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43B1 -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343B1
KR101654343B1 KR1020150030569A KR20150030569A KR101654343B1 KR 101654343 B1 KR101654343 B1 KR 101654343B1 KR 1020150030569 A KR1020150030569 A KR 1020150030569A KR 20150030569 A KR20150030569 A KR 20150030569A KR 101654343 B1 KR101654343 B1 KR 10165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loth
drum
bar
wir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일
Original Assignee
이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일 filed Critical 이세일
Priority to KR102015003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회전드럼, 고정바, 승강바, 스크린천, 승강용와이어, 와이어가이드부재, 권취드럼받침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스크린천이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개선된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셔터장치는 스크린천이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하고자는 장소에 따라 자유롭게 굴절 및 굴곡지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굴절 및 굴곡된 부분도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SEALED TYPE SCREEN SHUTTER DEVICE}
본 발명은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천이 드럼에 권취되는 방식이 아니라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셔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간의 형태에 따라 굴절 및 굴곡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화재시 대피하는 사람들의 시간을 벌어주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다.
현재 방화 및 방연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는 강철로 형성되어 건물 천장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하강시켜 건물의 입구 또는 통로를 차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화셔터는 다수개의 강철이 연결되어 있어 이에 따른 중량과 부피가 커 천정의 설치 공간이 커지고 셔터의 승,하강을 작동하는 모터가 커지게 되어 설치되는 비용이 높고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내열성이 강하면서 얇고 가벼운 스크린천을 이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한 방화 스크린셔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화 스크린셔터의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44525호, 제0930544호, 등록실용신안 제0425980호, 제041190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34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및 실용신안에 개시된 종래의 대부분의 스크린셔터는 스크린천이 권취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굴절 및 굴곡진 설치구간에는 스크린천을 설치하는 작업이 곤란하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즉, 굴절 및 굴곡진 구간에 스크린셔터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로와 세로 부분에 각각 권취드럼을 설치하고, 각각의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스크린천을 각각 대응되게 설치한 후, 각각의 스크린천이 따로 작동하면서 대응되는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다 보니, 가로와 세로로 배치되는 스크린천의 연결 부분을 확실하게 밀폐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물론, 스크린천의 연결 부분에 기둥을 설치할 수는 있지만, 이는 설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많이 들며, 기둥으로 인해 통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권취드럼이 별도로 작동되기 때문에 구동수단이 각각 구비되어야만 하며, 이에 따른 설치 구조상의 복잡함이 있고, 스크린천이 승강할 때 편차가 생겨 동시에 통로를 차단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4525호(등록일: 2008년07월01일), 발명의 명칭: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0544호(등록일: 2009년12월01일), 발명의 명칭: "방화 구획용 스크린 셔터"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903호(등록일: 2006년03월14일), 고안의 명칭: "방화 스크린 셔터"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980호(등록일: 2006년09월01일), 고안의 명칭: "스크린 방화셔터의 롤러구동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린천이 권취드럼에 직접 권취되는 방식이 아니라 승강용와이어가 권취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바를 들어올려 스크린천이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개선하여 스크린천이 연결부분 없이 자유롭게 설치구간에 따라 자유롭게 굴절 및 굴곡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설치구간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스크린천;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천의 상단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하부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천의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승강바;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천의 상부에서 스크린천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하단은 상기 승강바에 고정되고 상단은 권취드럼에 감기게 설치되어 권취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승강바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승강용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드럼에 감기면서 승강바를 들어올리면 스크린천이 승강바 