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843B1 -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 Google Patents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843B1
KR102337843B1 KR1020210046980A KR20210046980A KR102337843B1 KR 102337843 B1 KR102337843 B1 KR 102337843B1 KR 1020210046980 A KR1020210046980 A KR 1020210046980A KR 20210046980 A KR20210046980 A KR 20210046980A KR 102337843 B1 KR102337843 B1 KR 102337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ir
housing
ground objec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태
조준희
원재호
이규현
박준신
Original Assignee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7Determining parameters from multiple pi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 기술 분야 중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음영구간을 최소화시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2가지 루트로 원활하게 냉각시키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진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Enclosure Box with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omposing processes of aerial photographed regional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처리 기술 분야 중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음영구간을 최소화시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2가지 루트를 통해 원활하게 냉각시키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진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항공기에서 확보된 지상의 다수 항공영상이미지는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결합시키는 영상처리를 통하여 정교하게 합성되므로 대형의 영상이미지로 변환처리된다.
영상처리로 정교하게 합성 변환된 영상이미지를 이용하여 지상의 지형도(지형이미지)로 변환한 것이 도화이미지이며, 이러한 지도이미지의 각 지점에 수치에 의한 해당 좌표정보, 위치정보, 수치정보를 반영한 것이 수치지도이고 수치지도는 수정도화방법, 해석도화방법 또는 수치도화방법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항공기를 이용하여 확보된 다수의 항공영상이미지를 정교하게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 기술은 지도 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영상처리에 의하여 다수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정교하게 합성처리하기 위하여서는 지상의 해당 지역에 대한 정밀한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신속하게 실측할 필요가 있고, 확보된 지상의 위치정보(좌표정보)는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제공시켜 반영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도 또는 내비게이션의 배경(이하 '수치지도')은 촬영기술 및 영상이미지 처리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실사를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실사 기반을 위해 항공촬영이 이루어지고, 항공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지도 배경이 이루어진다. 즉, 일정고도에 위치한 항공기가 지상을 촬영하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상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물론, 항공촬영은 고도에 따라 그 촬영면적이 한정되므로 넓은 범위에 대한 지도제작을 위해서 동일 구간에 대한 다수 개의 영상이미지를 확보하고, 이 영상이미지를 잇는 별도의 편집 및 영상처리 업무를 진행해야 한다.
그런데, 영상이미지는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고도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촬영된 것이므로 항공기의 연직 방향에 위치한 지상물을 제외하곤 이와 인접하는 다른 지상물들은 측면이 포함되어 촬영될 수밖에 없다.
참고로, 도 1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흰색 밑줄의 '강남제일빌딩' 건물과, 우측 상단에 위치한 흰색 밑줄의 '풍림산업' 건물과, 좌측 하단에 위치한 흰색 밑줄의 '메리츠타워' 건물이 각각 옥상(평면부)만이 아닌 측면까지 촬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제작을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영상이미지를 서로 연결해 잇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른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를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영상처리 업무를 수행한다.
결국, 앞서 제시한 3개의 건물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 지도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지도는 동일한 지도임에도 불구하고 인접하는 3개의 건물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게 된다. 때문에, 사용자는 낯선 지역에 대한 지도 해석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를 통해 지도 이용에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각종 건물 등의 지상물 관련 영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종래 기술(등록특허 제10-0967448호)이 제안된 바 있는데, 그 영상처리 기술은 촬영 각에 의해 3D 형식으로 생성된 지상물이미지를 평면부의 위치수정에 의해 2D 형식으로 표현되도록 편집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영상처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음영구간 보정은 해당 음영부분의 실제이미지가 촬영된 다른 영상이미지를 검색해서 편집처리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해당 영상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음영부분을 절개 편집해서 크기와 해상도를 일치시키는 과정이 요구되었다. 즉, 상기 음영구간에 대한 영상이미지 검색과 편집 등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면서 수많은 지상물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 시간이 요구됐던 것이다.
결국, 지상물이미지를 갖춘 영상이미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처리가 생략되거나, 종래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모든 지상물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사용자가 영상이미지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 문제로 인하여, 영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모듈의 열화, 고장 장애 현상과 단수명화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음영구간을 최소화시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2가지 루트를 통해 원활하게 냉각시키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진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공기(200)에 설치된 항공카메라(100)로 촬영되고 GPS좌표가 적용된 영상이미지 데이터와, 영상이미지의 촬영 고도(h2) 정보와, 지상물이미지의 높이(h1)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DB(1); 이미지DB(1)의 데이터 및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 이미지검색모듈(2)이 검색한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3a)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모듈(3); 터치스크린(3a)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 내 지정된 한 쌍의 초기점(P1)과 한 쌍의 말기점(P2)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좌표값을 잇는 기준직선을 설정해서 초기점(P1)과 말기점(P2)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도로이미지(30)의 범위로 확정하는 지점선택모듈(4); 도로이미지(30)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기준직선상에 도로이미지(30)의 지정색상과는 불일치하면서 도로이미지(30)의 지정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 범위의 경계를 확정해서 상기 경계의 모서리를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도로이미지(30)를 덮은 방향으로 검색직선을 형성해서 출력모듈(3)을 통해 터치스크린(3a)에 출력하고, 검색직선상에 선택된 지점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하고, 당해 색상과 동일한 픽셀의 범위를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경계로 확정해서 상기 경계의 모서리를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기준점(b1 내지 b4)으로 설정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을 통해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을 연산하는 이미지탐색모듈(5);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 중심거리(d)와 상기 영상이미지의 촬영 고도(h2)와 수정지상물(20)의 높이(h1)를 확인해서 tanθ=(h2-h1)/d에 대입해 촬영각(θ)을 연산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과 촬영각(θ)을 sin(90-θ)=w2/L2에 대입해 수정된 평면부 폭(L2)을 연산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 전 평면부 이미지를 분리해서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그 크기를 조정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 이미지는 제거해서 제2지상물이미지(20a')를 완성하는 영상처리모듈(7); 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은 함체(1100)에 서브랙 형태로 실장되고,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냉각유닛(1200) 및 배기 팬(7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교체가 능한 실리카볼(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상기 함체(1100)에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의 열화를 방지할 냉각유닛(12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 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배수관(1240)을 포함하되,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을 