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83B1 -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 - Google Patents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83B1
KR102516383B1 KR1020217016638A KR20217016638A KR102516383B1 KR 102516383 B1 KR102516383 B1 KR 102516383B1 KR 1020217016638 A KR1020217016638 A KR 1020217016638A KR 20217016638 A KR20217016638 A KR 20217016638A KR 102516383 B1 KR102516383 B1 KR 102516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chassis
quic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9680A (ko
Inventor
지빙 지앙
보하오 쑤
유홍 쑤
얀얀 구
구오씨앙 장
종지 유안
진쳉 리우
Original Assignee
이브 파워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464225.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516476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0922703.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447084U/zh
Application filed by 이브 파워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브 파워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07Measures or means for preventing or attenuating collisions
    • B60L3/0015Prevention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에 있어서, 상기 섀시 어셈블리는, 다수의 설치 위치가 설치되고, 배터리 모듈을 장착하도록 설치되는 섀시; 퀵 릴리스 장치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퀵 릴리스 장치를 통해 상기 설치 위치 상에 설치되며, 상기 퀵 릴리스 장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됨-; 상기 배터리 모듈에 퀵 플러그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은 상기 섀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배터리 시스템과 전기 자동차의 구조 그룹화 형식은 모두 배터리 셀-모듈-P 배터리 팩-프레임 순서의 그룹화 형식이고, 일부 차량은 그룹화 과정에서 모듈 레벨 단계를 생략하며, 배터리 셀-배터리 팩-프레임의 그룹화 형식을 직접 사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어느 그룹 형식이든지, 배터리 팩 레벨은 단독으로 존재하고 프레임에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해당 그룹화 형식에서 전기 자동차는 다음과 같은 결함과 부족점이 있다.
1. 차량 배터리 시스템을 보수하기 전에 먼저 배터리 팩을 프레임에서 분리한 후 내부를 해체해야 하고, 보수 과정이 복잡하다. 2. 차량 주행 과정에서 충돌 발생시, 프레임 자체의 변형이 모듈 또는 배터리 셀에 대한 응력을 발생하는 외에, 프레임이 배터리 팩에 대한 압착과 배터리 팩 자체 부품의 변형도 모듈 또는 배터리 셀에 2차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량이 많은 전기 자동차를 배치해야 하는 경우, 측면 충돌 및 측면 기둥 충돌이 차량 전체에 대한 피해가 크게 증가한다.
본 출원은 단일 모듈의 빠른 탈착 보수 문제 및 차량 충돌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 손상 문제를 처리 할 수 있는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섀시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다수의 설치 위치가 설치되고, 배터리 모듈을 장착하도록 설치되는 섀시; 퀵 릴리스 장치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퀵 릴리스 장치를 통해 상기 설치 위치 상에 설치되며, 상기 퀵 릴리스 장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됨-; 상기 배터리 모듈에 퀵 플러그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상술한 섀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섀시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1이다.
도 2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섀시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2이다.
도 3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섀시 어셈블리의 부분 구조 모식도1이다.
도 4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섀시 어셈블리의 부분 구조 모식도2이다.
도 5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섀시 어셈블리의 부분 구조 모식도3이다.
도 6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퀵 릴리스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퀵 릴리스 장치의 회동 후크가 로킹 위치에 놓일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위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회동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퀵 릴리스 장치의 회동 후크가 해제 위치에 놓일 때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1 퀵 커넥터가 배터리 모듈에 삽입되는 부분 구조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1 퀵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1 퀵 커넥터의 구조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이 제공하는 제1 퀵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와 문자는 유사한 항을 나타내므로, 하나의 도면에서 특정 항이 정의되면 이후 도면에서 더 이상 정의 및 설명할 필요가 없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 "외" 등의 용어가 지시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 또는 해당 출원 제품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방향 또는 위치 관계이며,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 언급 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구비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본 출원의 제한으로 이해할 수 없다. 또한,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설명을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없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다수의"는 둘 또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 있어서, 또 설명해야 할 것은, 달리 명확하게 규정되고 제한되지 않는 한, "설치" 및 "연결"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일체로 연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상술한 용어의 본 출원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 상황에 근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달리 규정 및 한정되지 않는 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은 제1 및 제2 특징의 직접적 접촉을 포함하거나, 제1 및 제2 특징의 직접적 접촉이 아닌 이들 사이의 다른 특징을 통한 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위", "상방" 및 "상면"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위와 경사된 상방에 있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지 제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제1 특징이 제2 특징의 "아래", "하방" 및 "하면"에 위치하는 것은 제1 특징이 제2 특징 바로 아래와 경사된 하방에 있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지 재1 특징의 수평 높이가 제2 특징보다 낮은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소자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에 대해 제한으로 이해될 수 없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섀시(1), 퀵 릴리스 장치(2), 배터리 모듈(3),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 열 관리 모듈, 제 3 퀵 커넥터(8)를 포함하는 섀시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섀시(1) 상에는 다수의 설치 위치가 설치된다. 예시적으로, 섀시(1)는 베이스 프레임(11)을 포함하고, 베이스 프레임(11)은 적어도 두 개의 평행 및 이격 설치된 프레임 종방향 빔(111) 및 프레임 종방향 빔(111)에 수직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횡방향 빔(112)을 포함하고, 프레임 횡방향 빔(111)은 프레임 종방향 빔(111) 상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종방향 빔(111)은 두 개이고, 두 개의 프레임 종방향 빔(111)은 이격 설치되고, 프레임 횡방향 빔(112)의 양단은 각각 두 개의 프레임 종방향 빔(111) 상에 고정되며, 두 개의 인접한 프레임 횡방향 빔(112) 사이에는 설치 위치가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11) 상에는 일렬의 설치 위치가 형성된다. 기타 실시 예에서, 프레임 종방향 빔(111)은 세 개이고, 세 개의 프레임 종 방향 빔(111)은 순차적으로 이격 설치되고, 프레임 횡방향 빔(112)은 인접한 두 개의 프레임 종방향 빔(111) 사이에 설치되고, 양단은 각각 프레임 종방향 빔(111)에 고정되고, 두 개의 인접한 프레임 횡방향 빔(112) 사이에는 설치 위치가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11) 상에는 두 열의 설치 위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인접한 프레임 횡방향 빔(112) 사이에는 상술한 설치 위치가 형성되고, 즉 설치 위치는 인접한 두 개의 프레임 종방향 빔(111)과 인접한 두 개의 프레임 횡방향 빔(112)으로 둘러싸여 직사각형 구역을 형성하고, 배터리 모듈(3)의 외형은 설치 위치에 매칭되게 설치되며, 즉 배터리 모듈(3)의 평면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각 설치 위치 상에는 모두 하나의 배터리 모듈(3)이 설치된다. 기타 실시 예에서, 배터리 모듈(3)의 수량 및 설치된 설치 위치는 또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프레임 횡방향 빔(112) 및 프레임 종방향 빔(111)의 수량은 여기서 더욱 한정하지 않는다.
