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547B1 -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547B1
KR101691547B1 KR1020140124330A KR20140124330A KR101691547B1 KR 101691547 B1 KR101691547 B1 KR 101691547B1 KR 1020140124330 A KR1020140124330 A KR 1020140124330A KR 20140124330 A KR20140124330 A KR 20140124330A KR 101691547 B1 KR101691547 B1 KR 10169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rope
fixing
turnbuckle
c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442A (ko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아이텍
Priority to KR102014012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5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서 낙석의 발생, 유실 및 암반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를 인장 또는 압축하는 턴버클과,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을 향하면서 교차되어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 내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교차되는 교차지점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취된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커서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강화되며, 암편 분리 및 낙석 발생의 방지 효과가 증대되고,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튀지 않고 밑으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교통장애, 도로구조물의 손상, 도로 이용자들의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어로프의 연결과 와이어넷의 조립 및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이 간편하고,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볼트 연결방식이 아닌 압착 연결방식으로 고정하여 와이어로프를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WIRENET ASSEMBLY FOR BEING ADHERED ON ROC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부착되어 낙석의 발생, 유실 및 암반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 지대가 포함된 도로를 건설할 때에 절취 등으로 인하여 인공적으로 절개면 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서는 암반내 불연속면의 이완 현상에 의하여 암편이 모암으로부터 분리되어 낙석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석이 대규모로 무너져 내리는 암반 붕괴가 우려되므로 낙석방지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낙석방지시설의 구축에는 그 기능에 따라 보강공법과 보호공법으로 구분되고, 보강공법에는 절취공법, 면정리, 앵커, 록벌트, 콘크리트 버팀벽, 본크리트 블록공법, 숏크리트, 배수 공법 등이 있고, 보호공법에는 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낙석방지옹벽, 피암터널, 식생공법 등이 있다.
낙석방지망의 일례로서 절취 사면 또는 경사면에 보호그물을 덮고 그 위에 종방향 및 횡방향의 와이어로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되, 이들의 교차지점을 고정구로 고정하거나 앵커볼트 등으로 지반에 정착시키는 와이어로프 안전망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로써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서의 낙석 발생을 억제하고,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튀지 않도록 낙석방지망 밑으로 유도함으로써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 안전망은 크게 포켓식과 커튼식으로 구분되고, 포켓식 안전망은 PVC 코팅망을 암반 벽면에 밀착시킨 후 수 미터 간격으로 와이어로프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교차시킨 후 각 교차지점을 선택하여 결착클립으로 고정시키고 일정한 위치마다 와이어로프의 저항력 확대를 위하여 앵커볼트를 암반에 고정하여 PVC 코팅망 및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것이고, 커튼식 안전망은 중간에 앵커볼트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과 좌우 측면에만 앵커볼트를 보강하는 것으로 주로 암반의 균열이 심하고 풍화의 진행이 빠른 연암이나 풍화암으로 구성된 절개면에서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절취사면에 격자형으로 천공된 다수 개의 구멍에 각각 삽입된 심재와 상기 심재를 지중에 정착하기 위하여 구멍의 선단에 주입된 그라우팅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 중앙에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판상의 지압판; 상기 지압판 위로 설치되며 상기 지압판보다 크기가 작은 평판과 상기 평판의 하부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평판의 중앙에는 상기 보강재의 심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벽에는 90도 간격으로 다수 개의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 정착구; 상기 보강재의 심재를 상기 정착구 위에 정착, 고정하는 라이너 스크류와 너트; 및 상기 정착구의 가이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격자형으로 설치된 다수 개의 정착구를 서로 결속하는 연결 와이어;로 구성된 연결 와이어를 이용한 사면보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교차 방향으로 결합되는 로프부재 및 상기 로프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 네트를 포함하며 고정수단에 의해 경사지에 고정되는 네트 조립체에 의해 경사지를 덮는 낙석방지 구조물로서, 상기 고정수단은 경사지의 표면층을 안정화시키도록 경사지 내측으로 삽입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앵커이며, 상기 앵커 및 네트 조립체는 경사지에 있는 확인된 암석 덩어리의 이동을 억제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 낙석방지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와이어로프 안전망은, 발파 등으로 인하여 절취되어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크고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안전망이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지 못하여,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약화되고, 낙석 발생의 억제력이 떨어지며, 암석 덩어리가 쉽게 분리되어 각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와이어로프 안전망은 종방향 및 횡방향의 와이어로프의 연결 및 설치가 복잡하고,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하였기 때문에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86663호(2001.09.1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967호(2010.12.3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절취된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커서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강화되며, 암편 분리 및 낙석 발생의 방지 효과가 증대되고,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튀지 않고 밑으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교통장애, 도로구조물의 손상, 도로 이용자들의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연결과 와이어넷의 조립 및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이 간편하고,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볼트 연결방식이 아닌 압착 연결방식으로 고정하여 와이어로프를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연결하여 와이어넷을 인장 또는 압축하는 턴버클과,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을 향하면서 교차되어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 내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교차되는 교차지점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와이어넷들은 외부 와이어로프끼리 와이어클립에 의해 연결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턴버클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삽입홈의 내외로 출입하도록 직선 이동하는 한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의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턴버클 몸체 및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연결홀이 구비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를 상기 턴버클 