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725B1 -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725B1
KR101819725B1 KR1020170090501A KR20170090501A KR101819725B1 KR 101819725 B1 KR101819725 B1 KR 101819725B1 KR 1020170090501 A KR1020170090501 A KR 1020170090501A KR 20170090501 A KR20170090501 A KR 20170090501A KR 101819725 B1 KR101819725 B1 KR 10181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ire rope
hole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윤지섭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7009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일단부에 제1정착구를 갖는 제1와이어로프와, 상기 제1정착구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제2정착구를 갖는 제2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정착구와 대응하는 양단에 제1,2보조정착구를 각각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착구와 제1보조정착구사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1와이어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일부간의 중첩부위를 밀착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로프압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착구와 제2보조정착구사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2와이어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나머지간의 중첩부위를 밀착고정하는 제2로프압착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여 상기 제1정착구와 제2정착구사이가 벌어지도록 상기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을 상기 제1,2로프압착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흡수한다.

Description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Device for Absorbing the Impact of a Fallen Object}
본 발명은 낙하물에 기인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계곡에서 발생하여 하류 측으로 흘러내리거나 낙하되는 토석류, 낙석과 같은 포획 대상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완화시켜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의 여장길이에 대한 길이조절이 간편하며, 제조 및 관리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호울타리 또는 와이어네트(방호네트)와 같이 토석류, 낙석, 유목과 같은 낙하물을 방호하는 시설물은 계곡이나 도로변에 설치되어 암반 및 암벽 절개면에서 분리되어 낙하되는 낙석이나 토석류 등으로 인한 교통장애, 도로구조물의 손상, 재산 및 인명상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인공 구조물이다.
이러한 낙석방지 시설물의 기능은 낙석의 충격에 저항하여 낙석운동을 억제하고, 낙석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낙석이나 토석류가 도로나 주택지로 낙하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낙석의 낙하 진행방향을 전환시켜, 위험이 없는 곳으로 유도하는 기능이 기본적인 기능이다.
낙석방지 시설물 중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낙석방지하는 구조물로서, 그 형태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낙석의 우려가 있는 암반 및 암벽의 절개면을 덮어 낙석에 대처하는 것으로, 낙석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나 토석류가 도로쪽이 아닌 방지망의 하부로 유도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낙석방지용 와이어네트의 기본적인 형태는 복수의 와이어를 교차시켜 네트화한 상태에서 지반이나 암반에 고정된 지주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와이어가 네트화된 와이어네트를 결속시켜 지주와 와이어로프로 인해 견고히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강우나 풍화, 나무뿌리의 작용 등에 의해 불연속면의 이완이 심화되어 낙석발생 가능성이 있는 부위에서 암석의 포획효과에 의해 암석의 운동에너지를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낙석방지용 와이어네트는 낙석이나 토석류와 같은 낙하물이 발생하여 포획하게 되면,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와이어네트, 와이어로프 및 이들간의 상호 교차되는 지점에서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게 되며 이러한 집중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네트의 교차지점과 더불어 와이어로프와의 연결지점이 변형되는 한편, 계곡이나 사면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낙석,토석류와 같은 낙하물이나 고소에서 낙하되는 낙하물의 충격하중이 설계하중에 비하여 과다할 경우에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와이어로프가 단선되어 낙하물을 방지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네트가 전체적으로 헐거운 상태가 되어서 낙석의 우려가 있는 암반, 암벽의 절개면을 안정적으로 낙석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0659372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면이나 계곡을 따라 낙하되는 낙석, 토석류 또는 유목과 같은 낙하물이나 고소에서 낙하되는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와이어로프에 직간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순차적으로 완화시켜 로프의 단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충격에너지를 완화시키고자 하는 와이어로프의 여장길이에 대한 길이조절이 간편하며, 네트 방지시설물에서의 시공 및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시공 후 관리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일단부에 제1정착구를 갖는 제1와이어로프와, 상기 제1정착구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제2정착구를 갖는 제2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정착구와 대응하는 양단에 제1,2보조정착구를 각각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정착구와 제1보조정착구사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1와이어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일부간의 중첩부위를 밀착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로프압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착구와 제2보조정착구사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2와이어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나머지간의 중첩부위를 밀착고정하는 제2로프압착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여 상기 제1정착구와 제2정착구사이가 벌어지도록 상기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을 상기 제1,2로프압착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로프압착구는 상기 제1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의 일부가 적층배치되는 제1유볼트와, 상기 제1유볼트에 형성된 한쌍의 수나사부가 관통되는 한쌍의 관통공을 형성한 제1고정판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한쌍의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한쌍의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로프압착구는 상기 제2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의 나머지가 배치되는 제2유볼트와, 상기 제2유볼트에 형성된 한쌍의 수나사부가 관통되는 한쌍의 관통공을 형성한 제2고정판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노출되는 한쌍의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한쌍의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제1연결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1인출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제2연결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2인출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로프 지지체 ; 상기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접해지도록 구속시키는 구속부 ;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집중되어 사전에 설정되는 응력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도록 상기 제1인출공과 제2인출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 ; 및 상기 제1인출공으로부터 인출되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인출공으로부터 인출되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는 예비 흡수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과 접하는 제1로프고정구가 고정되는 제1고정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과 접하는 제2로프고정구가 고정되는 제2고정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로프 