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841B1 -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841B1
KR102124841B1 KR1020200009822A KR20200009822A KR102124841B1 KR 102124841 B1 KR102124841 B1 KR 102124841B1 KR 1020200009822 A KR1020200009822 A KR 1020200009822A KR 20200009822 A KR20200009822 A KR 20200009822A KR 102124841 B1 KR102124841 B1 KR 10212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round
spatial
photograph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비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비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비전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0000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01C11/30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triangulation
    • G01C11/34Aerial triang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공확보 영상이미지에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면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때 지상물의 직상방에서 최대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정확도가 높은 수치지도 제작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기준점을 제공하는 지상기준점유닛이 지면에 매립설치되는 경우 오염에 의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원활하고 정확한 지상기준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A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that upgrade aerial photographed images}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 기술 분야 중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영상도화를 위하여 확보된 다수의 이미지에 각각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공간영상도화 과정에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공간영상도화 이미지의 신뢰도를 높이면서 항공 이미지를 확보할 때 지상물의 직상방에서 최대한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지상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정확도가 높은 공간영상도화 작업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기준점을 제공하는 지상기준점유닛이 지면에 매립설치되는 경우 오염에 의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원활하고 정확한 공간영상도화용 지상기준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도화 또는 전자지도화를 위한 공간영상도화용 이미지는 비행체를 이용하여 고공에서 확보된 다수 이미지를 기초로 제작되고, 지상기준점 등을 기초로 확보된 이미지에 표시된 각 좌표점 또는 지상기준점 들에 대한 좌표값 등의 수치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영상도화 처리와 표정처리 과정에서 합성되어 전자지도로 변환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행체를 이용하여 고공에서 확보된 공간영상도화용 이미지는 공지, 공용의 통상적인 공간영상도화 처리와 표정처리로 해당 수치데이터가 합성되는데, 이러한 합성은 표정처리 과정 중 절대표정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 1은 고공확보된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 이미지 내 각 좌표점에 대해 항공삼각측량으로 해당 좌표값을 입력하는 종래 방식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고공확보된 이미지에는 입체형상의 지상물이미지가 확보되고, 지상물이미지 내 각 좌표점(PP1,PP2,PP3)은 항공삼각측량을 통해 수치데이터가 연산 입력된다.
그런데 고공확보된 영상이미지는 일정한 고도의 일반저인 비행체에서 지상의 이미지를 확보한 것이므로, 이미지 장치 또는 카메라의 직하방에 위치한 지상물에 대한 이미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상물은 측면의 이미지가 확보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고공에서 지상이미지 확보중 해당 비행체는 이동중에 있으므로, 평면이미지가 확보되는 지상물은 랜덤하게 적은 숫자로 선택될 수밖에 없고, 그 외 대부분의 지상물은 측면 이미지가 확보된다.
결국, 고공확보 영상이미지에 담긴 대부분의 지상물 이미지는 직상방에서 확보된 것과 같은 평면이미지가 아닌 측면의 이미지가 확보된 상태이고, 공간영상도화와 표정처리 과정을 통해 최종 합성된 이미지 내의 지상물이미지는 측면이 노출된 상태 이므로 공간영상도화 작업을 진행하는 사람(이하 '도화 작업자')은 측면이 노출된 지상물이미지로 가득한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공간영상도화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곤란함이 있었다.
또한, 항공삼각측량은 3곳 이상의 지상기준점(SP1,SP2,SP3)을 기초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 내 각 좌표점(PP1,PP2,PP3)의 좌표값인 수치데이터를 연산해서 입력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지상물이미지의 평면과 측면이 고공확보 영상이미지에 함께 출력되면서 동일한 지상물이미지에 서로 다른 위치의 좌표점인 'PP2'와 'PP3'가 확인되어 연산 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결국, 표정처리중 항공삼각측량 과정에서 동일한 지상물이미지에 전혀 다른 좌표값이 입력되면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읽거나 이러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기초로 공간영상도화된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읽어 처리하는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정밀 동작에 한계를 일으켰다.
