에서 스캐닝된 영상 좌표와 주점을 기준으로 하는 항공사진 좌표와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도 2에서 보인 도화기(100')를 활용해서 디지털 항공사진에 대한 내부표정 작업은 좌표 정립과 이를 기초로 한 이미지 편집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은 입출력수단(130')에 출력된 촬영이미지에 대한 표정처리를 디지털 편집처리로 진행한다. [S20:상호표정 단계] 내부표정이 카메라 내부의 광학적 환경을 재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데 비해 외부표정(Exterior Orientation')은 카메라와 대상 물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외부 표정은 다시 그 목적에 따라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 및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으로 구성된다.
상호표정은 내부표정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호표정은 입체모델의 좌표를 취득함과 동시에 공액점에 대한 종시차를 제거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된다. 상호표정을 통해 모든 종시차가 소거된 한 쌍의 사진은 완전한 입체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입체모델은 한쪽 사진을 고정한 상태에서 두 사진의 상대적인 관계를 규정한 것이므로 축척과 수평이 제대로 맞지 않으며 실제의 지형과 정확한 상사 관계를 이루지 못한다.따라서, 입체모델을 실제의 지형과 맞추기 위해서는 3차원 가상 좌표인 모델좌표를 대상좌표(object spacecoordinate system')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참고로, 상호표정에 쓰이는 요소는 좌우투사기의 x,y,z 각 축 둘레의 회전 ω1,ω2,Ψ1,Ψ2,x1,x2 가운데서 독립된 5개를 취한다. [S30:절대표정 단계] 상호표정 단계(S20')에서 맞추지 못한 실제 지형과 이미지 간의 축적, 수준치, 수평위치 등에 대한 상사 관계를 맞추기 위해서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을 진행한다. 절대표정 시에는 최소 3점의 지상기준점(예를 들어, 표정점의 좌표')을 알아야 하며, 소요되는 점수가 입체 모형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삼각측량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 선정 및 측량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항공삼각측량은 지상기준점 측량을 통해 수행된다. 항공삼각측량은 항공사진상에서 무수한 좌표점들을 관측한 다음 소수의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관측된 무수한 좌표점들의 좌표값을 전자계산기를 통해 절대 혹은 측지좌표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이상 설명한 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 상호표정 및 절대표정은 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에 의해 진행되고, 이를 통해 촬영이미지는 균일화 및 규격화되어 실측에 상응하는 축척, 수준치 및 수평위치에 맞도록 처리된다. 도화를 위해 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이 촬영이미지를 표정처리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의 공지, 공용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각 표정에서 적용되는 연산식과 법칙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은 촬영이미지 내 모든 좌표점의 좌표값을 무조건 연산하지 않고 지상에서 지정된 위치의 좌표점 또는 지상물이미지 내에서도 지정된 좌표점의 좌표값만을 연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의 표정처리수단(110')은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에서 유효한 좌표점만을 분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보강된 기능을 통해 도화 과정에서 도화 작업자는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밀하면서도 정확한수치지도의 기초가 되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다. [S40:도화단계] 표정처리수단(110')에 의해 표정처리가 완료된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완성된 도화이미지는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은 상기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절대표정 과정에서 좌표점을 보정하는데, 이에 대한 절대표정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에서 수치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31:이미지 모양 확인단계]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은 표정처리를 위한 대상 촬영이미지를 촬영이미지DB(210')에서 검색하고, 이미지분석모듈(111')은 검색한 상기 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GI,GI'')를 구분한다.
이미지분석모듈(111')은 지상물이미지(GI,GI'')가 촬영이미지의 다른 배경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서 입출력수단(130')으로 출력되는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픽셀단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1차로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을
확인한다. 즉, 이미지분석모듈(111')은 촬영이미지를 색깔을 기준으로 모양을 구분하는 것이다. [S32:층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이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112')은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해서 배경으로부터 지상물 이미지를 구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에 촬영된 지상물이미지(GI')는 평면이미지(10')뿐만 아니라 측면이미지(20')까지 노출된다. 한편, 건축물과 같은 일반적인 지상물은 지면과 접하는 하층경계선(21') 부분과, 평면과 측면이 접하는 상층경계선(11') 부분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이룬다. 한편,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물이미지(GI')의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는 명암 및 실제 색상 차이 등으로 인해서 명확한 경계 차이를 보인다.