지지체 ;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접해지도록 구속시키는 구속부 ;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집중되어 사전에 설정되는 응력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도록 상기 구속부와 마주하는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 ; 및 상기 제1로프고정구와 접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로프고정구와 접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는 예비 흡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진입되는 제1구속공과, 이에 인접하여 와이어로프가 진출되는 제2구속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로프고정구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고정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삽입배치되는 로프배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비 절단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용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비 절단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비 절단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로 좁게 형성되는 협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프 지지체는 내부에 상기 로프 지지체의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하여 경유하게 되는 내부 제1인출공과 내부 제1연결공과 더불어 내부 제2인출공과 내부 제2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 제1인출공과 내부 제2인출공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예비 절단부를 형성하는 내부 로프 지지체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로프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대하여 90도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설치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비 흡수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1관통공을 일단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2관통공을 타단에 관통형성한 외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판의 길이중앙에는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1인출공과 제2인출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1로프고정구와 제2로프고정구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비 흡수부는 상기 예비 절단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보조로프와, 상기 보조로프의 일단에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의 일단을 중첩시켜 밀착 고정하는 제1밀착클램프 및 상기 보조로프의 타단에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중첩시켜 밀착 고정하는 제2밀착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는 제1,2와이어로프와의 사이를 제1,2로프압착구를 매개로 연결로프로서 연결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외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낙하물 충격에너지가 제1,2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제1,2로프압착구에 전달되어 제1,2와이어로프는 양측으로 슬립이동되고, 제1,2정착구와 제1,2로프압착구가 접해지기 때문에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2)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된 와이어 로프의 길이중간에 예비 절단부를 갖는 로프 지지체를 구비하고, 양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양단이 연결되는 예비 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외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낙하물 충격에너지가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예비 흡수부에 전달되어 1차로 예비 흡수부의 외부 예비 절단부가 절단된 다음, 2차로 로프 지지체에 전달되어 이에 형성된 예비 절단부가 절단되어 끊어지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를 1차 및 2차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고, 와이어 로프의 단선사고를 방지하며,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에 대한 설계 난이도를 줄일 수 있는 한편, 와이어 로프의 단선사고에 의한 2차 낙하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3)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길이중간에 예비 절단부를 갖는 로프 지지체를 구비하고, 양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양단이 연결되는 예비 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전에 설정된 외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낙하물 충격에너지가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예비 흡수부에 전달되어 1차로 예비 흡수부의 외부 예비 절단부가 절단된 다음, 2차로 로프 지지체에 전달되어 이에 형성된 예비 절단부가 절단되어 끊어지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를 1차 및 2차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고, 와이어 로프의 단선사고를 방지하며,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에 대한 설계 난이도를 줄일 수 있는 한편, 와이어 로프의 단선사고에 의한 2차 낙하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4) 낙하물 발생시 와이어네트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완화시키고자 하는 와이어 로프의 여장길이에 대한 길이조절이 간편하며, 현장에서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줄이고 시공성이 용이하고, 시공후 관리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와이어 로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예비 흡수부와 예비 절단부가 절단되기 전 상태이고,
(b)는 예비 절단부가 절단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다른 구속부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채용되는 예비 절단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내부 로프 지지체를 추가로 적용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와이어 로프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예비 흡수부와 예비 절단부가 절단되기 전 상태이고,
(b)는 예비 절단부가 절단된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다른 구속부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 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채용되는 예비 절단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a 와 도 13b 는 본 발명의 제2,3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에 채용되는 예비 흡수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a 와 도 1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 및 3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흡수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곡이나 암벽에서 발생하는 낙석, 토석류 또는 유목과 같은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N)와 연결되어 이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와이어로프(R)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인 외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R), 연결로프(R3) 및 제1,2로프압착구(50,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R)는 일단부에 제1정착구(10)를 일체로 구비하는 제1와이어로프(R1)와, 상기 제1정착구(10)와 마주하는 일단부에 제2정착구(20)를 일체로 구비하는 제2와이어로프(R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정착구(10,20)는 복수개의 와이어가 꼬아져 제조되는 와어어로프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각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금속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로프(R3)는 상기 제1,2와이어로프의 각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2정착구(10,20)와 대응하는 양단에 제1,2보조정착구(30,40)를 각각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로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로프(R3)는 상기 제1,2와이어로프와 동일한 소재 및 외경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소재 및 외경으로 구비되어 서로 분리된 제1,2와이어로프(R1,R2)사이가 연속되어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2로프압착구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로프압착구(50)는 