배터리 모듈(3)은 퀵 릴리스 장치(2)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1)의 설치 위치에 고정된다. 배터리 모듈(3)의 사각, 또는 임의의 상대적인 두 개의 측면, 또는 네 개의 측면은 퀵 릴리스 장치(2)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 배터리 모듈(3)의 두 개의 긴 변의 측면은 다수의 퀵 릴리스 장치(2)를 통해 각각 배터리 모듈(3)의 양측의 프레임 횡방향 빔(112)에 고정된다.
퀵 릴리스 장치(2)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시스템은 퀵 릴리스 장치(2)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3)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3)이 베이스 프레임(11) 상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시스템이 퀵 릴리스 장치(2)에 대한 제어 방식은 관련 기술이며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배터리 모듈(3)에 퀵 플러그 전기적 연결되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고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와 저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고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배터리 모듈(3)에 퀵 플러그 전기적 연결되며, 고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시스템은 고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3) 상에서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고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제1 퀵 커넥터(4)와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을 포함한다.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은 제1 퀵 커넥터(4)를 통해 배터리 모듈(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예시적으로,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 상에는 다수의 고압 케이블(51)이 설치되며, 고압 케이블(51)의 수량은 배터리 모듈(3)의 수량보다 적지 않고, 고압 케이블(51)의 수량이 배터리 모듈(3)의 수량보다 많으면, 여분의 고압 케이블(51)은 비축된다. 고압 케이블(51)이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로부터 멀어지는 일단에는 제1 퀵 커넥터(4)가 연결되고, 제1 퀵 커넥터(4)는 배터리 모듈(3)의 고압 인터페이스 상에 삽입된다. 제1 퀵 커넥터(4)는 전기적 퀵 커넥터이고, 고압 전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퀵 커넥터(4)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시스템은 제1 퀵 커넥터(4)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3) 상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이 제1 퀵 커넥터(4)에 대한 제어 방식은 관련 기술이며,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저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배터리 모듈(3)에 퀵 플러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시스템은 저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3) 상에서 떨어지도록 설치된다. 저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제2 퀵 커넥터(6)와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을 포함한다.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은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1)의 일단에 위치한다.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은 제2 퀵 커넥터(6)를 통해 배터리 모듈(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예시적으로,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5) 상에는 다수의 저압 케이블(71)이 설치되며, 저압 케이블(71)의 수량은 배터리 모듈(3)의 수량보다 적지 않고, 저압 케이블(71)의 수량이 배터리 모듈(3)의 수량보다 많으면, 여분의 저압 케이블(71)은 비축된다. 저압 케이블(71)이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로부터 멀어지는 일단에는 제2 퀵 커넥터(6)가 연결되고, 제2 퀵 커넥터(6)는 배터리 모듈(3)의 저압 인터페이스 상에 삽입된다. 제2 퀵 커넥터(6)는 전기적 퀵 커넥터이고, 저압 전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2 퀵 커넥터(6)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시스템은 제2 퀵 커넥터(6)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3) 상에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이 제2 퀵 커넥터(6)에 대한 제어 방식은 관련 기술이며,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열 관리 모듈은 제 3 퀵 커넥터(8)를 통해 배터리 모듈(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열 관리 모듈 상에는 냉각 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두 개의 열 관리 제어 수관(91)이 설치되며, 열 관리 제어 수관(91) 상에는 다수의 제3 퀵 커넥터(8)가 설치되고, 제 3 퀵 커넥터(8)는 배터리 모듈(3)의 열 관리 인터페이스 상에 삽입된다. 열 관리 모듈은 그 중 하나의 열 관리 제어 수관(91)을 통해 배터리 모듈(3)에 냉각 매체를 제공하여 배터리 모듈(3)을 냉각하고, 배터리 모듈(3)을 냉각한 후의 냉각 매체는 다른 열 관리 제어 수관(91)을 통해 열 관리 모듈 내로 돌아온다. 제3 퀵 커넥터(8)는 수관 퀵 커넥터이고, 냉각 매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3 퀵 커넥터(8)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시스템은 제3 퀵 커넥터(8)가 배터리 모듈(3)로부터 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이 제3 퀵 커넥터(8)에 대한 제어 방식은 관련 기술이므로,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제어 시스템은 섀시(1) 상에 고정되어 섀시 어셈블리에 제어 지지를 제공하고, 제어 시스템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배터리 분배 유닛(Battery Distribution Unit, BDU), 고압 배전 유닛(Power Distribution Unit, PDU) 등 제어 소자의 전체 기능이 포함되고, 애프터서비스 플랫폼에 연결되어 스위칭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신호를 애프터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것은 주로 애프터서비스 플랫폼이 배터리 모듈(3)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섀시(1)는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되고 배터리 모듈(3)을 커버하는 하부 차체 바닥(12)을 더 포함하고,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은 하부 차체 바닥(12) 상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하부 차체 바닥(12)의 하면에 설치되고, 기타 실시예에서, 하부 차체 바닥(12)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저압 케이블(71), 고압 케이블(51) 및 열 관리 제어 수관(91)은 모두 하부 차체 바닥(12)의 하면에 위치하며, 기타 실시예에서, 하부 차체 바닥(12)의 상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3)은 냉각 플레이트, 배터리 셀, 측면 고정 플레이트, 에지 고정 플레이트 및 고압 구리 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3)은 IP67 및 그 이상의 밀봉을 구비하며, 밀봉 성능이 비교적 강하고, 정상 작동시, 배터리액 누출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 상에는 온도 감지 부재가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온도 감지 부재는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양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방식 및 제어 방식은 관련 기술이므로,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온도 감지 부재는 배터리 모듈(3)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 시스템에 전송하여 배터리 모듈(3)의 온도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설치되고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화 장치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3)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제어 시스템은 소화 장치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3)에 대해 소화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한다.
