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635B1 -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635B1
KR102325635B1 KR1020210063812A KR20210063812A KR102325635B1 KR 102325635 B1 KR102325635 B1 KR 102325635B1 KR 1020210063812 A KR1020210063812 A KR 1020210063812A KR 20210063812 A KR20210063812 A KR 20210063812A KR 102325635 B1 KR102325635 B1 KR 102325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ir
housing
modu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배
Original Assignee
(주)원지리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지리정보 filed Critical (주)원지리정보
Priority to KR102021006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52Data derived from aerial or satellite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5Road data
    • G01C21/3819Road shape data, e.g. outline of a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5Road data
    • G01C21/3822Road feature data, e.g. slope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48Data obtained from both position sensors and additional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06T5/00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음영구간을 최소화시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 이미지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영상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영상처리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2가지 루트를 통해 원활하게 냉각시키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진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an enclosure equipped with image processing module for correcting error of picture image}
본 발명은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음영구간을 최소화시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 이미지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영상이미지를 합성 처리하는 각종 영상처리 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원활하게 냉각시키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진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도 또는 내비게이션의 배경(이하 '지도')은 촬영기술 및 영상이미지 처리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실사를 기반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이렇게 제작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주변형세와 지도의 모습이 정확히 일치하므로, 상기 지도의 고유한 기능인 길안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지도의 배경은 통상적으로 항공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일정고도에 위치한 항공기가 지상을 촬영하면서, 도 1(종래 항공사진 지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항공촬영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물론, 항공촬영은 고도에 따라 그 촬영면적이 한정되므로, 넓은 범위에 대한 지도제작을 위해서는 동일 구간에 대한 다수 개의 항공촬영이미지를 확보하고, 이 항공촬영이미지를 잇는 별도의 편집 및 도화업무를 진행해야 한다.
그런데, 항공촬영이미지는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고도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촬영된 것이므로, 항공기의 연직 방향에 위치한 지상물을 제외하곤 이와 인접하는 다른 지상물들은 측면이 포함돼 촬영될 수밖에 없다. 참고로, 도 1의 좌측 상단에 위치한 흰색 밑줄의 "강남제일빌딩" 건물과, 우측 상단에 위치한 흰색 밑줄의 "풍림산업" 건물과, 좌측 하단에 위치한 흰색 밑줄의 "메리츠타워" 건물이 각각 옥상(평면부)만이 아닌 측면까지 촬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제작을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항공촬영이미지를 서로 연결해 잇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다른 위치에서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를 부분적으로 적용한다. 결국, 앞서 제시한 3개의 건물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 지도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지도는 동일한 지도임에도 불구하고 인접하는 3개의 건물이 전혀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 보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낯선 지역에 대한 지도 해석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를 통해 지도 이용에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고도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촬영된 영상이미지는, 항공기의 연직 방향에 위치한 지상물을 제외하곤 이와 인접하는 다른 지상물들은 측면이 포함되어 촬영될 수밖에 없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각종 건물 등의 지상물 관련 영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기술이 요구되어 왔으나, 종래의 영상처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음영구간 보정은 해당 음영부분의 실제이미지가 촬영된 다른 영상이미지를 검색해서 편집처리하는 것이므로,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해당 영상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음영부분을 절개 편집해서 크기와 해상도를 일치시키는 과정이 요구되어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상물 관련 영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기술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영상 이미지를 편집 및 합성 처리하는 각종 영상처리 모듈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각 영상처리모듈이 탑재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 문제로 인하여, 각 영상처리모듈의 열화, 고장 장애 현상과 단수명화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사를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지도 제작시, 건물 등과 같은 지상물의 평면모습만을 지도에 표현해서, 이웃하는 다른 지상물에 대한 시각적인 간섭을 방지함은 물론, 지상물의 배치모습을 사용자가 정확히 확인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영역별로 순차 처리하되 지상물이미지에 나타난 오류를 제거하여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면서 영상 이미지의 오류를 수정하는 각종 영상처리모듈이 장착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원활하게 냉각시키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진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좌표가 적용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와, 항공촬영이미지의 촬영 고도(h2) 정보와, 지상물이미지의 높이(h1)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DB(1); 이미지DB(1)의 데이터 및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 이미지검색모듈(2)이 검색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3a)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모듈(3); 터치스크린(3a)에 출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지정된 한 쌍의 초기점(P1)과 한 쌍의 말기점(P2)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좌표값을 잇는 기준직선을 설정해서 초기점(P1)과 말기점(P2)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도로이미지(30)의 범위로 확정하는 지점선택모듈(4); 도로이미지(30)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기준직선상에 도로이미지(30)의 지정색상과는 불일치한 픽셀들을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픽셀들 중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들을 연결해 경계로 확정해서 모서리로 한 후 상기 모서리를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도로이미지(30)를 덮은 방향으로 검색직선을 형성해서 출력모듈(3)을 통해 터치스크린(3a)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3a)에 출력된 검색직선상의 일지점을 지적해서 선택된 지점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한 후, 상기 지정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들을 확인해서 상기 픽셀들이 위치한 범위를 경계로 제한해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확정하며 상기 경계의 모서리에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기준점(b1 내지 b4)을 설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을 통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을 연산하는 이미지탐색모듈(5);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 중심거리(d)와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의 촬영 고도(h2)와 수정지상물(20)의 높이(h1)를 확인해서 tanθ=(h2-h1)/d에 대입해 촬영각(θ)을 연산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과 촬영각(θ)을 sin(90-θ)=w2/L2 에 대입해 수정된 평면부 폭(L2)을 연산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 전 평면부 이미지를 분리해서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그 크기를 조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 이미지는 제거하는 이미지도화모듈(7); 상기 측면부 이미지가 제거된 항공촬영이미지에 수정된 평면부를 합성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 이미지 제거로 형성된 음영부분(D)의 GPS좌표를 확인해서 