물론,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도화 작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항공삼각측량후 지상물이미지에 입력된 좌표값을 통일시키는 보정작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별도 보정작업은 도화 작업자에게 고공확보 이미지 내 각 지상물이미지를 일일이 체크해 보정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주었고, 상대적으로 지상물이미지가 많이 촬영된 도심지에 대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 보정의 경우 수작업으로 처리되는 특성상 미보정으로 인한 오차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지상기준점(SP1,SP2,SP3)을 제공하는 지상기준점유닛이 지면에 매립설치되는 경우 오염에 의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되었으며, 자체 전원을 갖추지 않아 배터리 교체에 따른 관리상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06802호(2009.07.01.), 고공확보 이미지의 지형 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에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면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때 지상물의 직상방에서 최대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정확도가 높은 수치지도 제작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기준점을 제공하는 지상기준점유닛이 지면에 매립설치되는 경우 오염에 의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원활하고 정확한 지상기준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촬영이미지 및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130), 상기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110) 및 공간영상도화작업을 진행하는 공간영상도화수단(120)을 구비한 공간영상도화기(100)와;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공간영상 도화이미지DB(220)를 구비한 저장장치(200)와; 항공삼각측량시 3곳 이상의 지상기준점(SP1,SP2,SP3)을 제공하되 지면에 매립설치되는 지상기준점유닛(300);을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은 표정처리 과정중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전체 모양을 분석하는 이미지분석모듈(111)과, 분석된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고 지상물이미지 내부의 경계를 확인하는 경계확인모듈(112)과, 좌표점이 지상물이미지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113)과,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 통일시켜 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처리되게 하는 보정모듈(114)과, 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모듈(115)을 포함하고;
상기 지상기준점유닛(300)은 수납홈(311)을 가지는 기초구조물(310), 상기 기초구조물(310)의 수납홈(311)에 수납 설치되는 베이스블럭(320), 상기 베이스블럭(3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펌프(330), 공기펌프(33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블럭(320)에 나사체결되는 원통형상의 작동안내관(340), 상기 작동안내관(340)의 상단에 끼워져 작동안내관(340)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작동구(350), 상기 작동구(350)의 내경에 나사체결되는 상부고정구(360), 상기 작동안내관(340)의 하단부 내경에 나사체결되는 하부고정구(370), 상기 상부고정구(360)와 하부고정구(370) 사이에 걸리는 압축스프링(380), 상기 작동구(350)의 상단 외주에 체결되는 보호커버(390), 상기 보호커버(390) 및 작동구(350)의 중심에 조립되어 수준점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수준점표시구(DP), 중앙에는 상기 작동구(350)가 출몰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기초구조물(3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밀폐커버(400), 상기 밀폐커버(400)에 설치되어 항공기와 RF통신하여 지상기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송신하는 통신모듈(TR), 상기 공기펌프(330)와 통신모듈(TR) 및 상기 수준점표시구(DP)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납홈(311)에 내장된 전원공급부(410), 상기 전원공급부(4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펌프(330)와 통신모듈(TR) 및 상기 수준점표시구(DP)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20), 상기 전원공급부(410)로 전원을 충전시키도록 지상에 설치된 태양광패널(SU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고공확보 영상이미지에 랜덤하게 형성된 좌표점이 평면과 측면 촬영된 지상물이미지에 포함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서 삭제 처리하고, 이를 통해 표정처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면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획득할 때 지상물의 직상방에서 최대한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고공확보 영상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정확도가 높은 수치지도 제작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기준점을 제공하는 지상기준점유닛이 지면에 매립설치되는 경우 오염에 의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원활하고 정확한 지상기준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고공확보 영상이미지에 표시된 지상물이미지 내 좌표점에 대해 항공삼각측량으로 좌표값을 입력하는 종래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동작순서를 순차 도시한 예시적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에서 수치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기준점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서 사전에 고공확보 영상이미지(이하 '촬영이미지')을 합성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고정밀 항공촬영영상, 즉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제작한다.
참고로, 고정밀 항공촬 영상이미지, 즉 촬영이미지는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정밀도를 높인 상태로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이며, 수치지도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화이미지에 등고선 및 각종 정보가 삽입된 지형이미지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형이미지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를 촬영이미지에 기초해서 사전에 작성해야 한다.
이렇게 완성된 지형이미지에는 기준점이 구성되는데,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서로 이웃하는 지형이미지를 합성 및 연결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형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 사전에 완성해야 하는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공간영상도화작업을 통해 제작하는 시스템으로서 보다 정밀하면서 사용자가 지형 이해가 쉽도록 하고, 공간영상도화 작업자 또는 도화 작업자의 작업 효율과 편의가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공간영상도화기(100)와, 저장장치(200) 및 지상기준점(SP1,SP2,SP3, 도 1 참조)을 구성하는 지상기준점유닛(300, 도 8 참조)을 포함한다.