결국, 경계확인모듈(112')의 층경계확인모듈(112a')은 촬영이미지의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특정지점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에 반복을 관측하게 되고, 이렇게 관측하게 된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GI')로 1차 추정한다. 따라서, 층경계확인모듈(112a')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기 위해서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의 경계라인이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한다. 여기서, 한 쌍의 경계라인 중 폐구간을 이루는 경계라인은 상층경계선(11')으로 보고, 남은 하나의 경계라인은 하층경계선(21')으로 본다. [S33: 지상물 확인단계] 경계확인모듈(112')을 구성하는 층경계확인모듈(112a')은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하나 한 쌍이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112')을 구성하는 종경계확인모듈(112b')을 구동시켜서 해당 구역의 지상물이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상물의 상층경계는 옥상에 해당하므로 항공촬영시 간섭없이 전체가 모두 촬영되나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면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므로 항공촬영시 이웃하는 다른 구조물(ex; 조경, 이웃 건물 등')에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상물 자체에 의해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고, 그림자 등에 의해 간섭될 수도있다. 결국,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상층경계의 촬영이미지인 상층경계선(11') 대비 상기 하층경계의 촬영 이미지인 하층경계선(21')은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 아닌 것으로 판독될 수 있는 것이다. [S34:종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촬영이미지내 해당 구역에서 층경계확인모듈(11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 대비 하층경계선(21')의 평행비율이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층경계확인모듈(11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방향에 대한 모서리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계라인인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한다.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는 지상물이미지(GI'')에서 측면이미지(20')에 해당하므로 도 6에 도시한바와 같이 해당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종경계선(31,32,33')의 확인은 층경계확인모듈(112a')이 촬영이미지로부터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종경계확인모듈(112b')이 촬영이미지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명암 및 실제 색상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GI'')인 경우엔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질 것이다. 결국,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경계선(31,32,33')을 추출하고, 더불어서 종경계선(31,32,33')이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촬영이미지 내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한다. 여기서,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이 서로 나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한정해 확인한다.
한편,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되면,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 중 가장긴 종경계선 또는 하층경계선(21')과 접하는 종경계선(31, 32')을 확인한다. 해당하는 종경계선이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의 하층경계의 위치를 상기 종경계선의 말단으로 결정한다. [S35:명암확인단계]경계확인모듈(112')의 그림자확인모듈(112c')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에 색깔을 확인해서 그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지상물은 햇빛에 의해 그림자를 자연 형성시키므로 항공촬영시 상기 그림자는 당연 촬영되고, 지상물이미지(GI,GI'')에는 그림자이미지가 당연히 형성된다.
따라서, 경계확인모듈(112')의 층경계확인모듈(112a')과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확인하고,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자이미지가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GI,GI'')로 최종 결정한다. 참고로,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중심으로 지정된 색상(ex; 암색')의 이미지가 균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면 그림자확인모듈(112c')은 상기 이미지를 그림자이미지로 간주한다. 동일 촬영이미지에서는 그림자이미지가 지상물이미지를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고, 색상 또한 암색 계열의 동일한 색상을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림자확인모듈(112c')에는 그림자이미지를 구별하도록 그 기준이 입력된다. 결국, 그림자확인모듈(112c')은 입력된 기준에 따라 그림자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림자이미지의 존재가 확인되면 1,2차 추정된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최종 결정한다. [S36:구역설정단계]구역설정모듈(112d')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확정된 상기 구역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기준으로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를 구분한다.여기서, 하층경계선(21')은 일부만이 확인되는데 반해 상층경계선(11')은 경계라인 전체가 모두가 확인되므로 구역설정모듈(112d')은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 형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서 하층경계선(21')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하층경계선(2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촬영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미지(GI,GI'')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므로 지상물이미지(GI,GI'')는 촬영이미지 내 점유하지 않는 위치까지 점유하면서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입체적으로 표현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대상이 고층빌딩인 경우, 실제로 위치하지 않는 촬영이미지 내좌표점까지 상기 고층빌딩의 위치로 입력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구역설정모듈(112d')은 층경계확인모듈(112a')에 의해 확인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를 이미지편집 기술 등을 통해 하층경계선(12')의 해당 구간으로 이동시켜서 미완성 형태의 하층경계선(12')이 상층경계선 (11')과 같이 폐구간을 이루는 특정 형상의 이미지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역설정모듈(112d')은 상층경계선(11') 전체를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12') 중 서로 평행하는 부분이 만나도록 한다. 