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630B1 -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630B1
KR100836630B1 KR1020070140381A KR20070140381A KR100836630B1 KR 100836630 B1 KR100836630 B1 KR 100836630B1 KR 1020070140381 A KR1020070140381 A KR 1020070140381A KR 20070140381 A KR20070140381 A KR 20070140381A KR 100836630 B1 KR100836630 B1 KR 10083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wire rope
net
ladd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나재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나재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이건설
Priority to KR102007014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은 양의 와이어 로프와 고정구를 사용하여도 능형망을 견실하게 지지하여 사면에서 낙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낙석에 의해 급작스러운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와이어 로프의 지지를 통해 낙석 속도를 지연시키고 능형망의 찢어짐을 막으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은, 사면에 밀착되거나 사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깔리는 능형망(10)과; 상기 사면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능형망을 눌러 지지하는 다수의 종방향 와이어 로프(20)와; 상기 와이어 로프들의 사이에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양단부가 근접되는 종방향 와이어 로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 와이어 로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중에 박혀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구(30)로 구성된다.
낙석 방지망, 앵커, 완충, 와이어

Description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A FALLING STONE PREVENTING NET}
본 발명은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양의 와이어 로프와 고정구를 사용하여도 능형망을 견실하게 지지하여 사면에서 낙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낙석에 의해 급작스러운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와이어 로프의 지지를 통해 낙석 속도를 지연시키고 능형망의 찢어짐을 막을 수 있는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개지 비탈면으로 암반이 형성되어 낙석위험이 있는 지역에 산업재해 및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예방코자 낙석방지용 시설물을 설치한다.
낙석 방지용 시설물로 예컨대, 능형망을 암반 벽면에 밀착시키고 능형망 위에 와이어 로프를 종선과 횡선으로 교차시킨 다음 종과 횡의 와이어 로프가 교차되는 지점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능형망을 사면측으로 지지하여 낙석을 방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의 포켓식 낙석 방지용 시설물을 설명하면, 낙석 방지 용 시설물은 사면, 암벽에 덮히는 그물망(예를 들어, PVC코팅망)과, 상기 그물망이
사면에 밀착되도록 종횡방향으로 교차되는 와이어 로프와, 그리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교차지점을 연결 및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그물망을 사면에 덮은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를 종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교차부분과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클램프로 고정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낙석 방지망은 와이어 로프의 배열 형태에 따라 벌집형, 마름모형으로 구분된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벌집형 낙석 방지망(1)은, 와이어 로프(1a)가 벌집 형태로 배열되고, 꼭지점(와이어 로프(1a)가 교차되는 부분)에 각각 고정수단(미도시)(앵커, 클램프 등)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마름모형 낙석망(2)은, 와이어 로프(2a)가 마름모 형태로 배열되고 와이어 로프(2a)가 교차되는 부분에 고정수단(앵커, 클램프 등)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낙석 방지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벌집형 낙석 방지망(1)과 마름모형 낙석 방지망(2)의 경우 하나의 폭(W1,W2)이 대략 3m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간격으로 벌집형 낙석 방지망(1)과 마름모형 낙석 방지망(2)이 시공되면 많은 양의 와이어 로프(1a,2a)와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밖에 없으므로 재료 비의 상승에 따라 단위 면적당 시공원가가 비싸지고, 작업자가 사면에서 벌집형, 마름모형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 로프(1a,2a)를 벌집형, 마름모형으로 배열한 후 와이어 로프(1a,2a)의 교차부분(a,b)에 각각 고정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작업자가 사면에서 미끄러지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와이어 로프(1a,2a)가 통과하지 않는 곳, 와이어 로프(1a,2a)로부터 먼 곳은 와이어 로프(1a,2a)의 하부에 깔리는 능형망(미도시)의 지지력이 약할 수 밖에 없는데, 벌집형 낙석 방지망(1)과 마름모형 낙석 방지망(2)은 많은 양의 와이어 로프(1a,2a)와 고정수단을 사용하여도 와이어 로프(1a,2a)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하여 지지력이 약한 많은 부분(c,d)이 발생되고 있다.