차량에 의외의 상황 발생시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 센서 등을 통해 섀시(1)가 손상될 예정임을 감지하고, 차량 속도가 빠를 경우 차량 속도가 30km/h 이하로 떨어지도록 제어하고, 다음 제1 퀵 커넥터(4), 제2 퀵 커넥터(6), 제3 퀵 커넥터(8) 및 퀵 릴리스 장치(2)에 대한 제어를 작동하여 제1 퀵 커넥터(4), 제2 퀵 커넥터(6), 제3 퀵 커넥터(8)가 배터리 모듈(3)로부터 탈리하고, 퀵 릴리스 장치(2)가 배터리 모듈(3)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여, 배터리 모듈(3)이 베이스 프레임(11),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 및 열 관리 모듈과의 연결에서 탈리되도록 하여, 섀시(1)의 임박한 손상으로 인해 배터리 모듈(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량 주행 과정 중 또는 정지 주차 상태에서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제어 시스템이 배터리 모듈(3) 내의 온도 감지 부재를 통해 배터리 모듈(3)의 열폭주 발생을 감지할 경우, 제어 시스템은 제1 퀵 커넥터(4), 제2 퀵 커넥터(6), 제3 퀵 커넥터(8) 및 퀵 릴리스 장치(2)에 대한 제어를 작동하여, 제1 퀵 커넥터(4), 제2 퀵 커넥터(6) 및 제3 퀵 커넥터(8)가 배터리 모듈(3)로부터 탈리하고 퀵 릴리스 장치(2)가 배터리 모듈(3)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여, 배터리 모듈(3)이 베이스 프레임(11),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 및 열 관리 모듈과의 연결에서 탈리되도록 하고,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되어 열폭주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3)을 빠르게 떨어지도록 하여, 임박한 열폭주 행위가 전체 배터리 모듈(3)에 확산되어 전체 차량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차량은 바이패스 시스템과 고저압 시스템을 자체로 구비하고, 고장이 발생한 배터리 모듈(3)이 떨어진 후, 자동차의 바이패스 시스템은 자동차의 열 관리 시스템과 고저압 시스템의 작동을 유지하고 나머지 배터리 모듈(3)이 작업을 계속 진행하도록 유지하며, 그 후 제어 차량을 통합하고 나머지 배터리 모듈(3)을 사용하여 주행을 계속한다. 바이패스 시스템은 자동차 열 관리 시스템과 고저압 시스템을 유지하고, 주로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하나는 나머지 배터리 모듈(3)이 계속 작업하도록 유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고장난 배터리 모듈(3)이 떨어진 후 차량 회로의 직렬 및 병렬 연결의 완전성을 보장하여, 전체 차량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차량에 배터리 모듈(3)에 손상을 주는 의외의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 모듈(3)에 대해 사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감속 및 주차 알림을 사전 제공하며, 애프터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제어 시스템을 가이드하여 문제가 있는 배터리 모듈(3)이 떨어지도록 한다.
섀시(1) 상에 상기 배터리 모듈(3)이 설치된 형식은 단일 배터리 모듈(3)의 열 폭주로 인해 전체 배터리 팩이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며, 단일 배터리 모듈(3)의 빠른 탈착 보수의 문제, 및 차량의 충돌 과정 중, 배터리 모듈(3)이 손상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도 해결하고, 또한, 동일 배터리 모듈(3)의 그룹화 플랫폼을 사용하여 상이한 차량의 전기량 수요 배치를 완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 릴리스 장치(2)는 후크 어셈블리 및 회동 어셈블리(21)를 포함하고, 섀시(1) 상에는 마운트(113)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마운트(113)는 프레임 횡방향 빔(112) 상에 설치될 수 있고, 프레임 종방향 빔(111) 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는, 프레임 종방향 빔(111) 및 프레임 횡방향 빔(112) 상에 모두 마운트(113)가 설치된다.
회동 어셈블리(21)는 마운트(113) 상에 회동 설치된 회동 후크(211)를 포함한다. 후크 어셈블리는 후크홈(31)을 포함하고 후크홈(31)은 배터리 모듈(3) 상에 설치된다. 회동 후크(211)는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를 구비하며, 배터리 모듈(3)이 차량 상의 기설정 설치 위치에 놓이면, 회동 후크(211)는 로킹 위치로 회전하고, 회동 후크(211)는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된다. 회동 후크(211)가 해제 위치까지 회전하면, 회동 후크(211)는 후크홈(31)에서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퀵 릴리스 장치(2)는 구조가 간단하며, 회동 후크(211)를 통해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3)을 로킹 고정하고, 차량 운행 과정 중의 흔들림에 의해 해제되지 않으며, 배터리 모듈(3) 자체의 중력은 회동 후크(211)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기타 구조를 증가할 필요가 없기에, 배터리 모듈(3)이 섀시(1) 상에 고정된 안정성이 향상되고 작동 시간이 단축되며 배터리 모듈(3)의 로킹 시간이 감소되고 배터리 모듈 탈착 효율성이 향상된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3)을 로킹할 경우, 배터리 모듈(3)은 기설정 설치 위치에 놓이고, 퀵 릴리스 장치(2)의 회동 후크(211)는 로킹 위치에 놓이며, 회동 후크(211)는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되고, 배터리 모듈(3)을 로킹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3)을 해제할 경우, 퀵 릴리스 장치(2)의 회동 후크(211)가 해제 위치에 놓이고, 회동 후크(211)는 후크홈(31)에서 탈리되며, 배터리 모듈(3)이 자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고 자동으로 해제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후크(211)의 표면은 댐핑 재료로 코팅되며, 배터리 모듈(3)을 로킹시, 회동 후크(211)가 후크홈(31) 내에 간섭적 걸림 연결되고, 회동 후크(211)와 후크홈(31) 사이의 마찰력이 또 증가되며, 걸림 연결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배터리 모듈(3)을 해제시, 회동 후크(211)가 후크홈(31)에서 탈리되는 것을 막지 않아, 퀵 릴리스 장치(2)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3) 상의 상대적 양측은 섀시(1) 상에 로킹되고, 섀시(1)가 배터리 모듈(3)의 양측에서의 각 측에는 모두 마운트(113)가 설치되며, 각 마운트(113) 상에는 하나의 회동 후크(211)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3)의 상대적 양측에는 후크홈(31)이 설치된다. 