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244B1 -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244B1
KR102083244B1 KR1020190144722A KR20190144722A KR102083244B1 KR 102083244 B1 KR102083244 B1 KR 102083244B1 KR 1020190144722 A KR1020190144722 A KR 1020190144722A KR 20190144722 A KR20190144722 A KR 20190144722A KR 102083244 B1 KR102083244 B1 KR 102083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warning
data
input devic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광재
조영호
윤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Priority to KR102019014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송출하는 데이터장치 및 데이터장치로부터 수신된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원도를 수정하고 편집하는 수치지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현지 조사자가 도화 원도를 일일이 출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하고, 현지조사자료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DIGITAL MAP MAKING SYSTEM}
본 발명은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면서 정확한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리적, 지형적인 내용을 수치로 나타내는 지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심을 수치로 나타내는 해도(海圖), 지형의 기복상태를 나타내는 지형계측도(地形計測圖) 등이 있다. 즉, 수치지도는 특정지점에 대한 지리적/지형적인 특징을 수치정보로 표현하면서 도화된 이미지에 적용한 것이다.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여러 과정을 거쳐서 완성되게 된다. 먼저 종이지도가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거쳐 수치지도의 형태가 된 후, 각종 입력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거친다. 이어서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을 거친 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하게 된다. 이후 위상 구조의 정립을 거친 수치지도에 각각의 도형자료와 관련된 속성자료를 입력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수치지도는 종이지도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지도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관리와 활용성 면에서 뛰어나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수치지도는 사용자가 지도를 보면서 지리적, 지형적 정보를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화된 지리정보가 도화된 이미지에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고, 도화된 이미지 또한 지리정보에 맞춰 정확히 도시되어야 한다.
수치지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화 원도가 제작된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하는 현지조사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수치지도 제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종래 현지조사단계는 현지 조사자가 도화 원도를 출력하여 현지 조사 지역으로 이동하고, 도화 원도와 현지 조사 지역을 비교하여 현지조사자료를 취득하며, 도화 원도에 표시되지 않은 지형자료를 현지 조사자가 수작업으로 취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수치지도 제작의 현지조사단계는 현지 조사자가 취득한 현지조사자료를 분실하는 경우 그 내용을 알 방법이 없어 재조사를 수행하여야 하고, 다수의 현지조사자료를 모두 정리하여 보관하기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지 조사자가 도화 원도를 일일이 출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하고, 현지조사자료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지조사자료를 바로 송신할 수 있으므로 현지조사자료를 수작업으로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지상카메라를 이용한 지형사진자료 획득시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송출하는 데이터장치; 및 데이터장치로부터 수신된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원도를 수정하고 편집하는 수치지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장치는, 원판 형상의 입력장치본체; 입력장치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삽입홀의 내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먼지제거체; 입력장치본체의 삽입홀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신호입력기구; 신호입력기구의 측부에 결합되며 먼지제거체에 의해 먼지가 제거되는 청결유지체; 신호입력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끼움패널; 신호입력기구의 하단에 결합되는 터치기구; 입력장치본체의 상부면에 내설되어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지상카메라; 입력장치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GPS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지피에스장치; 입력장치본체에 내장되며, 지상카메라로부터 지형사진자료를 수신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현지조사자료를 입력 받아 위치에 따른 지형사진 및 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하는 제어유닛; 및 입력장치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제어유닛에 저장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송출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수치지도장치는, 데이터장치의 송신기부터 송신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하는 수신기; 도화원도가 저장되는 도화원도DB;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DB; 수신기에서 수신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하는 정위치편집기기; 및 정위치편집기기를 통해 편집된 지형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지형을 편집하는 구조화편집기기;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입력장치본체의 하부면에는 높이조절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입력장치본체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고, 높이조절부의 하부에는 지지기구가 설치되어 입력장치본체를 지면에 세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입력장치본체의 하부면에 체결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형성되는 상부조절바; 상부조절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조절바가 삽입 가능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홀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조절바;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결합되며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조절바를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고정부는,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말단과 