상기 제1와이어로프의 제1정착구(10)와 상기 연결로프의 일단에 구비된 제1보조정착구(30)사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1와이어로프(R1)와 상기 연결로프(R3)의 일부간의 중첩부위에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되어 제1,2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연결되도록 이들을 서로 밀착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로프압착구(60)는 상기 제1로프압착구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와이어로프의 제2정착구(20)와 상기 연결로프의 타단에 구비된 제2보조정착구(40)사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2와이어로프(R2)와 상기 연결로프(R3)의 나머지간의 중첩부위에 적어도 하나이상 배치되어 제1,2와이로프와 연결로프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어 연결되도록 이들을 서로 밀착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로프압착구(50)는 상기 제1와이어로프(R1)와 연결로프(R1)의 일부가 상하 적층배치되도록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는 제1유볼트(51)를 구비하고, 상기 제1유볼트(51)의 자유단에 형성된 한쌍의 수나사부가 관통되는 한쌍의 관통공(53)을 형성한 제1고정판(52)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1고정판(52)의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노출되는 한쌍의 수나사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유볼트(51)에 적층되는 제1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의 일단를 서로 가압하여 밀착고정하는 제1체결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2로프압착구(60)는 상기 제1로프압착구(5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와이어로프(R2)와 연결로프(R1)의 나머지가 상하 적층배치되도록 대략 U자형으로 절곡되는 제2유볼트(61)를 구비하고, 상기 제2유볼트(61)의 자유단에 형성된 한쌍의 수나사부가 관통되는 한쌍의 관통공(63)을 형성한 제2고정판(62)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2고정판(62)의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노출되는 한쌍의 수나사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2유볼트(61)에 적층되는 제2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의 타단를 서로 가압하여 밀착고정하는 제2체결부재(64)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상기 제1,2로프압착구(50,60)는 상기 제1와이어로프의 일단과 상기 연결로프의 일단이 겹쳐지는 중첩부위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로프의 일단과 상기 연결로프의 타단이 겹쳐지는 중첩부위에 2개씩 한쌍으로 구비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낙하충격력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는 충격완화 설계조건에 따라 독립적으로 각각 구비되거나 3개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여 상기 제1정착구와 제2정착구사이가 벌어지도록 상기 제1와이어로프와 제2와이어로프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을 상기 제1,2로프압착구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하여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네트(N)에서의 낙하물 포획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제1,2와이로프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로프(R)에 전달되면,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에 의해서 제1,2와이어로프는 상기 연결로프를 중심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인 도면상 좌우양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상기 제1와이어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일부간의 중첩부위를 밀착고정하는 제1로프압착구(50)와, 상기 제2와이어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나머지간의 중첩부위를 밀착고정하는 제2로프압착구(60)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다.
상기 제1,2로프압착구에 집중되는 응력이 상기 제1,2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서 제1,2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간의 밀착고정력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면,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로프압착구와의 결합부위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제1,2와이어로프는 연결로프에 대하여 양측으로 미끌어져 슬립이동되어 상기 제1,2와이어로프의 각 일단부에 구비된 제1,2정착구가 내측에 위치하는 제1,2로프압착구의 제1,2유볼트에 접해지기 때문에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1차로 흡수하여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제1,2로프압착구에 집중되는 응력이 낙하물의 낙하충격력에 의하여 더욱 커지게 되면,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와이어로프는 연결로프에 대하여 양측으로 더욱 미끌어져 슬립이동되면서 상기 제1,2와이어로프의 각 일단부에 구비된 제1,2정착구와 접해져 있던 제1,2로프압착구가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 제1,2로프압착구의 제1,2유볼트에 접해지기 때문에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2차로 흡수하여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으로 당겨지는 제1,2와이어로프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2정착구는 제1,2로프정착구를 매개로 상기 연결로프의 양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1,2보조정착구와의 걸림에 의해서 상기 제1,2와이어로프와 연결로프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와이어네트를 지지하도록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흡수장치(100a)는 도 4 내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곡이나 암벽에서 발생하는 낙석, 토석류 또는 유목과 같은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N)와 연결되어 이를 팽팽하게 지지하는 와이어로프(R)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인 외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도록 로프 지지체(110), 구속부(120), 예비 절단부(130) 및 예비 흡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지지체(110)는 상기 와이어로프(R)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단관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1인출공(111)과 제1연결공(112)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R)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공(112)을 경유하여 제1인출공(111)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2인출공(114)과 제2연결공(113)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R)의 타단은 상기 제2연결공(113)을 경유하면서 상기 제2인출공(114)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과 반대방향으로 외부 인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인출공(111,114)을 통하여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외부인출되는 와이어로프(R)는 로프 지지체(110)의 링형 외부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1,2인출공과 와이어로프사이에는 상기 예비 흡수부의 절단 이후에 로프방향이 급격하게 방향 전환되어 와이어로프의 급격한 당김시 걸림이 발생되는 꺽임부위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2인출공 및 제1,2연결공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경크기와 대응하는 내경크기를 갖는 대략 원형공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될 정도의 내경을 갖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N)와 연결되어 이를 펼침상태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와이어로프(R)는 제1,2연결공(112,113)을 경유하여 이에 각각 인접하는 제1,2인출공(111,114)을 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공과 제1인출공사이 그리고 상기 제2연결공과 제2인출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의 내측에 와이어로프가 연결되어 구속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인출공(111)과 제1연결공(112)사이 그리고 상기 제2인출공(114)과 제2연결공(113)사이에서 상기 로프 지지체의 내측에 걸리도록 와이어로프가 위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네트(N)에서의 낙하물 포획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은 와이어로프(R)를 통하여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2인출공(111,114) 및 