배터리 모듈(3)이 차량의 기설정 설치 위치에 놓일 때, 섀시(1) 상의 회동 후크(211)는 배터리 모듈(3) 양측의 후크홈(31) 걸림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배터리 모듈(3)의 양측에는 적어도 두 개의 범프(32)가 각각 설치되고, 후크홈(31)은 범프(32)의 상면에 개설되고, 회동 후크(211)의 위치와 수량은 범프(32)에 대응된다. 적어도 두 개의 범프(32)를 설치함으로써 회동 후크(211)와 배터리 모듈(3)의 연결 위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배터리 모듈(3) 고정 후의 안정성을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3)의 양측에는 두 개의 범프(32)가 각각 설치되고, 각 범프(32) 상에는 하나의 후크홈(31)이 개설된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홈(31)은 회동 후크(211)의 회동축 라인 방향을 따라 범프(32)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범프(32)의 양측 단면과 연통하며, 후크홈(31)과 회동 후크(211)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고, 배터리 모듈(3) 로킹 안정성을 향상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어셈블리(21)는 회동축(212)을 더 포함하고, 회동축(212)은 회동하여 회동 후크(211)를 이끌어 회동시키도록 설치된다. 회동 후크(211)의 제1단은 회동축(212)의 제1단에 연결되고, 회동 후크(211)의 제2단은 호형으로 설치되며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회동축(212)의 제2단은 마운트(113)의 일측에 회동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후크(211)는 회동축(212)과 동축이고 회전축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회동축(212)이 회동후크(211)를 향하는 원주면 상에는 제1 연결대(2122)가 돌출 설치된다. 회동 후크(211)의 제1단은 제1 연결대(2122) 상에 고정되고, 회동 후크(211)의 제2단과 회동축(212)은 이격 설치되며,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될 수 있다. 회동축(212) 상에는 제1 연결대(2122)가 돌출 설치되고, 회동 후크(211)의 제1단은 제1 연결대(2122)에 연결되며, 회동 후크(211)의 제2단과 회동축(212)이 이격 설치되는데 유리하며, 회동 후크(211)의 제2단이 후크홈(31)에 걸림 연결되는데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후크(211)는 원호형으로 설치되고, 배터리 모듈(3) 로킹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후크홈(31)의 홈 단면 형상은 회동 후크(211)에 매칭되는 원호형이다. 회동 후크(211)의 강도 및 로킹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배터리 모듈(3)의 무게에 따라 회동 후크(211)의 축방향 폭과 반경방향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후크홈(31)이 회동 후크(211) 축방향에서의 홈 폭과 회동 후크(211)가 반경 방향에서의 홈 단면 두께도 따라서 조절된다.
선택적으로, 회동 후크(211)가 회동축(212)을 향하는 내원주면 상에는 톱니홈(2111)이 개설되고, 제1 연결대(2122) 상에는 톱니(2121)가 설치되며, 톱니(2121)는 톱니홈(2111) 내에 맞물린다. 회동축(212)의 회동시 회동 후크(211)를 이끌어 동기화적으로 회동하도록 보장하여, 배터리 모듈(3)의 로킹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후크(211)가 회동축(212)을 향하는 원호면 상에는 제2 연결대가 돌출 설치되고, 제2 연결대와 회동축(212) 상의 제1 연결대(2122)는 연결되며, 제2 연결대 상에는 톱니홈(2111)이 개설되고, 제1 연결대(2122) 상의 톱니(2121)는 톱니홈(2111) 내에 맞물린다.
선택적으로, 회동 어셈블리(21)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한다. 구동 모터의 출력축은 회동축(212)에 연결되고, 회동축(212) 자동 회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을 로킹 또는 분해시, 회동 후크(211)는 후크홈(31)에 자동으로 걸림 연결되거나 탈리되며, 퀵 릴리스 장치(2)의 자동화 정도와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어셈블리(21)는 연동축(213)을 더 포함한다. 연동축(213)의 양단과 인접한 두 개의 회전축 라인이 중첩되는 회동축(212)은 연결되고, 다수의 회동축(212)이 동기화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3) 로킹의 정확도를 높이고, 하나의 구동 모터를 동시에 사용하면 적어도 두 개의 회동축(212)이 동기화적으로 회동하도록 동시 구동할 수 있어, 구동 모터의 수량 수요를 감소하고, 원가를 낮춘다. 구동 모터와 제어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연동축(213)의 회동을 구동하며, 나아가 회동축(212)의 회동을 구동하여, 회동 후크(211)가 회동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모듈(3) 동일측에 위치한 섀시(1) 상의 두 개의 회동축(212)은 동축 라인으로 설치되기에, 배터리 모듈(3) 동일측의 두 개의 회동축(212) 사이에는 연동축(213)이 연결되고, 그중 하나의 회동축(212)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마운트(113)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되고, 마운트(113)의 제1단은 섀시(1) 상에 일체로 연결되며, 제2단과 회동 후크(211)의 단부는 가지런하고, 원호 형상을 나타낸다. 회동축(212)의 제2단은 마운트(113)의 일측에 회동 연결된다. 배터리 모듈(3)을 로킹할 경우, 즉 배터리 모듈(3)이 차량 상의 기설정 설치 위치에 놓일 경우, 마운트(113)의 하면과 범프(32)의 상면은 접합된다. 마운트(113)와 배터리 모듈(3)의 홈면이 접촉시, 배터리 모듈(3)이 로킹 위치에 놓임을 판단할 수 있어, 배터리 모듈(3)을 포지셔닝하는 시간을 감소하고, 배터리 모듈(3)을 탈착하는 효율을 높인다.
본 실시예에서, 회동 후크(211)의 축방향 상에서, 후크홈(31)의 홈 폭은 회동 후크(211)와 플레이트 형상의 마운트(113)의 두께의 합보다 작지 않다.