결국, 상층경계선(11')으로 둘러싸인 평면이미지(10')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하는 촬영이미지 내 일지점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평면이미지(10')의 이미지 편집 방식을 통해서, 구역설정모듈(112d')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촬영이미지 내 구역 범위를 확인한다. [S37;좌표점 확인단계] 좌표확인모듈(113')은 촬영이미지 내 구성되는 좌표점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에 각각 2개의 좌표점(PP2,PP3')이 구성된 것으로 예시한다. 좌표확인모듈(113')의 좌표점 확인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표확인모듈(113')은 층경계확인모듈(112a')과 종경계확인모듈(112b')이 확인한 지상물이미지(GI,GI'')의 전체 범위와, 구역설정모듈(112d')이 확인한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만의 범위에 위치한 각각의 좌표점(PP2,PP3')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서 'PP2' 좌표점과 'PP3' 좌표점이 확인되었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에서 'PP3' 좌표점만이 확인되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PP2' 좌표점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가 아니고 'PP3' 좌표점만이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임을 확인하였다. 좌표확인모듈(113')은 이러한 기준을 통해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을 'PP3'로 확인한다. 즉, 구역설정모듈(112d')에 의해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으로 확인된 범위 내에 있는 좌표점만을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S38:좌표점 보정단계] 보정모듈(114')은 유효한 좌표점으로 결정된 'PP3' 좌표점을 제외하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 위치한 좌표점을 확인해서 삭제하는 보정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해당 촬영이미지의 데이터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수치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수작업 보정과정에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S39:항공삼각측량단계]표정처리모듈(115')은 항공삼각측량 기술을 기반으로 지상기준점(SP1,SP2,SP3, 도 1 참조')을 이용해서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점(PP3')에 대한 좌표값을 연산하고, 이를 통해 해당하는 수치데이터를 촬영이미지에 입력한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표정처리수단(110')을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은 기판 형태를 갖고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함체(1100')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된다.
이때, 상기 함체(1100')의 전면에는 도어(11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장된 기판 형태의 모듈을 수리, 보수 혹은 교체할 때 열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만, 상기 도어(1112')는 매우 한정적으로 개방되는 것이므로 평상시에는 거의 개방되지 않으므로 함체(1100')는 거의 밀폐된 상태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런데, 기판 형태를 갖는 표정처리수단(110')을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은 고속신호처리가 요구되므로 많은 열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미세먼지들도 함께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열을 방열시키거나 별도의 냉각구조를 갖지 않게 되면 열화에 의해 표정처리수단(110')의 급속한 수명단축이 이루어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며, 또한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세먼지가 회로에 끼면서 회로를 통한 신호처리시 오류를 유발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체(1100')에 냉각유닛(1200')과 흡기유닛(1300')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덧붙여,이하 설명되는 냉각유닛(1200')과 흡기유닛(1300')의 구동전원은 표정처리수단(110')을 구동하기 위해 함체(1100')로 제공되는 상용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혹은 어댑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냉각유닛(1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냉각유닛(1200') 구현을 위해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어 있는구조를 가져야 하며,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상기 냉각유닛(1200') 및 흡기유닛(13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실리카겔(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실리카겔(SCA')은 교체할 수 있도록 제2격벽(W2')의 일부에 배출구(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이 전제조건이다.
이러한 전제조건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 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연결된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연결된 배수관(124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제1챔버(CH1')에 물, 즉 냉각수(상온보다 낮으면 됨')가 채워짐으로써 내부가 냉각되게 되고, 그 냉기는 함체(1100') 내부로 전도되어 함체(1100') 내부에서 발열에 의해 승온된 열을 냉각시켜 표정처리수단(110')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챔버(CH1') 내부에 냉각용 물이 채워져 있는 관계로 제1격벽(W1')의 외측에서는 결로 현상에 의해 수분이 생길 수 있다. 이 수분이 함체(1100') 내부로 유입되면 안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제2챔버(CH2')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제2챔버(CH2')에는 흡습제인 구형상의 실리카겔(SCA')이 채워져 있어 혹시라도 생길지모를 수분을 빨아들여 수분이 함체(1100')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처리하게 된다.