제1,2연결공(112,113)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공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공 형태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인출공(111,114) 및 제1,2연결공(112,113)이 각각 관통형성되는 로프 지지체(110)는 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로프 지지체(110)는 일정 폭을 갖는 링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인출공(111,114)을 통하여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는 와이어로프(R)와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은 대략 90도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바람직하게는 예각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네트에서의 낙하물 포획에 기인하는 외력발생시 상기 제1,2인출공(111,114)에 접하여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R)의 꺽임부위에서 걸림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양측방향으로 그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120)는 상기 제1연결공(112)과 제2연결공(1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을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R)가 접해져 위치되어 상기 로프 지지체(110)가 대략 링형상의 로프 지지체(110)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속부(120)는 상기 제1연결공(112)과 제2연결공(1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공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로프가 로프 지지체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통과하는 제1구속공(121)과, 이에 인접하여 와이어로프가 로프 지지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진출되는 제2구속공(1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구속공(121,122)은 상기 예비 절단부(13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인출공(111,114)과 제1,2연결공(112,113)에 의해서 상기 로프 지지체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는 상기 제1,2구속공에 의해서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접하여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외경크기에 따라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로프(R)의 여장길이를 길게 확보하거나 짧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낙하물 발생시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여 상기 와이어로프(R)에 외력이 전달되면서 예비 절단부(130)가 절단되어 끊어지게 되면, 상기 구속부에 의해서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을 따라 구속되면서 여장길이를 확보하고 있던 와이어로프(R)는 상기 로프 지지체와 더불어 양측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속부(120)는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제1,2구속공(121,122)으로 이루어지는 1세트를 좌우대칭구조로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세트 또는 3세트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120)는 와이어로프가 진입되어 경유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1,2구속공(121,122)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공(112)과 제2연결공(1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로프 배치홈(123)을 갖추어 상기 로프 배치홈(123)에 와이어로프(R)가 대응삽입되어 배치되면서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프 배치홈(123)은 상기 와이어로프(R)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깊이로 함몰형성되거나 상기 와이어로프(R)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깊이로 함몰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공(112)과 제2연결공(1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로프 배치홈에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단면 전체 또는 일부를 대응삽입하여 와이어로프가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구속부(120)는 상기 제1,2인출공과 제1,2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로프 지지체의 형성영역을 제외하는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속부(120)에서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는 제1구속공(121)과 제2구속공(122)간의 간격 또는 상기 로프 배치홈을 길게 하거나 짧게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R)가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접하여 구속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비 절단부(130)는 상기 제1인출공(111)과 제2인출공(114)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낙하물 발생시 상기 와이어네트(N)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집중되면서 사전에 설정되는 응력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거나 파단되어 끊어지게 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예비 절단부(130)는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절단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상기 예비 절단부(130)는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출공(111)과 제2인출공(114)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용 관통공(13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비 절단부(130)는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절단용 관통공(131)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폭중앙에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용 관통공(13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절단용 관통공으로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130)의 절단 임계값은 상기 절단용 관통공(131)의 형성갯수 및 간격을 변경하여 설치조건마다 예상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맞추어 사전에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관통형성되는 절단용 관통공의 내경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형성하여 설치조건마다 예상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맞추어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절단부(130)는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출공(111)과 제2인출공(114)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132)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노치(132)로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130)의 절단 임계값은 상기 노치의 형성갯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노치의 형성깊이를 변경하여 설치조건마다 예상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맞추어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비 절단부(130)는 도 7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출공(111)과 제2인출공(114)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로 좁게 형성되는 협폭부(1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협폭부(133)에는 상기 절단용 관통공(131)이 관통형성되거나 상기 노치(132)를 선택적으로 함몰형성하여 복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프 지지체에 협폭부(133)로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의 절단 임계값은 상기 협폭부의 형성갯수를 변경하거나 상기 협폭부의 폭크기를 변경하여 설치조건마다 예상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맞추어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와이어네트(N)에 사면으로부터 분리된 낙하물이나 고소에서 낙하되는 낙하물이 포획되면, 중량물인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 와이어로프(R)는 상기 예비 흡수부의 절단 이후에 양측으로 급격하게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로프 지지체에도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외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제1인출공(111)과 제2인출공(114)사이에 절단용 관통공(131), 노치(132), 협폭부(133)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130)에 응력이 집중된다.