작동시켜 함체(1100)를 냉각시키고,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미만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함체(1100)의 상면에는 배기 팬(700)이 결합되어 함체(1100)의 하면에 위치한 흡기 필터(900)를 통해 흡입되어 상승하는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배기 팬(700)을 커버하는 배기 팬 덮개(1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관(800)을 통해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컨트롤러(CTR)는 압력센서(5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고,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며, 상기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되되, 배기 팬 덮개(1400)의 배출 공기를 포집하는 배송통로(820) 내에 상기 컨트롤러(CTR)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전동식 개폐구(8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의 내부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상하이동부(400)가 설치되되, 상하이동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압력센서(510)와 온도센서(520)를 구비하되, 상기 상하이동부(400)는, 그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되는 상하케이스(410); 상하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 한 쌍의 슬라이딩부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 한 쌍의 상하로드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440); 중앙금속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로드부(450); 상하케이스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460); 중앙자석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자성을 띠는 한 쌍의 상하자석(461); 상하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이동홀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470); 및 수평로드부의 측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이동부(480); 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되,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310);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20);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330);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350);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하우징(310)과 공기유동부(320)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3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340)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3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기하우징(3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330)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는,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음영구간을 최소화시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2가지 루트를 통해 원활하게 냉각시키면서도 외부에서 함체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 또는 완화하여 함체 내부의 각종 모듈의 열화현상과 고장장애 방지 및 안정적 운용과 장수명화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항공사진 지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적용되는 영상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 적용을 위한 항공촬영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보정된 지상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보정된 수직영상을 보인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의 구성유닛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의 동작 순서를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이 처리하는 영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이 확인한 영상이미지의 윤곽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이 음영부분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물이미지의 윤곽형상을 비교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에 의해 영상처리된 영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팬에 의해 공기가 배기관을 통해 유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의 일부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가 구비하는 상하이동부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가 구비하는 상하이동부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공기완충부의 단면도.
먼저, 본 발명은 상술한 등록특허 제10-1483955호의 시스템 구성 일부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의 일부 기재는 등록특허 제10-1483955호에 기재된 사항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 중 등록특허 제10-1483955호의 내용과 겹치는 부분은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도 2 및 도 3의 예시와 같이, 다양한 지역의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1)와, 이미지DB(1)에서 특정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과, 검색된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읽고 출력하는 출력모듈(3)과, 출력모듈(3)에 의해 출력된 영상이미지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해 수정해야 할 지상물이미지의 탐색 기준을 설정하는 지점선택모듈(4)과, 상기 탐색 기준에 따라 수정 전의 지상물이미지인 제1지상물이미지(20a, 도 6의 (a) 참고)를 탐색하는 이미지탐색모듈(5)과, 수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인 제2지상물이미지(20a', 도 6의 (b) 참고)를 기존 영상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해 합성 및 갱신처리하는 이미지편집모듈(6)과, 수정해야 할 제1지상물이미지(20a)를 수정해서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7)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1)와, 이미지DB(1)에서 특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은 그 구성과 구조가 공지, 공용되는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출력모듈(3)은 화면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3a)에 이미지검색모듈(2)이 검색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는 영상이미지이고, 출력모듈(3)은 터치스크린(3a)을 통해 영상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공지, 공용의 모듈이다. 물론, 출력모듈(3)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3a)을 터치한 지점을 확인해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지점선택모듈(4)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영상이미지에서 제1지상물이미지(20a)를 탐색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으로, 탐색을 위한 상기 기준은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도로이미지(30)가 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준지상물(10, 도 5 참조) 및 수정지상물(20, 도 5 참조)의 인접 지역에는 아스팔트와 같이 균일한 색상의 골재가 포장된 도로가 위치하는데, 이러한 도로는 기준지상물(10) 또는 수정지상물(20)과는 매우 근접하므로, 수정지상물(20)의 측면부가 촬영돼 도로 쪽으로 기울어진 외관을 보이게 되는 제1지상물이미지(20a)는 도로이미지(3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점유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응용한 것으로, 상기 지점선택모듈(4)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3a)을 통해 지정한 한 쌍의 초기점(P1)과 한 쌍의 말기점(P2)을 기준으로 해당 범위 내에 있는 이미지를 도로이미지(30)로 확정한다. 즉, 지점선택모듈(4)은 사용자가 선택한 초기점(P1) 및 말기점(P2)의 각 좌표값을 확인해서 이를 기준직선으로 연결해 잇고, 이렇게 형성된 기준직선은 도로의 경계가 되면서 도로이미지(30)의 범위가 확정되는 것이다.
더불어서, 이미지탐색모듈(5)은 지점선택모듈(4)에 의해 범위와 그 경계가 확정된 도로이미지(30)의 색상을 확인한 후, 도로이미지(3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된 색상을 확인해서,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 비교해 그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이미지탐색모듈(5)은 앞서 설정한 기준직선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된 색상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색상과 도로이미지(30)의 색상을 비교해서, 일정길이 이상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는 불일치하면서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지정된 픽셀의 구간(T)이 확인되면, 해당 구간(T)은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위치한 것으로 간주해 이를 수정대상으로 설정한다.
물론, 제1지상물이미지(20a)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과 도로이미지(30)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이 일치해서 상기 구간(T)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기준직선의 주변 픽셀의 지정 색상도 아울러 확인해서 기준직선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벗어난 위치의 픽셀에도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 동일, 유사한 색상이 연속적으로 확인되면, 이는 제1지상물이미지(20a)로 간주해서 이를 수정대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영상처리모듈(7)은 설정된 제1지상물이미지(20a)를 수정하고, 이미지편집모듈(6)은 수정된 제2지상물이미지(20a')를 영상이미지에 적용해 갱신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이 순차 처리된다.