몸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넷들에 구비된 조절클립끼리 연결홀을 통해 연결부재로 연결시킨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와이어넷들의 교차지점에 형성된 천공에 지주부재가 매립 고정되고, 상기 지주부재의 상단에는 상·하부 연결판이 서로 이격된 채 결합부재로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연결판 사이에는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을 감싸며 결속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가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직접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가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지지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은 각각, 양측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한쌍의 와이어홀을 구비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양측 선단이 상기 고정홀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판에 압착 결합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연결하는 턴버클과,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내부에서 교차되어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 내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교차되는 교차지점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을 서로 연결한 후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천공을 형성하고, 천공에 지주부재를 매립 고정하는 지주부재 고정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형성 단계;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의 교차지점에 있는 상기 와이어넷들을 상기 지주부재에 결속시켜 설치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 및 절개면 또는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상기 턴버클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넷을 인장 또는 압축시키도록 조절하는 턴버클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연결하는 턴버클과,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내부에서 교차되어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 내부 와이어로프와,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교차되는 교차지점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을 서로 연결한 후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형성 단계;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천공을 형성하고, 천공에 지주부재를 매립 고정하는 지주부재 고정 단계;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의 교차지점에 있는 상기 와이어넷들을 상기 지주부재에 결속시켜 설치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 및 절개면 또는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상기 턴버클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넷을 인장 또는 압축시키도록 조절하는 턴버클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턴버클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삽입홈의 내외로 출입하도록 직선 이동하는 한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의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턴버클 몸체 및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연결홀이 구비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를 상기 턴버클 몸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형성 단계는 상기 와이어넷들에 구비된 조절클립끼리 연결홀을 통해 연결부재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는,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를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직접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는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를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지지와이어를 통해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단에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하부 연결판이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상·하부 연결판의 사이에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을 감싸며 결속되도록 설치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취된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커서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강화되며, 암편 분리 및 낙석 발생의 방지 효과가 증대되고,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튀지 않고 밑으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교통장애, 도로구조물의 손상, 도로 이용자들의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연결과 와이어넷의 조립 및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이 간편하고,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볼트 연결방식이 아닌 압착 연결방식으로 고정하여 와이어로프를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의 연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a의 실시예에서 교차지점의 와이어넷이 지주부재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b의 실시예에서 교차지점의 와이어넷이 지주부재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a의 실시예에서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가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직접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b의 실시예에서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가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지지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가 경사면에 설치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가 돌출 암반을 갖는 경사면에 설치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1)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1)는 도로의 절개면 또는 경사면(S)에서 낙석의 발생, 유실 및 암반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와이어넷(10)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와이어넷(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넷(10)은 외부 와이어로프(100), 턴버클(200), 외부클립(300), 내부 와이어로프(400) 및 고정클립(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각각 연결고리(110)가 형성되어 상기 턴버클(200)의 이동부재(21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는 후술할 내부 와이어로프(400)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예컨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는 16mm의 직경을 갖고,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는 10mm의 직경을 갖는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턴버클(200)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개방된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를 인장 또는 압축시켜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와이어넷(10)을 인장 또는 압축시킬 수 있다.
상기 턴버클(200)은 한쌍의 이동부재(210)와, 턴버클 몸체(220)와, 조절클립(230)을 구비한다.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210)는 상기 와이어로프(100) 양단의 연결고리(110)에 각각 연결되고, 봉이나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211a)이 형성된 나사부(211)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하여 직선 이동하여 상기 턴버클 몸체(220)의 삽입홈(221)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되고, 타측엔 상기 연결고리(110)에 연결되는 고리부(212)가 구비된다.