기타 실시예에서, 마운트(113) 제2단의 크기는, 배터리 모듈(3)이 회동 후크(21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3)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보장하면 되고, 여기서 더욱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 시스템은 구동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회동 후크(211)를 구동하여 기설정 각도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배터리 모듈(3)을 로킹 고정해야 하고 배터리 모듈(3)이 섀시(1) 상의 기설정 설치 위치에 놓일 경우, 제어 시스템은 구동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회동 후크(211)를 구동하여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로킹 위치까지 회동하도록 설치되고, 회동 후크(211)가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되도록 하여, 배터리 모듈(3)의 로킹을 실현한다. 배터리 모듈(3)을 분해해야 할 경우, 제어 시스템은 구동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회동 후크(211)를 구동하여 반대 방향으로 해제 위치까지 회동하도록 설치되며, 회동 후크(211)가 후크홈(31) 내에서 탈리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는 자체 무게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며, 배터리 모듈(3)의 분해를 완성한다. 제어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로킹 시스템의 자동화 정도와 사용 편의성을 향상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마운트(113)의 저면에는 압력 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고, 배터리 모듈(3)이 섀시(1) 상의 기설정 설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운트(113)의 저면과 배터리 모듈(3)이 후크홈(31)을 개설한 홈면은 상대적으로 접근하고, 압력 센서가 받는 압력이 기설정 압력의 최대치를 초과할 경우, 제어 시스템은 구동 모터를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회동 후크(211)를 이끌어 로킹 위치까지 회동하도록 하며, 회동 후크(211)가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되도록 하여, 배터리 모듈(3)의 로킹을 실현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퀵 릴리스 장치(2)는 기타 퀵 릴리스 기구일 수도 있으며, 다만 배터리 모듈(3)을 설치 위치에 빠르게 설치하고, 제어 시스템에 의해 퀵 릴리스 장치(2)를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3)에 대한 고정을 빠르게 해제하며, 배터리 모듈(3)이 섀시(1) 상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면 되고, 여기서 기타 구체적 한정을 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3) 상에는 연결 플랜지(33)가 설치되고, 연결 플랜지(33) 상에는 삽입홀이 설치된다.
제1 퀵 커넥터(4)는 삽입 기둥(41), 탄성 팽창 어셈블리 및 위치 제한 플랜지(44)를 포함한다. 삽입 기둥(41)의 제1단은 삽입홀을 관통하고, 삽입 기둥(41) 상에는 챔버(411)가 설치되며, 삽입 기둥(41) 제1단의 외주벽 상에는 챔버(411)와 연통되는 비아홀(412)이 설치된다. 비아홀(412) 상에는 탄성 팽창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탄성 팽창 어셈블리는 삽입 기둥(41)의 외주벽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압착된다. 예시적으로, 탄성 팽창 어셈블리는 탄성 실링 부재(42)와 스틸 볼(43)을 포함하고, 탄성 실링 부재(42)는 비아홀(412) 상에 실링 설치되며, 비아홀(412)과 챔버(411)가 연결된 위치에 위치한다. 스틸 볼(43)은 비아홀(412) 내에 수용되고, 탄성 실링 부재(42)의 외측에 위치하며, 스틸 볼(43)은 비아홀(412) 내에 완전히 위치할 수 있고, 탄성 실링 부재(42)의 작용하에 삽입 기둥(41)의 외주벽에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도 있다. 제1 퀵 커넥터(4)가 배터리 모듈(3) 상에 삽입될 경우, 스틸 볼(43)은 삽입 기둥(41)의 외주벽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스틸 볼(43)이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제한 플랜지(44)는 삽입 기둥(41)의 외주벽 상에 환식 설치되고, 위치 제한 플랜지(44)의 하단면은 연결 플랜지(33)의 상면에 압착된다. 스틸 볼(43)과 위치 제한 플랜지(44)는 서로 매칭되어 제1 커넥터(4)를 배터리 모듈(3)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팽창 어셈블리는 모두 다섯 개이며, 즉 탄성 실링 부재(42)와 스틸 볼(43)이 각각 다섯 개이고, 기타 실시예에서 탄성 팽창 어셈블리는 하나,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여섯 개, 심지어는 더 많을 수도 있으며, 위치 제한 플랜지(44)는 링형 구조이고, 위치 제한 플랜지(44)는 삽입 기둥(41)의 외주벽 상을 에워싸면서 돌출 설치되고, 용접 고정되거나 삽입 기둥(41)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위치 제한 플랜지(44)와 삽입 기둥(41)은 일체로 성형된다. 동시에, 스틸 볼(43)이 대응하는 비아홀(412) 내에서 이동하고 삽입 기둥(41)의 외주벽에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스틸 볼(43)의 직경은 비아홀(412)의 탄성 실링 부재(42)를 실링 설치하지 않은 일단의 구경보다 크다. 또한 삽입 기둥(411)의 챔버(411)가 시종 실링 상태에 놓이고, 챔버(411) 내의 압력이 비아홀(412)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탄성 실링 부재(42)는 탄성 고무 재질이고, 그 형상은 구의 셀 형상을 근접하게 나타내며, 탄성 실링 부재(42)의 케이스 개구단은 간섭 배합적으로 비아홀(412)이 챔버(411)에 연통되는 일단에 고정되고, 탄성 실링 부재(42)의 케이스 개구와 비아홀(412) 사이에는 스틸 볼(43)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스틸 볼(43)은 수용 공간 내에 활동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스틸 볼(43)이 비아홀(412)에서 팽창되어 떨어질 수 없고, 탄성 실링 부재(42)의 케이스 개구단이 시종 간섭 배합적으로 비아홀(412)이 챔버(411)에 연통되는 일단에 고정되기에, 챔버(411) 내의 압력이 비아홀(412)을 통해 누출될 수 없게 된다.
삽입 기둥(41) 상에서 삽입 기둥(411)의 축방향을 따라 오일 수송 통로(413)가 설치된다. 삽입 기둥(41)의 탑단에는 매니폴드(미도시)가 연결되고, 매니폴드는 오일 펌프에 연결되며, 오일 펌프와 매니폴드를 통해 오일 수송 통로(413)로 유압 오일을 수송할 수 있으며, 이로써 챔버(411) 내로 유압 오일을 유입하고, 챔버(411) 내의 압력이 증가하도록 하며, 탄성 실링 부재(42)가 스틸 볼(43)을 밀어 스틸 볼(43)이 외측으로 운동하도록 하여, 스틸 볼(43)이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유압 오일의 작용하에, 스틸 볼(43)은 내측으로 운동하지 않을 것이며, 스틸 볼(43)과 위치 제한 플랜지(44)가 서로 배합하여 제1 퀵 커넥터(4)를 연결 플랜지(33)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유압 오일이 탄성 실링 부재(42)에 대한 압력을 취소할 경우, 탄성 실링 부재(42)의 탄성 지지하에, 스틸 볼(43)이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을 지지하지만, 탄성 실링 부재(42)가 탄성변형될 수 있고, 챔버(411) 내의 팽창 압력의 지지를 잃으므로, 스틸 볼(43)이 삽입 기둥(41)의 외주벽에 돌출된 일단이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으로부터의 압출 압력을 받을 경우, 탄성 실링 부재(42)는 변형되고, 스틸 볼(43)은 비아홀(412) 내로 되돌아가며, 더 이상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지지력을 발생할 수 없게 되고, 배터리 모듈(3)은 중력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떨어지게 되어, 배터리 모듈(3)의 빠른 분해를 실현한다.