상에서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갖는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로써, 상기 스크린천의 양측 단부에는 스크린천이 승강 작동을 할 때 팽팽하게 잡아주는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용와이어가 권취드럼에 감기는 부분에 각각 와이어가이드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승강용와이어가 와이어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권치홈을 따라 감기면서 항상 정확한 위치에 감기게 구성되며, 상기 권취드럼의 하부에는 받침롤러를 구비한 권취드럼받침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받침롤러가 권취드럼을 받쳐 지지하고 권취드럼이 회전할 때 권취드럼과 함께 받침롤러가 회전하면서 권취드럼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가이드부재는, 상기 권취드럼의 외면에 밀착되고 볼트공이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권취드럼에 고정되는 반원 형상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에 상부권취홈이 형성되도록 상부좌측가이드대와 상부우측가이드대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좌측가이드대의 상단에는 상부우측가이드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우측가이드대의 상단에는 상부좌측가이드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좌측가이드대와 상부우측가이드대 사이의 상단에 상부권취홈으로 승강용와이어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밀착부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에 하부권취홈이 형성되도록 하부좌측가이드대와 하부우측가이드대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부좌측가이드대의 하단에는 하부우측가이드대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우측가이드대의 하단에는 하부좌측가이드대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좌측가이드대와 하부우측가이드대 사이의 상단에 하부권취홈으로 승강용와이어를 안내하는 하부가이드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하부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권취드럼받침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부 중간에는 상방향으로 개구되는 드럼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드럼이 드럼삽입홈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드럼삽입홈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받침롤러가 축을 중심으로 권취드럼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드럼이 드럼삽입홈 내에서 받침롤러에 받쳐 지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권취드럼이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받침판이 설치되고, 이 받침판 상에는 권취드럼의 드럼축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갖는 베이링하우징이 고정 설치되며, 권취드럼의 드럼축이 베어링을 통과하여 베어링하우징에 지지된 상태로 받침판 상에서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권취드럼 중 한 쪽 권취드럼의 드럼축에 연결되는 제1조인트부와, 다른쪽 권취드럼의 드럼축에 연결되는 제2조인트부와, 제1조인트부와 제2조인트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조인트부로 구성되어 권취드럼의 굴절 각도가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천의 양측 단부에는 스크린천이 승강 작동을 할 때 팽팽하게 잡아주는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이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은, 건물의 통로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면에는 승강바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승강바삽입홈이 형성된 단부지지용기둥과,상기 승강바삽입홈의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된 볼지지용기둥과, 상기 단부지지용기둥과 볼지지용기둥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관통공과, 상기 볼지지용기둥 내에 설치되어 볼지지용기둥의 내면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볼과, 일단부는 상기 볼과 연결되어 볼을 따라 이동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관통공을 통해 스크린천의 단부에 연결되어 스크린천을 잡아주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스크린천이 승강 작동을 할 때 볼이 볼지지용기둥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와이어가 스크린천의 단부를 팽팽하게 잡아주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은 중앙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선단부가 고리 형태를 형성하게 접은 상태에서 후단부를 결합공에 끼워 넣고 고정구를 통해 고정시켜 결합공에서 빠지지 않게 결합되며, 와이어의 고리 부분은 고정부재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 있는 상태로 볼에 결합되어 고정부재가 와이어의 고리 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부재의 일부분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크린천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고정부재를 대고 타측에는 너트부재를 댄 상태에서 볼트가 고정부재의 볼트체결공을 통해 스크린천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부재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와이어의 단부가 스크린천에 연결되어 스크린천의 단부를 팽팽하게 잡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천의 일부분에는 피난문체가 구비되되, 상기 피난문체는, 상기 스크린천의 일부분을 절결하여 좌측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설치된 직사각형의 피난문; 상기 피난문의 상측변과 하측변에 근접 위치되도록 상기 스크린천에 폭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지지레일 및 하부지지레일; 상기 피난문의 상측변부와 하측변부에 연결와이어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지레일 및 하부지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롤러; 일단이 상기 피난문의 하측변부의 최외측단 롤러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지지레일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피난문에 