그러다가 일정 주기가 되면 컨트롤러(CTR')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펌프(1220')가 구동되고, 이 물펌프(1220')의 흡입압에 의해 물탱크(1210') 내부의 냉각용 물이 흡수관(1230')을 통해 물펌프(1220')로 유입된 후 배출단을 거쳐 제1챔버(CH1')로 공급되고, 그런 다음 배수관(1240')을 통해 다시 배출되어 물탱크(1210')로 회귀되는 냉각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냉각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물탱크(1210')와 물펌프(1220')는 소형으로서 설치 사용하는데 공간적 제약을 전혀 받지 않는다.
또한, 오래 사용시 물탱크(1210') 내부의 물의 온도가 올라가 냉각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10의 예시와 같이, 물탱크(1210')의 바닥면(1212')에는 열전소자(12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260')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공지된 소자로서, TEM소자로 잘 알려져 있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1260')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1212')는 특별한 구조로 씰링되어야 하므로 씰링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바닥면(1212')에 일정크기의 냉각판(1250')이 인서트 성형된다. 이 경우, 상기 냉각판(125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혹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냉각판(1250')은 상기 바닥면(1212')의 두께보다 얇게 인서트 성형하여 냉각판(1250') 하부에 설치홈(125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1252')에는 열전소자(1260')의 흡열쪽이 접지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1260')는 상기 컨트롤러(CTR')의 제어신호하에 전원공급이 스위칭되어 동작하게 되며, 흡열쪽이 상기 냉각판(1250')에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열전소자(1260')로부터 발생된 냉기는 냉각판(1250')으로 전도되고, 이 냉각판(1250')이 물속에 있기 때문에 그 물을 상온보다 낮게 냉각시키게 된다.
아울러, 열전소자(1260')의 발열쪽은 외부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때문에, 열전소자(1250')가 가동되면 물탱크(1210') 내부는 냉각되고, 그 반대쪽은 방열된다. 이러한 열전소자(1250')은 큰 냉각은 아니지만, 물탱크(1210')에 저수된 물을 상온 이하로 냉각시키는데 문제가 없다. 여기에서, 상기 열전소자(1260')의 방열쪽은 고정브라켓(1270')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브라켓(1270')은 바닥면(1212')의 저면에 나사고정되고, 고정브라켓(1270')의 판면에는 일정크기의 방열홀(1272')이 뚫려 있다. 특히, 상기 열전소자(1250')의 안전한 설치를 위해 상기 설치홈(1252')의 둘레에는 열전소자(1260')의 둘레면이 특수접착제로 접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특수접착제는 혹시 모를 누수를 대비하여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수지 40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실리콘수지는 대표적인 발수성 수지이면서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은 방수성 유기물로서 발수성을 증대시켜 접착력 저하를 막으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수밀성 접착용 수지이다. 아울러, 상기 흡기유닛(1300')은 도 11의 예시와 같이, 함체(110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흡기유닛(1300')은 유닛하우징(1310')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하우징(131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는 하우징커버(1312')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유닛하우징(1310')의 내부 공간은 한 쌍의 구획벽(1320')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320')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에는 흡기송풍기(1330')가 설치되며, 전원은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CTR')에 의해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흡기송풍기(1330')는 흡입단(1332')이 상기 하우징커버(1312')를 향하도록 상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커버(1312')에는 상기 흡입단(1332')에 맞춰 망체로 된 흡기구멍(1314')을 갖춘다. 또한, 상기 구획벽(1320')에는 상기 흡기송풍기(1330')의 배출단(1334')이 연통되는 배출구멍(1322')이 형성된다. 따라서, 흡기송풍기(1330')의 구동에 의해 흡입단(1332')을 통해 흡입된 미세먼지는 흡기송풍기(1330')의 배출단(1334')을 통해 한 쌍의 구획벽(1320') 사이에 형성된 1차 포집공간(S')으로 모이게 된다. 아울러, 상기 1차 포집공간(S')의 양측 단변에는 다수의 더스트배출공(1324')이 형성되며, 그 외측인 유닛하우징(1310')의 외벽면에는 포집박스(134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포집박스(1340')의 양측면에는 미세먼지필터(1342')가 구비되어 더스트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공기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먼지필터(1342')는 혜파필터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상의 모니터링장치에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항공촬영 운용 시스템은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130'), 상기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110') 및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120')을 구비한 도화기(100')와;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0')를 구비한 저장장치(200')와;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1100');를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및 상기 함체(1100')가 설치되는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1100')와 상기 함체(1100') 주변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따. 이하에서,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니터링 장치>