그리고 상기 예비 절단부에 집중되는 응력이 사전에 설정된 외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예비 절단부(130)는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어 끊어지기 때문에 링형상의 로프 지지체(110)는 대략 판상으로 전환되어 대략 일자형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네트(N)와 연결된 와이어로프(R)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과도한 충격에너지에 의해 단선되면서 발생하는 2차 낙하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예비 흡수부(140)는 상기 제1인출공(111)으로부터 인출되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인출공(114)으로부터 인출되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속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비 흡수부(140)는 상기 제1인출공(111)으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1관통공(142a)을 일단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인출공(114)으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2관통공(142b)을 타단에 관통형성한 대략 사각판상의 외부판(141)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판(141)의 길이중앙에는 상기 예비 절단부(130)와 마찬가지로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절단되도록 설계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판(141)은 상기 로프 지지체(110)와 마찬가지로 수지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외부판과 로프 지지체를 서로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외부판의 소재는 상기 로프 지지체 보다 상대적으로 파단성이나 절단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공(142a)과 제2관통공(142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W1)은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이 상기 외부판(141)에 먼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인출공(111)과 제2인출공(114)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W2)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예비 절단부(130b)는 상기 예비 절단부(130)와 마찬가지로 외부판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용 관통공(131b)을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판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로 구비되거나 상기 외부판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로 좁게 형성되는 협폭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용 관통공, 노치 및 협폭부로 이루어지는 외부 예비 절단부(130b)는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면서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외부판을 1차로 절단하거나 파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낙하물 발생시 상기 와이어로프와 연결되는 외부판(141)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서 상기 외부판에 형성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130b)가 1차로 전달되어 절단된 다음,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구속되는 와이어로프에 외력이 전달되어 와이어로프가 양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130)가 2차로 절단되어 끊어지게 되면,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은 상기 외부판(141)의 외부 예비 절단부(130b), 로프 지지체(110)의 예비 절단부(130) 및 상기 내부 로프 지지체(110a)의 내부 예비 절단부(130a)가 순차적으로 절단되면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내부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로프(R)가 통과하여 경유하게 되는 내부 제1인출공(111a)과 내부 제1연결공(112a)과 더불어 내부 제2인출공(114a)과 내부 제2연결공(113a)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 제1인출공(111a)과 내부 제2인출공(114a)사이에 내부 예비 절단부(130a)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로프 지지체(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로프 지지체(110a)에 구비되는 내부 예비 절단부(130a)는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130)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이에 따라, 낙하물 발생시 상기 와이어로프와 연결되는 예비 흡수부(140)의 외부판(141)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서 상기 외부판에 형성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130b)가 1차로 전달되어 절단되고,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130)가 2차로 절단된 다음, 연속하여 상기 내부 로프 지지체(110a)의 내부 예비 절단부(130a)가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어 끊어지게 되면,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은 상기 외부판(141)의 외부 예비 절단부(130b), 로프 지지체(110)의 예비 절단부(130)와 상기 내부 로프 지지체(110a)의 내부 예비 절단부(130a)가 순차적으로 절단되면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낙하물 충격흡수장치(200)는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로프 지지체(210), 구속부(220), 예비 절단부(230) 및 예비 흡수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지지체(210)의 외부면에는 상기 와이어로프(R)의 일단과 접하는 제1로프고정구(212)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공(211)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로프(R)의 타단과 접하는 제2로프고정구(214)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공(213)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한다.
상기 제1,2고정공(211,213)은 한쌍의 수나사부를 갖는 제1,2로프고정구가 각각 대응삽입되도록 한쌍의 원형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고정공(211,213)을 통하여 로프 지지체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1,2로프고정구의 각 수나사부에는 너트부재와 같은 체결부재(212a,214a)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2로프고정구(212,214)는 U자형을 절곡된 유볼트 형태의 고정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와이어로프와 접하도록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구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로프고정구(212,214)에 접하여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R)는 로프 지지체(110)의 링형 외부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1,2로프고정구와 와이어로프사이에는 상기 예비 흡수부(140)의 절단 이후에 로프방향이 급격하게 전환되어 와이어로프의 급격한 당김시 걸림이 발생되는 꺽임부위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N)와 연결되어 이를 펼침상태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와이어로프(R)는 로프 지지체에 형성된 제1,2고정공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제1,2로프고정구와 접하여 걸림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로프 지지체(210)의 외부에 조립되는 제1,2로프고정구의 내측에 와이어로프가 접하여 걸림연결됨으로써 상기 와이어네트(N)에서의 낙하물 포획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은 와이어로프(R)를 