접촉되며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단부; 및 걸림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되는 방지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말단이 접촉단부에 접촉되면서 오므라들고, 접촉단부를 넘어서면서 펼쳐져서 높이결정홈에 삽입되며, 방지단부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지지기구는, 하부조절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 지지패널의 내부에 내장되며 지면으로부터 지지패널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지지패널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며 빛을 방출하는 경광등부; 지지패널의 상부면 타측에 설치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경고스피커부; 지지패널의 상부면에서 경광등부와 경고스피커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의 상하경고부;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경광등부, 경고스피커부 또는 상하경고부를 작동시키는 지지제어부; 지지패널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및 다수의 고정돌기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지지패널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지지제어부는,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수신모듈로부터 전달된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작동 신호로 전환하는 분석모듈; 분석모듈로부터 전달된 작동 신호에 따라 경광등부를 작동시키는 경광등모듈; 분석모듈로부터 전달된 작동 신호에 따라 경고스피커부를 작동시키는 경고스피커모듈; 및 분석모듈로부터 전달된 작동 신호에 따라 상하경고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하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상하경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완충부는, 고정돌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및 완충헤드홀과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볼트는,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현지조사자료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지조사자료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와 지지기구를 이용하여 데이터장치를 지면에 세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현지조사자료의 취득과 송수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와 지지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고정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제어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본체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은,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송출하는 데이터장치(1000) 및 데이터장치로부터 수신된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원도를 수정하고 편집하는 수치지도장치(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기 데이터장치(1000)는 입력장치본체(1100), 먼지제거체(1200), 신호입력기구(1300), 청결유지체(1310), 끼움패널(1320), 터치스크린(1400), 지상카메라(1500), 지피에스장치(1600), 제어유닛(1610) 및 송신기(1620)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수치지도장치(2000)는 수신기(2100), 도화원도DB(2200), 현지조사자료DB(2300), 정위치편집기기(2400) 및 구조화편집기기(2500)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기(2100)는 데이터장치(1000)의 송신기(1620)로부터 송신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한다. 상기 도화원도DB(2200)는 도화 단계에서 도화기에 의해 도화된 도화원도를 저장한다.
상기 현지조사자료DB(2300)는 수신기(2100)가 수신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한다. 상기 정위치편집기기(2400)는 수신기(2100)에서 수신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한다.
상기 구조화편집기기(2500)는 정위치 편집기기를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을 편집하며,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현지조사단계(S1),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 송신 단계(S2),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 수신 단계(S3), 정위치 편집 단계(S4) 및 구조화 편집 단계(S5)를 포함한다.
(S1) 현지조사단계
우선 수치지도 제작을 하기 위해서, 해석 도화기를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도화원도가 제작된다. 이때 도화원도에는 각각의 지형에 대한 좌표가 입력되어 있다. 한편, 지형은 지형요소, 지표면 상의 형상을 가리키는 말로서, 좁은 의미로는 지모를 가리키기도 하고, 지물의 형상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형은 지모와 지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위와 같이 도화원도가 제작되면, 도화원도를 통한 현지조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현지조사를 통한 자료 수집은 데이터장치(10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데이터장치(1000)에는 도화원도가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장치(1000)를 소지한 현지조사자는 확인 대상 지역을 방문하여, 지형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이때 현지조사자는 데이터장치(1000)를 온(ON)한다.
그리고 현지조사자는 신호입력기구(1300)에 손가락을 끼워 상방으로 당기고, 청결유지체(1310)는 먼지제거체(1200)의 브러쉬와 맞닿으면서 먼지가 털려 깨끗해진다.
이후 현지조사자는 터치기구(1330)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400)을 터치함으로써, 확인 대상 지역을 나타내는 도화원도가 도 3과 같이 터치스크린(1400)에 나타나도록 한다.
이때, 터치스크린(1400)에 이물질이 묻어 있을 경우, 현지조사자는 청결유지체(1310)를 통해 터치스크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터치스크린에 나타나는 표시물이 보다 잘 보이도록 한다.
이후, 상기 확인 대상 지역의 확인 중 변화가 발생한 지형을 발견하였을 경우, 현지조사자는 변화가 발생한 곳에 위치한다. 이때 터치스크린(1400)에 표시된 도화원도에는 도 4과 같이 현재 자기 위치(a)가 표시된다.
그러면 현지조사자는 신호입력기구(1300)를 이용해 터치스크린(1400)에 표시된 자기 위치에 신호를 입력하여 도 5와 같이 해당 위치에 대한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띄운다.
이후 현지조사자는 신호입력기구(1300)를 이용해, 터치스크린(1400)에 표시된 현지조사자료 관련 아이콘을 터치한 후, 해당 지형지물에 대한 현지조사자료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형이 건물일 경우, 현지조사자는 대상물의 명칭을 터치하여, 건물의 명칭을 입력하고, 지명 확인을 터치하여, 해당 건물이 위치한 지명을 입력한다. 또한, 현지조사자는 건물의 층수, 건물의 이웃 건물, 건물의 이웃도로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현지조사자료가 모두 입력되면, 입력된 현지조사자료는 해당 위치와 함께 저장된다.