[표 1] 와이어 로프와 고정수단의 소요량 및 공사기간
구 분 벌집형 낙석 방지망 마름모형 낙석 방지망
와이어 로프 소요량(1㎡기준) 1.146m 1.414m
고정수단 소요량(1㎡기준) 0.304EA 0.25EA
시공기간 1000㎡기준 6일 5일
그리고, 낙석 방지망은 설치 형태에 따라 사면(4)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능형망(3) 하부에 사석 등이 모이도록 하는 커튼형(도 3a)과 능형망(3)을 사면(4)에 밀착시켜 사면을 눌러 지지하는 암부착형(도 3b)이 있다.
커튼형의 경우 능형망(3)은 하단부는 사면(4)에 지지되지만 상단부는 사면(4)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예컨대, 능형망(3)의 상단부는 지지대(5)를 통해 사면(4)으로부터 이격되고 능형망(3)을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6)가 지지대(5) 에 감겨 사면(4)에 앵커(7)로 고정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커튼형 낙석 방지망의 경우 능형망(3)과 사면(4) 사이에 사석이 모일 때 큰 하중이 전가되어 능형망(3)을 지지하는 와이어 로프(6)와 앵커(7)에 큰 충격이 가해지되게 된다. 그러나, 와이어 로프(6)는 단순히 앵커(7)에 고정된 형태로서 충격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가해지는 큰 충격에 의해 와이어 로프(6)가 절단되거나 앵커(7)가 사면(4)에서 빠지게 되고, 결국 낙석 속도가 급속히 빨라져 능형망(3)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은 양의 와이어 로프와 고정구를 사용하여도 능형망을 견실하게 지지하여 사면에서 낙석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능형망과 와이어 로프에 큰 하중이 전가되어도 와이어 로프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켜 낙석 속도를 지연시키고 능형망의 찢어짐을 막으려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은, 사면에 깔리는 능형망, 상기 능형망 위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와이 어 로프, 상기 와이어 로프들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 상기 와이어 로프를 사면에 지지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에 의하면, 와이어 로프가 종방향의 일렬로 배열되고 이들 와이어 로프들의 간격유지되도록 간격유지구가 설치되어 낙석 방지망이 전체적으로 볼 때 사다리형으로 형성되며, 이때, 와이어 로프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도 와이어 로프에 의한 지지력이 미치기 때문에 사면을 보강할 수 있고, 시공원가 절감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패널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에 급작스러운 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와이어 로프의 당겨짐을 지연시켜 낙석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큰 충격에너지를 감쇄할 수 있고 능형망의 찢어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쐐기형 고정수단의 경우 앵커의 둘레부로 돌출된 쐐기가 앵커의 인발을 막을 수 있으므로 낙석 방지망으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은, 사면(4)에 깔리는 능형망(10), 능형망(10)을 지지하는 종방향의 와이어 로프(20), 와이어 로프(20)들에 연결되어 와이어 로프(20)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 와이어 로 프(20)를 사면(4)에 고정하는 고정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능형망(10)은 사면(4)의 사석이 빠지지 않을 메쉬의 PVC코팅망이 사용된다.
와이어 로프(20)는 사면(4)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예컨대 1m 간격으로 배열되어 능형망(10) 위에 올려져 능형망(10)을 지지하며, 대략 1m 간격으로 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정구(30)는 통상의 앵커로서 지중에 박혀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20)에 연결된 고정편(31)을 통해 와이어 로프(20)를 고정하는 것이다.
고정편(31)은 일측에 와이어 로프(20)가 관통되는 홀이 구비되도록 접히며 볼트로 고정되어 와이어 로프(20)를 감싸 고정한다.
상기 간격유지구는 와이어 로프(20)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20)가 벌어지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 간격유지구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고정구(30)는 앵커로서 종래에는 와이어 로드의 교차점에 반드시 고정구가 설치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로프(20)의 교차점과 상관없이 사면의 지반 상태 등에 따라 설치되므로 사용 수량이 대폭 절감된다.
<실시예 1>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간격유지구(40)는, 일측이 와이어 로프(20)에 각각 연결되며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고정되는 2개의 간격유지 편(41,42)을 이루어진다.
제1,2간격유지편(41,42)은 전체적으로 장방형태이며 일측 단부에 곡선형으로 벤딩되어 와이어 로프(20)에 걸리는 로프 연결부(41a,42a)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41b,42b)이 구비된 구조이다. 즉, 제1,2간격유지편(41,42)의 로프 연결부(41a,42a)에 각각 와이어 로프(20)를 걸고 체결구(43)를 체결하여 와이어 로프(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마주하는 단부를 겹친 후 체결공(41b,42b)에 체결구(43)를 체결함으로써 간격유지구(40)를 설치한다.