통하여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2로프고정구(212,214)에 접하여 양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는 와이어로프(R)와 상기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은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90도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바람직하게는 예각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네트에서의 낙하물 포획에 기인하는 외력발생시 상기 제1,2로프고정구(212,214)에 접하여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R)의 꺽임부위에서 걸림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양측방향으로 그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속부(220)는 상기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210)의 외부면을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R)가 접해져 위치되어 상기 로프 지지체(210)가 로프 지지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속부(220)는 상기 예비 구속부와 마주하여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110)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로프고정구(222)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고정공(22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고정공(221)은 제1,2고정공과 마찬가지로 한쌍의 수나사부를 갖는 제3로프고정구(222)가 각각 대응삽입되도록 한쌍의 원형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고정공(221)을 통하여 로프 지지체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제3로프고정구의 각 수나사부에는 너트부재와 같은 체결부재(222a)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로프고정구(212,214)와 접하여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는 상기 제3로프고정구(222)에 의해서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접하여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속부(220)는 로프 지지체(210)에 관통형성된 제3고정공(221)에 대응결합되는 제3로프고정구(222)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210)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는 로프 배치홈(223)을 갖추어 상기 로프 배치홈(223)에 와이어로프(R)가 대응삽입되어 배치되면서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비 절단부(23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속부와 대응하는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210)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낙하물 발생시 상기 예비 흡수부(240)가 먼저 선행 절단된 다음, 상기 와이어네트(N)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로프 지지체에 구속된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집중되면서 사전에 설정되는 응력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2차로 후행 절단되거나 파단되어 끊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예비 절단부(230)는 낙하물 발생시 상기 예비 흡수부가 절단된 다음, 사전에 설정된 응력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연속하여 절단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예비 절단부(130)는 도 1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210)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용 관통공(231)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비 절단부(230)는 도 1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210)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2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절단부(230)는 도 12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2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로 좁게 형성되는 협폭부(233)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와이어네트(N)에 사면으로부터 분리된 낙하물이나 고소에서 낙하되는 낙하물이 포획되면, 중량물인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예비 흡수부가 1차로 절단된 다음,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속된 와이어로프(R)가 양측으로 급격하게 당겨지게 되면, 상기 로프 지지체에도 와이어로프를 통하여 외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절단용 관통공(231), 노치(232), 협폭부(233)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230)에 응력이 집중된다.
그리고 상기 예비 절단부에 집중되는 응력이 사전에 설정된 외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예비 절단부(230)는 외력에 의해서 2차로 절단되어 끊어지기 때문에 링형상의 로프 지지체(210)는 대략 판상으로 전환되어 대략 일자형으로 펼쳐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네트(N)와 이에 연결된 와이어로프(R)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로프가 과도한 충격에너지에 의해 단선되면서 발생하는 2차 낙하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예비 흡수부(240)는 상기 제1로프고정구(212)와 접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로프고정구(214)와 접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로프 지지체(210)에 구속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비 흡수부(24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로프고정구(212)와 접하는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1관통공(242a)을 일단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2로프고정구(214)와 접하는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2관통공(242b)을 타단에 관통형성한 대략 사각판상의 외부판(241)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판(241)의 길이중앙에는 상기 예비 절단부(230)와 마찬가지로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절단되도록 설계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공(242a)과 제2관통공(242b)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W1)은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이 상기 외부판(241)에 먼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로프고정구(212)와 제2로프고정구(21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W2)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비되거나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예비 절단부(230b)는 상기 예비 절단부(130,230)와 마찬가지로 외부판의 길이중앙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용 관통공(231b)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판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로 구비되거나 상기 외부판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로 좁게 형성되는 협폭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용 관통공, 노치 및 협폭부로 이루어지는 외부 예비 절단부(230b)는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면서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구속되는 로프 지지체에 형성된 예비 