보통, 공간영상도화기(100)는 플립 구조로 된 한 쌍의 입출력수단(130)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지점의 촬영이미지와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입출력수단(130)에 동시에 출력시키면서 도화 작업자가 공간영상도화 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촬영이미지는 상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130)에 출력하고,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작업한 공간영상도화이미지는 하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130)에 출력할 수 있는데, 이와는 반대로 촬영이미지와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또는 도화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모든 입출력수단(130)에 촬영이미지를 출력시키고, 이 중 한 곳에서 상기 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이미지가 오버레이어(Over Layer) 형태로 도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저장장치(200)는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220)를 포함한다.
촬영이미지는 항공촬영된 이미지들로서, 위치와 배율 등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링크해 저장한다.
공간영상도화이미지는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공간영상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완성된 지상 이미지로서, 이웃하는 공간영상도화이미지 간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이미지 간의 배율은 물론 상기 경계에 위한 지상물이미지의 형상을 일체화시킨다.
저장장치(200)는 공간영상도화기(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공간영상도화기(100)는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는 표정처리수단(110)과 도화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입출력수단(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 및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출력시킴은 물론, 각종 입력값을 입력시킨다.
상기 입력값은 도화 작업자가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입력기기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화면 터치방식은 공지, 공용의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될 수 있고, 입력기기 방식은 키보드, 조이스틱 등과 같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표정처리수단(110)과 공간영상도화수단(120)은 촬영이미지와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입력값에 따라 입출력수단(130)을 통해 출력시키고, 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저장장치(200)에 저장하며, 상기 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새롭게 편집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표정처리수단(110)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표정처리모듈(115)과, 이미지분석모듈(111)과, 경계확인모듈(112)과, 좌표확인모듈(113)과, 보정모듈(114)을 포함한다.
이미지분석모듈(111)은 표정처리 과정 중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상기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전체 모양을 분석한다.
경계확인모듈(112)은 분석된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고, 더 나아가 상기 지상물이미지 내부의 경계를 확인한다.
상기 촬영이미지는 색깔로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경계확인모듈(112)은 상기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계확인모듈(112)은 지상물이미지(GI, 도 5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는 층경계확인모듈(112a)과, 지상물이미지(GI', 도 6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되는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하는 종경계확인모듈(112b)과, 지상물이미지(GI,GI')의 그림자를 확인하는 그림자확인모듈(112c)과, 촬영이미지 내 지상에서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공간을 확인하는 구역설정모듈(112d)로 구성된다.
층경계확인모듈(112a), 종경계확인모듈(112b), 그림자확인모듈(112c) 및 구역설정모듈(112d)에 대한 구성은 후술한다.
좌표확인모듈(113)은 좌표점의 지상물이미지 내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더불어서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 해당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여부 또한 확인한다.
보정모듈(114)은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만 통일시켜서 상기 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정모듈(114)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표정처리모듈(115)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모듈로서, 후술하는 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 처리를 진행한다.
공간영상도화수단(120)은 표정처리된 촬영이미지를 대상으로 공간영상도화해서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완성하고, 완성된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공간영상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시스템의 동작순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S10:내부표정 단계]
내부표정(Interior Orientation)은 촬영이미지 자체가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한 촬영이미지는 카메라의 특성, 대기의 굴절, 지구의 곡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왜곡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왜곡으로 촬영이미지상에서 왜곡이 없는 경우 (x'a,y'a)의 좌표이어야 할 지점이 왜곡으로 인해서 (xa,ya)의 좌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왜곡을 갖는 항공사진의 각 좌표 (xa,ya)를 왜곡이 보정된 새로운 좌표 (x'a,y'a)로 재배열시키는 것이 내부표정이다.
아날로그 고공확보 이미지 또는 항공사진의 경우 내부표정을 위하여 항공사진의 주점을 도화기의 출력 중심에 일치시키고 초점거리를 도화기 눈금에 맞춘다.
즉, 공간영상도화기에서 스캐닝된 영상 좌표와 주점을 기준으로 하는 항공사진 좌표와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도 2에서 보인 공간영상도화기(100)를 활용해서 디지털 항공사진에 대한 내부표정 작업은 좌표 정립과 이를 기초로 한 이미지 편집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은 입출력수단(130)에 출력된 촬영이미지에 대한 표정처리를 디지털 편집처리로 진행한다.
[S20:상호표정 단계]
내부표정이 카메라 내부의 광학적 환경을 재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데 비해 외부표정(Exterior Orientation)은 카메라와 대상 물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외부 표정은 다시 그 목적에 따라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 및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으로 구성된다.