이후 상기 현지조사자는 신호입력기구(1300)를 이용해 터치스크린(1400)를 조작함으로써, 지상카메라(1500)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을 촬영하고, 촬영된 지형사진자료는 상기 저장된 현지조사자료와 함께 저장된다.
(S2)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 송신 단계
계속해서 현지조사자는 상기 취득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송신기(162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S3)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 수신 단계
수치지도장치(2000)의 수신기(2100)는 데이터장치(1000)의 송신기(1620)로부터 지형사진자료 및 사진에 따른 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한다.
(S4) 정위치 편집 단계
현장조사 단계를 통해 수집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한다. 이때, 정위치 편집은 수치지도장치(2000)의 정위치편집기기(2400)를 통해 이루어진다.
(S5) 구조화 편집 단계
상기 정위치편집기기(2400)를 통해 편집된 지형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을 편집한다. 이때 구조화 편집은 수치지도장치(2000)의 구조화편집기기(2500)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입력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장치본체(1100)의 전방에는 삽입홀(110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홀(1101)을 중심으로 삽입홀의 주변을 따라 삽입홈(1102)이 입력장치본체(110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상기 입력장치본체(1100)는 가방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원판 형상을 이루고, 삽입홀(1101)은 사각홀 형상을 이루며, 삽입홈(1102)은 삽입홀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홈 형상을 이룬다.
상기 먼지제거체(1200)는 입력장치본체(1100)의 삽입홀(1101) 상부에 구비되며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먼지제거체(1200)는 입력장치본체(1100) 삽입홀(1101)의 내측에 삽입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설치되어 삽입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를 갖추며,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입력기구(1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개구부(1301)를 구비하며 입력장치본체(1100)의 삽입홀(1101)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신호입력기구(130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개구부(1301)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손가락이 삽탈 가능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청결유지체(1310)는 신호입력기구(1300)의 측부에 구비되며 먼지제거체(1200)와 접촉시 먼지제거체의 브러쉬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다. 상기 청결유지체(1310)는 표면이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패널(1320)은 신호입력기구(13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삽입홈(1102)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물론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끼움패널(1320)의 중앙은 개구부(1301)와 연통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끼움패널(1320)이 삽입홈(1102)에 체결됨에 따라 삽입홀(1101)은 폐쇄된다.
상기 터치기구(1330)는 신호입력기구(130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터치기구(1330)는 반구 형을 이루며, 일반적으로 터치 펜에 사용되는 펜 촉과 동일한 재질로서 정전식으로 터치스크린(1400)과 반응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0)은 입력장치본체(1100)의 상부면에 내설되되, 신호입력기구(1300) 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하다. 즉, 터치스크린(1400)은 도화원도와 같이 제어유닛(1610)이 나타내고자 하는 것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및 터치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상카메라(1500)는 입력장치본체(1100)의 측부에 설치되며, 변경된 지형을 촬영한다. 상기 지상카메라(1500)는 제어유닛(1610)에 의해 작동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지피에스장치(1600)는 입력장치본체(110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며, GPS인공위성(S)과 통신하여 GPS 좌표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유닛(1610)은 지상카메라(1500)로부터 지형사진자료를 수신하며, 터치스크린(1400)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현지조사자료를 입력받아, 위치에 따른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1610)은 터치스크린(1400)을 작동 제어하여 터치스크린이 디스플레이 기능 및 입력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신기(1620)는 입력장치본체(110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제어유닛(1610)에 의해 작동 제어되며, 제어유닛(1610)에 저장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치지도장치(2000)에 무선 송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와 지지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장치본체(1100)의 하부면에는 높이조절부(17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입력장치본체(1100)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고, 높이조절부(1700)의 하부에는 지지기구(1800)가 결합되어 입력장치본체(1100)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장치본체(1100)를 상황에 따라 지면에 세울 수 있으므로 현지자료 획득 작업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진동으로부터 입력장치본체(1100)를 보호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1700)는, 입력장치본체(1100)의 하부면에 체결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높이결정홈(1721)이 형성되는 상부조절바(1720), 상부조절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조절바가 삽입 가능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홀(1711)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조절바(1710)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결합되며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조절바를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고정부(17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조절바(1720)는 하부조절바(1710)에 형성된 높이조절홀(171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입력장치본체(1100)의 전체적인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절바(1710)의 상단 측부에는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조절바(17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고정부(1730)가 장착된다. 사용자는 높이고정부(1730)를 이용하여 상부조절바(172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기구(1800)는 지지패널(1810), 진동센서(1820), 경광등부(1830), 경고스피커부(1840), 상하경고부(1850), 지지제어부(1860), 다수의 고정돌기(1910) 및 완충부(1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패널(1810)은 하부조절바(17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유선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패널(1810)의 하부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910)가 결합되어 지면과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810)은 중량의 비중을 최소화하여 휴대하기 용이하게 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정돌기(1910)는 지면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해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동센서(1820)는 지지패널(1810)의 내부에 내장되며, 지면으로부터 지지패널(181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진동센서(1820)에 의해 지지기구(1800) 및 높이조절부(1700)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경광등부(1830)는 지지패널(1810)의 상부면 일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에 설치되며, 빛을 방출하여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의 진동 발생시 작업자에게 알려 준다.