절단부가 절단되기 이전에 상기 외부판이 1차로 절단되거나 파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낙하물 발생시 상기 와이어로프와 연결되는 외부판(241)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서 상기 외부판에 형성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230b)가 1차로 절단된 다음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구속되는 와이어로프에 외력이 전달되어 양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130)가 2차로 절단되어 끊어지게 되면,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외력은 상기 외부판(241)의 외부 예비 절단부(230b)와 로프 지지체(110)의 예비 절단부(130)가 순차적으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예비 흡수부(140)는 사각판상의 외부판으로 구비되어 낙하물의 그물 포획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 외부 예비 절단부가 절단되면서 그물네트에 전달되는 외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3a 와 도 1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에 인접하는 일정길이의 보조로프(144)와 이에 와이어로프를 구속시키는 제1,2밀착클램프(145a,145b)로 부터 좌우양측으로 와이어로프가 분리되는 것에 의해서 외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예비흡수부(140)는 상기 예비 절단부(130)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보조로프(14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도록 상기 보조로프(144)의 일단에 와이어로프의 일단을 중첩하여 밀착고정하는 제1밀착클램프(145a)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도록 상기 보조로프(144)의 타단에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중첩하여 밀착고정하는 제2밀착클램프(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밀착클램프(145a,145b)는 대략 U자형으로 굴곡되어 양단부에 체결부재가 각각 체결되도록 수나사부를 형성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 및 타단과 상기 보조로프의 일단과 타단을 서로 밀착고정하도록 상기 제1,2밀착클램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2밀착판(146a,146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낙하물 발생시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 및 타단과 상기 보조로프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1,2밀착클램프에 의해서 밀착고정되는 연결부위에 집중되는 응력인 수평방향의 당김력인 외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외력이 상기 보조로프의 양단과 와이어로프간의 밀착고정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제1,2밀착클램프와 제1,2밀착판사이에 물려져 고정되어 있던 보조로프의 양단은 와이어로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제1,2밀착클램프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제1,2밀착판을 상기 너트부재의 체결에 의해서 밀착클램프측으로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제1,2밀착클램프와 제1,2밀착판사이에 중첩되도록 개재되는 와이어로프와 보조로프간의 밀착력이 높아지거나 낮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낙하물에 기인하는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변경시켜 설치환경 및 조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보조로프의 양단과 분리된 와이어로프는 상기 로프 지지체(110)에 구속된 상태에서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전달되어 양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130)가 절단되어 끊어지게 되면서 낙하물의 포획시 발생하는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완화시켜 와이어로프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2밀착클램프는 상기 보조로프의 양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조로프의 양단에 각각 2개 이상씩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밀착판은 상기 보조로프의 길이와 대응하는 하나의 판재인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낙하물 충격흡수장치(100,100a,200)는 도 14a 와 도 1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앵커지주(20)와 일정높이를 갖는 수직지주(10)에 연결되는 일련의 와이어로프(R) 및 서로 분리된 와이어로프(R1,R2)를 보조로프로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와 수직지주에 펼쳐지지도록 지지되는 와이어네트(N)를 갖추어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상기 와이어네트(N)에 포획하는 낙하물 방지설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낙하물 충격흡수장치(100,100a,200)는 상기 와이어네트(N)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설치되거나 상기 앵커지주와 수직지주사이에 걸쳐지는 와이어로프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R)는 낙하물 발생시 낙하물을 포획하도록 그물상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네트(N)의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지주(10)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부는 지반에 앵커고정되는 앵커지주(20)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네트(N)의 상,하단은 상기 와이어로프(R)에 유클립과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어 낙하물 포획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서 낙하방향으로 볼록하도록 신축 변형되면서 와이어로프를 따라 미끄러지게 되고, 낙하물 포획시 상기 유클립을 매개로 상기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외력에 기인하는 장력이 인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네트의 양측단은 상기 수직지주에 직,간접적으로 미도시된 유클립을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물 충격흡수장치(100,100a,200)는 낙하물 발생이 빈번한 사면이나 고층건물의 건설현장에서 와어네트를 지지하는 와이어로프의 길이중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간편하게 설치됨으로써 낙하물 방지 안전시설물로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R)는 구속부(120,220)에 의해서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낙하물 발생시 사면을 따라 굴러 내려오거나 고소에서 자중방향으로 떨어지는 낙하물이 와이어네트(N)에 포획되면, 상기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의해서 와이어네트는 탄성변형되고, 와이어네트와 연결된 와이어로프에 외력이 전달된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에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여 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예비 흡수부의 외부판의 양단과 연결된 와이어로프가 길이방향인 양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외부판의 길이중앙에 형성된 절단용 관통공, 노치, 협폭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에 응력이 집중되고, 집중되는 응력이 사전에 설정된 외력이상이 되면, 상기 외부 예비 절단부는 절단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예비 흡수부의 절단이후에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장력이 와이어로프에 인가되면 와이어로프(R)가 길이방향인 양측으로 다시 한번 당겨지게 되면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외부로 인출되는 제1인출공(111)과 제2인출공(114)사이 또는 제1고정공(211)과 제2고정공(213)사이에 절단용 관통공(131,231), 노치(132,232), 협폭부(133,233)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130,230)에 응력이 집중된다.