상호표정은 내부표정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호표정은 입체모델의 좌표를 취득함과 동시에 공액점에 대한 종시차를 제거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된다.
상호표정을 통해 모든 종시차가 소거된 한 쌍의 사진은 완전한 입체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입체모델은 한쪽 사진을 고정한 상태에서 두 사진의 상대적인 관계를 규정한 것이므로 축척과 수평이 제대로 맞지 않으며 실제의 지형과 정확한 상사 관계를 이루지 못한다.
따라서, 입체모델을 실제의 지형과 맞추기 위해서는 3차원 가상 좌표인 모델좌표를 대상좌표(object space coordinate system)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참고로, 상호표정에 쓰이는 요소는 좌우투사기의 x,y,z 각 축 둘레의 회전 ω1,ω2,Ψ1,Ψ2,x1,x2 가운데서 독립된 5개를 취한다.
[S30:절대표정 단계]
상호표정 단계(S20)에서 맞추지 못한 실제 지형과 이미지 간의 축적, 수준치, 수평위치 등에 대한 상사 관계를 맞추기 위해서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을 진행한다.
절대표정시에는 최소 3점의 지상기준점(예를 들어, 표정점의 좌표)을 알아야 하며, 소요되는 점수가 입체 모형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삼각측량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 선정 및 측량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항공삼각측량은 지상기준점 측량을 통해 수행된다.
항공삼각측량은 항공사진상에서 무수한 좌표점들을 관측한 다음 소수의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관측된 무수한 좌표점들의 좌표값을 전자계산기를 통해 절대 혹은 측지좌표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이상 설명한 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 상호표정 및 절대표정은 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에 의해 진행되고, 이를 통해 촬영이미지는 균일화 및 규격화되어 실측에 상응하는 축척, 수준치 및 수평위치에 맞도록 처리된다.
도화를 위해 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이 촬영이미지를 표정처리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의 공지, 공용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각 표정에서 적용되는 연산식과 법칙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은 촬영이미지 내 모든 좌표점의 좌표값을 무조건 연산하지 않고 지상에서 지정된 위치의 좌표점 또는 지상물이미지 내에서도 지정된 좌표점의 좌표값만을 연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의 표정처리수단(110)은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에서 유효한 좌표점만을 분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보강된 기능을 통해 도화 과정에서 도화 작업자는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밀하면서도 정확한 수치지도의 기초가 되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다.
[S40:도화단계]
표정처리수단(110)에 의해 표정처리가 완료된 상기 확보이이미 또는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공간영상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완성된 공간영상도화이미지는 공간영상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은 상기 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절대표정 과정에서 좌표점을 보정하는데, 이에 대한 절대표정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이미지 시스템을 통해 촬영이미지에서 수치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31:이미지 모양 확인단계]
표정처리수단(110)의 표정처리모듈(115)은 표정처리를 위한 대상 촬영이미지를 촬영이미지DB(210)에서 검색하고, 이미지분석모듈(111)은 검색한 상기 확보이님미 또는 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GI,GI')를 구분한다.
이미지분석모듈(111)은 지상물이미지(GI,GI')가 촬영이미지의 다른 배경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서 입출력수단(130)으로 출력되는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픽셀단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1차로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을 확인한다.
즉, 이미지분석모듈(111)은 촬영이미지를 색깔 기준으로 모양을 구분하는 것이다.
[S32:층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확보이미지 또는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이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112)은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해서 배경으로부터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확보이미지 또는 촬영이미지에 촬영된 지상물이미지(GI)는 평면이미지(10)뿐만 아니라 측면이미지(20)까지 노출된다.
한편, 건축물과 같은 일반적인 지상물은 지면과 접하는 하층경계선(21) 부분과, 평면과 측면이 접하는 상층경계선(11) 부분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이룬다.
한편,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물이미지(GI)의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는 명암 및 실제 색상 차이 등으로 인해서 명확한 경계 차이를 보인다.
결국, 경계확인모듈(112)의 층경계확인모듈(112a)은 촬영이미지의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점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에 반복을 관측하게 되고, 이렇게 관측하게 된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GI)로 1차 추정한다.
따라서, 층경계확인모듈(112a)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기 위해서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의 경계라인이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한다.
여기서, 한 쌍의 경계라인 중 폐구간을 이루는 경계라인은 상층경계선(11)으로 보고, 남은 하나의 경계라인은 하층경계선(21)으로 본다.
