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51B1 -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51B1
KR101959951B1 KR1020180169461A KR20180169461A KR101959951B1 KR 101959951 B1 KR101959951 B1 KR 101959951B1 KR 1020180169461 A KR1020180169461 A KR 1020180169461A KR 20180169461 A KR20180169461 A KR 20180169461A KR 101959951 B1 KR101959951 B1 KR 10195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it
failure
sensing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
Priority to KR102018016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27Natural conv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장구간을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공 배전선로 상에 설치된 감지함체의 내부를 자연 순환방식으로 냉각하여 성능 열화 방지기능도 갖추도록 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Fault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on processing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장구간을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공 배전선로 상에 설치된 감지함체의 내부를 자연 순환방식으로 냉각하여 성능 열화 방지기능도 갖추도록 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로부터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로는 송전선로와는 달리 수많은 수용가에 각각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성은 복잡한 간선 및 지선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전선로 상에 지락(전선이 끊어져 땅에 붙어 접지되는 경우) 또는 단락(서로 다른 상의 전선들이 붙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그 사고가 발생한 고장점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배전선로에 고장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고장 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찾기 위하여 변전소 차단장치를 동작시켜 가면서 현장의 조작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주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사고 지점에 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고장점을 찾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복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전 시간이 길어져 전력 소비자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배선 선로의 사고 발생시 그 고장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복구하여 정전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전력 공급의 신뢰성과 수용가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우리 나라의 배전방식은 3상 4선식 다중접지방식으로 지락사고가 발생할 경우, 중성선에 흐르는 지락전류가 단락전류보다 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변전계통에서, 부하용량 4000[kVA] 이하의 분기점 또는 수용가 인입구에 선로 자동개폐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로 자동개폐기는 지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변전소의 차단기와 배전선로에 설치된 선로개폐 제어장치인 리클로저(RECLOSER)와 협조하여 고장 구간만을 신속, 정확하게 차단 혹은 개방하여 고장 구간의 확대를 방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한다.
상기와 같이, 배전선로에 사고가 발생하여 고장 전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고장 전류가 발생한 고장점을 분리하여 차단시키는 장치로는 차단기, 개폐기, 리클로저가 있다.
그런데, 가로수, 건물 등 장애물로 가려지거나 미세한 흠집으로 인한 고장이 배전선로상에 발생한 경우에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을 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탐지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이 다수 분기점 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고장구간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불가능하거나 탐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광역 정전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75025호(2007.11.02.)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장구간을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공 배전선로 상에 설치된 감지함체의 내부를 자연 순환방식으로 냉각하여 성능 열화 방지기능도 갖추도록 한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공 배전선(L) 상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감지함체(1000)와; 상기 감지함체(1000) 내부에 실장되는 다수의 슬롯(132)을 갖는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슬롯(132)에 접속되어 배전선로 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슬롯(132)에 접속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고장판단부(120)와;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는 램프부(140)와;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 및 고장위치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 및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를 포함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함체(1000)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가공 배전선(L)에 설치되기 위해 상단면 양측에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고정구(200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2000)는 내부에 가공 배전선(L)이 끼워져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 형상의 고정구본체(2100)와, 상기 고정구본체(2100)의 하단면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감지함체(1000)의 상단면에 나사체결되는 함체고정로드(2200)와, 상기 가공 배전선(L)이 삽입된 공간 입구를 상하로 결속하여 가공 배전선(L)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전선이탈방지구(2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함체(1000)에는 통풍흡입유닛(3000)과 통풍배출유닛(40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통풍흡입유닛(3000)은 내부가 비어 있고 호른의 입구처럼 생긴 흡입혼(3100)과, 상기 흡입혼(3100)과 연통되고 상기 감지함체(1000)의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감지함체(10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결통(3200)과, 상기 연결통(3200)의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흡입혼(3100) 쪽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입혼베어링(3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풍배출유닛(4000)은 상기 통풍흡입유닛(3000)과 대향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호른의 입구처럼 생긴 배출혼(4100)과, 상기 배출혼(4100)과 연통되고 상기 감지함체(1000)의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감지함체(10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배기통(4200)과, 상기 배기통(4200)의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배출혼(4100) 쪽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출혼베어링(4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구간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장구간을 감지하고, 고장여부에 따라 표시를 다르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위험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배전센터와 연계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대처 방안을 신속하게 설정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공 배전선로 상에 설치된 감지함체의 내부를 자연 순환방식으로 냉각하여 성능 열화 방지기능도 갖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에 실장되는 기판 혹은 모듈의 실장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의 냉각 구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함체의 조류 퇴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시스템(100)은 가공 배전선로상에 설치되는 제어부(130);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감지부(110);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120); 및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온되는 램프부(140);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170);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하는 장력센서(180); 및 램프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110)는 전류감지센서, 전압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부(110)는 배전선로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장판단부(120)는 감지데이터에 포함된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배전선로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판단부(120)는 예를 들면, 감지데이터의 수치가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장판단부(120)는 기 설정된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적으로 설정된 각각의 데이터수치를 감지데이터와 비교하여 단계적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장판단부(120)는 예를 들어 전류 데이터의 기 설정데이터가 각각 1A, 2A, 3A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감지데이터의 전류값이 1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단계로, 2A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의 단계로, 3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험 단계로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계적 고장여부 판단은 설정에 따라 전류, 전압 및 온도 데이터의 수치를 조합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장판단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부(140)는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어 동작한다.