[S11; 수정대상 선택단계]
출력모듈(3)은 다양한 지상물이미지(10a,20a)를 포함하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점선택모듈(4) 및 이미지탐색모듈(5)은 제1지상물이미지(20a)를 탐색해 결정한다.
[S12; 수정대상 기준점 설정단계]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결정되면, 영상이미지에서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하고 있는 범위를 확인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갖는 모서리를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한다.
물론,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선택되는 모서리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와 측면부의 경계부에 위치한 모서리(a3, a4)도 포함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탐색모듈(5)은 제1지상물이미지(20a)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을 확인해서,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경계를 확정하고, 이렇게 확정된 경계에서 모서리부분을 확인해서 상기 기준점(a1 내지 a6)을 설정한다.
또한, 이미지탐색모듈(5)은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이 설정되면, 이 기준점(a1 내지 a6)을 기준으로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을 각각 연산한다.
참고로, 기준점(a1 내지 a6)이 설정되며 이미지탐색모듈(5)은 픽셀을 매개로해당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하고, 이 좌표값들을 이용해 공지,공용의 연산방법으로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이란,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기울어진 방향으로의 전체 및 평면부의 길이가 될 것이다.
[S13; 기준대상 선택단계]
비행중인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할 시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지상물의 평면이 정확히 촬영될 수 있다. 물론, 기준지상물(10)의 평면만을 100%로 촬영해서 영상이미지에 출력할 수는 없으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때 평면으로 지각되면서 주변 도로이미지(30)를 식별할 수 있다면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선택되기에 충분하다 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전술한 조건을 충족하는 기준지상물(10)을 기준대상으로 선택하되, 수정대상으로 선택된 수정지상물(20)의 위치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준지상물(10)은 수정지상물(20)의 측면이 보이도록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상물을 선택해서 이를 기준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탐색모듈(5)은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도로이미지(30)를 덮은 방향으로 검색직선을 형성하고, 출력모듈(3)은 상기 검색직선을 터치스크린(3a)에 출력해서, 사용자가 검색직선 상에 위치한 이미지들 중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선택할 지점을 터치해 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S14; 기준대상 기준점 설정단계]
기준지상물이미지(10a)가 선택되면, 이미지탐색모듈(5)은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 픽셀의 지정 색상을 확인해서, 당해 색상과 동일,유사한 픽셀의 범위를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경계로 확정하고, 이렇게 확정된 경계에서 모서리부분을 확인해서 상기 기준점(b1 내지 b4)을 설정한다. 상기 기준점(b1 내지 b4)이 설정되면, 이미지탐색모듈(5)은 기준점(b1 내지 b4)을 기준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평면 폭(L1)을 연산한다.
[S15; 촬영각 연산단계]
기준지상물이미지(10a)가 선택되면, 영상처리모듈(7)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중인 항공기가 기준지상물(1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서 해당 기준지상물(10)을 촬영하는 것으로 구조화한다.
한편, 영상처리모듈(7)은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의 실제 중심거리(d)를 확인하는데, 중심거리(d)는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기준점(b1 내지 b4) 내 중심점과 제1지상물이미지(20a) 평면부의 기준점(a3 내지 a6)내 중심점 간 거리를 연산한 후, 그 결과값을 영상이미지의 축척 정도로 환산해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검색모듈(2)은 이미지DB(1)에서 당해 영상이미지 촬영시 항공기의 고도(h2)와, 수정지상물(20)의 실제 높이(h1)를 검색해 확인한다.
계속해서, 영상처리모듈(7)은 항공기에서 촬영된 수정지상물(20)의 촬영각(θ)을 연산한다. 여기서 촬영각(θ)이란 카메라의 촬영방향과 수정지상물(20)의 배치방향의 각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항공기가 기준지상물(1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서 항공기의 카메라가 기준지상물(10)을 촬영하는 촬영각(θ)은 '0도'가 될 것이다.
촬영각(θ) 연산을 위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한다.
[수학식 1]
tanθ
[S16; 수정대상 범위연산단계]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공기의 카메라가 수정지상물(20)의 직상방에 위치하지 못하면, 촬영된 제1지상물이미지(20a)는 수정지상물(20)의 평면부와 측면부가 포함돼 출력된다. 즉,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하는 것처럼 보이는 영상이미지 내 면적은, 수정지상물(20)이 지상을 점유하는 평면적을 영상이미지의 축척 정도로 연산해 얻은 면적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보다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1지상물이미지(20a)는 항공촬영시 수정지상물(20)이 비스듬히 촬영되면서 그 제1지상물이미지(20a)에 수정지상물(20)의 평면부와 측면부가 포함되고, 이로 인해 수정지상물(20)이 실제로 점유하지 않은 지상부분이 수정지상물(20)에 의해 가려진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이미지에는 수정지상물(20)이 가린 부분도 수정지상물(20)의 일부분으로 확인되어서, 제1지상물이미지(20a)는 수정지상물(20)의 실제 모습보다 큰 구조물로 보이게 된다. 물론, 이러한 오류는 제1지상물이미지(20a)에 인접하는 도로이미지(30)까지 가려 보이지 않게 하므로, 당해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지도이용에 혼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영상이미지에 출력된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크기를 보정해서, 항공기가 수정지상물(20)의 직상방에서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하는 영상이미지 수정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모듈(7)은 보정해야 할 영상이미지 내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과, 촬영각(θ)을 [수학식 2]에 대입해서, 수정지상물(20)의 평면을 직상방에서 촬영했을 때의 수정된 평면부 폭(L2)을 연산한다.