오일 펌프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 시스템은 오일 펌프를 제어하여 챔버(411) 내로 유압 오일을 수송하고, 챔버(411) 내의 압력을 증가하며, 탄성 실링 부재(42)가 스틸 볼(43)을 밀어 외측으로 운동하도록 하여, 스틸 볼(43)이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압 실린더를 통해, 고압 실린더가 오일 수송 통로(413)를 통해 챔버(411) 내로 고압 기체를 수송하고, 고압 기체에 의해 탄성 실링 부재(42)가 스틸 볼(43)을 밀어 외측으로 운동하도록 하여, 스틸 볼(43)이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유압 구동과 기압 구동의 원리 및 제어 회로는 관련 기술이므로, 여기서 더욱 설명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다수의 삽입 기둥(41)의 챔버(411) 내의 팽창 압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2/2웨이 전기 제어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2/2웨이 전기 제어 밸브의 입구와 오일 펌프의 출구는 연통되고, 2/2웨이 전기 제어 밸브의 출구와 매니폴드의 입구는 연통된다. 다수의 챔버(411) 내로 고압 유압 오일을 수송하고, 나아가 팽창 연결해야 할 경우, 2/2웨이 전기 제어 밸브는 먼저 오픈 상태에 놓이고, 오픈 상태를 유지하여 시간을 미리 설정하는데, 예컨대 3-5초이다. 유압 펌프가 고압 펌프를 다수의 챔버(411) 내로 수송하고, 스틸 볼(43)이 각 비아홀(412)의 탄성 실링 부재(42)를 설치하지 않은 일단의 홀 벽 상에 팽팽하게 눌림 지지되어 이동할 수 없게 된 후, 2/2웨이 전기 제어 밸브가 오프 시간에 도달할 경우 자동으로 오프되며, 나아가 다수의 챔버(411) 내의 압력을 로킹하여, 압력 보호의 작용을 한다. 이때, 오일 펌프도 작업을 멈추고, 나아가 배터리 모듈(3)이 제1 퀵 커넥터(4)를 통해 섀시(1) 상에 로킹되는 로킹 작업을 완성한다. 압력을 누출하여 배터리 모듈(3)을 분해해야 할 경우, 2/2웨이 전기 제어 밸브는 오픈되고, 오일 펌프는 작동하지 않으며, 이때 다수의 챔버(411) 내의 압력은 매니폴드, 오일 펌프, 오일 탱크의 경로를 따라 압력 누출을 완성할 수 있고, 제1 퀵 커넥터(4)는 더 이상 배터리 모듈(3)에 팽창 연결되지 않으며, 배터리 모듈(3)은 중력의 작용하에 자동으로 탈리되어, 나아가 분해 작업을 완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퀵 커넥터(4)는 하나의 예시성의 구조일 뿐이며, 기타 실시예에서, 제1 퀵 커넥터(4)는 기타 퀵 플러그 구조일 수 있으며, 고압 전류를 감당할 수 있고,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 배터리 모듈(3) 상에서 빠르게 떨어질 수만 있으면 되고, 여기서 기타 구체적인 한정성 설명을 하지 않는다.
제2 퀵 커넥터(6)의 구조는 제1 퀵 커넥터(4)의 구조와 유사하고, 기타 퀵 플러그 구조일 수도 있으며, 저압(抵) 전류를 견딜 수 있고,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어 배터리 모듈(3) 상에서 빠르게 떨어질 수만 있으면 되며, 여기서 기타 구체적인 한정성 설명을 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섀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을 더 개시하고, 섀시 어셈블리의 배터리 모듈(3)은 차량의 운행을 위해 전기에너지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유익한 효과는, 차량에 의외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충돌 센서 등을 통해, 프레임이 곧 파손될 것임을 감지하고, 차의 속도가 비교적 빠르면, 먼저 차의 속도를 30km/h 이하로 낮추도록 제어하고, 다음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와 퀵 릴리스 장치(2)에 대한 제어를 작동하며,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가 배터리 모듈(3)에서 탈리되도록 하고, 퀵 릴리스 장치(2)는 배터리 모듈(3)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며, 배터리 모듈(3)과 섀시(1) 및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가 연결에서 벗어나도록 하며, 배터리 모듈(3)이 떨어지도록 하여, 곧 발생할 프레임 파손으로 인해 배터리 모듈(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터리 모듈(3)은 퀵 릴리스 장치(2)를 통해 설치 위치에 설치되고, 배터리 모듈(3)을 교체하거나 보수해야 할 경우, 대응되는 모듈만 분해할 수 있으며, 전체 배터리 팩을 분해할 필요가 없다.
상기 배터리 모듈(3)이 섀시(1) 상에 설치된 형식은 단일 모듈의 빠른 탈착 보수의 문제; 차량의 충돌 과정에서, 배터리 모듈(3)이 손상되고 심지어 화재를 일으키는 문제를 해결하며, 동일 종류의 배터리 그룹화 플랫폼을 사용하여 상이한 차량의 전기량 수요 배치를 완성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은 직접 섀시(1) 상에 설치되기에, 전체 차량의 배치에는 더 큰 공간이 프레임 횡방향 빔(112)과 프레임 종방향 빔(111), 및 방호 구조의 배치에 사용되고, 충돌 에너지 흡수 구역을 현저하게 증가하고, 모듈 또는 배터리가 충돌 후 받는 응력 또는 자체 변형을 현저하게 개선한다.