[S33: 지상물 확인단계]
경계확인모듈(112)을 구성하는 층경계확인모듈(112a)은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하나 한 쌍이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112)을 구성하는 종경계확인모듈(112b)을 구동시켜서 해당 구역의 지상물이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상물의 상층경계는 옥상에 해당하므로 항공촬영시 간섭없이 전체가 모두 촬영되나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면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므로 항공촬영시 이웃하는 다른 구조물(ex; 조경, 이웃 건물 등)에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상물 자체에 의해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고, 그림자 등에 의해 간섭될 수도 있다.
결국,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상층경계의 촬영이미지인 상층경계선(11) 대비 상기 하층경계의 촬영 이미지인 하층경계선(21)은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 아닌 것으로 판독될 수 있는 것이다.
[S34:종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촬영이미지내 해당 구역에서 층경계확인모듈(11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 대비 하층경계선(21)의 평행비율이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층경계확인모듈(11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방향에 대한 모서리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계라인인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한다.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는 지상물이미지(GI')에서 측면이미지(20)에 해당하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종경계선(31,32,33)의 확인은 층경계확인모듈(112a)이 촬영이미지로부터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종경계확인모듈(112b)이 촬영이미지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명암 및 실제 색상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GI')인 경우엔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질 것이다.
결국,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경계선(31,32,33)을 추출하고, 더불어서 종경계선(31,32,33)이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촬영이미지 내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한다.
여기서,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이 서로 나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한정해 확인한다.
한편,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되면,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 중 가장 긴 종경계선 또는 하층경계선(21)과 접하는 종경계선(31, 32)을 확인한다.
해당하는 종경계선이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의 하층경계의 위치를 상기 종경계선의 말단으로 결정한다.
[S35:명암확인단계]
경계확인모듈(112)의 그림자확인모듈(112c)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에 색깔을 확인해서 그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지상물은 햇빛에 의해 그림자를 자연 형성시키므로 항공촬영시 상기 그림자는 당연 촬영되고, 지상물이미지(GI,GI')에는 그림자이미지가 당연히 형성된다.
따라서, 경계확인모듈(112)의 층경계확인모듈(112a)과 종경계확인모듈(112b)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확인하고,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자이미지가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GI,GI')로 최종 결정한다.
참고로,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중심으로 지정된 색상(ex; 암색)의 이미지가 균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면 그림자확인모듈(112c)은 상기 이미지를 그림자이미지로 간주한다.
동일 촬영이미지에서는 그림자이미지가 지상물이미지를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고, 색상 또한 암색 계열의 동일한 색상을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림자확인모듈(112c)에는 그림자이미지를 구별하도록 그 기준이 입력된다.
결국, 그림자확인모듈(112c)은 입력된 기준에 따라 그림자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림자이미지의 존재가 확인되면 1,2차 추정된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최종 결정한다.
[S36:구역설정단계]
구역설정모듈(112d)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확정된 상기 구역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기준으로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를 구분한다.
여기서, 하층경계선(21)은 일부만이 확인되는데 반해 상층경계선(11)은 경계라인 전체가 모두가 확인되므로 구역설정모듈(112d)은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 형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서 하층경계선(21)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하층경계선(2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촬영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미지(GI,GI')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므로 지상물이미지(GI,GI')는 촬영이미지 내 점유하지 않는 위치까지 점유하면서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입체적으로 표현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대상이 고층빌딩인 경우, 실제로 위치하지 않는 촬영이미지 내 좌표점까지 상기 고층빌딩의 위치로 입력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구역설정모듈(112d)은 층경계확인모듈(112a)에 의해 확인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를 이미지 편집 기술 등을 통해 하층경계선(12)의 해당 구간으로 이동시켜서 미완성 형태의 하층경계선(12)이 상층경계선(11)과 같이 폐구간을 이루는 특정 형상의 이미지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역설정모듈(112d)은 상층경계선(11) 전체를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12) 중 서로 평행하는 부분이 만나도록 한다.
결국, 상층경계선(11)으로 둘러싸인 평면이미지(10)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하는 촬영이미지 내 일지점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평면이미지(10)의 이미지 편집 방식을 통해서, 구역설정모듈(112d)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촬영이미지 내 구역 범위를 확인한다.
[S37;좌표점 확인단계]
좌표확인모듈(113)은 촬영이미지 내 구성되는 좌표점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에 각각 2개의 좌표점(PP2,PP3)이 구성된 것으로 예시한다.