이미지DB(1)에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를 포함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이미지검색모듈(2)을 매개로 검색하고, 상기 다른 항공촬영이미지의 실제이미지를 크기 및 해상도를 일치시켜서 음영부분(D)에 합성하고, 이미지DB(1)의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갱신하는 이미지편집모듈(6); 및 상기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이미지편집모듈(6) 및 영상처리모듈(7)이 서브랙 형태로 실장된 함체(1100);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냉각유닛(1200) 및 배기 팬(7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교체가 능한 실리카볼(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상기 함체(1100)에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이미지편집모듈(6) 및 영상처리모듈(7)의 열화를 방지할 냉각유닛(12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 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배수관(1240)을 포함하되,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을 작동시켜 함체(1100)를 냉각시키고,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미만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함체(1100)의 상면에는 배기 팬(700)이 결합되어 함체(1100)의 하면에 위치한 흡기 필터(900)를 통해 흡입되어 상승하는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배기 팬(700)을 커버하는 배기 팬 덮개(1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관(800)을 통해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컨트롤러(CTR)는 압력센서(5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고,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며, 상기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되되, 배기 팬 덮개(1400)의 배출 공기를 포집하는 배송통로(820) 내에 상기 컨트롤러(CTR)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전동식 개폐구(8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의 내부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상하이동부(400)가 설치되고, 상하이동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압력센서(510)와 온도센서(520)를 구비하되, 상기 상하이동부(400)는, 그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되는 상하케이스(410); 상하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 한 쌍의 슬라이딩부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 한 쌍의 상하로드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440); 중앙금속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로드부(450); 상하케이스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460); 중앙자석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자성을 띠는 한 쌍의 상하자석(461); 상하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이동홀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470); 및 수평로드부의 측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이동부(480); 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되,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310);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20);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330);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350); 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하우징(310)과 공기유동부(320)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3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340)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3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기하우징(3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330)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함체(1100)는 상기 공기완충부(300)에 각각 체결되는 함체이동부(150)에 의해 이동 및 지면 고정이 가능하되, 상기 함체이동부(150)는, 상기 공기완충부(300)의 외면에 삽입되는 라운딩 체결구(153)와 베어링(152)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2개의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끝단에 바퀴(151)를 구비하여 함체(1100)의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함체(1100)의 지면 고정시에는, 상기 공기완충부(300)가 지면에 안착될 때까지 바퀴(15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공기완충부(300)가 안착되면, 바퀴(151)는 상방으로 밀려올라가면서 함체이동부(150)의 원기둥 안쪽면에 위치하는 스토퍼(154)가 지면에 고정 밀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영상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완성된 지도에 표시되는 경사진 지상물을 편집해서 해당 지상물의 정확한 평면모습만이 출력되도록 하고, 이렇게 제작된 지도를 통해 도심지와 같이 수많은 지상물 또는 건물이 위치한 지역에 대한 길안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이미지의 오류를 수정하는 각종 영상처리모듈이 장착되는 함체의 내부 발생열을 다양한 루트를 통해 원활하게 냉각시키면서도 외부에서 함체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 또는 완화하여 함체 내부의 각종 영상처리모듈의 열화현상, 고장장애 방지 및 안정적 운용과 장수명화를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항공사진 지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적용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 적용을 위한 항공촬영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보정된 지상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보정된 수직영상을 보인 이미지.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가 움푹 파인 지면 속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배기 팬에 의해 공기가 배기관을 통해 유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함체가 구비하는 상하이동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함체의 저면 및 측면에 부착되는 공기완충부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함체이동부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함체이동부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함체이동부에 의한 함체의 이동을 마치고, 지면과 밀착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적용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다양한 지역의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1)와, 이미지DB(1)에서 특정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과, 검색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읽고 출력하는 출력모듈(3)과, 출력모듈(3)에 의해 출력된 항공촬영이미지에서 특정 지점을 선택해 수정해야할 지상물이미지의 탐색 기준을 설정하는 지점선택모듈(4)과, 상기 탐색 기준에 따라 수정지상물이미지(20a; 도 6(a) 참고)를 탐색하는 이미지탐색모듈(5)과, 수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 도 6(b) 참고)를 기존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에 적용해 합성 및 갱신처리하는 이미지편집모듈(6)과, 수정해야할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수정하는 이미지도화모듈(7)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1)와, 이미지DB(1)에서 특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은, 그 구성과 구조가 공지,공용되는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모듈(3)은 화면 입력기능을 갖는 공지,공용의 터치스크린(3a)에, 이미지검색모듈(2)이 검색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는 항공촬영이미지이고, 출력모듈(3)은 터치스크린(3a)을 통해 항공촬영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공지,공용의 모듈이다. 물론, 출력모듈(3)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3a)을 터치한 지점을 확인해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참고로, 출력모듈(3)은 '포토샵(어도비 시스템즈사에서 개발한 레스터 그래픽 편집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대표적인 운영체제인 윈도우의 그래픽 편집기인 '그림판' 등과 같이, 이미지데이터를 확인해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는 통상적인 프로그램일 것이다.
지점선택모듈(4)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탐색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으로, 탐색을 위한 상기 기준은 항공촬영이미지에 포함된 도로이미지(30)가 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기준지상물(10; 도 5 참조) 및 수정지상물(20; 도 5 참조)의 인접 지역에는 아스팔트와 같이 균일한 색상의 골재가 포장된 도로가 위치한다. 이러한 도로는 기준지상물(10) 또는 수정지상물(20)과는 매우 근접하므로, 수정지상물(20)의 측면부가 촬영돼 도로 쪽으로 기울어진 외관을 보이게 되는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도로이미지(3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점유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은 이러한 특성을 응용한 것으로, 상기 지점선택모듈(4)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3a)을 통해 지정한 한 쌍의 초기점(P1)과 한 쌍의 말기점(P2)을 기준으로 해당 범위 내에 있는 이미지를 도로이미지(30)로 확정한다. 즉, 지점선택모듈(4)은 사용자가 선택한 초기점(P1) 및 말기점(P2)의 각 좌표값을 확인해서 이를 기준직선으로 연결해 잇고, 이렇게 형성된 기준직선은 도로의 경계가 되면서 도로이미지(30)의 범위가 확정되는 것이다.