[수학식 2]
sin(90-θ
[S17; 수정대상 이미지보정단계]
영상처리모듈(7)은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보정된 제2지상물이미지(20a')를 완성한다. 보정된 제2지상물이미지(20a')는 기존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는 제거되고, 평면부의 크기는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보정된다. 여기서, 영상처리모듈(7)에 의한 제2지상물이미지(20a')의 영상처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기존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만을 절개해 독립된 평면이미지로 확보한다. 이렇게 확보된 평면이미지는 기존의 제1지상물이미지(20a) 평면부의 폭(w2) 대비 수정된 제2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된 평면부 폭(L2)의 비율에 따라 변형되는데, 이러한 변형은 공지, 공용의 이미지변형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변형기술이라 함은 '포토샵(어도비 시스템즈사에서 개발한 레스터 그래픽 편집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대표적인 운영체제인 윈도우의 그래픽 편집기인 '그림판', 통상적이 워드프로그램에서 이미지를 '붙여넣기'하는 기술 등에서 널리 적용되는 기능으로, 영상처리모듈(7)은 상기 기능을 통해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의 비율을 결정해서 해당 비율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편집모듈(6)에 의한 수정된 평면부를 합성할 때의 기준은 기준지상물이미지(10a)와 직접 마주하는 모서리(a1,a2)로 한다. 이는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기울어진 모습과는 상관없이 기준지상물이미지(10a)와 비교해 상기 모서리(a1, a2)는 지상에서 항시 고정된 위치이기 때문이다.
[S18; 이미지합성단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이 완료되면, 기존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해 출력되지 못했던 음영부분(D)의 처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편집모듈(6)은 이미지검색모듈(2)을 통해 이미지DB(1)에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가 촬영된 다른 영상이미지를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다른 영상이미지를 제2지상물이미지(20a')가 포함된 영상이미지의 크기 및 해상도에 일치시킨다.
참고로, 이미지DB(1)에 저장된 영상이미지는 수치지도로서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이므로, 상기 영상이미지에는 GPS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데이터이다. 따라서, 이미지편집모듈(6)은 음영부분(D)에 대한 GP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이미지DB(1)를 검색해서 음영부분(D) 전체가 정상적으로 출력된 다른 영상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실제이미지와 영상이미지의 크기 및 해상도가 일치되면, 이미지편집모듈(6)은 다른 영상이미지에서 절개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를 제2지상물이미지(20a')를 포함한 영상이미지의 음영부분(D)에 합성해서, 도 7(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보정된 수직영상을 보인 이미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영부분(D)을 제거하고, 완전한 수직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S19; 수직영상 데이터갱신단계]
제2지상물이미지(20a')의 보정이 완료되면, 이미지편집모듈(6)은 실제이미지가 합성된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DB(1)에 입력해 갱신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과 같은 이미지편집모듈의 구성유닛들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이미지편집모듈(6)이 지상물이미지를 영상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영부분(D)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일부 과정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이 요구됐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6')은 영상처리를 해야 할 영상처리 전의 제1지상물이미지(20a, 도 10 참조)와 동일한 지상물의 지상물이미지인 제3지상물이미지(20a")를 포함한 영상이미지를 자동 검색해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한 상기 실제이미지를 영상처리 중인 해당 영상이미지에 자동으로 합성해서, 작업자의 별도 수작업 없이도 영상처리가 완료된 제2지상물이미지(20a', 도 14 참조)와 음영부분(D)에 대한 편집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편집모듈(6')은 이미지검색모듈(2)과 연동해서 이미지DB(1)에서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는 영상이미지 검색유닛(61)과,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물이미지들의 윤곽을 확인하는 이미지윤곽확인유닛(62)과, 지상물이미지들에 대한 윤곽이 확인된 영상이미지에서 제1지상물이미지(20a)에 대응하는 제3지상물이미지(20a")를 확인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와 제3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간의 이격거리(BD, 도 12 참조)가 가장 긴 제3지상물이미지(20a")를 확인하는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과, 음영부분(D)에 대응하는 실제이미지를 확인해서 처리후 지상물이미지(S2)에 합성하는 음영부분 처리유닛(64)을 포함한다.
이때, 이미지편집모듈(6')이 구성한 영상이미지 검색유닛(61)과 이미지윤곽 확인유닛(62)과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과 음영부분 처리유닛(6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도 14의 예시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S181; 촬영지점 확인단계]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이미지 검색유닛(61)은 도 10의 (a)에서 보인 제1지상물이미지(20a)를 확인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와 동일한 제3지상물이미지(20a")가 촬영된 영상이미지(도 10의 (b) 참조)를 이미지DB(1)에서 모두 검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영상이미지는 항공촬영시 촬영 위치별로 GPS좌표를 기준으로 해서 분류돼 관리되므로, 제1지상물이미지(20a)와 동일한 지상물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이미지는 함께 분류돼 관리될 것이고, 영상이미지 검색유닛(61)은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GPS좌표를 확인해서 이미지DB(1)에서 일정 범위 이내의 GPS좌표를 갖는 영상이미지를 모두 검색한다.
참고로, 영상이미지 검색유닛(61)은 검색 대상의 GPS좌표 정보를 이미지검색모듈(2)에 전달하고, 이미지검색모듈(2)은 상기 GPS좌표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DB(1)에서 영상이미지를 검색하며, 검색한 영상이미지를 영상이미지검색유닛(61)에 전달한다.
[S182; 지상물이미지 윤곽 확인단계]
이미지윤곽 확인유닛(62)은 도 10의 (a)에서 보인 영상처리 중인 해당 영상이미지와, 도 10의 (b)에서 보인 영상이미지를 각각 확인해서, 상기 영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물이미지들의 윤곽을 확인한다. 여기서, 지상물이미지의 윤곽이란 영상이미지에서 보이는 지상물이미지의 형태를 뜻한다.