좌표확인모듈(113)의 좌표점 확인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표확인모듈(113)은 층경계확인모듈(112a)과 종경계확인모듈(112b)이 확인한 지상물이미지(GI,GI')의 전체 범위와, 구역설정모듈(112d)이 확인한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만의 범위에 위치한 각각의 좌표점(PP2,PP3)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서 'PP2' 좌표점과 'PP3' 좌표점이 확인되었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에서 'PP3' 좌표점만이 확인되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PP2' 좌표점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가 아니고 'PP3' 좌표점만이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임을 확인하였다.
좌표확인모듈(113)은 이러한 기준을 통해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을 'PP3'로 확인한다.
즉, 구역설정모듈(112d)에 의해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으로 확인된 범위 내에 있는 좌표점만을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S38:좌표점 보정단계]
보정모듈(114)은 유효한 좌표점으로 결정된 'PP3' 좌표점을 제외하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 위치한 좌표점을 확인해서 삭제하는 보정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해당 촬영이미지의 데이터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수치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수작업 보정과정에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S39:항공삼각측량단계]
표정처리모듈(115)은 항공삼각측량 기술을 기반으로 지상기준점(SP1,SP2,SP3, 도 1 참조)을 이용해서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점(PP3)에 대한 좌표값을 연산하고, 이를 통해 해당하는 수치데이터를 촬영이미지에 입력한다.
덧붙여,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같이, 지상기준점(SP1,SP2,SP3, 도 1 참조)을 구성하는 지상기준점유닛(300), 특히 지면에 매립되는 매립형 지상기준점유닛(300)은 수납홈(311)을 가지는 기초구조물(310), 상기 기초구조물(310)의 수납홈(311)에 수납 설치되는 베이스블럭(320), 상기 베이스블럭(3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펌프(330), 공기펌프(33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블럭(320)에 나사체결되는 원통형상의 작동안내관(340), 상기 작동안내관(340)의 상단에 끼워져 작동안내관(340)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단 둘레를 통해 공기를 뿜을 수 있는 작동구(350), 상기 작동구(350)의 내경에에 나사체결되는 상부고정구(360), 상기 작동안내관(340)의 하단부 내경에 나사체결되는 하부고정구(370), 상기 상부고정구(360)와 하부고정구(370) 사이에 걸리는 압축스프링(380), 상기 작동구(350)의 상단 외주에 체결되는 보호커버(390), 상기 보호커버(390) 및 작동구(350)의 중심에 조립되어 수준점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수준점표시구(DP), 중앙에는 상기 작동구(350)가 출몰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기초구조물(3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밀폐커버(400), 상기 밀폐커버(400)에 설치되어 항공기와 RF통신하여 지상기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송신하는 통신모듈(TR), 상기 공기펌프(330)와 통신모듈(TR) 및 상기 수준점표시구(DP)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납홈(311)에 내장된 전원공급부(410), 상기 전원공급부(4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펌프(330)와 통신모듈(TR) 및 상기 수준점표시구(DP)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20), 상기 전원공급부(410)로 전원을 충전시키도록 지상에 설치된 태양광패널(SUN)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초구조물(310)은 지상기준점유닛(300)을 설치할 장소의 지면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된다. 즉, 상기 기초구조물(310)은 지상기준점유닛(300)의 기초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초구조물(310)의 수납홈(311)은 상기 베이스블럭(320)이 수납 설치되는 부분으로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블럭(320)은 'ㅗ'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특히, 도 9의 예시와 같이, 상기 베이스블럭(320)의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중공부(322)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부(322)에는 상기 공기펌프(330)가 내장되고, 상기 중공부(322)의 하단은 마개블럭(324)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상기 마개블럭(324)은 장탈착이 가능하며, 상기 마개블럭(324) 상면에 공기펌프(330)가 장착된 상태로 구비되면 더욱 좋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블럭(320)에는 상기 공기펌프(330)의 구동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중공부(322)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32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구(360)와 하부고정구(370)는 'V'형 단면을 갖는 원형상의 부재이며,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통공(PT)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펌프(330)가 공기를 펌핑할 때 공기가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공기펌프(330)의 토출구에 'V' 블럭(332)을 고정하여 공기가 토출될 때 상기 통공(PT)을 향해 원활하게 분산공급되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350)의 상단 둘레에는 토출구(352)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 공급된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뿜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410)는 태양광패널(SUN)부터 집전된 전기를 모을 수 있는 일종의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설정된 주기대로 공기펌프(330)가 정해진 시간동안 가동되면 공기압이 압축스프링(380)의 압축력보다 커지면서 작동구(350)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작동구(350) 내부의 공기가 토출구(352)를 통해 토출되면서 밀폐커버(400) 위에 쌓여 있던 먼지는 물론, 겨울철의 경우 눈, 물기, 우박 등을 강한 바람의 힘으로 불어 날려보내게 된다.