이 밖에, 차량 주행 과정 중 또는 정지 주차 상태에서 열폭주가 발생할 경우, 제어 시스템이 배터리 모듈(3) 내의 온도 감지 부재를 통해 배터리 모듈(3)의 열폭주 발생을 감지할 경우, 제어 시스템은 제1 퀵 커넥터(4), 제2 퀵 커넥터(6), 제3 퀵 커넥터(8) 및 퀵 릴리스 장치(2)에 대한 제어를 작동하여, 제1 퀵 커넥터(4), 제2 퀵 커넥터(6) 및 제3 퀵 커넥터(8)가 배터리 모듈(3)로부터 탈리하고, 퀵 릴리스 장치(2)가 배터리 모듈(3)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여, 배터리 모듈(3)이 베이스 프레임(11),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 및 열 관리 모듈과의 연결에서 탈리되도록 하고,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되어 열폭주가 발생한 배터리 모듈(3)이 빠르게 떨어지도록 하여, 임박한 열폭주 행위가 전체 배터리 모듈(3)에 확산되어 전체 차량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차량에서 배터리 모듈(3)에 손상을 주는 의외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제어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 모듈(3)에 대해 사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감속하여 주차하도록 사전 통지하며, 또는 애프터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제어 시스템을 가이드하여 문제가 있는 배터리 모듈(3)이 떨어지도록 한다.
1 섀시; 11 베이스 프레임; 111 프레임 종방향 빔; 112 프레임 횡방향 빔; 113 마운트; 12 하부 차체 바닥;
2 퀵 릴리스 장치; 21 회동 어셈블리; 211 회동 후크; 2111 톱니홈; 212 회동축; 2121 톱니; 2122 제1 연결대; 213 연동축;
3 배터리 모듈; 31 후크홈; 32 범프; 33 연결 플랜지;
4 제1 퀵 커넥터; 41 삽입 기둥; 411 챔버; 412 비아홀; 413 오일 수송 통로; 42 탄성 실링 부재; 43 스틸 볼; 44 위치 제한 플랜지;
5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 51 고압 케이블; 6 제2 퀵 커넥터; 7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 71 저압 케이블; 8 제3 퀵 커넥터; 91 열 관리 제어 수관.

Claims (18)

  1. 다수의 설치 위치가 설치되고, 배터리 모듈(3)을 장착하도록 설치되는 섀시(1);
    퀵 릴리스 장치(2) -상기 배터리 모듈(3)은 상기 퀵 릴리스 장치(2)를 통해 상기 설치 위치 상에 설치되며, 상기 퀵 릴리스 장치(2)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됨-;
    상기 배터리 모듈(3)에 퀵 플러그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전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배터리 모듈(3)에 퀵 플러그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고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
    상기 배터리 모듈(3)에 퀵 플러그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저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배터리 모듈(3)의 고압 인터페이스 상에 삽입되는 제1 퀵 커넥터(4);
    상기 제1 퀵 커넥터(4)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3)에 전기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퀵 커넥터(4)는 상기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 퀵 커넥터(4)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저압 전기적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배터리 모듈(3)의 저압 인터페이스 상에 삽입되는 제2 퀵 커넥터(6);
    상기 제2 퀵 커넥터(6)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3)에 전기적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퀵 커넥터(6)는 상기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2 퀵 커넥터(6)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열 관리 모듈 및 제3 퀵 커넥터(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관리 모듈은 상기 제3 퀵 커넥터(8)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3)에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베이스 프레임(11)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적어도 두 개의 평행 설치된 프레임 종방향 빔(111)과 상기 프레임 종방향 빔(111)에 수직 설치된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횡방향 빔(112)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 횡방향 빔(112)은 상기 프레임 종방향 빔(1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3)은 상기 퀵 릴리스 장치(2)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종방향 빔(111)은 두 개이고, 각 프레임 횡방향 빔(112)의 양단은 각각 상기 두 개의 프레임 종방향 빔(111) 상에 고정되며, 두 개의 인접한 상기 프레임 횡방향 빔(112) 사이에는 상기 설치 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에는 일렬의 상기 설치 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종방향 빔(111)은 세 개이고, 상기 세 개의 프레임 종방향 빔(111)은 순차적으로 이격 설치되며, 각 프레임 횡방향 빔(112)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프레임 종방향 빔(11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각 프레임 횡방향 빔(11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상기 프레임 종방향 빔(111) 상에 고정되며, 두 개의 인접한 상기 프레임 횡방향 빔(112) 사이에는 상기 설치 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에는 두 열의 상기 설치 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3)은 상기 설치 위치와 매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3)의 사각 또는 임의의 상대적 두 개 측면은 상기 퀵 릴리스 장치(2)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1)는 하부 차체 바닥(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차체 바닥(1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3)의 상방에 커버되고, 상기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은 상기 하부 차체 바닥(12)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 상에는 다수의 고압 케이블(51)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퀵 커넥터(4)는 상기 고압 케이블(51)이 상기 고압 전기적 연결 모듈(5)에서 멀어지는 일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 상에는 다수의 저압 케이블(71)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퀵 커넥터(6)는 상기 저압 케이블(71)이 상기 저압 전기적 연결 모듈(7)에서 멀어지는 일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3) 상에는 온도 감지 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 감지 소자는 상기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시스템에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3)을 소화하도록 설치되는 소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퀵 릴리스 장치(2)는,
    상기 섀시(1) 상에 회동 설치된,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가 구비된 회동 후크(211)를 포함하는 회동 어셈블리(21);
    상기 배터리 모듈(3) 상에 설치되는 후크홈(31)을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후크(211)는, 상기 배터리 모듈(3)이 상기 섀시(1) 상의 기설정 설치 위치에 놓이고 상기 회동 후크(211)가 상기 로킹 위치까지 회전할 경우, 상기 후크홈(31) 내에 걸림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3)이 상기 섀시(1) 상의 기설정 설치 위치에 놓이고 상기 회동 후크(211)가 상기 해제 위치까지 회전할 경우, 상기 후크홈(31)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3) 상에는 연결 플랜지(33)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플랜지(33) 상에는 삽입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1 퀵 커넥터(4)는,
    삽입 기둥(41) -상기 삽입 기둥(41)의 제1 단이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고, 상기 삽입 기둥(41) 상에 챔버(411)가 설치되며, 상기 삽입 기둥(41)의 제1 단의 외주벽 상에 상기 챔버(411)와 연통되는 비아홀(412)이 설치됨-;
    상기 비아홀(412) 상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 기둥(41)의 외주벽에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압착되는 탄성 팽창 어셈블리;
    상기 삽입 기둥(41)의 외주벽 상에 환식 설치되고, 하단면은 상기 연결 플랜지(33)의 상면에 압착되는 위치 제한 플랜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팽창 어셈블리는,
    상기 비아홀(412) 상에 실링 설치되는 탄성 실링 부재(42);
    상기 비아홀(412) 내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 실링 부재(42)의 외측에 위치하는 스틸 볼(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퀵 커넥터(4)가 상기 배터리 모듈(3) 상에 삽입될 경우, 상기 스틸 볼(43)은 상기 삽입 기둥(41)의 외측벽에서 부분적 돌출되어, 상기 스틸 볼(43)이 상기 연결 플랜지(33)의 하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어셈블리.