이미지탐색모듈(5)은 지점선택모듈(4)에 의해 범위와 그 경계가 확정된 도로이미지(30)의 색상을 확인한 후, 도로이미지(3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된 색상을 확인해서,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 비교해 그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미지탐색모듈(5)은 앞서 설정한 기준직선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된 색상을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된 색상과 도로이미지(30)의 색상을 비교해서, 일정길이 이상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는 불일치하면서 서로는 동일한 색상이 지정된 픽셀의 구간(T)이 확인되면, 해당 구간(T)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위치한 것으로 간주해 이를 수정대상으로 설정한다.
물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과 도로이미지(30)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이 일치해서 상기 구간(T)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기준직선의 주변 픽셀의 지정 색상도 아울러 확인해서 기준직선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벗어난 위치의 픽셀에도 도로이미지(30)의 색상과 동일,유사한 색상이 연속적으로 확인되면, 이는 수정지상물이미지(20a)로 간주해서 이를 수정대상으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이미지도화모듈(7)은 설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수정하고, 이미지편집모듈(6)은 수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항공촬영이미지에 적용해 갱신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 적용을 위한 항공촬영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보정된 지상물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은 항공촬영시 촬영되는 지상물의 측면부를 보정해서, 지도로서 완성된 항공촬영이미지가 지상물의 평면만을 정확히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항공촬영이미지가 지도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처리방법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해서 순차 설명한다.
S11; 수정대상 선택단계
출력모듈(3)은 다양한 지상물이미지(10a, 20a)를 포함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출력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지점선택모듈(4) 및 이미지탐색모듈(5)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탐색해 결정한다.
S12; 수정대상 기준점 설정단계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결정되면,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하고 있는 범위를 확인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갖는 모서리를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한다. 물론,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선택되는 모서리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와 측면부의 경계부에 위치한 모서리(a3, a4)도 포함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탐색모듈(5)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 색상을 확인해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경계를 확정하고, 이렇게 확정된 경계에서 모서리부분을 확인해서 상기 기준점(a1 내지 a6)을 설정한다.
이미지탐색모듈(5)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을 설정하면, 이 기준점(a1 내지 a6)을 기준으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을 각각 연산한다.
참고로, 기준점(a1 내지 a6)이 설정되며 이미지탐색모듈(5)은 픽셀을 매개로해당 지점에 대한 좌표값을 확인하고, 이 좌표값들을 이용해 공지,공용의 연산방법으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을 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폭(w1)과 평면부 폭(w2)이란,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울어진 방향으로의 전체 및 평면부의 길이가 될 것이다.
S13; 기준대상 선택단계
비행중인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할 시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지상물의 평면이 정확히 촬영될 수 있다. 물론, 기준지상물(10)의 평면만을 100%로 촬영해서 항공촬영이미지에 출력할 수는 없으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때 평면으로 지각되면서 주변 도로이미지(30)를 식별할 수 있다면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선택되기에 충분하다 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전술한 조건을 충족하는 기준지상물(10)을 기준대상으로 선택하되, 수정대상으로 선택된 수정지상물(20)의 위치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준지상물(10)은 수정지상물(20)의 측면이 보이도록 기울어진 방향과 동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지상물을 선택해서 이를 기준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미지탐색모듈(5)은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도로이미지(30)를 덮은 방향으로 검색직선을 형성하고, 출력모듈(3)은 상기 검색직선을 터치스크린(3a)에 출력해서, 사용자가 검색직선 상에 위치한 이미지들 중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선택할 지점을 터치해 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S14; 기준대상 기준점 설정단계
기준지상물이미지(10a)가 선택되면, 이미지탐색모듈(5)은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 픽셀의 지정 색상을 확인해서, 당해 색상과 동일,유사한 픽셀의 범위를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경계로 확정하고, 이렇게 확정된 경계에서 모서리부분을 확인해서 상기 기준점(b1 내지 b4)을 설정한다.
상기 기준점(b1 내지 b4)이 설정되면, 이미지탐색모듈(5)은 기준점(b1 내지 b4)을 기준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평면 폭(L1)을 연산한다.
S15; 촬영각 연산단계
기준지상물이미지(10a)가 선택되면, 이미지도화모듈(7)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중인 항공기가 기준지상물(1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서 해당 기준지상물(10)을 촬영하는 것으로 구조화한다.
한편, 이미지도화모듈(7)은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의 실제 중심거리(d)를 확인한다. 중심거리(d)는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기준점(b1 내지 b4) 내 중심점과 수정지상물이미지(20a) 평면부의 기준점(a3 내지 a6) 내 중심점 간 거리를 연산한 후, 그 결과값을 항공촬영이미지의 축척 정도로 환산해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검색모듈(2)은 이미지DB(1)에서 당해 항공촬영이미지 촬영시 항공기의 고도(h2)와, 수정지상물(20)의 실제 높이(h1)를 검색해 확인한다.
계속해서, 이미지도화모듈(7)은 항공기에서 촬영된 수정지상물(20)의 촬영각(θ)을 연산한다. 여기서 촬영각(θ)이란 카메라의 촬영방향과 수정지상물(20)의 배치방향의 각을 가리키는 것이다. 따라서, 항공기가 기준지상물(10)의 직상방에 위치하면서 항공기의 카메라가 기준지상물(10)을 촬영하는 촬영각(θ)은 '0도'가 될 것이다.