결국, 주기적인 동작으로 매번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기능을 갖추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쌓이지 않아 깨끗하게 관리되고, 동작 불량이 극소화되며, 눈이나 우박 등에 의해 빙결되지 않기 때문에 수준점 정보는 물론 지상기준점 정보를 제공하는데 전혀 무리를 주지 않는다.
나아가, 상기 수납홈(311) 내부를 가열하기 위해 작동안내관(14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TEM)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전소자(TEM)는 발열측이 원중심을 향하도록 하고, 흡열측이 작동안내관(140)의 내경에 접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420)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410)의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혹한기 찬공기가 아닌 데워진 공기를 분출시킬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청소를 포함한 결빙억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0: 도화기 110: 표정처리수단
120: 도화수단 130: 입출력수단

Claims (1)

  1. 촬영이미지 및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130), 상기 입출력수단(13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110) 및 공간영상도화작업을 진행하는 공간영상도화수단(120)을 구비한 공간영상도화기(100)와;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와, 공간영상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공간영상 도화이미지DB(220)를 구비한 저장장치(200)와; 항공삼각측량시 3곳 이상의 지상기준점(SP1,SP2,SP3)을 제공하되 지면에 매립설치되는 지상기준점유닛(300);을 포함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정처리수단(110)은 표정처리 과정중 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촬영이미지가 이루는 전체 모양을 분석하는 이미지분석모듈(111)과, 분석된 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고 지상물이미지 내부의 경계를 확인하는 경계확인모듈(112)과, 좌표점이 지상물이미지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113)과,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 통일시켜 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처리되게 하는 보정모듈(114)과, 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모듈(115)을 포함하고;
    상기 지상기준점유닛(300)은 수납홈(311)을 가지는 기초구조물(310), 상기 기초구조물(310)의 수납홈(311)에 수납 설치되는 베이스블럭(320), 상기 베이스블럭(3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펌프(330), 공기펌프(33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블럭(320)에 나사체결되는 원통형상의 작동안내관(340), 상기 작동안내관(340)의 상단에 끼워져 작동안내관(340)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작동구(350), 상기 작동구(350)의 내경에 나사체결되는 상부고정구(360), 상기 작동안내관(340)의 하단부 내경에 나사체결되는 하부고정구(370), 상기 상부고정구(360)와 하부고정구(370) 사이에 걸리는 압축스프링(380), 상기 작동구(350)의 상단 외주에 체결되는 보호커버(390), 상기 보호커버(390) 및 작동구(350)의 중심에 조립되어 수준점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수준점표시구(DP), 중앙에는 상기 작동구(350)가 출몰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기초구조물(310)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밀폐커버(400), 상기 밀폐커버(400)에 설치되어 항공기와 RF통신하여 지상기준점에 대한 절대좌표를 송신하는 통신모듈(TR), 상기 공기펌프(330)와 통신모듈(TR) 및 상기 수준점표시구(DP)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수납홈(311)에 내장된 전원공급부(410), 상기 전원공급부(410)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펌프(330)와 통신모듈(TR) 및 상기 수준점표시구(DP)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20), 상기 전원공급부(410)로 전원을 충전시키도록 지상에 설치된 태양광패널(SU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00009822A 2020-01-28 2020-01-28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12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22A KR102124841B1 (ko) 2020-01-28 2020-01-28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22A KR102124841B1 (ko) 2020-01-28 2020-01-28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41B1 true KR102124841B1 (ko) 2020-06-22

Family

ID=7114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822A KR102124841B1 (ko) 2020-01-28 2020-01-28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561B1 (ko) * 2022-02-14 2022-12-07 주식회사 한라이엔씨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KR102527610B1 (ko) 2022-10-17 2023-05-04 (주)아세아항측 항공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802B1 (ko) 2009-03-03 2009-07-17 (주)원지리정보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 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20120054289A (ko) * 2010-11-19 2012-05-30 새한항업(주) 항공삼각측량을 위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
KR20120064353A (ko) * 2010-12-09 2012-06-19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해석도화기 상의 인접모델 도화방법
KR101312650B1 (ko) * 2013-03-21 2013-09-27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영상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별 합성처리를 위한 도화이미지 처리시스템
KR101347260B1 (ko) * 2013-08-05 2014-01-06 동국지리정보(주) 촬영이미지별 수치데이터 합성을 처리하는 영상도화이미지 제작시스템