지상물이미지의 윤곽은 이미지탐색모듈(5)에서 설명한 색깔을 기준으로 픽셀을 구분해서 지상물이미지의 경계를 추적하는 공지, 공용의 기술로서, 이미지윤곽 확인유닛(62)은 영상이미지들에 포함된 지상물이미지들의 윤곽을 모두 추적해서 고유한 윤곽형상으로 완성한다. 더 나아가 이미지윤곽 확인유닛(62)은 지상물이미지들의 윤곽형상에서 평면부와 측면부를 구분하며, 이들 중 평면부만을 추출해서 도 11에서 보인 이미지를 완성한다. 참고로, 평면부와 측면부의 구분 또한 색깔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S183; 수정지상물이미지 검색]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은 영상처리 중인 해당 영상이미지(도 10의 (a) 참조)의 윤곽을 확인한 제1이미지(도 11의 (a) 참조)에서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제1윤곽형상과, 상기 제1윤곽형상의 둘레에 인접한 다른 지상물이미지의 제2윤곽형상을 확인하고, 상기 제1,2윤곽형상의 배치상태를 확인한다.
계속해서,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은 다른 영상이미지(도 10의 (b) 참조)의 윤곽을 확인한 제2이미지(도 11의 (b) 참조)에서 지상물이미지들의 윤곽형상과 그 배치상태를 확인한다.
이어서,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은 상기 제1이미지의 제1,2윤곽형상과, 상기 제2이미지의 윤곽형상들을 비교해서, 상기 제2이미지의 윤곽형상들 중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윤곽형상에 대응하는 제3지상물이미지(20a")의 제3윤곽형상을 확인한다.
아울러, 상기 제3윤곽형상의 둘레에 인접한 다른 윤곽형상인 제4윤곽형상을 확인한다. 참고로,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은 제1윤곽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제3윤곽형상을 상기 제2이미지에서 검색하고, 제1윤곽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윤곽형상이 확인되면 해당 윤곽형상의 둘레에 인접한 윤곽형상들을 제2윤곽형상들과 비교해서 제3윤곽형상 및 제4윤곽형상 여부를 확정한다.
한편,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에 각각 도시된 윤곽형상들은 동일한 지상물이미지의 윤곽이라도 촬영 각도의 차이로 인해서 다른 윤곽형상을 이룰 수 있고, 윤곽형상 간의 간격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2윤곽형상에 대응하는 제3,4윤곽형상에 대한 검색은 지정범위 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윤곽형상들이 동일한 배치상태를 이루는 것을 전제로 간격에 상관없이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제1이미지와 제2이미지는 동일한 지점을 촬영한 영상이미지에 관한 것이나, 음영에 의해서 특정 지상물이미지의 윤곽형상(DS1,DS2)이 확인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정 지상물이미지의 윤곽형상(DS1,DS2)이 지정개수 미만이면 무시하고, 지정개수 이상이면 해당하는 제2이미지는 다른 지점의 이미지인 것으로 간주하고 제외한다.
[S184; 동일 지상물이미지 검색단계]
제1,2윤곽형상에 대응하는 제3,4윤곽형상이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은 제2윤곽형상들로 이어진 경계로 형성된 제1구역과, 제4윤곽형상들로 이어진 경계로 형성된 제2구역을 각각 확정하고, 도 1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1윤곽형상을 갖춘 제1구역의 중심과 제3윤곽형상을 갖춘 제2구역의 중심을 맞춰서 중첩한다. 이렇게 중첩된 상태에서 제1윤곽형상과 제3윤곽형상의 위치가 비교되는데,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은 제1윤곽형상의 평면부와 제3윤곽형상의 평면부 간 이격거리(BD)를 확인한다.
지상물이미지 확인유닛(63)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1윤곽형상과 제2이미지들의 제3윤곽형상을 일일이 서로 비교해서 제1,3윤곽형상의 평면부 간의 이격거리(BD)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이격거리(BD) 중 가장 긴 이격거리(BD)를 갖는 제2이미지와 해당하는 제3윤곽형상을 확인한다.
제1윤곽형상과 이격거리(BD)가 긴 제3윤곽형상을 검색하는 이유는 촬영 각도에 의해서 제1윤곽형상의 평면부가 도 1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지상을 가리면서 서로 반대편에 대한 음영부분(D)을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서 제1윤곽형상에 해당하는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음영부분(D)에 대한 실제이미지를 제3윤곽형상에 해당하는 제3지상물이미지(20a")로부터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S185; 실제이미지 범위 선정단계]
제1윤곽형상과 이격거리(BD)가 가장 긴 제3윤곽형상이 확인되면, 음영부분 처리유닛(64)은 상기 제3윤곽형상에 해당하는 제3지상물이미지(20a")에서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음영부분(D)에 해당하는 실제이미지의 범위를 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설제이미지의 범위를 제1윤곽형상과 제3윤곽형상이 서로 겹치지 않는 범위로 한다. 결국, 실제이미지는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에서 제3지상물이미지(20a")의 제2측면부까지의 범위로 한다.
[S186; 실제이미지 편집단계]
음영부분 처리유닛(64)은 제3지상물이미지(20a")가 포함된 영상이미지에서 상기 범위만큼 실제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실제이미지의 해상도, 크기 및 색상을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포함된 영상이미지의 해상도, 크기 및 색상에 맞춰서 상기 실제이미지를 해당 영상이미지에 합성할 수 있도록 편집한다.
[S187; 영상이미지 합성처리단계]
영상처리모듈(7)에 의해서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제2지상물이미지(20a')로 영상처리되면, 음영부분 처리유닛(64)은 상기 영상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음영부분(D)에 도 1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실제이미지를 합성한다. 결국, 지상물이미지에 의해서 가려졌던 음영부분(D)은 제거되고, 음영부분(D)은 실제이미지의 합성을 통해 자동으로 복구되어서, 지상물이미지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없이 깔끔한 영상이미지가 완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 등 다수의 모듈들은 기판 형태를 갖고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함체(1100)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되며, 상기 함체(1100)의 전면에는 도어(11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장된 기판 형태의 모듈을 수리, 보수 혹은 교체할 때 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형태를 갖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은 고속신호처리가 요구되므로 많은 열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미세먼지들도 함께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열을 방열시키거나 별도의 냉각구조를 갖지 않게 되면 열화에 의해 다수 모듈들의 급속한 수명단축이 이루어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며, 또한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세먼지가 회로에 끼면서 회로를 통한 신호처리시 오류를 유발시키게 된다.