촬영각(θ) 연산을 위해서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한다.
Figure 112021057123768-pat00001
S16; 수정대상 범위연산단계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공기의 카메라가 수정지상물(20)의 직상방에 위치하지 못하면, 촬영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수정지상물(20)의 평면부와 측면부가 포함돼 출력된다. 즉,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하는 것처럼 보이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면적은, 수정지상물(20)이 지상을 점유하는 평면적을 항공촬영이미지의 축척 정도로 연산해 얻은 면적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항공촬영시 수정지상물(20)이 비스듬히 촬영되면서 그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수정지상물(20)의 평면부와 측면부가 포함되고, 이로 인해 수정지상물(20)이 실제로 점유하지 않은 지상부분이 수정지상물(20)에 의해 가려진다. 이렇게 촬영된 항공촬영이미지에는 수정지상물(20)이 가린 부분도 수정지상물(20)의 일부분으로 확인되어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수정지상물(20)의 실제 모습보다 큰 구조물로 보이게 된다. 물론, 이러한 오류는 수정지상물이미지(20a)에 인접하는 도로이미지(30)까지 가려 보이지 않게 하므로, 당해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지도이용에 혼란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항공촬영이미지에 출력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크기를 보정해서, 항공기가 수정지상물(20)의 직상방에서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하는 항공촬영이미지 수정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도화모듈(7)은 보정해야 할 항공촬영이미지 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과, 촬영각(θ)을 [수학식 2]에 대입해서, 수정지상물(20)의 평면을 직상방에서 촬영했을 때의 수정된 평면부 폭(L2)을 연산한다.
Figure 112021057123768-pat00002
S17; 수정대상 이미지보정단계
이미지도화모듈(7)은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보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완성한다. 보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는 기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는 제거되고, 평면부의 크기는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보정된다.
여기서, 이미지도화모듈(7)에 의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도화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기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만을 절개해 독립된 평면이미지로 확보한다. 이렇게 확보된 평면이미지는 기존의 수정지상물이미지(20a) 평면부의 폭(w2) 대비 수정된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된 평면부 폭(L2)의 비율에 따라 변형되는데, 이러한 변형은 공지,공용의 이미지변형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변형기술이라 함은 '포토샵(어도비 시스템즈사에서 개발한 레스터 그래픽 편집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대표적인 운영체제인 윈도우의 그래픽 편집기인 '그림판', 통상적이 워드프로그램에서 이미지를 '붙여넣기'하는 기술 등에서 널리 적용되는 기능으로, 이미지도화모듈(7)은 상기 기능을 통해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의 비율을 결정해서 해당 비율로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편집모듈(6)에 의한 수정된 평면부를 합성할 때의 기준은 기준지상물이미지(10a)와 직접 마주하는 모서리(a1, a2)로 한다. 이는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울어진 모습과는 상관없이 기준지상물이미지(10a)와 비교해 상기 모서리(a1, a2)는 지상에서 항시 고정된 위치이기 때문이다.
S18; 이미지합성단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이 완료되면, 기존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점유해 출력되지 못했던 음영부분(D)의 처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편집모듈(6)은 이미지검색모듈(2)을 통해 이미지DB(1)에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가 촬영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포함된 항공촬영이미지의 크기 및 해상도에 일치시킨다. 참고로, 이미지DB(1)에 저장된 항공촬영이미지는 수치지도로서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이므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에는 GPS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데이터이다. 따라서, 이미지편집모듈(6)은 음영부분(D)에 대한 GPS좌표를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이미지DB(1)를 검색해서 음영부분(D) 전체가 정상적으로 출력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실제이미지와 항공촬영이미지의 크기 및 해상도가 일치되면, 이미지편집모듈(6)은 다른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절개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를 수정지상물이미지(20a')를 포함한 항공촬영이미지의 음영부분(D)에 합성해서, 도 7(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에 따라 보정된 수직영상을 보인 이미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영부분(D)을 제거하고, 완전한 수직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S19; 수직영상 데이터갱신단계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보정이 완료되면, 이미지편집모듈(6)은 실제이미지가 합성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DB(1)에 입력해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 등 다수의 모듈들은 기판 형태를 갖고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함체(1100)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되며, 상기 함체(1100)의 전면에는 도어(11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장된 기판 형태의 모듈을 수리, 보수 혹은 교체할 때 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형태를 갖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은 고속신호처리가 요구되므로 많은 열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미세먼지들도 함께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열을 방열시키거나 별도의 냉각구조를 갖지 않게 되면 열화에 의해 다수 모듈들의 급속한 수명단축이 이루어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며, 또한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세먼지가 회로에 끼면서 회로를 통한 신호처리시 오류를 유발시키게 된다.
먼저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2가지 루트로 함체(100)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갖는데, 냉각유닛(1200) 및 배기팬(700)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덧붙여, 이하 설명되는 냉각유닛(1200) 및 배기팬(700)의 구동전원은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을 구동하기 위해 함체(1100)로 제공되는 상용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혹은 어댑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1200) 구현을 위해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상기 냉각유닛(12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실리카겔(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실리카겔(SCA)은 교체할 수 있도록 제2격벽(W2)의 일부에 배출구(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이 전제조건이다.