이때,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비되는 예비 절단부에 집중되는 응력이 사전에 설정된 외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예비 절단부(130,230)는 집중응력에 의해서 절단되어 끊어지면서 링형상의 로프 지지체(110,210)는 대략 직선형의 판상으로 전환되어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로프 지지체(110,210)의 외부면을 따라 여장길이를 확보하고 있던 와이어로프(R)는 와이어네트(N)에 전달되는 외력에 기인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과도한 충격에너지에 의해서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와이어로프의 단선에 기인하여 와이어네트에 포획된 낙하물이 낙하되는 2차 낙하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낙하물 충격흡수장치는 암반으로부터 낙석에 기인하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사면에 설치되어 낙석과 같은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층빌딩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 등과 같은 높은 곳에서의 작업시 발생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고, 낙하물에 기인하는 2차 사고를 예방하도록 설치되는 안전그물망이나 추락방지망과 연결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와이어로프나 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20 : 제1,2정착구
30,40 : 제1,2보조정착구
50.60 : 제1,2로프압착구
110,210 : 로프 지지체
111 : 제1인출공
112 : 제1연결공
113 : 제2연결공
114 : 제2인출공
212 : 제1로프고정구
214 : 제2로프고정구
120,220 : 구속부
121 : 제1구속공
122 : 제2구속공
123 : 로프 배치홈
222 : 제3로프고정구
130,230 : 예비 절단부
131,231 : 절단용 관통공
132,232 : 노치
133,233 : 협폭부
140,240 : 예비흡수부
141,241 : 외부판
142a,242a : 제1관통공
142b,242b : 제2관통공
144 : 보조로프
145a,145b : 제1,2밀착클램프
146a,146b : 제1,2밀착판
R : 와이어로프
R1,R2 : 제1,2 와이어로프
R3 : 연결로프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제1연결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1인출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제2연결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제2인출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로프 지지체 ;
    상기 제1연결공과 제2연결공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접해지도록 구속시키는 구속부 ;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집중되어 사전에 설정되는 응력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도록 상기 제1인출공과 제2인출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 ; 및
    상기 제1인출공으로부터 인출되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인출공으로부터 인출되어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는 예비 흡수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4. 낙하물을 포획하는 와이어네트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과 접하는 제1로프고정구가 고정되는 제1고정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과 접하는 제2로프고정구가 고정되는 제2고정공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여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길이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로프 지지체 ;
    상기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상기 와이어로프가 접해지도록 구속시키는 구속부 ;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이 집중되어 사전에 설정되는 응력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도록 상기 구속부와 마주하는 제1고정공과 제2고정공사이에 해당하는 로프 지지체에 형성되는 예비 절단부 ; 및
    상기 제1로프고정구와 접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 상기 제2로프고정구와 접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네트에 포획되는 낙하물의 충격에너지에 기인하는 외력을 흡수하는 예비 흡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어 와이어로프가 진입되는 제1구속공과, 이에 인접하여 와이어로프가 진출되는 제2구속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로프고정구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고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가 삽입배치되는 로프배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단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용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단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에 폭방향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절단부는 상기 로프 지지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로 좁게 형성되는 협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지지체는 내부에 상기 로프 지지체의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로프가 통과하여 경유하게 되는 내부 제1인출공과 내부 제1연결공과 더불어 내부 제2인출공과 내부 제2연결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 제1인출공과 내부 제2인출공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내부 예비 절단부를 형성하는 내부 로프 지지체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1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흡수부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1관통공을 일단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와이어로프의 타단이 통과하여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제2관통공을 타단에 관통형성한 외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판의 길이중앙에는 낙하물 발생시 사전에 설정된 응력 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절단되는 외부 예비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1인출공과 제2인출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로프 지지체에 구비되는 제1로프고정구와 제2로프고정구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과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거나 상대적으로 좁은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1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흡수부는 상기 예비 절단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일정길이의 보조로프와, 상기 보조로프의 일단에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의 일단을 중첩시켜 밀착 고정하는 제1밀착클램프 및 상기 보조로프의 타단에 외측으로 방향전환되는 와이어로프의 타단을 중첩시켜 밀착 고정하는 제2밀착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KR1020170090501A 2017-07-17 2017-07-17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KR10181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01A KR101819725B1 (ko) 2017-07-17 2017-07-17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01A KR101819725B1 (ko) 2017-07-17 2017-07-17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9725B1 true KR101819725B1 (ko) 2018-01-17

Family

ID=6102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01A KR101819725B1 (ko) 2017-07-17 2017-07-17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693B1 (ko) * 2018-01-31 2018-11-02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단 분리형 토석류 방호 완충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9736A (ja) 2011-12-07 2013-06-17 Sadao Amishima 車両用防護柵
KR101672788B1 (ko) * 2016-05-19 2016-11-04 주식회사 성화휀스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9736A (ja) 2011-12-07 2013-06-17 Sadao Amishima 車両用防護柵
KR101672788B1 (ko) * 2016-05-19 2016-11-04 주식회사 성화휀스 안전성이 향상된 이중연결구조의 낙석방지펜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693B1 (ko) * 2018-01-31 2018-11-02 서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단 분리형 토석류 방호 완충 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1579B2 (en) Safety ban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ontrol
JP4188998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5978022B2 (ja) 落石防護柵
KR101905473B1 (ko)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KR101712651B1 (ko) 와이어 로프의 지그재그식 설치를 이용한 낙석 방지책 시공 방법
KR100976269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1819725B1 (ko)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9399B1 (ko) 낙석 방지망
JP2004332278A (ja) 雪崩・落石防護装置
KR101054116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조립구
JP2015081413A (ja) 防護柵
JP2002322615A (ja) 防護柵
KR102149111B1 (ko)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1688B1 (ko) 사면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시공 방법
KR102585122B1 (ko) 낙석완충장치를 구비한 낙석방지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60369B1 (ko)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JP7034464B2 (ja) 落石防護柵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KR20150031259A (ko) 파이프형 에너지 소산 장치가 부설된 낙석방지 울타리
JP2002322616A (ja) 防護ネット及び防護柵
US9885174B2 (en) Sound abatement system and method
KR100836630B1 (ko)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KR101475733B1 (ko) 에너지 소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