이때, 와이어 로프(20)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제1,2간격유지편(41,42)은 전체적인 길이가 변경 가능하여야 할 것이므로 체결공(41b,42b)은 장공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간격유지구(50)는, 일측이 와이어 로프(20)에 각각 연결되며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고정되는 2개의 간격유지편(51,52) 및 제1,2간격유지편(51,52)의 길이를 조절하는 버클(53)로 구성된다.
제1,2간격유지편(51,52)의 마주하는 단부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볼트부(51a,52a)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와이어 로프(20)가 각각 연결되는 로프 연결부(51b,52b)가 구비된다.
버클(53)은 내부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부가 형성되어 볼트부(51a,52a)에 나사 체결된다. 이에 따라, 버클(53)을 회전시키면 제1,2간격유지편(51,52)이 버클(53)에서 빠지거나 삽입되어 간격유지구(5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와이어 로프(20)를 팽팽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은 커튼형과 암부착형 모두 적용 가능하며, 도 8a에서와 같이 커튼형의 경우 와이어 로프(20)의 상단부가 지지대(5)를 경유하여 사면(4)의 평탄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도 8a와 도 8b에서처럼, 고정수단(60)은 사면(4)의 평탄면에 지지되는 박스형 고정블록(61), 고정블록(61)을 사면(4)에 박아 고정하는 앵커(62), 고정블록(61)에 관통되어 너트(63)로 체결되며 와이어 로프(20)의 단부가 걸리는 유볼트(64), 일측이 고정블록(61)에 고정되며 타측에 1번 이상 접혀 유볼트(64)가 관통되면서 너트(63)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부(65a)가 구비된 완충패널(6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능형망(10)과 와이어 로프(20)에 급작스럽게 큰 하중이 걸릴 경우 와이어 로프(20)가 당겨지게 되고, 이 힘에 의해 유볼트(64)가 당겨지게 되는데, 이때, 완충패널(65)의 완충부(65a)가 접히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함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20)의 당겨짐을 지연시키게 된다.
부가적으로 완충부(65a)와 너트(63)의 사이에는 탄성부재로 코일스프링(66)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즉 코일스프링(66)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 로프(20)의 당겨짐이 더욱 효과적으로 지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고정수단(70)의 다른 예로서, 고정블록(71), 앵커(72), 유볼트(73)는 전술한 고정수단(60)과 동일하며, 앵커(72)에는 앵커(72)의 회전에 의해 둘레부를 향해 펼쳐져 지중에 박히는 쐐기(74)가 구비된다. 앵커(72)의 아래측 외주면에는 너트(75)가 나사 체결되어 승강되고, 쐐기(74)는 링크 형태로서 상단은 앵커(72)에 고정되고 하단은 너트(75)에 고정되어 너트(75)의 승강에 의해 승강하면서 접혀 둘레부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70)에 따르면, 사면의 지반이 연약하거나 토사층이더라도 쐐기(74)에 의해 앵커(72)가 지반에 견고하게 정착됨으로써 와이어 로프(20)로부터 인발력이 가해지더라도 지중에서 인발되지 않고 와이어 로프(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S10) 능형망 설치. 능형망(10)은 두루마리 형태 등으로 감겨 보관되어 있으며, 사면(4)의 예컨대 위쪽(평탄면)에서 작업자가 능형망(10)을 아래로 펼침으로써 능형망(10)을 설치할 수 있다. 능형망(10)은 사면(4)에서 낙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면(4)을 눌러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S20) 와이어 로프 설치. 와이어 로프(20)는 사면(4)에 종방향으로만 배열되는 것이며, 작업자는 사면(4)의 위쪽(예컨대 평탄면)에서 와이어 로프(20)를 각각 아래로 던지고 아래에서 와이어 로프(20)를 팽팽하게 잡아 당겨 와이어 로프(20)를 종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20)는 적은 수량에 의해 넓은 면적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1m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S30) 간격유지구 설치.
와이어 로프(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와이어 로프(20)들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술한 간격유지구(40,50)를 설치한다. 간격유지구(40,50)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적은 수량이 사용되어도 와이어 로프(20)의 모든 부분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와이어 로프(20)와 함께 사다리 형태를 조성하는 것이다.