이러한 전제조건 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연결된 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연결된 배수관(1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챔버(CH1)에 물, 즉 냉각수(상온보다 낮으면 됨)가 채워짐으로써 내부가 냉각되게 되고, 그 냉기는 함체(1100) 내부로 전도되어 함체(1100) 내부에서 발열에 의해 승온된 열을 냉각시켜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챔버(CH1) 내부에 냉각용 물이 채워져 있는 관계로 제1격벽(W1)의 외측에서는 결로 현상에 의해 수분이 생길 수 있다. 이 수분이 함체(1100) 내부로 유입되면 안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제2챔버(CH2)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챔버(CH2)에는 흡습제인 구형상의 실리카겔이 채워져 있어 혹시라도 생길지 모를 수분을 빨아들여 수분이 함체(1100)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유닛(1200)의 구동은,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을 작동시켜 함체(1100)를 냉각시키고,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설정된 온도값 미만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온도값은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을 형성하는 기판의 재질,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데, 25℃ ~ 75℃ 범위에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CTR)의 제어에 따라 물펌프(1220)가 구동되고, 이 물펌프(1220)의 흡입압에 의해 물탱크(1210) 내부의 냉각용 물이 흡수관(1230)을 통해 물펌프(1220)로 유입된 후 배출단을 거쳐 제1챔버(CH1)로 공급되고, 그런 다음 배수관(1240)을 통해 다시 배출되어 물탱크(1210)로 회귀되는 냉각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냉각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100)의 상면에는 배기 팬(700)이 결합되어 함체(1100)의 하면에 위치한 흡기 필터(900)를 통해 흡입되어 상승하는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배기 팬(700)을 커버하는 배기 팬 덮개(1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관(800)을 통해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온-오프 동작 및 배기관(800)이 구비하는 전동식 개폐구(81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CTR)는 압력센서(5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고,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그리고, 흡기 필터(900)는 함체의 하부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를 갖추면서, 평상시에는 공기의 유입까지도 방지하는 개폐식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동작이 온(ON)되는 경우, 흡기 필터(900)의 개폐 구조를 개방하여 함체 내부의 뜨거워진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양만큼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함체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기능한다. 물론 상기 흡기 필터(900)는 배기 팬(700)의 동작이 오프(Off)되는 경우에는 그 개폐구조가 폐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CTR)는 함체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압력센서로부터 대기압 값을 입력받거나, 중앙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대기압 값을 입력받아 이를 함체 내부의 압력센서(510)가 센싱한 값과 비교하여 함체(1100) 내부의 압력과 대기압의 압력간 차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배기 팬(700) 및 전동식 개폐구(8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CTR)는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게 되는 때에는 배기 팬 모터(미도시)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회전수가 0이 될 때까지 배기 팬 오프(Off) 동작을 구동시키고,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게 되는 때에는 배기 팬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회전수가 일정 정도(예: 분당 80~140)가 될 때까지 배기 팬의 온(On) 동작을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처리시스템은, 다수의 모듈이 탑재된 함체(1100)의 냉각을 위해, 냉각 유닛(1200) 및 배기 팬(700)의 구동을 통해 2가지 루트로 신속하게 냉각시켜 다수의 모듈 열화 방지 및 장수명화를 가져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함체가 움푹 파인 지면 속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측면에도 다수의 공기완충부(300)가 결합되되, 움푹 파인 지면 또는 움푹 파인 콘크리트 속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함체는 움푹 파인 지면 또는 콘트리트 속에 삽입되되 하면과 측면이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며, 공기완충부(300)는 지면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팬에 의해 공기가 배기관을 통해 유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되되, 배기 팬 덮개(1400)의 배출 공기를 포집하는 배송통로(820) 내에 컨트롤러(CTR)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전동식 개폐구(8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구비한다.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는 컨트롤러(CTR)에 의해 그 개폐가 제어되되, 배기 팬(700)의 동작과 연동되어 개폐되게 된다. 즉, 상기 배기 팬(700)이 온(ON) 될 때에는 컨트롤러(CTR)에 의해 전동식으로 개방되어 배기 팬(700)에 의해 배기 팬 덮개(1400)로 송출되는 함체 내부의 공기가 배송통로(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전동식 개폐구(810)는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팬(700)이 오프(Off)될 때에는, 전동식 개폐구(810)는 이와 연동되어 패쇄됨으로써 외부의 먼저,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빗물 등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바람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배출구의 측면 영역이 막힌 방풍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관(800)은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배기 팬(700)이 온(ON)되도록 구동되면, 배기 팬 덮개(1400) 내의 압력이 대기압에 비해 높으므로, 배기관(800)의 정풍량 밸브(830)와 전동식 개폐구(810)를 오픈하게 되면 압력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공기 기류가 이동하므로, 더욱 신속하게 배기 팬 덮개(1400) 내의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는 함체(1100) 내부에 뜨거워진 공기가 더욱 빨리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가 구비하는 상하이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가 구비하는 상하이동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함체(1100)의 내부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상하이동부(400)가 설치되되, 상하이동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압력센서(510)와 온도센서(520)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센서(520)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및 영상처리모듈(7)이 탑재되는 위치에 가깝게 상하로 이동하여 다수 모듈 근처의 온도를 센싱하여 컨트롤러(CTR)에 전달함으로써 냉각유닛(1200)을 신속히 구동시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필요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510)도 함체(1100)의 상단부로 수직 이동하여 설치됨으로써 함체(1100)의 하단으로부터 열화되어 팽창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을 보다 더 정밀하게 센싱하고 이를 컨트롤러(CTR)에 전달함으로써 배기 팬(700)을 신속히 구동시킬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400)는 상하케이스(410),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 중앙금속부(440), 수평로드부(450), 중앙자석(460), 상하자석(461), 한 쌍의 이동레일(470) 및 레일이동부(48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케이스(410)는 함체(1100)의 측면에 결합되는데, 상하케이스(410)의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상하케이스(41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4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는 상하케이스(410)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는데, 슬라이딩부(42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421)이 관통 형성되고, 슬라이딩홀(421)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인식홀(422)이 형성되며, 다수의 인식홀(422)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420)의 내부 하단에는 인식감지부(423)가 장착된다. 인식감지부(423)는 다수의 인식홀(422)로부터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슬라이딩홀(42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의 중앙에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440)가 결합된다.