상기 경고스피커부(1840)는 지지패널(1810)의 상부면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에 설치되며, 소리를 출력하여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의 진동 발생시 작업자에게 알려 준다.
상기 상하경고부(1850)는 지지패널(1810)의 상부면에 경광등부(1830)와 경고스피커부(184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패널(1810)의 내부에는 상하실린더(1851)가 내장되어 상하경고부(185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경고부(1850)가 최저점으로 내려왔을 때 상하경고부(1850)는 지지패널(1810)의 상부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하경고부(1850)가 최고점으로 올라갔을 때 상하경고부(1850)는 지지패널(1810)의 최상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하경고부(1850)는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의 진동 발생시 상하실린더(1851)에 의해 위·아래로 물리적으로 움직여서 작업자가 한눈에 진동 발생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제어부(1860)는 지지패널(1810)의 내부에 내장되며, 진동센서(1820)로부터 감지된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경광등부(1830), 경고스피커부(1840) 또는 상하경고부(1850)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제어부(1860)는 지면으로부터 발생한 진동의 세기에 따라 경광등부(1830), 경고스피커부(1840) 또는 상하경고부(1850) 중 하나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여러개를 조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고정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높이고정부(1730)는 하부조절바(1710)의 상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17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1732),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1734)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1733) 및 하부조절바(1710)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1711)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1735)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연장부(1733)의 중간 부분에 다수의 절개부(173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연장부(1733)는 회동부(1732) 방향으로 오므라들거나 또는 회동부(1732) 반대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1735)의 일측 단부에는 접촉단부(1736)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방지단부(1737)가 형성된다. 상부조절바(1720)의 높이가 결정되었을 때 탄성연장부(1733)는 접촉단부(1736)와 방지단부(1737)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결정홈(1721)에 삽입되고, 상부조절바(1720)의 높이가 아직 결정되지 않아 상하로 이동 가능할 때 탄성연장부(1733)는 접촉단부(1736) 바깥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접촉단부(1736)는 탄성연장부(1733)의 회동에 따라 탄성연장부(1733)의 말단과 접촉되며, 탄성연장부(1733)가 선택적으로 타고 넘을 수 있다. 탄성연장부(1733)의 탄성 복원력은 회동부(1732) 형성된 공구홈에 공구를 끼워 회동부(1732)를 회전시켰을 때 탄성연장부(1733)가 접촉단부(1736)를 타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에서 결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단부(1736)는 탄성연장부(1733)의 단부와 유사하게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높이결정홈(1721)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회동부(17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1733)가 접촉단부(1736)에 접촉되고, 이 상태에서 더욱 힘을 가하여 회동부(1732)를 회전시키면 절개부(1734)에 의해 탄성연장부(1733)가 오므라들며 접촉단부(1736)를 타고 넘어가서 높이결정홈(1721)에 삽입된다.
만약, 탄성연장부(1733)가 접촉단부(1736)를 넘어간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동부(1732)를 더욱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1733)의 측부는 방지단부(1737)에 접촉되어 가로막히고, 이에 따라 탄성연장부(1733)의 과도한 회동이 방지된다.