이러한 램프부(140)는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램프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여부 및 색상, 조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부(150)는 배전선로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고장정보를 외부 순찰자, 순찰차량(40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RF, 지그비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장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장정보는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의 위치, 제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1통신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1통신부(150)는 외부로부터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고장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통신부(150)는 예를 들면, RFID태그 방식을 이용하여 순찰자나 순찰차량 등이 접근시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고장 정보를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제2통신부(160)는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부(160)는 예를 들면, CDMA, WiBro 통신방식 등을 이용하여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30)는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며, 램프부(140)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통신부(160)에서 수신한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이용하여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 개폐기 등에 설치되는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는 배전기기 고장정보, 고장방향 등의 각종 상태정보를 배전센터(200)에 전송하며, 배전센터(200)는 이로부터 넓은 범위의 고장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배전센터(200)는 고장 발생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제2통신부(16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고장 발생 지역에 해당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시스템(100)가 설치된 지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램프부(140) 및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시스템(100)은 1차적으로 배전 자동화 단말장치(300)를 통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램프부(140)와 제1통신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 여부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고장판단부(12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램프부(14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고장판단부(120)에서 단계적으로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램프부의 색상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예를 들면, 단계적 고장여부가 경고, 주의, 위험 단계로 구분되는 경우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 순으로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경고, 주의, 위험 단계순으로 조도는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색상은 황색 계열 색상에서 적색 계열 색상으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울기센서(170)는 배전선로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기울기센서(170)는 예를 들면, 전주의 기울어짐에 의해 배전선로의 기울기가 변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기울기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판단부(120)는 기울기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력센서(180)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장력센서(180)는 예를 들면, 착빙과 풍압 등에 의하여 배전선로에 이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장력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장판단부(120)는 장력데이터를 기 설정된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는 배전선로의 단로, 결로 등을 의미하거나 또는 배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예비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400)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배전선로의 주변에 도착한 후 램프부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순찰자 또는 순찰차량은 제1통신부에서 전송하는 고장정보를 전송받아 램프부에서 나오는 빛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용이하게 고장이 발생한 배전선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램프부(140)의 상부에 외부에서 입사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차단부(190)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램프부(140)에서 나오는 빛을 좀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장치(100)는 가공 배전선로 상에 설치되는데, 이를 테면 도 5의 예시와 같이, 가공 배전선(L) 상에 감지함체(1000)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함체(1000)에는 앞서 설명한 제어부(130)를 비롯하여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보드 혹은 모듈 형태로 실장된다.
이를 테면, 제어부(130)가 메인보드 형태, 즉 기판상으로 내장되고, 이 메인보드 형태의 제어부(130)에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 등이 슬롯접속 방식으로 실장되어 탑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함체(1000)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가공 배전선(L)에 설치되기 위해 상단면 양측에는 고정구(2000)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2000)도 가공 배전선(L) 상에 직접 걸려 고정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당연히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2000)는 내부에 가공 배전선(L)이 끼워져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 형상의 고정구본체(2100)와, 상기 고정구본체(2100)의 하단면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감지함체(1000)의 상단면에 나사체결되는 함체고정로드(2200)와, 상기 가공 배전선(L)이 삽입된 공간 입구를 상하로 결속하여 가공 배전선(L)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전선이탈방지구(2300)로 이루어진다.
그리하여, 설치지점의 가공 배전선(L) 상에 단지 걸어 두는 방식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으며, 전선이탈방지구(2300)를 충분히 조이면 가공 배전선(L)을 무는 힘이 더 세져 가공 배전선(L)을 타고 감지함체(1000)가 슬라이딩되거나 혹은 슬립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감지함체(1000)는 무게중심이 가공 배전선(L) 보다 훨씬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뒤집어지지도 않는다.