상기 상하로드부(430)의 단부에는 인식부(431)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식부(431)의 이동 거리를 인식감지부(423)에서 체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하로드부(430)가 슬라이딩부(420)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인식부(431)도 슬라이딩홀(421)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데, 이때 등간격으로 배치된 인식홀(422)을 인식부(431)가 지나게 되고, 이를 인식감지부(423)에서 인식하여 상하로드부(430)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수평로드부(450)는 중앙금속부(440)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4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수평로드부(450)의 측부에는 레일이동부(480)가 결합된다. 레일이동부(48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470)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470)은 상하케이스(410)의 상면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411)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된다. 이동레일(470)은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단이 수평로드부(450)에 접촉되고, 하단이 레일이동부(480)에 접촉된다.
상기 중앙자석(460)은 상하케이스(410)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고, 한 쌍의 상하자석(461)은 중앙자석(460)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중앙자석(460)과 한 쌍의 상하자석(461)은 자성을 띠고 있으므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중앙금속부(440)에 자기력을 가해 중앙금속부(440)를 멈출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중앙자석(460)은 한 쌍의 상하자석(461)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띤다. 평상시 중앙금속부(440)는 중앙자석(460)에 의해 가해지는 자기력에 의해 상하케이스(4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다만, 함체(1100)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함체(110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면, 상하케이스(410)도 일측으로 기울어지는데 중앙금속부(440)의 자체의 자중과 상하자석(461)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440)도 상하케이스의 일측으로 이동하고, 상하케이스(410)가 다시 수직 상태로 복귀하면 상대적으로 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460)의 자기력에 의해 중앙금속부(440)가 상하케이스(410)의 중앙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중앙금속부(440)가 상하케이스(410)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평로드부(45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압력센서(510) 또는 온도센서(520)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자석(460) 및 상하자석(461)은 각각, 네오디뮴 및 보론을 포함하는 희토류 원소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서 13.4원자% 이상 19.7원자% 이하, 붕소(B) 4.3원자% 이상 7.4원자% 이하, 망간(Mn) 0.07원자% 이상 0.36원자% 이하, 첨가 원소로서 V, Nb, Mo, Ga, In, W, Hf, Bi, Ti, 및 Ta 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서 0.1 초과 4.6원자% 이하, 전이 금속으로 철(Fe) 및 코발트(Co)를 함유하는 잔량부로 형성되는 소결 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결 자석을 적용하면, 실온 부근의 보자력을 개선함과 함께 60℃ 이상의 고온역에서도 종래의 자석보다 높은 보자력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소정량의 Mn의 첨가에 의해 소결 자석 제조 공정에 있어서 소결 반응을 촉진하므로, 저온 또는 단시간의 소결을 가능하게 하여 소결 조직이 균질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저면 및 측면에 부착되는 공기완충부의 단면도이다.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지면 또는 평평한 바닥에 안착되며, 지면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공기하우징(310), 공기유동부(320),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 공기링(330) 및 상부하우징(35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하우징(310)에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311)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하우징(310)은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며, 함체(1100)의 하면에 결합된다.
상기 공기유동부(320)는 공기하우징(31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하우징(310)과 마찬가지로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공기유동부(3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공기홀(3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홀(321)을 통해 공기유동부(320)의 상부와 공기하우징(310)의 충진공간(311)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는 공기홀(321)의 상단에 결합된다. 공기개폐부(340)는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공기유동부(320)의 상부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다. 즉, 공기개폐부(340)는 공기유동부(320)의 상부면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공기개폐부(340)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321)의 상단은 폐쇄되고, 공기개폐부(340)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공기홀(321)의 상단은 개방되게 된다.
상기 공기개폐부(340)의 하부면 중앙에는 공기홀(321)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3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지지단부(341)에 의해 공기개폐부(340)는 아래로 처지지 않고 공기홀(321)의 상단을 견고하게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링(330)은 공기유동부(320)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321)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데,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링(330)은 공기하우징(3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하우징(350)은 공기유동부(3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하우징(3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351)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기공(35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지면 등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공기하우징(310)은 진동하고,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330)도 진동된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며, 도 21에서 점선으로 표현한 것처럼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홀(321)과 공기개폐부(340)를 통해 충진공간(311)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지면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고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310)의 진동이 커지며 공기링(330)의 진동도 커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크게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된다. 상기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면,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목표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이에 비해, 지면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이 저 주파수이면, 공기하우징(310)의 진동이 작아지며 공기링(330)의 진동도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의 진동도 작아져서 공기개폐부(340)가 폐쇄된다. 상기 공기개폐부(340)가 폐쇄되면, 충진공간(311) 내부의 공기가 유동되지 못하고, 반공진대역 주파수의 감도가 상향되어 진동이 감쇠된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함체이동부의 사시도와,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구비하는 함체이동부에 의해 함체의 이동을 마치고, 지면과 밀착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함체이동부(150)는, 상기 공기완충부(300)에 체결되되, 그 끝단에 형성된 바퀴(151)를 통해 함체(1100)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함체이동부(150)는 함체 이동 후, 상기 공기완충부(300)가 지면과 밀착,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함체이동부(150)는, 상기 공기완충부(300)의 외면에 삽입되는 라운딩 체결구(153)와 베어링(152)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2개의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끝단에 바퀴(151)를 구비한다.