상기 방지단부(1737)는 탄성연장부(1733)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1721)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접촉단부(1736)가 높이결정홈(1721)이 배치되는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된다면, 방지단부(1737)는 높이결정홈(1721)이 배치되는 영역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접촉단부(1736)가 탄성연장부(1733)의 말단과 접촉되는 반면, 방지단부(1737)는 탄성연장부(1733)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탄성연장부(1733)가 방지단부(1737)를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용자가 상부조절바(1720)의 높이 조절을 다시 하기를 원하는 경우, 위 과정의 반대로 회동부(17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연장부(1733)가 수축하며 접촉단부(1736)를 다시 타고 넘어가며 높이결정홈(1721)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동부(1732)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상부조절바(1720)가 하부조절바(1710)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높이를 매우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제어부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제어부(1860)는 수신모듈(1861), 분석모듈(1862), 경광등모듈(1863), 경고스피커모듈(1864) 및 상하경고모듈(18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모듈(1861)은 진동센서(1820)로부터 감지된 지지기구(1800) 주변의 진동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모듈(1861)은 진동센서(18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862)은 수신모듈(1861)로부터 전달된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작동 신호로 전환한다. 분석모듈(1862)은 진동 신호의 세기 등을 분석하여 상황에 맞게 작업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모듈(1862)은 전달된 진동 신호의 세기가 0.1 내지 0.2 cm/s 인 경우 경광등모듈(1863)을 활성화시키는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경광등모듈(1863)은 분석모듈(1862)로부터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경광등부(1830)를 작동시킨다. 이때, 경광등모듈(1863)은 진동 신호의 세기에 따라 경광등부(1830)의 점멸 주기를 다르게하여 작업자가 진동의 세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석모듈(1862)은 전달된 진동 신호의 세기가 0.2 cm/s 초과, 0.5 cm/s 이하인 경우 경고스피커모듈(1864)을 활성화시키는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경고스피커모듈(1864)은 분석모듈(1862)로부터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경고스피커부(1840)를 작동시킨다. 이때, 경고스피커모듈(1864)은 진동 신호의 세기에 따라 경고스피커부(1840)의 출력 데시벨을 다르게하여 작업자가 진동의 세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분석모듈(1862)은 전달된 진동 신호의 세기가 0.5 cm/s 초과인 경우 상하경고모듈(1865)을 활성화시키는 작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하경고모듈(1865)은 분석모듈(1862)로부터 작동 신호를 전달받아 상하경고부(1850)의 하부에 결합된 상하실린더(1851)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하경고모듈(1865)은 진동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하경고부(1850)의 높이를 다르게하여 작업자가 진동의 세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분석모듈(1862)은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광등모듈(1863), 경고스피커모듈(1864) 또는 상하경고모듈(1865)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1단계로 진동의 세기가 약하면 경광등모듈(1863)이 경광등부(1830)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경광등모듈(1863)은 진동의 세기에 비례하여 경광등부(1830)의 점멸 주기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의 발생 여부뿐만 아니라 진동의 세기도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단계로 진동의 세기가 중간 정도로 강해지면 경고스피커모듈(1864)이 경고스피커부(1840)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경고스피커모듈(1864)은 진동의 세기에 비례하여 경고스피커부(1840)의 출력 데시벨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의 발생 여부뿐만 아니라 진동의 세기도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빛의 방출 또는 소리의 출력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계속하여 수로 측량 작업을 실시하려고 하면, 상하경고모듈(1865)이 상하경고부(1850)를 작동시켜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하경고부(1850)는 물리적으로 작업자에게 인식될 수 있으므로 경광등부(1830)나 경고스피커부(1840)보다 눈에 잘 들어오고, 이때 상하경고모듈(1865)은 진동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하경고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의 발생 여부뿐만 아니라 진동의 세기도 어느 정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지지패널(181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1910)가 결합되며, 다수의 고정돌기(1910)의 하부에는 완충부(1900)가 각각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기구(1800)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최대한 완화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1900)는 고정돌기(1910)의 하단에 결합되며, 완충본체부(1920), 완충덮개부(1930) 및 완충볼트(19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돌기(1910)의 하부 중앙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결합홀(1911)이 형성된다. 완충결합홀(1911)의 내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돌기(19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본체부(1920)는 고정돌기(19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관통홀(192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192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완충결합홀(1911)과 차이가 있다.