전술한 내용 및 도 12 내지 도 16를 참조하면, 삼단 일체형 CCTV 지주(1)는 하측 지지대(10), 연결 지지대(20), 상측 지지대(30), 가로대(40), 제어함(50), 빗물 유입 방지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삼단 일체형 CCTV 지주(1)는 하측 지지대(10), 연결 지지대(20) 및 상측 지지대(30)가 순차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며, 하측 지지대(10)가 지상에 고정되며, 하측 지지대(10), 연결 지지대(20) 및 상측 지지대(30)는 모두 파이프 형태로 철,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가로대(40)가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40)의 단부 에는 감시 카메라(41)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로대(40)가 상기 상측 지지대(3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상부와 상기 가로대(40)의 단부에 와이어 고리(42)를 설치하여 와이어(43)를 통해 상기 가로대(4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가로대(40)의 중량에 의한 하중이 와이어(43)에 의해서 상측 지지대(30)로 다시 전달되고 지지되므로, 상기 가로대(40)가 상기 상측 지지대(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연결 지지대(20)와 제어함(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연결 지지대(20)는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상단과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에 통과공이 형성되며, 전후방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공간에 제어함(50)이 장착되고, 빗물 유입 방지구(60)는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부 통과공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함(50)의 상부면과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사이에 체결된다. 상기 하측 지지대(10)의 상단,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하단과 상기 제어함(50)의 하단에는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공(23)이 형성되어 제1 체결부(21)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단,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하단과 상기 빗물 유입 방지구(60)에는 각각 대응되는 제2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제2 체결부(22)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연결 지지대(20)는 상기 제어함(50)의 외측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부와 상기 제어함(50)의 상부 사이에 빗물 유입 방지구(60)가 체결되어, 상기 빗물 유입 방지구(6)는 상기 상측 지지대(30)의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제어함(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한다. 상기 제어함(50)의 일측면에는 도어(52)가 결합되어 있다. 즉 도어(5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어함(5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함(50)의 내부에는 송풍팬(51)이 내장되고 상기 제어함(50)의 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51)은 상기 제어함(50) 내부의 열기 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송풍팬(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함(50) 내의 열기 또는 습기가 배출구로 배출되고, 통기공을 통해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어함(50) 내의 장비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하측 지지대(10)와 상측 지지대(30) 사이에 연결 지지대(2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연결 지지대(20)의 내부에는 제어함(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어함(50)의 내부에는 CCTV의 동작 및 제어를 위한 기능들을 담당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함(5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송풍팬(51)의 회전을 통해 배출구를 통과하여 제어함(50) 내부의 열기와 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따라서, 지주 내의 제어함(50)과 송풍팬(51)을 갖춰서 배기를 담당하여 제어함(40) 내부와 지주 내부의 습기와 열기를 지주의 바깥으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제어함(50) 내 부품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함(50)의 하면에 형성된 통과공과 하측 지지대(10)의 내부를 통해 지면에서 올라온 전선들이 상기 제어함(50)의 제어부로 이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함(5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과공, 빗물 유입 방지구(60)에 형성된 통과공과 상측 지지대(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감시 카메라(41)에 전선이 연결된다. 전선은 상기 제어함(50)의 제어부로부터 감시 카메라로 전력 및 제어신호를 송출하고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한 연상과 음성 데이터를 전송받는 전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연결 지지대(20)와 상기 제어함(50)의 사이 공간에는 충격흡수제(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제(70)는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내부와 상기 제어함(50)의 외부를 채워 지주를 더지지하며, 도로 위에서 생기는 강한 충격에 의해 제어함(5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들 및 도 21을 참조하면, 수치지도제작 시스템으로서, 3개의 지지대(183’)를 이용하여 확인대상지점으로 결정된 지표면 상에 설치되고 설치지점 간의 수평거리를 정밀측정하는 다수의 지리정보 수집장치(100’)와; 지리정보 수집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지리정보에 따라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지형정보 또는 지리정보를 실시간 보완 갱신하는 지도정보 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리정보 수집장치(100’)는 상기 지지대(183’)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대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고정기구(280’); 및 받침고정기구(280’)와 받침고정기구(280’) 주변부에 구비되어 다양한 위치로 필요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지지대(1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대(20);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대(30); 상기 상측 지지대(3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가로대(4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의 구비되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1삽입패드(130)가 구비되는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마주하는 