  18.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섀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17016638A 2020-05-27 2020-08-05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 KR102516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64225.8A CN111516476A (zh) 2020-05-27 2020-05-27 一种底盘组件及车辆
CN202020922703.0U CN212447084U (zh) 2020-05-27 2020-05-27 一种底盘组件及车辆
CN202010464225.8 2020-05-27
CN202020922703.0 2020-05-27
PCT/CN2020/106925 WO2021237937A1 (zh) 2020-05-27 2020-08-05 底盘组件及车辆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680A KR20210149680A (ko) 2021-12-09
KR102516383B1 true KR102516383B1 (ko) 2023-03-31

Family

ID=7872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638A KR102516383B1 (ko) 2020-05-27 2020-08-05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891119B2 (ko)
EP (1) EP4159504A1 (ko)
JP (1) JP7234366B2 (ko)
KR (1) KR102516383B1 (ko)
WO (1) WO2021237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2314A (zh) * 2022-08-15 2022-11-18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换电式车辆
CN116565426B (zh) * 2023-06-15 2023-11-14 威海市泓淋电力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快速换电的电动汽车电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6313A (ja) * 2016-07-07 2018-01-1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システムを含む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062B2 (en) * 2004-04-27 2008-10-21 Apple Inc. Connector interface system for enabl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multi-communication device
US7993155B2 (en) * 2008-09-19 2011-08-09 Better Place GmbH Syste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atteries to electric vehicles
JP2010284984A (ja) * 2009-06-09 2010-12-24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バッテリ搭載構造
JP5141795B2 (ja) * 2011-06-20 2013-02-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装着装置
JP5824997B2 (ja) * 2011-09-14 2015-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FR2988041B1 (fr) * 2012-03-15 2014-02-28 Renault Sas System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d'un objet sous une structure a crochet de rapprochement et de soutien
US9620765B1 (en) 2013-04-30 2017-04-11 Biliti Corporation Battery disconnect device utilizing original single segment unmodified battery ground cable to connect/disconnect current flow at chassis connection site
JP6036667B2 (ja) * 2013-12-04 2016-1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保持装置
CN103770615B (zh) 2014-01-07 2016-09-28 深圳精智机器有限公司 汽车电池锁止装置
CN106240340B (zh) * 2015-06-04 2018-09-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电源装置
US10160344B2 (en) * 2016-02-09 2018-12-25 Nio Nextev Limited Modular battery assembly
CN107346811B (zh) 2016-05-06 2023-05-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低压动力电池包
JP6471133B2 (ja) * 2016-10-25 2019-0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6475270B2 (ja) * 2017-01-20 2019-02-27 株式会社Subaru 自動車車両
JP6514248B2 (ja) * 2017-02-17 2019-05-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下部構造
JP6988308B2 (ja) 2017-09-22 2022-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システム
JP7006390B2 (ja) * 2018-03-09 2022-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108944396A (zh) 2018-05-03 2018-12-07 康迪电动汽车(上海)有限公司 一种汽车动力电池的快换装置
CN109203956A (zh) 2018-08-10 2019-01-15 康迪电动汽车(上海)有限公司 一种汽车电池包的快拆装置
US10494030B1 (en) * 2018-08-20 2019-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llapsible battery pack support assembly and supporting method
CN209441175U (zh) 2018-12-31 2019-09-27 森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托架及电源装置
CN112776653B (zh) 2019-11-01 2022-11-15 爱驰汽车有限公司 电池快换系统以及电动车
US11180253B1 (en) * 2021-03-24 2021-11-23 Brien Aven Seeley System for fire suppression by autonomous air and ground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6313A (ja) * 2016-07-07 2018-01-1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システムを含む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5107A1 (en) 2022-10-06
KR20210149680A (ko) 2021-12-09
JP2022537611A (ja) 2022-08-29
JP7234366B2 (ja) 2023-03-07
WO2021237937A1 (zh) 2021-12-02
US20240116571A1 (en) 2024-04-11
EP4159504A1 (en) 2023-04-05
US11891119B2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383B1 (ko) 섀시 어셈블리 및 차량
CN212447084U (zh) 一种底盘组件及车辆
CN111516476A (zh) 一种底盘组件及车辆
JP5642881B2 (ja) 車両用機器温調システム
US9701284B2 (en) System for locking/unlocking an object on a structure having bearing and aligning elements built into the tools
CN110462921B (zh) 冷却系统和方法
CN101663777B (zh) 蓄电装置
CN103448563A (zh) 在液体冷却的电池组中的冷却剂损失检测和矫正
CN204706593U (zh) 一种电池组保护系统
US20200058967A1 (en) Cooling system and method
CN103492208A (zh) 用于连接机动车辆的动力供应电池的系统
US20130239913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
CN212934752U (zh) 一种电池模组、底盘组件及储能装置
KR20240030968A (ko) 서포트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차를 위한 하부살수장치
WO2017207977A1 (en) Drivetrain apparatus
US10347953B2 (en) Battery module having side compression structure with heat exchanger
US11024913B2 (en) Battery module with tension member resisting deflection
CN213845427U (zh) 蓄能器装置、容器和车辆
US10826036B2 (en) Battery pack venting
JP7478922B2 (ja) 車両、及び、電池パック
JP2021068699A (ja) 自動車用のトラクションバッテリシステム
CN116914349A (zh) 电池和车辆
CN116658814A (zh) 一种介质存储系统以及车辆
CN117317437A (zh) 冷却组件、动力电池、快充热管理控制方法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