상기 턴버클 몸체(220)는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2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의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221a)이 구비된 삽입홈(221)이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221)에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210)의 나사부(211)를 삽입시킨다.
상기 조절클립(230)은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210)에 각각 연결되고,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210)를 상기 턴버클 몸체(220)에 대하여 직선 이동시켜 상기 삽입홈(221)의 내외로 출입시킴으로써, 도 13과 같이 상기 와이어넷(10)를 인장 또는 압축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절취된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커서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턴버클(200)을 이용하여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강화되고, 암편 분리 및 낙석 발생의 방지 효과가 증대되며,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튀지 않고 밑으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클립(230)은 상기 이동부재(210)가 관통 연결되는 나사홀(231)이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231))의 상측에는 다른 조절클립(230)과의 선택적 연결을 위한 복수 개의 연결홀(232)이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외부클립(300)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를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30)들은 각각,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외측홀(310)과,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내측홀(320)과, 상기 외측홀(310)과 내측홀(320)을 연통시키는 연통홀(330)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내부 와이어로프(400)에 비하여 직경이 크기 때문에 외측홀(310)이 내측홀(320)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는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300)들을 관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을 향하면서 서로 교차되어 다수의 교차지점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클립(500)은 복수 개로서 상기 교차지점마다 설치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클립(500)들은 각각, 고정판(510)과, 고정구(520)와, 결합편(530)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판((510)은 일례로 대략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측에 고정홀(511)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구(520)는 상기 고정판(5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양측 선단이 상기 고정홀(511)을 관통하여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내측에는 한쌍의 와이어홀(521)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가 관통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530)은 상기 고정구(520)의 양측 선단이 상기 고정홀(511)을 관통한 후 프레스 등에 의하여 압착되어 상기 고정판(510)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클립(500)를 볼트 연결방식이 아닌 프레스 압착 연결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와이어넷(1)을 절개면이나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들을 갖는 와이어넷(10)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 5a와 같이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소정의 간격마다 복수 개의 외부클립(300)들을 관통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구비되도록 준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에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설치하기 전에 내부 와이어로프(40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부 와이어로프(100)를 복수 개의 외부클립(300)들의 외측홀(310)에 관통 연결하면서 사각링 형상을 이루도록 준비하고, 이때 복수 개의 외부클립(300)은 등간격을 이루면서 외부 와이어로프의 4면에 고루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개방된 양단을 연결하여 와이어넷(10)를 인장 또는 압축하는 턴버클(200)을 연결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외부클립(300)이 턴버클(200)의 이동부재(210)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연결 설치한 이후에 턴버클(200)을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복수 개의 외부클립(300)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외부클립(300)을 시작점과 종료점으로 선택하여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나머지 외부클립(300)들의 내측홀(320)에 관통 연결하면서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에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연결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암부착 와이어넷(1)을 간략하게 표현한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1개의 내부 와이어로프(400)에 대하여 A 외부클립을 시작점으로 하여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C 외부클립과 D 외부클립 및 E 외부클립을 관통하도록 순차적으로 고정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에 대하여 다시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B 외부클립을 관통하여 고정 연결한 후, 그 하측의 G 외부클립과 H 외부 클립 및 F 외부클립을 관통하도록 순차적으로 고정 연결한다.