즉, 함체이동부(150)는, 함체(1100)의 이동시에는 공기완충부(300)를 삽입한 후, 베어링(152)을 강하게 조여서 함체이동부의 원기둥이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고정되어 함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함체(1100)의 이동 완료시에는 베어링(152)을 느슨하게 풀어서 함체이동부의 원기둥이 서서히 지면쪽으로 내려오도록 운용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함체이동부(150)에 있어서, 각각의 공기완충부(300)에 체결된 함체이동부(150)의 베어링(152)을 느슨하게 풀면, 공기완충부(300)는 하방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는데, 공기완충부(300)가 지면 등에 안착될 때까지 함체이동부의 양 바퀴(151)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바퀴(151)는 공기완충부(300)가 위치하는 중앙으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눌려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공기완충부(300)가 지면 등에 안착되어 밀착 결합되게 되면, 양 바퀴(151)는 상방으로 밀려올라가면서 전후조절고정부(150)의 원기둥 안쪽면에 위치한 스토퍼(154)가 지면과 맞닿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154)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함체이동부(150)와 지면 사이의 빈틈을 메워 공기완충부(300) 및 함체(1100)를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이미지DB 2: 이미지검색모듈
3: 출력모듈 4: 지점선택모듈
5: 이미지탐색모듈 6: 이미지편집모듈
7: 영상처리모듈 150: 함체이동부
151: 바퀴 152: 베어링
153: 라운딩 체결구 154: 스토퍼
300: 공기완충부 400: 상하이동부
510: 압력센서 520: 온도센서
600: 공기 흐름 700: 배기 팬
800: 배출관 900: 흡기 필터
1100: 함체 1200: 냉각유닛
1210: 물탱크 1220: 물펌프
1230: 흡수관 1240: 배수관
1400: 배기 팬 덮개

Claims (1)

  1. GPS좌표가 적용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와, 항공촬영이미지의 촬영 고도(h2) 정보와, 지상물이미지의 높이(h1)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DB(1);
    이미지DB(1)의 데이터 및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검색모듈(2);
    이미지검색모듈(2)이 검색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3a)을 통해 출력하는 출력모듈(3);
    터치스크린(3a)에 출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지정된 한 쌍의 초기점(P1)과 한 쌍의 말기점(P2)의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좌표값을 잇는 기준직선을 설정해서 초기점(P1)과 말기점(P2)으로 둘러싸인 범위를 도로이미지(30)의 범위로 확정하는 지점선택모듈(4);
    도로이미지(30)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하고, 상기 기준직선상에 도로이미지(30)의 지정색상과는 불일치한 픽셀들을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픽셀들 중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들을 연결해 경계로 확정해서 모서리로 한 후 그 모서리를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으로 설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가 도로이미지(30)를 덮은 방향으로 검색직선을 형성해서 출력모듈(3)을 통해 터치스크린(3a)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3a)에 출력된 검색직선상의 일지점을 지적해서 선택된 지점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을 확인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에 해당하는 픽셀의 지정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지정된 픽셀들을 확인해서 그 픽셀들이 위치한 범위를 경계로 제한해 기준지상물이미지(10a)로 확정하며,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경계의 모서리에 기준지상물이미지(10a)의 기준점(b1 내지 b4)을 설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기준점(a1 내지 a6)을 통해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을 연산하는 이미지탐색모듈(5);
    기준지상물(10)과 수정지상물(20) 간 중심거리(d)와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의 촬영 고도(h2)와 수정지상물(20)의 높이(h1)를 확인해서 tanθ=(h2-h1)/d에 대입해 촬영각(θ)을 연산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평면부 폭(w2)과 촬영각(θ)을 sin(90-θ)=w2/L2 에 대입해 수정된 평면부 폭(L2)을 연산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수정 전 평면부 이미지를 분리해서 수정된 평면부 폭(L2)에 맞춰 그 크기를 조정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 이미지는 제거하는 이미지도화모듈(7);
    상기 측면부 이미지가 제거된 항공촬영이미지에 수정된 평면부를 합성하고, 수정지상물이미지(20a)의 측면부 이미지 제거로 형성된 음영부분(D)의 GPS좌표를 확인해서 이미지DB(1)에서 음영부분(D)의 실제이미지를 포함한 다른 항공촬영이미지를 이미지검색모듈(2)을 매개로 검색하고, 상기 다른 항공촬영이미지의 실제이미지를 크기 및 해상도를 일치시켜서 음영부분(D)에 합성하고, 이미지DB(1)의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갱신하는 이미지편집모듈(6); 및
    상기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이미지편집모듈(6) 및 영상처리모듈(7)이 서브랙 형태로 실장된 함체(1100);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1100)의 양측판 내부측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되고; 상기 함체(1100)의 전면 상단부 중앙에는 냉각유닛(1200) 및 배기 팬(700)의 구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CTR)가 설치되며;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교체가 능한 실리카볼(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상기 함체(1100)에는 이미지DB(1), 이미지검색모듈(2), 지점선택모듈(4), 이미지탐색모듈(5), 이미지편집모듈(6) 및 영상처리모듈(7)의 열화를 방지할 냉각유닛(12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유닛(1200)은 함체(1100)의 양측면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물탱크(1210)와, 상기 함체(1100)의 양측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 한 쌍의 물펌프(1220)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1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1220)의 흡입단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흡수관(1230)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1210)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배수관(1240)을 포함하되,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이상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을 작동시켜 함체(1100)를 냉각시키고, 온도센서(520)에 의해 감지된 함체 내부의 온도값이 기 설정된 온도값 미만이면 컨트롤러(CTR)의 제어를 통해 냉각유닛(1200)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함체(1100)의 상면에는 배기 팬(700)이 결합되어 함체(1100)의 하면에 위치한 흡기 필터(900)를 통해 흡입되어 상승하는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되, 상기 배기 팬(700)을 커버하는 배기 팬 덮개(14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기관(800)을 통해 함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컨트롤러(CTR)는 압력센서(510)의 센싱값을 입력받아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개방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온(ON)시키고, 함체(1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게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배기관(800)의 전동식 개폐구(810)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기 팬(70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며,
    상기 배기관(800)은, 그 배출구가 하향식 개방 구조로 형성되되, 배기 팬 덮개(1400)의 배출 공기를 포집하는 배송통로(820) 내에 상기 컨트롤러(CTR)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전동식 개폐구(810)가 형성되고, 상기 배송통로(820) 내에 배기 풍량에 따라 가변하면서 개구된 관통공(840)을 개폐하도록 공기 저항판(850)이 구비된 정풍량 밸브(830)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의 내부 측면에는 적어도 2개의 상하이동부(400)가 설치되고, 상하이동부(400)에 각각 결합되는 압력센서(510)와 온도센서(520)를 구비하되,
    상기 상하이동부(400)는,