상시 닫힘 방향으로의 탄성 당김력을 제공하는 인장코일스프링; 상기 피난문의 상측과 우측변부에 근접되게 마련되며 각 내측변에는 개방상태의 입구를 구성하고 각 외측변은 스크린천에 봉착 고정되는 포켓 타입의 상부커버 및 측면커버; 상기 피난문의 하측변에 부착 구성되며 하부지지레일을 커버하여 피난문의 하측변과 하부지지레일사이의 틈새를 밀폐 차단시키기 위한 하측커버; 상기 피난문의 우측변 단부에 부착 고정되는 자석; 상기 측면커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자력을 통해 선택적으로 자석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V"자형의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스크린천이 폴더 타입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하고자는 장소에 따라 연결부분 없이 자유롭게 굴곡지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굴곡진 부분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다수의 승강용와이어가 권취되는 다수의 권취드럼이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다수의 권취드럼을 한 개의 구동모터를 통해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며, 따라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와이어가이어부재를 구비하여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드럼에 권취될 때 항상 정확한 위치에 동일한 길이로 권취되기 때문에 스크린천을 들어올릴 때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똑바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천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천장에 스크린천이 매달렸을 때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권취드럼받침부재를 구비하여 권취드럼이 회전할 때 큰 부하가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회전하기 때문에 다수의 권취드럼을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부하가 걸리지 않아 유니버셜 조인트의 파손률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이 볼 형태로 구성되어 스크린천이 상하로 작동할 때 걸림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스크린천의 일부분에 피난문이 설치되어 스크린천을 들어올리지 않아도 필요에 따라 피난문만 열면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스크린천이 상승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2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가이드부재와 권취드럼받침부재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가이드부재와 권취드럼받침부재가 권취드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스크린천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크린천의 일부분에 피난문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부커버와 측면커버의 일부를 절개하여 피난문의 작동구조를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D-D선 확대 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가 설치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과 도 1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볼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전과 조립 후의 단면도,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권취드럼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전과 조립 후의 분리 사시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스크린천(500)이 건물의 천장(10)에 설치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되면 건물의 바닥(20)까지 하강하면서 건물의 일부 구간 또는 통로를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조를 좀더 설명하면, 먼저 건물의 천장에는 다수의 권취드럼(200)이 유니버셜 조인트(22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권취드럼(200)의 갯수는 도 1 또는 도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하고자 하는 공간의 면적 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된다. 즉, 건물의 일측 공간을 구획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모서리 부분을 차단하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곡선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고, 통로를 차단하는 데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권취드럼(200)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천장(10)에는 지지프레임(100)이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100)에는 권취드럼(200)이 유니버셜 조인트(220)로 연결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받침판(110)이 고정되게 설치되며, 받침판(110) 상에 유니버셜 조인트(2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10) 상에는 권취드럼(200)의 드럼축(210)에 결합되는 베어링(BE)을 갖는 베어링하우징(120)이 유니버셜 조인트(220)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게 고정 설치되며, 권취드럼(200)의 드럼축(210)이 베어링(BE)을 통과하여 베어링하우징(120)에 지지된 상태로 받침판(110) 상에서 유니버셜 조인트(220)에 의해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유니버셜 조인트(220)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권취드럼(200) 중 한 쪽 권취드럼(200)의 드럼축(210)에 연결되는 제1조인트부(222)와, 다른쪽 권취드럼(200)의 드럼축(210)에 연결되는 제2조인트부(224)와, 제1조인트부(222)와 제2조인트부(224)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조인트부(226)로 구성되어 권취드럼(200)의 굴절 각도가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다수의 권취드럼(200)이 유니버셜 조인트(220)를 통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할 때 유니버셜 조인트(220)에 부하가 걸려 오작동이 생기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권취드럼(200)에는 다수의 권취드럼받침부재(400)가 설치된다.