먼저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2가지 루트로 함체(100)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갖는데, 냉각유닛(1200) 및 배기팬(700)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이하 설명되는 냉각유닛(1200) 및 배기팬(700)의 구동전원은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을 구동하기 위해 함체(1100)로 제공되는 상용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혹은 어댑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1200) 구현을 위해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상기 냉각유닛(12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실리카겔(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실리카겔(SCA)은 교체할 수 있도록 제2격벽(W2)의 일부에 배출구(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이 전제조건이다.
이러한 전제조건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연결된 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연결된 배수관(1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챔버(CH1)에 물, 즉 냉각수(상온보다 낮으면 됨)가 채워짐으로써 내부가 냉각되게 되고, 그 냉기는 함체(1100) 내부로 전도되어 함체(1100) 내부에서 발열에 의해 승온된 열을 냉각시켜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챔버(CH1) 내부에 냉각용 물이 채워져 있는 관계로 제1격벽(W1)의 외측에서는 결로 현상에 의해 수분이 생길 수 있다. 이 수분이 함체(1100) 내부로 유입되면 안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제2챔버(CH2)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챔버(CH2)에는 흡습제인 구형상의 실리카겔이 채워져 있어 혹시라도 생길지 모를 수분을 빨아들여 수분이 함체(1100)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유닛(1200)의 구동은,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을 작동시켜 함체(1100)를 냉각시키고,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미만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온도값은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을 형성하는 기판의 재질,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데, 25℃ ~ 75℃ 범위에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CTR)의 제어에 따라 물펌프(1220)가 구동되고, 이 물펌프(1220)의 흡입압에 의해 물탱크(1210) 내부의 냉각용 물이 흡수관(1230)을 통해 물펌프(1220)로 유입된 후 배출단을 거쳐 제1챔버(CH1)로 공급되고, 그런 다음 배수관(1240)을 통해 다시 배출되어 물탱크(1210)로 회귀되는 냉각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냉각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100)의 상면에는 배기 팬(700)이 결합되어 함체(1100)의 하면에 위치한 흡기 필터(900)를 통해 흡입되어 상승하는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배기 팬(700)을 커버하는 배기 팬 덮개(1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관(800)을 통해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온-오프 동작 및 배기관(800)이 구비하는 전동식 개폐구(81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CTR)는 압력센서(5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고,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그리고, 흡기 필터(900)는 함체의 하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갖추면서, 평상시에는 공기의 유입까지도 방지하는 개폐식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동작이 온(ON)되는 경우, 흡기 필터(900)의 개폐 구조를 개방하여 함체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양만큼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기능한다. 물론 상기 흡기 필터(900)는 배기 팬(700)의 동작이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그 개폐구조가 폐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CTR)는 함체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압력센서로부터 대기압 값을 입력받거나, 중앙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대기압 값을 입력받아 이를 함체 내부의 압력센서(510)가 센싱한 값과 비교하여 함체(1100)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간 차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배기 팬(700) 및 전동식 개폐구(8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게 되는 때에는 배기 팬 모터(미도시)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회전수가 0이 될 때까지 배기 팬 오프(Off) 동작을 구동시키고,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게 되는 때에는 배기 팬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회전수가 일정 정도(예: 분당 80~140)가 될 때까지 배기 팬의 온(On) 동작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처리시스템은, 다수의 모듈이 탑재된 함체(1100)의 냉각을 위해, 냉각 유닛(1200) 및 배기 팬(700)의 구동을 통해 2가지 루트로 신속하게 냉각시켜 다수의 모듈 열화 방지 및 장수명화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팬에 의해 공기가 배기관을 통해 유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되되, 배기 팬 덮개(1400)의 배출 공기를 포집하는 배송통로(820) 내에 컨트롤러(CTR)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전동식 개폐구(8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구비한다.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는 컨트롤러(CTR)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되되, 배기 팬(700)의 동작과 연동되어 개폐되게 된다. 즉, 상기 배기 팬(700)이 온(ON) 될 때에는 컨트롤러(CTR)에 의해 전동식으로 개방되어 배기 팬(700)에 의해 배기 팬 덮개(1400)로 송출되는 함체 내부의 공기가 배송통로(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동식 개폐구(810)는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팬(700)이 오프(Off)될 때에는, 전동식 개폐구(810)는 이와 연동되어 패쇄됨으로써 외부의 먼저,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빗물 등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배출구의 측면 영역이 막힌 방풍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관(800)은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배기 팬(700)이 온(ON)되도록 구동되면, 배기 팬 덮개(1400)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비해 높으므로, 배기관(800)의 정풍량 밸브(830)와 전동식 개폐구(810)를 오픈하게 되면 압력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공기 기류가 이동하므로, 더욱 신속하게 배기 팬 덮개(1400) 내의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는 함체(1100) 내부에 뜨거워진 공기가 더욱 빨리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가 구비하는 상하이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가 구비하는 상하이동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함체(1100)의 내부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상하이동부(400)가 설치되되, 상하이동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압력센서(510)와 온도센서(520)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센서(520)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이 탑재되는 위치에 가깝게 상하로 이동하여 다수 모듈 근처의 온도를 센싱하여 컨트롤러(CTR)에 전달함으로써 냉각유닛(1200)을 신속히 구동시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510)도 함체(1100)의 상단부로 수직 이동하여 설치됨으로써 함체(1100)의 하단으로부터 열화되어 팽창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을 보다 더 정밀하게 센싱하고 이를 컨트롤러(CTR)에 전달함으로써 배기 팬(700)을 신속히 구동시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400)는 상하케이스(410),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 중앙금속부(440), 수평로드부(450), 중앙자석(460), 상하자석(461), 한 쌍의 이동레일(470) 및 레일이동부(48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케이스(410)는 함체(1100)의 측면에 결합되는데, 상하케이스(410)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케이스(4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4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는 상하케이스(410)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는데, 슬라이딩부(4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421)이 관통 형성되고, 슬라이딩홀(421)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인식홀(422)이 형성되며, 다수의 인식홀(422)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420)의 내부 하단에는 인식감지부(423)가 장착된다. 인식감지부(423)는 다수의 인식홀(422)로부터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홀(42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의 중앙에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440)가 결합된다.