따라서, 임의의 설치위치에 고정된 채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다. 물론, 이러한 감지함체(1000)는 볼륨이 크지 않아 설치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덧붙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은 다수의 탑재슬롯(132)이 마련되어 있고, 탑재슬롯(132)과 직교되는 양측에는 상기 감지함체(1000) 혹은 감지함체(1000) 내부에 구비된 프레임(미도시) 상에 고정된 슬라이딩가이더(134)이 마련되어 기판 혹은 모듈 형태를 갖는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실장될 때 그 양측을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에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보드형 제어부(130)를 향해 밀게 되면 이들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슬라이딩가이더(134)을 타고 이동하다가 그 선단에 구비된 단자(TR)들이 상기 탑재슬롯(132)에 삽입됨과 동시에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다수의 전기 전자 소자들의 복합체인 감지부(110), 고장판단부(120), 제1,2통신부(150,160)가 신호처리를 하게 된다.
그런데, 감지함체(1000)가 외부 충격을 받거나 혹은 진동, 작업자가 정확하게 끼워넣지 못한 경우 등에 의해 이들이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의 접속불량에 의해 신호처리가 불량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것은 작업자가 덜 끼움으로 인해 발생되기도 하며, 또한 이들 기판 혹은 모듈(즉, 감지부, 고장판단부, 제1,2통신부를 말함)을 탑재슬롯(132)에 끝까지 완벽하게 밀어 넣어 고정하려면 많은 힘을 주어야 하고, 빡빡할 경우에는 잘 끼워지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선단에서 회동되는 견착유도구(1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견착유도구(110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반의 일부가 절단된 수직단면(1110)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반의 일측면에는 회동중심축(1120)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중심축(1120)은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일단면에 삽입된 후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견착유도구(1100)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더(134)의 판면에서 회전되면서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며, 잠금전에는 상기 수직단면(1110)이 슬라이딩가이더(134)의 개방부까지 침범하지 않고 그 외측에 서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잠금방향으로 회전되면 세워져 있던 수직단면(1110)이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딩가이더(134)의 개방부쪽으로 침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중심축(1120)이 고정된 원반면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회동중심축(112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원반표면에서 수직단면(1110)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부(113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부(1130)는 상기 수직단면(11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3 정도의 길이 범위내에서만 형성된다.
이것은 견착유도구(1100)가 회동중심축(1120)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기판 혹은 모듈의 후단과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경사면부(1130)에서 가장 큰 단차는 D이며, 이 D 만큼 유격이 발생되어 기판 혹은 모듈이 덜 삽입된 경우라도 견착유도구(1100)를 회전시키면 경사면부(1130)에 기판 혹은 모듈의 후단이 걸리면서 미끄러지듯이 경사면부(1130)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려고 한다. 그러나, 견착유도구(1100)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인 기판 혹은 모듈이 밀려 들어가면서 보다 긴밀하면서 완전한 삽입과 정확한 견착, 즉 실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단면(1110) 반대쪽 견착유도구(1100)의 둘레면 중심에는 체결홈(114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140)에는 손잡이(1150)가 체결되어 견착유도구(1100)의 회동을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한편, 도 9의 예시와 같이, 상기 감지함체(1000)에는 통풍흡입유닛(3000)과 통풍배출유닛(4000)이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통풍흡입유닛(3000)은 내부가 비어 있고 호른의 입구처럼 생긴 흡입혼(3100)과, 상기 흡입혼(3100)과 연통되고 상기 감지함체(1000)의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감지함체(10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결통(3200)과, 상기 연결통(3200)의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흡입혼(3100) 쪽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입혼베어링(33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풍배출유닛(4000)은 상기 통풍흡입유닛(3000)과 대향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호른의 입구처럼 생긴 배출혼(4100)과, 상기 배출혼(4100)과 연통되고 상기 감지함체(1000)의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감지함체(10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배기통(4200)과, 상기 배기통(4200)의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배출혼(4100) 쪽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출혼베어링(4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통풍흡입유닛(3000)과 통풍배출유닛(4000)은 상기 고정구(200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며, 통풍흡입유닛(3000)은 바람의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불어오는 바람을 자연스럽게 감지함체(1000) 내부로 도입하며, 도입된 공기는 감지함체(1000) 내부를 냉각시킨 후 자연스럽게 통풍배출유닛(4000)을 통해 배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풍을 위해 별도의 강제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환풍되게 함으로써 감지함체(1000) 내부를 냉각시켜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전기전자 부품들의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갖는다.