상기 완충본체부(192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져서 지면으로부터 지지기구(1800)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상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상기 완충덮개부(1930)는 완충본체부(1920)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중앙에 완충헤드홀(1931)이 형성된다. 완충관통홀(1921)과 마찬가지로 완충헤드홀(1931)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완충덮개부(1930)는 완충본체부(1920)의 하부면 형상에 대응하여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완충덮개부(1930)는 완충본체부(1920)가 외부와 접촉되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완충덮개부(1930)는 완충본체부(19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완충덮개부(1930)는 높은 경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상기 완충본체부(1920)는 외부의 진동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너무 높은 경도를 지니면 완충 기능을 거의 수행할 수 없고, 너무 낮은 경도를 지니면 지나치게 부드러워 쉽게 마모될 수 있다. 즉, 2가지 성능을 한꺼번에 만족시키기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완충본체부(1920)는 최대한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하여 완충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완충덮개부(1930)는 높은 경도의 소재로 구성하여 마모가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2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완충볼트(1940)는 완충헤드홀(1931) 및 완충관통홀(1921)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1911)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1930), 완충본체부(1920) 및 고정돌기(1910)를 하나로 이어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볼트(1940)는 완충결합홀(191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1941), 완충관통홀(192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1942) 및 완충헤드홀(1931)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1943)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관통부(1942)의 길이는 완충관통홀(192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길게 형성되어 완충볼트(1940)에 의해 완충본체부(1920)가 압착되지 않고 경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볼트헤드부(1943)의 길이는 완충헤드홀(193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조금 짧게 형성되어 볼트헤드부(1943)가 완충헤드홀(1931)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본체부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본체부(192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영구자석판(1922)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완충본체부(19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덮개부(1930)는 이에 상응하여 금속 등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판(1922)에 의해 완충덮개부(1930)는 자연스럽게 완충본체부(1920)의 하부면에 안착될 수 있고, 어느정도 고정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본체부(1920)는 한 쌍의 영구자석판(1922)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1923), 탄성부의 하면에 탄성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부(1924), 제1보강부의 하면에 제1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2보강부(1925) 및 제2보강부의 하면에 제2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코팅부(19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923)는 완충본체부(1920)에 전체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1923)는 에틸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초산 비닐 모노머 20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하여 형성된 중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 10 내지 15 중량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8 내지 10 중량부 및 글리옥살(glyoxal) 4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물을 구성하는 초산 비닐 모노머가 20 중량부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탄성부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고, 초산 비닐 모노머가 30 중량부 초과이면 유연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탄성부가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미끌려 접히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TPEE)는 탄성부에 경도를 부가하는 것으로서,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경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가 15 중량부 초과이면 용융지수가 떨어져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는 탄성부에 탄성력을 추가로 부여하는 것으로서,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8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력 부가 효과가 미미하고,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10 중량부 초과이면 탄성력에 추가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악화시키게 된다.
글리옥살(glyoxal)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 발생한 가스를 포집하고 탄성부에 고온점탄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글리옥살이 4 중량부 미만이면 탄성부의 기계적 물성이 부족해질 수 있고, 글리옥살이 5 중량부 초과이면 발포압이 지나치게 커져 탄성부가 터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1924)는 탄성부(1923)의 하면에 배치되어 탄성부가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보강부(1924)는 망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부의 어느 부분으로 힘이 가해져도 탄성부가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보강부(1925)는 제1보강부(1924)의 하면에 배치되며 탄성부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제2보강부(1925)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직물로 형성된다.
상기 코팅부(1926)는 제2보강부(1925)의 하면에 배치되며 탄성부(1923), 제1보강부(1924) 및 제2보강부(1925)를 포함하는 완충본체부(192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코팅부(1926)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틸렌 수지 25 내지 40 중량부, 비닐계 수지 10 내지 25 중량부 및 파라핀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과 더불어 탄성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마모 기능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0 : 데이터장치 1100 : 입력장치본체 1200 : 먼지제거체