제2베이스패널(2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타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2삽입패드(230)가 구비되는 제2대향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대향패널(1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3삽입패드(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4삽입패드(2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각각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에서 하부로 일정거리 유동되어, 상기 제1삽입패드(130) 내지 상기 제4삽입패드(240)를 통해, 상기 하측지지대(10)를 당김 고정시키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는 중앙받침구(310)가 구비되되, 일측상부의 제1끼움돌기(411)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하부에 체결되며, 타측상부의 제2끼움돌기(511)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모니터링 감시장치(100)은, 상기 중앙받침구(310)와 일측으로 대향하며 제1피스톤(412)으로 연동되며, 상부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외측하단부를 받치는 좌측받침구(413)와, 상기 중앙받침구(310)와 타측으로 대향하며 제2피스톤(512)으로 연동되며, 상부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외측하단부를 받치는 우측받침구(5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받침구(310)는 상기 제1끼움돌기(411)와 상기 제2끼움돌기(511)를 내부측방향으로 각각 유동시키며, 상기 좌측받침구(413)는 상부에 구비된 제1가벽돌기(414)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외측 단부를 우측방향으로 눌러 고정하며, 상기 우측받침구(513)는 상부에 구비된 제2가벽돌기(514)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외측 단부를 좌측방향으로 눌러 고정하며, 상기 중앙받침구(310)는 상기 제1피스톤(412)과 상기 제2피스톤(512)을 통해 상기 좌측받침구(413)와 상기 우측받침구(513)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을 고정시키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상부에는, 상기 제1대향패널(120)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하부받침구(611)와, 상기 제1하부받침구(61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연결패널(612)과 상기 제1연결패널(612)의 상부로 구비되며, 제1내측돌기(6131)로 상기 제1대향패널(120)에 걸림고정되는 제1상부받침구(6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상기 제2대향패널(220)의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하부받침구(711)와, 상기 제2하부받침구(711)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연결패널(712)과 상기 제2연결패널(712)의 상부로 구비되며, 제2내측돌기(7131)로 상기 제2대향패널(220)에 걸림고정되는 제2상부받침구(7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부받침구(611)는 상기 제1연결패널(612)을 통해 상기 제1상부받침구(613)를 하부이동시키며, 상기 제2하부받침구(711)는 상기 제2연결패널(712)을 통해 상기 제2상부받침구(713)를 하부이동시켜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을 하부로 고정시키며, 상기 제1상부받침구(613)와 상기 제2상부받침구(713)의 상부로는 덮개패널(P)이 구비되며, 상기 덮개패널은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의 상방단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측지지대(10)를 옆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상부받침구(613)와 상기 제2상부받침구(713)는 상기 덮개패널을 연동수단(L1, L2)으로 당겨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상부에는 수평이동되는 제1유동플레이트(811)가 구비되며, 높이방향에 제1돌기(812)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돌기로 상기 제1연결패널(612)을 눌러 가압하며,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상부에는 수평이동되는 제2유동플레이트(911)가 구비되며, 높이방향상에 제2돌기(912)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돌기로 상기 제2연결패널(712)을 눌러 가압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도화기 110’: 표정처리수단
120’: 도화수단 130’: 입출력수단

Claims (1)

  1. 항공촬영 운용 시스템으로서,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130'), 상기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110') 및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120')을 구비한 도화기(100')와;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0')를 구비한 저장장치(200')와;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이 탑재되는 함체(1100');를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및 상기 함체(1100')가 설치되는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1100')와 상기 함체(1100') 주변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측지지대(1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 지지대(20); 상기 연결 지지대(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대(30); 상기 상측 지지대(30)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 가로대(40);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의 구비되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1삽입패드(130)가 구비되는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마주하는 제2베이스패널(2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타측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높이방향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직사각의 제2삽입패드(230)가 구비되는 제2대향패널(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대향패널(1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3삽입패드(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높이방향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의 일측 하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지지대(10)로 장착되는 정사각의 제4삽입패드(2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대향패널(120)과 상기 제2대향패널(220)은 각각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에서 