(S40) 와이어 로프 고정.
와이어 로프(20)의 간격유지 작업이 완료되면 고정편(31)을 와이어 로프(20)에 결합하고, 고정구(30)를 고정편(31)과 지중에 박아 와이어 로프(20)를 고정한다. 고정구(30)는 와이어 로프(20)와 능형망(10)이 사면(4)에서 들뜨지 않도록 능형망(10)의 둘레부와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은 커튼형과 암부착형 모두 사용 가능하며, 커튼형의 경우 사면(4)의 상측 평탄면에 지지대(5)를 설치하고, 와이어 로프(20)를 지지대(5)에 걸쳐 사면(4)의 평탄면에 전술한 고정수단으로 고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의 시공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로프(20)가 양쪽 40cm를 지지한다고 할 때 1m 간격으로 설치되어도 사면 전체 면적의 80%이상을 지지할 수 있으며, 1㎡ 당 1.1m의 와이어 로프와 0.5EA의 고정구(30)가 소요되고, 사면 면적이 1000㎡ 일 때 3일 이내에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전술한 표 1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로프 및 고정구의 사용량이 적고, 공기가 단축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커튼형의 경우 전술한 고정수단(60)에 따르면, 능형망(10)과 사면(4) 사이에 큰 크기의 사석이 발생되어 와이어 로프(20)에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와이어 로프(20)가 당겨지게 되어 유볼트(64)가 따라서 움직이며, 이에 따라 너 트(63)가 함께 이동하여 완충부(65a)와 코일스프링(66)을 압축하게 된다. 즉, 완충부(65a)의 접히는 힘과 코일스프링(66)의 탄성력이 유볼트(65)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반대의 버팀력을 발생함으로써 와이어 로프(20)가 빠른 속도로 당겨지지 않고 속도가 지연된다.
또한, 와이어 로프(20)에 큰 하중이 걸려 앵커(72)가 지중에서 인발될 경우 쐐기(74)가 지중에서 앵커(72)를 지지하여 앵커(72)가 지상으로 인발되지 않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종래 기술에 의한 낙석방지망의 와이어 로프 배열 상태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종래 기술에 의한 낙석방지망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형 낙석방지망의 배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형 낙석방지망에 적용된 고정구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형 낙석방지망에 적용된 간격유지구의 실시예1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형 낙석방지망에 적용된 간격유지구의 실시예2의 구성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형 낙석방지망에 적용된 고정수단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형 낙석방지망에 적용된 다른 고정수단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능형망, 20 : 와이어 로프
30 : 고정구, 40,50 : 간격유지구
60,70 : 고정수단,

Claims (8)

  1. 사면에 밀착되거나 사면과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깔리는 능형망(10)과;
    상기 사면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사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능형망을 눌러 지지하는 다수의 종방향 와이어 로프(20)와;
    상기 와이어 로프들의 사이에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양단부가 근접되는 종방향 와이어 로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 와이어 로프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지중에 박혀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일측 단부에 각각 상기 와이어 로프에 연결되는 로프 연결부(41a,42a)가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 각각 체결공이 구비된 제1,2간격유지편(41,42), 상기 제1,2간격유지편의 마주하는 타측 단부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간격유지편을 연결하는 체결구(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구는, 일측 단부에 각각 상기 와이어 로프에 연결되는 로프 연결부(51b,52b)가 구비되며 타측 단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의 볼트부(51a,52a)가 구비된 제1,2간격유지편(51,52), 상기 제1,2간격유지편의 볼트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2간격유지편의 간격을 조절하는 버클(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형망과 와이어 로프는 지지대에 의해 상기 사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측 단부가 고정수단(60)을 통해 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사면에 지지되는 박스형 고정블록(61),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사면에 박아 고정하는 앵커(62), 상기 고정블록에 관통되어 너트(63)로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의 단부가 걸리는 유볼트(64), 일측이 상기 고정블록에 고정되며 타측에 1번 이상 접혀 상기 유볼트가 관통되면서 상기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부가 구비된 완충패널(6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널의 완충부와 상기 너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형망과 와이어 로프는 지지대에 의해 상기 사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측 단부가 고정수단을 통해 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사면에 지지되는 박스형 고정블록(71),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사면에 박아 고정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너트(75) 가 승강하는 앵커(72), 상기 고정블록에 관통되어 너트로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 로드의 단부가 걸리는 유볼트(73), 상단부는 상기 앵커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기 너트의 승강에 의해 승강하면서 중앙부가 접혀 둘레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지중에 박히는 쐐기(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7. 사면에 능형망을 펼치는 단계와;
    상기 능형망 위에 다수의 와이어로 로프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종방향으로 배열하는 단계와;
    제2항 또는 제3항의 간격유지구를 상기 근접되는 와이어 로프에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와 함께 사다리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고정구를 지중에 박아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상측 평탄면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기 지지대에 걸쳐 상기 사면의 평탄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시공방법.