다음에,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가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시작점인 A 외부클립과 연결됨으로써 내부 와이어로프(400)의 연결 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에 1개의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연결 설치하게 되면,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에는 내부 와이어로프(400)가 다수의 행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그런 후에, 도 5c와 같이 내부 와이어로프(400)가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인접하여 상·하측에 배치된 내부 와이어로프(400)의 행끼리 서로 교차시켜 다수의 교차지점들을 형성하고, 상기 교차지점마다 고정클립(500)을 설치하여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즉, 고정클립(500)의 고정구(520)에 형성된 한쌍의 와이어홀(521)에, 교차되는 각각의 내부 와이어로프(400)의 행이 관통되도록 연결하고, 고정구(520)의 양측 선단이 고정판(510)의 고정홀(511)을 관통하도록 한 후 프레스 등에 의하여 압착시켜 결합편(530)이 고정판(510)에 결합되도록 하며, 이로써 내부 와이어로프(40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의 연결 방법은 종래기술의 연결 방법에 비하여 연결 빛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며, 1개의 내부 와이어로프(400)로 연결할 수 있으며,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압착 연결방식으로 고정하여 와이어로프를 서로 결속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절개면 또는 경사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낙석 발생의 방지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1)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100)와,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양단을 연결하여 와이어넷(10)을 인장 또는 압축하는 턴버클(200)과,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클립(300)들과,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300)들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을 향하면서 교차되어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 내부 와이어로프(400)와,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400)가 교차되는 교차지점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클립(500)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넷(10)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도 7을 참고하면 복수 개의 와이어넷(10)들은 서로 인접한 외부 와이어로프(100)끼리 연결되되, 이러한 외부 와이어로프(100)들은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60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클립(60)은 서로 인접한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볼트 등을 통하여 가압되어 결속된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절개면 또는 경사면(S) 상의 상기 와이어넷(10)들의 교차지점에 형성된 천공에 록볼트 등의 지주부재(700)가 매립 고정되되, 표면에 PVC 코팅망(P)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재(700)의 상단에는 상·하부 연결판(711,712)이 공간을 두고 서로 이격된 채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720)로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연결판(711,712)의 사이에는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상기 결합부재(720)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선 및 결속된다. 더불어, 상기 상부 연결판(711) 상부의 지주부재(700)의 상단에는 고정너트(730)가 결합되어 결속 작업이 마무리되고, 그 상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740)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를 참고하면, 절개면 또는 경사면(S) 상의 상기 와이어넷(10)들의 교차지점에 형성된 천공에 록볼트 등의 지주부재(700)가 매립 고정되되, 표면에 PVC 코팅망(P)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부재(700)의 상단에는 연결판(710)이 절개면 또는 경사면(S)과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이격된 채 결합되며, 그 공간에는 복수 개의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상기 지주부재(700)의 외주면을 위 아래로 감싸도록 배선 및 결속된다. 더불어, 상기 연결판(710)의 상부의 지주부재(700)의 상단에는 고정너트(730)가 결합되어 결속 작업이 마무리되고, 그 상측에는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74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와이어넷(10)에 구비된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지반(E)에 고정 설치된 앵커(800)에 직접 연결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절개면 또는 경사면(S)의 상측 또는 양측의 지반(E)에 복수 개의 천공을 형성하고, 천공에 앵커(80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앵커(800)는 상단에 고리(810)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810)에는 틈새(811)가 형성되어 와이어넷(10)의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틈새(811)를 통해 상기 앵커(800)의 고리(810)에 연결됨으로써, 와이어넷 조립체(1)가 지반(E)에 고정 및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와이어넷(10)에 구비된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지반(E)에 고정 설치된 앵커(800)에 지지와이어(820)를 통해 연결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절개면 또는 경사면(S)의 상측 또는 양측의 지반(E)에 복수 개의 천공을 형성하고, 천공에 앵커(80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앵커(800)는 상단에 고리(810)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와 앵커(800)의 고리(810)는 지지와이어(820)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와이어넷 조립체(1)가 지반(E)에 고정 및 지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 방법은 먼저 절개면 또는 경사면(S)에 천공을 형성하며, 천공에 락볼트 등의 지주부재(700)를 매립하고 그라우팅하여 고정하는 지주부재 고정 단계(S1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외부 와이어로프(100), 턴버클(200), 외부클립(300), 내부 와이어로프(400) 및 고정클립(500)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복수 개의 와이어넷(10)들을 서로 연결하여 와이어넷 조립체(1)를 형성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형성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때, 복수 개의 와이어넷(10)들은 서로 인접한 외부 와이어로프(100)끼리 연결되되, 이러한 외부 와이어로프(100)들은 복수 개의 와이어클립(60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형성 단계(S20)는 상기 와이어넷(10)들에 구비된 조절클립(230)끼리 연결홀(232)을 통해 연결부재(240)로 연결시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1)의 교차지점에 있는 상기 와이어넷(10)들을 상기 지주부재(700)에 결속시켜 설치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S30)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S30)는 절개면 또는 경사면(S) 상의 상기 와이어넷(10)들의 교차지점에 형성된 천공에 록볼트 등의 지주부재(700)가 매립 고정되고, 표면에 PVC 코팅망(P)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부재(700)의 상단에는 상·하부 연결판(711,712)이 공간을 두고 서로 이격된 채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720)로 결합되어 상기 상·하부 연결판(711,712)의 사이에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상기 결합부재(720)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선 및 결속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9를 참고하면, 절개면 또는 경사면(S) 상의 상기 와이어넷(10)들의 교차지점에 형성된 천공에 록볼트 등의 지주부재(700)가 매립 고정되고, 표면에 PVC 코팅망(P)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부재(700)의 상단에는 연결판(710)이 공간을 두고 이격된 채 결합되어 그 공간에 복수 개의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상기 지주부재(700)의 외주면을 위 아래로 감싸도록 배선 및 결속된다.