1300 : 신호입력기구 1400 : 터치스크린 1500 : 지상카메라
1600 : 지피에스장치 1700 : 높이조절부 1710 : 하부조절바
1711 : 높이조절홀 1720 : 상부조절바 1721 : 높이결정홈
1730 : 높이고정부 1731 : 높이연장부 1732 : 회동부
1733 : 탄성연장부 1734 : 절개부 1735 : 걸림부
1736 : 접촉단부 1737 : 방지단부 1800 : 지지기구
1810 : 지지패널 1820 : 진동센서 1830 : 경광등부
1840 : 경고스피커부 1850 : 상하경고부 1851 : 상하실린더
1860 : 지지제어부 1861 : 수신모듈 1862 : 분석모듈
1863 : 경광등모듈 1864 : 경고스피커모듈 1865 : 상하경고모듈
1900 : 완충부 1910 : 고정돌기 1911 : 완충결합홀
1920 : 완충본체부 1921 : 완충관통홀 1922 : 영구자석판
1923 : 탄성부 1924 : 제1보강부 1925 : 제2보강부
1926 : 코팅부 1930 : 완충덮개부 1931 : 완충헤드홀
1940 : 완충볼트 1941 : 볼트나사부 1942 : 볼트관통부
1943 : 볼트헤드부 2000 : 수치지도장치 2100 : 수신기
2200 : 도화원도DB 2300 : 현지조사자료DB 2400 : 정위치편집기기
2500 : 구조화편집기기

Claims (1)

  1.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송출하는 데이터장치; 및 데이터장치로부터 수신된 지형사진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도화원도를 수정하고 편집하는 수치지도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장치는,
    원판 형상의 입력장치본체; 입력장치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삽입홀의 내측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먼지제거체; 입력장치본체의 삽입홀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탄성 재질의 신호입력기구; 신호입력기구의 측부에 결합되며 먼지제거체에 의해 먼지가 제거되는 청결유지체; 신호입력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삽입홈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끼움패널; 신호입력기구의 하단에 결합되는 터치기구; 입력장치본체의 상부면에 내설되어 신호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본체의 측부에 설치되는 지상카메라; 입력장치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GPS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지피에스장치; 입력장치본체에 내장되며, 지상카메라로부터 지형사진자료를 수신하고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현지조사자료를 입력 받아 위치에 따른 지형사진 및 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하는 제어유닛; 및 입력장치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제어유닛에 저장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송출하는 송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지도장치는,
    데이터장치의 송신기부터 송신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신하는 수신기; 도화원도가 저장되는 도화원도DB;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저장하는 현지조사자료DB; 수신기에서 수신된 지형사진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도화원도를 수정 및 보완하는 정위치편집기기; 및 정위치편집기기를 통해 편집된 지형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지형을 편집하는 구조화편집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본체의 하부면에는 높이조절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입력장치본체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고, 높이조절부의 하부에는 지지기구가 설치되어 입력장치본체를 지면에 세울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입력장치본체의 하부면에 체결 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형성되는 상부조절바; 상부조절바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부조절바가 삽입 가능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홀이 관통 형성되는 하부조절바;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결합되며 높낮이가 조절된 상부조절바를 고정시킬 수 있는 높이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고정부는,
    하부조절바의 상단 측부에 돌출 연장된 높이연장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 회동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연장부; 및 하부조절바의 상단면에 결합되며 높이조절홀의 외측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배치되는 ‘C’자 형태의 걸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말단과 접촉되며 다수의 높이결정홈이 배치된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접촉단부; 및 걸림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탄성연장부의 측면과 접촉되며 높이결정홈이 배치되는 영역을 넘어서는 위치에 배치되는 방지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여 말단이 접촉단부에 접촉되면서 오므라들고, 접촉단부를 넘어서면서 펼쳐져서 높이결정홈에 삽입되며, 방지단부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며,
    상기 지지기구는,
    하부조절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 지지패널의 내부에 내장되며 지면으로부터 지지패널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지지패널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며 빛을 방출하는 경광등부; 지지패널의 상부면 타측에 설치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경고스피커부; 지지패널의 상부면에서 경광등부와 경고스피커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의 상하경고부;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경광등부, 경고스피커부 또는 상하경고부를 작동시키는 지지제어부; 지지패널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결합홀이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돌기; 및 다수의 고정돌기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지면으로부터 지지패널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제어부는,
    진동센서로부터 감지된 진동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수신모듈로부터 전달된 진동 신호를 분석하여 작동 신호로 전환하는 분석모듈; 분석모듈로부터 전달된 작동 신호에 따라 경광등부를 작동시키는 경광등모듈; 분석모듈로부터 전달된 작동 신호에 따라 경고스피커부를 작동시키는 경고스피커모듈; 및 분석모듈로부터 전달된 작동 신호에 따라 상하경고부의 하부에 결합된 상하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상하경고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모듈은,
    전달된 진동 신호가 0.1 내지 0.2 cm/s 인 경우 경광등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고, 전달된 진동 신호가 0.2 cm/s 초과, 0.5 cm/s 이하인 경우 경고스피커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며, 전달된 진동 신호가 0.5 cm/s 초과인 경우 상하경고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완충부는,