KR101347270B1 (ko) * 2013-08-05 2014-01-06 동국지리정보(주) 항공영상이미지의 편집을 위한 고정밀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347248B1 (ko) * 2013-08-05 2014-01-15 동국지리정보(주)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804937B1 (ko) * 2017-08-29 2017-12-05 (주)해강 고정밀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813205B1 (ko) * 2017-07-04 2018-01-30 (주)미도지리정보 기준점과 항공 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20190026452A (ko) * 2017-09-05 2019-03-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영상과 제공 rpc로부터 제작된 수치표고모델의 자동 오차보정 방법
KR102027932B1 (ko) * 2019-06-18 2019-10-04 주식회사 엔지엘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69560B1 (ko) * 2019-11-06 2020-01-23 ㈜선영종합엔지니어링 Rtk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측량지점의 실시간 오류 확인 및 보정이 가능한 이동식 측량시스템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802B1 (ko) 2009-03-03 2009-07-17 (주)원지리정보 항공촬영 영상의 지형 대비 기준점 합성형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KR20120054289A (ko) * 2010-11-19 2012-05-30 새한항업(주) 항공삼각측량을 위한 지상기준점 설정방법
KR20120064353A (ko) * 2010-12-09 2012-06-19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해석도화기 상의 인접모델 도화방법
KR101312650B1 (ko) * 2013-03-21 2013-09-27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영상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별 합성처리를 위한 도화이미지 처리시스템
KR101347248B1 (ko) * 2013-08-05 2014-01-15 동국지리정보(주)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347270B1 (ko) * 2013-08-05 2014-01-06 동국지리정보(주) 항공영상이미지의 편집을 위한 고정밀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347260B1 (ko) * 2013-08-05 2014-01-06 동국지리정보(주) 촬영이미지별 수치데이터 합성을 처리하는 영상도화이미지 제작시스템
KR101813205B1 (ko) * 2017-07-04 2018-01-30 (주)미도지리정보 기준점과 항공 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804937B1 (ko) * 2017-08-29 2017-12-05 (주)해강 고정밀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20190026452A (ko) * 2017-09-05 2019-03-13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영상과 제공 rpc로부터 제작된 수치표고모델의 자동 오차보정 방법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27932B1 (ko) * 2019-06-18 2019-10-04 주식회사 엔지엘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69560B1 (ko) * 2019-11-06 2020-01-23 ㈜선영종합엔지니어링 Rtk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측량지점의 실시간 오류 확인 및 보정이 가능한 이동식 측량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561B1 (ko) * 2022-02-14 2022-12-07 주식회사 한라이엔씨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한 수치지도 관리시스템
KR102527610B1 (ko) 2022-10-17 2023-05-04 (주)아세아항측 항공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1347260B1 (ko) 촬영이미지별 수치데이터 합성을 처리하는 영상도화이미지 제작시스템
KR102333010B1 (ko)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948802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1347248B1 (ko)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CN104330074B (zh) 一种智能测绘平台及其实现方法
Toschi et al. Oblique photogrammetry supporting 3D urban reconstruction of complex scenarios
KR101312650B1 (ko) 영상도화용 지형이미지의 기준점별 합성처리를 위한 도화이미지 처리시스템
KR101347270B1 (ko) 항공영상이미지의 편집을 위한 고정밀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2124841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US20060239539A1 (en) Model forming apparatus, model forming metho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CN105931234A (zh) 一种地面三维激光扫描点云与影像融合及配准的方法
KR101804937B1 (ko) 고정밀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N112470092A (zh) 一种测绘系统、测绘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443321B1 (ko) 정밀 도화원도 제작을 위한 항공사진 활용 영상도화시스템
KR102259752B1 (ko)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KR101813205B1 (ko) 기준점과 항공 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2527648B1 (ko)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74068B1 (ko) 지형이미지의 기준점 확인처리를 통해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간편하게 도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Meschini et al. Point cloud-based survey for cultural heritage–An experience of integrated use of range-based and image-based technology for the San Francesco convent in Monterubbiano
Moe et al. Changing the production pipeline–use of oblique aerial cameras for mapping purposes
CN116883604A (zh) 一种基于天、空、地影像的三维建模技术方法
Kirk et al. Digital photogrammetric analysis of the IMP camera images: Mapping the Mars Pathfinder landing site in three dimensions
KR101381654B1 (ko) 3d 모델 생성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5606627A (zh) 核电站安全壳远程外观检查测量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