더불어,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S30)는, 도 10과 같이 상기 와이어넷(10)의 외부 와이어로프(100)를 지반(E)에 고정 설치된 앵커(800)에 직접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도 11과 같이 상기 와이어넷(10)의 외부 와이어로프(100)를 지반(E)에 고정 설치된 앵커(800)에 지지와이어(820)를 통해 연결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절개면 또는 경사면(S)의 굴곡에 맞게 상기 턴버클(200)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넷(10)을 인장 또는 압축시키도록 조절하는 턴버클 조절 단계(S40)를 수행한다.
즉,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210)에 각각 연결된 조절클립(230)을 회전 조작하여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210)가 상기 턴버클 몸체(220)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상기 턴버클 몸체(200)에 형성된 삽입홈(221)의 내외로 출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를 인장 또는 압축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100)가 인장 또는 압축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넷(10)이 인장 또는 압축되고, 이로써 절취된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커서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강화되며, 암편 분리 및 낙석 발생의 방지 효과가 증대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은 절취된 절개면의 표면이 거칠고 고르지 않거나, 절개면의 굴곡이 커서 암반이 돌출된 경사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와이어로프가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밀착 설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와이어로프의 지지력이 강화되며, 암편 분리 및 낙석 발생의 방지 효과가 증대되고, 낙석이 발생한 경우에는 돌이 튀지 않고 밑으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써, 교통장애, 도로구조물의 손상, 도로 이용자들의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와이어로프의 연결과 와이어넷의 조립 및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이 간편하고, 교차지점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볼트 연결방식이 아닌 압착 연결방식으로 고정하여 와이어로프를 경사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와이어넷 조립체 10. 와이어넷
100. 외부 와이어로프 110. 연결고리
200. 턴버클 210. 이동부재
211. 나사부 211a. 나사산
212. 고리부 220. 턴버클 몸체
221. 삽입홈 221a. 나사산
230. 조절클립 231. 나사홀
232. 연결홀 240. 연결부재
300. 외부클립 310. 외측홀
320. 내측홀 330. 연통홀
400. 내부 와이어로프 500. 고정클립
510. 고정판 511. 고정홀
520. 고정구 521. 와이어홀
530. 결합편 600. 와이어클립
700. 지주부재 710. 연결판
711. 상부 연결판 712. 하부 연결판
720. 결합부재 730. 고정너트
740. 보호캡 800. 앵커
810. 고리 811. 틈새
820. 지지와이어 E. 지반
H. 천공 P. PVC 코팅망
S. 절개면 또는 경사면

Claims (13)

  1. 삭제
  2.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연결하여 와이어넷을 인장 또는 압축하는 턴버클;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을 향하면서 교차되어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 내부 와이어로프; 및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교차되는 교차지점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턴버클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삽입홈의 내외로 출입하도록 직선 이동하는 한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의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턴버클 몸체 및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연결홀이 구비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를 상기 턴버클 몸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넷들에 구비된 조절클립끼리 연결홀을 통해 연결부재로 연결시키고, 상기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를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직접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상기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를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지지와이어를 통해 연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와이어넷들의 교차지점에 형성된 천공에 지주부재가 매립 고정되고, 상기 지주부재의 상단에는 상·하부 연결판이 서로 이격된 채 결합부재로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연결판 사이에는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을 감싸며 결속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은 각각, 양측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한쌍의 와이어홀을 구비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양측 선단이 상기 고정홀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판에 압착 결합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양단이 개방된 사각링 형상의 외부 와이어로프;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양단을 연결하는 턴버클;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가 관통되어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 상기 복수 개의 외부클립들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외부 와이어로프의 내부에서 교차되어 다수의 마름모꼴을 이루도록 설치된 내부 와이어로프; 및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교차되는 교차지점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고정클립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을 서로 연결한 후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절개면 또는 경사면에 천공을 형성하고, 천공에 지주부재를 매립 고정하는 지주부재 고정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넷들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형성 단계;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의 교차지점에 있는 상기 와이어넷들을 상기 지주부재에 결속시켜 