    고정돌기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관통홀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완충본체부; 완충본체부의 하부면을 덮을 수 있도록 결합되며 완충헤드홀이 형성되는 완충덮개부; 및 완충헤드홀과 완충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결합홀에 체결되며 완충덮개부, 완충본체부 및 완충지지부를 하나로 이어주는 완충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볼트는,
    완충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나사부; 완충관통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관통부; 및 완충헤드홀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볼트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본체부는,
    양 측부에 결합된 한 쌍의 영구자석판; 한 쌍의 영구자석판과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 탄성부의 하면에 탄성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부; 제1보강부의 하면에 제1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2보강부; 및 제2보강부의 하면에 제2보강부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90144722A 2019-11-13 2019-11-13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83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22A KR102083244B1 (ko) 2019-11-13 2019-11-13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22A KR102083244B1 (ko) 2019-11-13 2019-11-13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244B1 true KR102083244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722A KR102083244B1 (ko) 2019-11-13 2019-11-13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2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537B1 (ko) * 2020-08-18 2020-12-28 (주)디에스정보기술 현지조사자료를 획득하여 지형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259752B1 (ko) * 2020-11-30 2021-06-02 제일항업(주)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KR102334827B1 (ko) * 2021-05-10 2021-12-06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지형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운용방법
KR102603926B1 (ko) * 2023-06-15 2023-11-21 (주)원지리정보 현지 조사를 정확하게 수행하여 고정밀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34U (ko) * 1997-06-11 1999-01-15 배순훈 세탁기의 수평조절장치
KR101191948B1 (ko) * 2012-06-14 2012-10-17 (주)대한지적기술단 진동 센서가 구비된 항공사진 도화기 및 이를 이용한 도화 방법
KR101331176B1 (ko) * 2013-08-19 2013-11-19 (주)선운 이앤지 정확한 위치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 시스템
KR101342629B1 (ko) * 2013-09-09 2013-12-20 삼아항업(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의한 실시간 편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534U (ko) * 1997-06-11 1999-01-15 배순훈 세탁기의 수평조절장치
KR101191948B1 (ko) * 2012-06-14 2012-10-17 (주)대한지적기술단 진동 센서가 구비된 항공사진 도화기 및 이를 이용한 도화 방법
KR101331176B1 (ko) * 2013-08-19 2013-11-19 (주)선운 이앤지 정확한 위치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정밀성 향상 시스템
KR101342629B1 (ko) * 2013-09-09 2013-12-20 삼아항업(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의한 실시간 편집을 위한 공간영상도화 갱신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537B1 (ko) * 2020-08-18 2020-12-28 (주)디에스정보기술 현지조사자료를 획득하여 지형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259752B1 (ko) * 2020-11-30 2021-06-02 제일항업(주)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KR102334827B1 (ko) * 2021-05-10 2021-12-06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지형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운용방법
KR102603926B1 (ko) * 2023-06-15 2023-11-21 (주)원지리정보 현지 조사를 정확하게 수행하여 고정밀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244B1 (ko) 지형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현지조사자료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27370B1 (ko)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0929044B1 (ko)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와 영상도화의 수정방법
CN111433561B (zh) 头戴装置、在头戴装置中显示虚拟图像的方法和介质
KR102014190B1 (ko) 좌표정보와 지형정보를 합성하여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7818B1 (ko)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260073B1 (ko)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EP31647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visualization
CN104797494B (zh) 具有改进的轮廓线的海事导航装置
JP5315339B2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CN101103387A (zh) 为视觉障碍人士传达周围环境信息的装置
CN104904200A (zh) 使用多设备的环境的多维数据捕捉
WO2008124713A2 (en)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navigating and/or mapping any multi-dimensional space
KR102260071B1 (ko) 3차원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195536B1 (ko) 원시영상의 분석과 mms 연동을 통한 도로기반시설물의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US20160195633A1 (en) Logging while drilling (lwd) steering visualization tool methods and systems
KR102405647B1 (ko) 3차원 점군데이터 고속 동적 가시화와 투명 메쉬데이터를 이용한 공간함수 시스템
KR101731103B1 (ko) 변화전,후 디지털 항공사진 보정을 통한 지형변화정보 갱신을 위한 수치도화시스템
KR101312652B1 (ko) 지형변화에 따른 현지조사자료를 획득하여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0913367B1 (ko) 수치지도의 기준점 오차 보정을 위한 수치정보 갱신시스템
KR102195537B1 (ko) 현지조사자료를 획득하여 지형의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20100005378A (ko)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카메라 위치제어 방법 및 장치
US8363144B2 (en) Operator control unit with tracking
JP6895733B2 (ja) 光ファイバ障害点特定システムとその光ファイバ障害点特定方法
KR20190063062A (ko) 지형변화량 가시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