하부로 일정거리 유동되어, 상기 제1삽입패드(130) 내지 상기 제4삽입패드(240)를 통해, 상기 하측지지대(10)를 당김 고정시키며,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과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는 중앙받침구(310)가 구비되되, 일측상부의 제1끼움돌기(411)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110)의 하부에 체결되며, 타측상부의 제2끼움돌기(511)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210)의 하부에 체결되는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KR1020200164514A 2020-11-30 2020-11-30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KR102259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14A KR102259752B1 (ko) 2020-11-30 2020-11-30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14A KR102259752B1 (ko) 2020-11-30 2020-11-30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752B1 true KR102259752B1 (ko) 2021-06-02

Family

ID=7637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14A KR102259752B1 (ko) 2020-11-30 2020-11-30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7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174B1 (ko) * 2021-11-04 2022-12-26 전황현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KR102494440B1 (ko) * 2022-09-22 2023-02-06 주식회사 도명메타 영상이미지와 도화정보를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US20230215165A1 (en) * 2022-01-05 2023-07-06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fluid leaks based on aerial imagery
KR102620554B1 (ko) * 2023-05-23 2024-01-03 네이버시스템(주) 기준점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811B1 (ko) * 2016-12-07 2017-10-10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796182B1 (ko) * 2017-03-06 2017-11-10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삼단 일체형 cctv 지주
KR101933521B1 (ko) 2018-06-11 2018-12-28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은폐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83244B1 (ko) * 2019-11-13 2020-03-02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811B1 (ko) * 2016-12-07 2017-10-10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지아이에스(gis)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장치
KR101796182B1 (ko) * 2017-03-06 2017-11-10 주식회사 태정이엔지 삼단 일체형 cctv 지주
KR101933521B1 (ko) 2018-06-11 2018-12-28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은폐된 지형지물에 대한 촬영이미지를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83244B1 (ko) * 2019-11-13 2020-03-02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174B1 (ko) * 2021-11-04 2022-12-26 전황현 지하시설물의 지중송전선로 위치확인 시스템
US20230215165A1 (en) * 2022-01-05 2023-07-06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fluid leaks based on aerial imagery
KR102494440B1 (ko) * 2022-09-22 2023-02-06 주식회사 도명메타 영상이미지와 도화정보를 합성 처리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620554B1 (ko) * 2023-05-23 2024-01-03 네이버시스템(주) 기준점 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752B1 (ko)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KR101948802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US20170236299A1 (en) 3D Scene Scanner and Position and Orientation System
KR101901673B1 (ko) 기준점대의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 갱신 시스템
KR102333010B1 (ko)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5745514A (zh) 用于基于照相机的位置和取向测量的系统和方法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CN107003600A (zh) 包括观察大场景的多个数字照相机的系统
US102557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tellite data capture for telecommunications site modeling
US20180041907A1 (en) Virtual 360-degree view modification of a telecommunications site for planning, engineering, and installation
CN110487253A (zh) 一种基于多旋翼无人机高精度不动产测量方法
CN111602335A (zh) 太阳光发电装置的模拟方法、系统及程序
JP2023509137A (ja) パノラマ3次元画像をキャプチャ及び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0334164B2 (en) Virtual 360-degree view of a telecommunications site
KR102527648B1 (ko)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210445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474068B1 (ko)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를 통해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간편하게 도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0849324A (zh) 一种长曝光倾斜摄影隧道全息测量方法
CN107809611A (zh) 一种水利工程720°全景漫游实时监控方法及系统
KR102124841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12105873B (zh) 室内空调机设置方向显示装置
KR102337843B1 (ko)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KR102325635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EP3287988A1 (en) Modelling system and method
KR102049766B1 (ko) 항공 촬영된 지형지물 이미지를 도화하는 공간 영상 도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