이에 더하여, 도 10의 예시와 같이, 상기 감지함체(1000)의 상면, 더 정확하게는 고정구(2000) 및 통풍흡입유닛(3000)과 통풍배출유닛(4000)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단식 삼각프리즘체(50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삼각프리즘체(5000)는 빛을 받아 상방향으로 혹은 측방향으로 집중되게 반사시킴으로써 조류의 접근을 막고, 특히 톱니 형상의 계단식 턱에 의해 조류 등이 집을 짖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감지함체(1000)는 가공 배전선(L)에 매달려 설치되는 특성상 전선에 앉기 좋아하는 조류들이 그 상면에 쉽게 집을 지을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여러가지 측면에서 불리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삼각프리즘체(5000)를 더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삼각프리즘체(5000)는 내부에 얇은 사각형 도관을 내장시키고, 여기에 잘 얼지 않는 열매체유를 채워 넣어 두게 되면 낮동안 열을 받아 표면이 뜨겁게 됨으로써 조류의 착지를 방해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110: 감지부 120: 고장판단부
130: 제어부 140: 램프부
150: 제1통신부 160: 제2통신부
170: 기울기센서 180: 장력센서
190: 빛차단부 200: 배전센터

Claims (1)

  1. 가공 배전선(L) 상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감지함체(1000)와; 상기 감지함체(1000) 내부에 실장되는 다수의 슬롯(132)을 갖는 메인보드형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의 슬롯(132)에 접속되어 배전선로 상의 전류, 전압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감지부(110)와; 상기 감지데이터를 제어부(130)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전선로 상의 고장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슬롯(132)에 접속되는 기판 혹은 모듈 형태의 고장판단부(120)와;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턴 온되는 램프부(140)와; 상기 배전선로 상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배전선로의 고장여부, 고장정도 및 고장위치를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50); 및 배전센터(200)로부터 배전선로 광역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60);를 포함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지함체(1000)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가공 배전선(L)에 설치되기 위해 상단면 양측에는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고정구(2000)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2000)는 내부에 가공 배전선(L)이 끼워져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 형상의 고정구본체(2100)와, 상기 고정구본체(2100)의 하단면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감지함체(1000)의 상단면에 나사체결되는 함체고정로드(2200)와, 상기 가공 배전선(L)이 삽입된 공간 입구를 상하로 결속하여 가공 배전선(L)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전선이탈방지구(2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함체(1000)에는 통풍흡입유닛(3000)과 통풍배출유닛(40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통풍흡입유닛(3000)은 내부가 비어 있고 호른의 입구처럼 생긴 흡입혼(3100)과, 상기 흡입혼(3100)과 연통되고 상기 감지함체(1000)의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감지함체(10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결통(3200)과, 상기 연결통(3200)의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흡입혼(3100) 쪽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입혼베어링(33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풍배출유닛(4000)은 상기 통풍흡입유닛(3000)과 대향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호른의 입구처럼 생긴 배출혼(4100)과, 상기 배출혼(4100)과 연통되고 상기 감지함체(1000)의 내부와 통할 수 있도록 감지함체(10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배기통(4200)과, 상기 배기통(4200)의 길이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배출혼(4100) 쪽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출혼베어링(4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KR1020180169461A 2018-12-26 2018-12-26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KR10195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61A KR101959951B1 (ko) 2018-12-26 2018-12-26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461A KR101959951B1 (ko) 2018-12-26 2018-12-26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951B1 true KR101959951B1 (ko) 2019-03-19

Family

ID=6590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461A KR101959951B1 (ko) 2018-12-26 2018-12-26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9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25B1 (ko) 2006-08-22 2007-11-09 주식회사 동명전력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1552B1 (ko) * 2016-12-20 2017-05-11 (주)성전엔지니어링 송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025B1 (ko) 2006-08-22 2007-11-09 주식회사 동명전력 배선전로 고장 구간의 자동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1552B1 (ko) * 2016-12-20 2017-05-11 (주)성전엔지니어링 송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069B1 (ko) 인공지능에 의하여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 장애 감시와 복구를 위한 감시시스템 제공방법
KR102172006B1 (ko) 회로 보호 시스템 및 방법
US8159362B2 (en) Method of detecting faults using graduated fault detection levels
US8111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miniature circuit breaker
KR100956712B1 (ko) 송전·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장치
US20160126682A1 (en) Safety socket
US11862945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standby generator
KR20190005954A (ko) 불꽃 회로 보호 시스템, 모듈 및 방법
WO2010083839A1 (en) Fire alarm
US20090201145A1 (en) Safety socket
US5424895A (en) Electrical wiring system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CN106443293A (zh) 一种直流接地故障在线检测及报警装置
KR102439421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배전설비 장애발생 감시 시스템 설치방법
CN109490771A (zh) 一种继电器检测方法以及继电器检测装置
KR10195995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감지장치
CN106774026B (zh) 一种智能线路控制器
KR101959951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고장정보 수집시스템
CN201707753U (zh) 一种剩余电流与温度的组合式电气火灾监控探测器
US6104352A (en) Remote testing and monitoring apparatus for use with antenna reflector deicing systems
US6172647B1 (en) Remote control for use with a deicing apparatus
KR101909972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 개폐장치구조체
CN206002627U (zh) 一种直流接地故障在线检测及报警装置
US20140126092A1 (en) Electrical surge suppressor
CN216486073U (zh) 智能物联控制器
KR100337184B1 (ko) 변압기의 원격 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