상기 상하로드부(430)의 단부에는 인식부(431)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식부(431)의 이동 거리를 인식감지부(423)에서 체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하로드부(430)가 슬라이딩부(420)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인식부(431)도 슬라이딩홀(42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데, 이때 등간격으로 배치된 인식홀(422)을 인식부(431)가 지나게 되고, 이를 인식감지부(423)에서 인식하여 상하로드부(430)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평로드부(450)는 중앙금속부(440)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4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수평로드부(450)의 측부에는 레일이동부(480)가 결합된다. 레일이동부(48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470)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470)은 상하케이스(410)의 상면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411)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된다. 이동레일(470)은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단이 수평로드부(450)에 접촉되고, 하단이 레일이동부(480)에 접촉된다.
상기 중앙자석(460)은 상하케이스(410)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하자석(461)은 중앙자석(460)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중앙자석(460)과 한 쌍의 상하자석(461)은 자성을 띠고 있으므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중앙금속부(440)에 자기력을 가해 중앙금속부(440)를 멈출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중앙자석(460)은 한 쌍의 상하자석(461)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띤다. 평상시 중앙금속부(440)는 중앙자석(460)에 의해 가해지는 자기력에 의해 상하케이스(4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다만, 함체(1100)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함체(110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면, 상하케이스(410)도 일측으로 기울어지는데 중앙금속부(440)의 자체의 자중과 상하자석(461)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440)도 상하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하고, 상하케이스(410)가 다시 수직 상태로 복귀하면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460)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440)가 상하케이스(410)의 중앙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중앙금속부(440)가 상하케이스(410)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평로드부(45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압력센서(510) 또는 온도센서(520)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저면에 부착되는 공기완충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지면 또는 평평한 바닥에 안착되며, 지면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공기하우징(310), 공기유동부(320),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 공기링(330) 및 상부하우징(35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하우징(310)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311)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하우징(310)은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며, 함체(11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공기유동부(320)는 공기하우징(3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하우징(310)과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공기유동부(3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공기홀(3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홀(321)을 통해 공기유동부(320)의 상부와 공기하우징(310)의 충진공간(311)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는 공기홀(321)의 상단에 결합된다. 공기개폐부(340)는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공기유동부(320)의 상부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즉, 공기개폐부(340)는 공기유동부(320)의 상부면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공기개폐부(340)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321)의 상단은 폐쇄되고, 공기개폐부(340)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321)의 상단은 개방되게 된다.
상기 공기개폐부(340)의 하부면 중앙에는 공기홀(321)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3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지지단부(341)에 의해 공기개폐부(340)는 아래로 처지지 않고 공기홀(321)의 상단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링(330)은 공기유동부(320)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321)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데,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링(330)은 공기하우징(3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하우징(350)은 공기유동부(3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하우징(3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351)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35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지면 등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공기하우징(310)은 진동하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330)도 진동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며, 도 21에서 점선으로 표현한 것처럼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홀(321)과 공기개폐부(340)를 통해 충진공간(311)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고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310)의 진동이 커지며 공기링(330)의 진동도 커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크게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된다. 상기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면,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목표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이에 비해,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저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310)의 진동이 작아지며 공기링(330)의 진동도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의 진동도 작아져서 공기개폐부(340)가 폐쇄된다. 상기 공기개폐부(340)가 폐쇄되면, 충진공간(311)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고, 반공진대역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처리시스템은,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음영구간을 최소화시켜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더불어서 영상 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2가지 루트를 통해 원활하게 냉각시키면서도 외부에서 함체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 또는 완화하여 함체 내부의 각종 모듈의 열화현상과 고장장애 방지 및 안정적 운용과 장수명화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1: 이미지DB 2: 이미지검색모듈
3: 출력모듈 4: 지점선택모듈
5: 이미지탐색모듈 6: 이미지편집모듈
7: 영상처리모듈
300: 공기완충부 400: 상하이동부
510: 압력센서 520: 온도센서
600: 공기 흐름 700: 배기 팬
800: 배출관 900: 흡기 필터
1100: 함체 1200: 냉각유닛
1210: 물탱크 1220: 물펌프
1230: 흡수관 1240: 배수관
1400: 배기 팬 덮개

Claims (1)

  1. 항공기(200)에 설치된 항공카메라(100)로 촬영되고 GPS좌표가 적용된 영상이미지 데이터와, 영상이미지의 촬영 고도(h2) 정보와, 지상물이미지의 높이(h1)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DB(1); 이미지DB(1)의 데이터 및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 이미지검색모듈(2)이 검색한 영상이미지 데이터를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3a)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모듈(3); 터치스크린(3a)에 출력되는 영상이미지 내 지정된 한 쌍의 초기점(P1)과 한 쌍의 말기점(P2)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좌표값을 잇는 기준직선을 설정해서 초기점(P1)과 말기점(P2)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도로이미지(30)의 범위로 확정하는 지점선택모듈(4); 도로이미지(30)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기준직선상에 도로이미지(30)의 지정색상과는 불일치하면서 도로이미지(30)의 지정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 범위의 경계를 확정해서 상기 경계의 모서리를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가 도로이미지(30)를 덮은 방향으로 검색직선을 형성해서 출력모듈(3)을 통해 터치스크린(3a)에 출력하고, 검색직선상에 선택된 지점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하고, 당해 색상과 동일한 픽셀의 범위를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경계로 확정해서 상기 경계의 모서리를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기준점(b1 내지 b4)으로 설정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을 통해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을 연산하는 이미지탐색모듈(5);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 중심거리(d)와 상기 영상이미지의 촬영 고도(h2)와 수정지상물(20)의 높이(h1)를 확인해서 tanθ=(h2-h1)/d에 대입해 촬영각(θ)을 연산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과 촬영각(θ)을 sin(90-θ)=w2/L2에 대입해 수정된 평면부 폭(L2)을 연산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 전 평면부 이미지를 분리해서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그 