설치하는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 및 절개면 또는 경사면의 굴곡에 맞게 상기 턴버클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넷을 인장 또는 압축시키도록 조절하는 턴버클 조절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턴버클은, 상기 와이어로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삽입홈의 내외로 출입하도록 직선 이동하는 한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의 내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턴버클 몸체 및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연결홀이 구비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를 상기 턴버클 몸체에 대하여 직선 이동시키는 조절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형성 단계는 상기 와이어넷들에 구비된 조절클립끼리 연결홀을 통해 연결부재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는, 상기 지주부재의 상단에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하부 연결판이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하되, 상기 상·하부 연결판의 사이에 상기 내부 와이어로프가 상기 결합부재의 내측을 감싸며 결속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넷 조립체 설치 단계는,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를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직접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와이어넷의 외부 와이어로프를 지반에 고정 설치된 앵커에 지지와이어를 통해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124330A 2014-09-18 2014-09-18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69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30A KR101691547B1 (ko) 2014-09-18 2014-09-18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330A KR101691547B1 (ko) 2014-09-18 2014-09-18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42A KR20160033442A (ko) 2016-03-28
KR101691547B1 true KR101691547B1 (ko) 2016-12-30

Family

ID=5700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330A KR101691547B1 (ko) 2014-09-18 2014-09-18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10B1 (ko) * 2021-12-31 2022-10-18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230103211A (ko) * 2021-12-31 2023-07-07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3261B (zh) * 2018-07-10 2023-08-18 山东交通学院 双交叉扭丝网片联接机
KR102625646B1 (ko) * 2021-12-23 2024-01-15 나재술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책 시공방법
KR102625648B1 (ko) * 2021-12-23 2024-01-15 나재술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510A (ja) * 1998-11-24 2000-06-06 Unipres Corp 衝撃吸収式防護柵
KR200400993Y1 (ko) * 2005-08-08 2005-11-15 씨에스엔지니어링주식회사 건축현장용 난간 안전지지대
KR101291758B1 (ko) * 2012-11-07 2013-07-31 제일산업개발 주식회사 압축식 버클을 이용한 경사지반 안정화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63A (ko) 2000-03-02 2001-09-15 최홍기 연결 와이어를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및 방법
KR20060038266A (ko) * 2004-10-29 2006-05-03 재 술 나 일체형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JP2009203681A (ja) 2008-02-27 2009-09-10 Purotekku Engineering:Kk 落石防止構造と落石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510A (ja) * 1998-11-24 2000-06-06 Unipres Corp 衝撃吸収式防護柵
KR200400993Y1 (ko) * 2005-08-08 2005-11-15 씨에스엔지니어링주식회사 건축현장용 난간 안전지지대
KR101291758B1 (ko) * 2012-11-07 2013-07-31 제일산업개발 주식회사 압축식 버클을 이용한 경사지반 안정화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310B1 (ko) * 2021-12-31 2022-10-18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230103211A (ko) * 2021-12-31 2023-07-07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2641437B1 (ko) * 2021-12-31 2024-02-27 나재술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442A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243531B1 (ko) 사면 보호구조 및 보호방법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KR101905473B1 (ko)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2122768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66951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공법
KR101326292B1 (ko) 와이어로프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 방지 시설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KR101712651B1 (ko) 와이어 로프의 지그재그식 설치를 이용한 낙석 방지책 시공 방법
KR101174619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2009686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2458257B1 (ko) 와이어링을 이용한 낙석방지 구조물
KR101484005B1 (ko) 암부착 와이어넷 및 그 연결 방법
JP2004332278A (ja) 雪崩・落石防護装置
KR102143454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1207714B1 (ko) 충격에너지의 분배 및 흡수가 가능한 낙석방지 울타리
KR101572504B1 (ko) 개폐형 낙석방지책
JP2001011863A (ja) 斜面保護方法及び逆巻き施工斜面保護方法
KR200473180Y1 (ko) 낙석방지망 고정장치
KR102143455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1208087B1 (ko) 강선재 매립형 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교량 설치방법
KR200490891Y1 (ko) 스톤네트 구조물
KR101819725B1 (ko) 낙하물 충격 흡수장치
JP6523075B2 (ja) 落石防護柵
KR102105104B1 (ko) 낙석방지망 지지용 강연선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