    그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홀이 형성되는 상하케이스(410); 상하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420); 한 쌍의 슬라이딩부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한 쌍의 상하로드부(430); 한 쌍의 상하로드부의 중앙에 결합되는 금속 소재의 중앙금속부(440); 중앙금속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이동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로드부(450); 상하케이스의 내부 하단 중앙에 결합되며 자성을 띠는 중앙자석(460); 중앙자석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자성을 띠는 한 쌍의 상하자석(461); 상하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이동홀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레일(470); 및 수평로드부의 측부에 결합되며 한 쌍의 이동레일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레일이동부(480); 를 구비하며,
    상기 함체(1100)는 다수의 공기완충부(3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되,
    상기 공기완충부(30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공기하우징(310); 공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하로 공기홀이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20); 공기홀의 상단에 결합되며 탄성력을 지니는 한 쌍의 공기개폐부(340); 공기유동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공기홀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링 형태의 공기링(330); 및 공기유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350);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하우징(310)과 공기유동부(320)는 탄성이 있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공기링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부하우징(350)의 측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공기개폐부(340)의 하단에는 공기홀의 상단 내측벽에 접촉되어 공기개폐부(3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접촉지지단부(341)가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공기하우징(310)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공기링(330)은 진동되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320)가 진동되어 공기개폐부(340)가 개방되며, 상부하우징(350)의 통기공(351), 공기홀(321) 및 충진공간(311)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고,
    상기 함체(1100)는 상기 공기완충부(300)에 각각 체결되는 함체이동부(150)에 의해 이동 및 지면 고정이 가능하되,
    상기 함체이동부(150)는,
    상기 공기완충부(300)의 외면에 삽입되는 라운딩 체결구(153)와 베어링(152)을 이용하여 체결되는 2개의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끝단에 바퀴(151)를 구비하여 함체(1100)의 수평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함체(1100)의 지면 고정시에는, 상기 공기완충부(300)가 지면에 안착될 때까지 바퀴(151)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공기완충부(300)가 안착되면, 바퀴(151)는 상방으로 밀려올라가면서 함체이동부(150)의 원기둥 안쪽면에 위치하는 스토퍼(154)가 지면에 고정 밀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10063812A 2021-05-18 2021-05-18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325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12A KR102325635B1 (ko) 2021-05-18 2021-05-18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12A KR102325635B1 (ko) 2021-05-18 2021-05-18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635B1 true KR102325635B1 (ko) 2021-11-12

Family

ID=7849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812A KR102325635B1 (ko) 2021-05-18 2021-05-18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678B1 (ko) * 2022-07-21 2022-12-12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수정대상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밀하게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76569B1 (ko) * 2022-05-26 2022-12-13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955B1 (ko) * 2014-06-03 2015-01-2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영상이미지의 3차원 위치수정을 통한 음영구간 식별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1879222B1 (ko) * 2018-04-23 2018-07-17 (주)해양정보기술 기준점의 표식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시스템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46549B1 (ko) * 2020-12-11 2021-04-30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955B1 (ko) * 2014-06-03 2015-01-2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영상이미지의 3차원 위치수정을 통한 음영구간 식별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1879222B1 (ko) * 2018-04-23 2018-07-17 (주)해양정보기술 기준점의 표식정보를 활용한 수치지도시스템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46549B1 (ko) * 2020-12-11 2021-04-30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도화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569B1 (ko) * 2022-05-26 2022-12-13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76678B1 (ko) * 2022-07-21 2022-12-12 주흘이엔지 주식회사 수정대상 영상이미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정밀하게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7336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 보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탑재하는 함체
KR102325635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 수정을 위한 영상 처리 모듈을 장착한 함체를 구비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1948802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337843B1 (ko) 항공촬영된 권역별 영상데이터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을 탑재한 함체
KR102174822B1 (ko) 지도 데이터와 이미지 합성을 통한 지형 정보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US8884962B2 (en) Computer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matching location data of different sources
CN1275206C (zh) 三维电子地图数据的生成方法
CN111401146A (zh) 一种无人机电力巡检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1762927B1 (ko) 드론 촬영 영상 기반의 파노라마 오토 라벨링 시스템
US4799267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20130076915A1 (en) Framework for reference-free drift-corrected planar tracking using lucas-kanade optical flow
JPWO2008152740A1 (ja) デジタル空撮3次元計測システム
CN107943064A (zh) 一种无人机定点悬停系统和方法
CN101194143A (zh) 带有相机信息的导航装置
CN110246182A (zh) 基于视觉的全局地图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KR102259752B1 (ko)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WO2008044913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laser scan samples and digital photographic images relating to building façade
KR102065752B1 (ko) 항공 이미지와 정밀한 지상 이미지를 용이하게 합성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59702B1 (ko) 영역별 영상데이터의 평면이미지만을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KR102337844B1 (ko) 항공촬영 영상이미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정밀 영상처리시스템
CN110910445A (zh) 一种物件尺寸检测方法、装置、检测设备及存储介质
KR102347352B1 (ko)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갱신하는 항공촬영 시스템
EP2690405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an electronic map
CN102625120B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