KR1020070140381A 2007-12-28 2007-12-28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KR10083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81A KR100836630B1 (ko) 2007-12-28 2007-12-28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381A KR100836630B1 (ko) 2007-12-28 2007-12-28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630B1 true KR100836630B1 (ko) 2008-06-11

Family

ID=3977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381A KR100836630B1 (ko) 2007-12-28 2007-12-28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179A (zh) * 2018-12-07 2019-02-19 四川博华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复式被动边坡防护结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831A (ja) 1996-12-13 1998-06-23 Osaka Seitetsu Kk 積雪用ポケット式落石防護網
KR20000007187A (ko) * 1998-07-01 2000-02-07 나재술 낙석방지망 설치 방법
KR200174157Y1 (ko) 1997-12-09 2000-03-02 이수형 포집식 낙석 방지망
KR200234904Y1 (ko) 2001-03-16 2001-10-08 재 술 나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JP2003129425A (ja) 2002-09-27 2003-05-08 Civil:Kk ポケット式落石防止工法
KR100533117B1 (ko) 2003-06-09 2005-12-05 (주)하이콘건설 낙석 방지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60006206A (ko) * 2004-07-15 2006-01-19 박재현 사면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100638637B1 (ko) 2005-10-19 2006-10-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간격유지용 밴드케이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831A (ja) 1996-12-13 1998-06-23 Osaka Seitetsu Kk 積雪用ポケット式落石防護網
KR200174157Y1 (ko) 1997-12-09 2000-03-02 이수형 포집식 낙석 방지망
KR20000007187A (ko) * 1998-07-01 2000-02-07 나재술 낙석방지망 설치 방법
KR200234904Y1 (ko) 2001-03-16 2001-10-08 재 술 나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JP2003129425A (ja) 2002-09-27 2003-05-08 Civil:Kk ポケット式落石防止工法
KR100533117B1 (ko) 2003-06-09 2005-12-05 (주)하이콘건설 낙석 방지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60006206A (ko) * 2004-07-15 2006-01-19 박재현 사면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100638637B1 (ko) 2005-10-19 2006-10-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링 간격유지용 밴드케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6179A (zh) * 2018-12-07 2019-02-19 四川博华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复式被动边坡防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176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의 완충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KR101712651B1 (ko) 와이어 로프의 지그재그식 설치를 이용한 낙석 방지책 시공 방법
US20150184896A1 (en) Solar panel support apparatus
US20080022610A1 (en) Composite energy absorbing structure
JP3808714B2 (ja) 屋根直面式安全ネットシステム
KR101905473B1 (ko) 완충형 와이어 로프 체결장치를 이용한 분리가능한 낙석방지망 구조체
KR101572505B1 (ko) 사면 낙석방지책
US20180363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and Control Damage to a Shear Wall Panel Subject to a Loading Event
US20130305623A1 (en) Fall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JPH0718134B2 (ja) 衝撃吸収柵
KR100976269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로프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방법
KR101530081B1 (ko) 완충슬롯을 갖는 와이어로프 완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시설 시공 방법
KR101691547B1 (ko) 암부착 와이어넷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054116B1 (ko)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조립구
KR101198710B1 (ko) 충격흡수형 낙석방지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36630B1 (ko) 사다리형 낙석 방지망 및 이 시공방법
JP2007077672A (ja) 衝撃吸収柵
JP2002322615A (ja) 防護柵
KR102149111B1 (ko) 낙석 방지용 완충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JPH0144580Y2 (ko)
JP2909451B1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柱と梁の接合構造
KR20100086185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필러와 빔의 접합 구조
JP7202586B1 (ja) 防護柵
JP2649894B2 (ja) 衝撃吸収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