크기를 조정하고, 제1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 이미지는 제거해서 제2지상물이미지(20a')를 완성하는 영상처리모듈(7); 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은 함체(1100)에 서브랙 형태로 실장되고,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냉각유닛(1200) 및 배기 팬(7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교체가 능한 실리카볼(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상기 함체(1100)에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의 열화를 방지할 냉각유닛(12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 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배수관(1240)을 포함하되,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을 작동시켜 함체(1100)를 냉각시키고,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미만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함체(1100)의 상면에는 배기 팬(700)이 결합되어 함체(1100)의 하면에 위치한 흡기 필터(900)를 통해 흡입되어 상승하는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배기 팬(700)을 커버하는 배기 팬 덮개(1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관(800)을 통해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컨트롤러(CTR)는 압력센서(5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고,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며,
    상기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되되, 배기 팬 덮개(1400)의 배출 공기를 포집하는 배송통로(820) 내에 상기 컨트롤러(CTR)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전동식 개폐구(8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의 내부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상하이동부(400)가 설치되고, 상하이동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압력센서(510)와 온도센서(520)를 구비하되,
    상기 상하이동부(400)는,
    그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되는 상하케이스(410); 상하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 한 쌍의 슬라이딩부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 한 쌍의 상하로드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440); 중앙금속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로드부(450); 상하케이스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460); 중앙자석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자성을 띠는 한 쌍의 상하자석(461); 상하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이동홀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470); 및 수평로드부의 측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이동부(480); 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되,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310);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20);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330);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350);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하우징(310)과 공기유동부(320)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3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340)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3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기하우징(3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330)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KR1020210046980A 2021-04-12 2021-04-12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KR10233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980A KR102337843B1 (ko) 2021-04-12 2021-04-12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980A KR102337843B1 (ko) 2021-04-12 2021-04-12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843B1 true KR102337843B1 (ko) 2021-12-09

Family

ID=7886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980A KR102337843B1 (ko) 2021-04-12 2021-04-12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8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208B1 (ko) * 2023-05-22 2024-02-01 네이버시스템(주) 지형정보의 변화를 업그레이드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32209B1 (ko) * 2023-05-22 2024-02-01 네이버시스템(주) 지아이에스(gis) 기반 수치지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68502B1 (ko) 2024-02-13 2024-05-23 (주)웨이버스 권역별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48B1 (ko) * 2009-10-28 2010-07-01 새한항업(주) 수치지도데이터와 도화이미지합성을 통한 지형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20140077669A (ko) * 2012-12-14 2014-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5895B1 (ko) * 2014-06-24 2014-12-23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지점인식 및 자동수정 방식의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KR101483955B1 (ko) * 2014-06-03 2015-01-2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영상이미지의 3차원 위치수정을 통한 음영구간 식별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1854344B1 (ko) * 2017-12-22 2018-05-04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정밀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JP2018524557A (ja) * 2015-05-09 2018-08-30 ブリリアント ライト パワー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ド 熱光起電力発電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48B1 (ko) * 2009-10-28 2010-07-01 새한항업(주) 수치지도데이터와 도화이미지합성을 통한 지형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20140077669A (ko) * 2012-12-14 2014-06-2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3955B1 (ko) * 2014-06-03 2015-01-2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영상이미지의 3차원 위치수정을 통한 음영구간 식별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1475895B1 (ko) * 2014-06-24 2014-12-23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업데이트를 위한 지점인식 및 자동수정 방식의 영상이미지 처리시스템
JP2018524557A (ja) * 2015-05-09 2018-08-30 ブリリアント ライト パワー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ド 熱光起電力発電装置
KR101854344B1 (ko) * 2017-12-22 2018-05-04 (주)선영종합엔지니어링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정밀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208B1 (ko) * 2023-05-22 2024-02-01 네이버시스템(주) 지형정보의 변화를 업그레이드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32209B1 (ko) * 2023-05-22 2024-02-01 네이버시스템(주) 지아이에스(gis) 기반 수치지도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68502B1 (ko) 2024-02-13 2024-05-23 (주)웨이버스 권역별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7843B1 (ko)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KR102307336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 보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탑재하는 함체
KR101948802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CN104732577B (zh) 一种基于uav低空航测系统的建筑物纹理提取方法
KR101347260B1 (ko) 촬영이미지별 수치데이터 합성을 처리하는 영상도화이미지 제작시스템
CN103596812B (zh) 停车辅助装置
KR102325635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JPWO2008152740A1 (ja) デジタル空撮3次元計測システム
KR101347248B1 (ko)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CN110223380B (zh) 融合航拍与地面视角图像的场景建模方法、系统、装置
KR101804937B1 (ko) 고정밀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53659B1 (ko) 기계학습과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지도 제작 장치
KR102259752B1 (ko)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CN111436208A (zh) 一种测绘采样点的规划方法、装置、控制终端及存储介质
JP2015114954A (ja) 撮影画像解析方法
US77115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 first object with respect to a second object,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1523545A (zh) 一种结合深度信息的物品查找方法
KR102337844B1 (ko)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JP6110780B2 (ja) 付加情報表示システム
WO20180761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composed top-view image of a road
KR101860448B1 (ko)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사용자 지향적 경관 시뮬레이션 영상제공시스템
KR102347352B1 (ko)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갱신하는 항공촬영 시스템
KR100945087B1 (ko) 지형 및 지형물 변화에 따른 기준점 대비 측지확인시스템
KR101854344B1 (ko)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정밀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