여기서, 권취드럼받침부재(400)는 지지프레임(100) 또는 받침판(1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중간에는 상방향으로 개구되는 드럼삽입홈(410)이 형성되어 권취드럼(200)이 드럼삽입홈(410)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드럼삽입홈(410)의 하부 양측에는 받침롤러(420)가 축(430)을 중심으로 권취드럼(20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권취드럼(200)이 드럼삽입홈(410) 내에서 받침롤러(420)에 받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면, 권취드럼(200)이 회전할 때 받침롤러(420)가 함께 회전하면서 권취드럼(20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돕게 된다.
한편, 권취드럼받침부재(400)는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200)의 사이즈에 따라 드럼삽입홈(410)의 폭이 조절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권취드럼받침부재(400)는 좌측받침부(402)와 우측받침부(404)로 구분되고, 우측받침부(404)에는 드럼삽입홈(410) 보다 하부 측면에 좌측받침부(402)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406)가 형성되고, 좌측받침부(402)에는 연결부(406)와 대응되는 측면에 연결홈(408)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측받침부(402)의 정면 일측에는 체결공(409)이 연결홈(408)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연결부(406)의 정면에는 체결공(409)과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되게 다수의 조립공(407)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406)가 연결홈(408)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가 체결공(409)을 통해 조립공(407)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드럼삽입홈(410)의 폭이 조절된다. 이처럼 드럼삽입홈(410)의 폭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권취드럼받침부재(400)은 다양한 사이즈의 권취드럼(200)에 설치할 수 있게 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다수의 권취드럼(200) 중 어느 하나의 권취드럼(200)의 단부에는 구동수단이 설치된다. 구동수단은 구동모터(300)와, 구동모터(300)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310)과, 권취드럼(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스프로킷(320)과,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을 연결하는 체인(33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모터(300)가 작동되면 동력이 전달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권취드럼(20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체인 방식 외에도 풀리 방식이나 기어 방식으로 이용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을 권취드럼에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300)는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권취드럼(200)을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후술하는 스크린천(500)을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권취드럼(200)과 이격되게 방화용 스크린천(500)이 설치되는 데, 이 스크린천(500)은 설치구간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권취드럼(200)에 선택적으로 권취되는 승강용와이어(530)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스크린천의 승강 구조를 좀더 설명하면, 천장(10)과 이격되게 고정바(510)가 설치되는 데, 이 고정바(510)는 지지프레임(100)을 통해 천장(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바(510)의 하부에는 승강바(52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승강바(520)는 승강용와이어(530)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승강용와이어(530)의 하단은 승강바(52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고정바(510)를 관통하여 권취드럼(200)에 권취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권취드럼(200)이 회전하면서 승강용와이어(530)가 권취드럼(200)에 권취되면 승강바(520)가 상승하게 되고, 승강용와이어(530)가 권취드럼(200)에서 풀리게 되면 승강바(520)가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용와이어(530)는 스크린천(500)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군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스크린천(500)은 고정바(510)와 승강바(520)의 사이에서 상단은 고정바(510)에 고정되고 하단은 승강바(52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용와이어(530)가 권취드럼(200)에 감기면서 승강바(520)가 상승하게 되면 승강바(520)가 스크린천(500)을 받쳐 올리게 되며, 따라서 스크린천(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 상에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승강바(52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물론, 승강용와이어(530)가 권취드럼(200)에서 풀리면서 승강바(520)가 하강하게 되면 스크린천(500)도 함께 하강하면서 건물의 바닥(20)에 닿아 통로를 차단 또는 구획하게 된다.
한편, 고정바(510)와 천장(10)의 사이에는 승강용와이어(53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가이드브라켓(540)이 추가로 설치된다. 즉, 가이드브라켓(540)은 승강용와이어(530)가 승강바(520)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올라오다가 권취드럼(200)에 권취되기 위해 굴절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승강용와이어(530)의 굴절을 안내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중앙에는 수평으로 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되어, 승강용와이어(530)가 가이드공으로 안내되면서 굴절되어 권취드럼(200)에 권취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브라켓(540)의 모서리 부분과 가이드공(542)의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라운드 처리되어 승강용와이어가 안내될 때 걸림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승강바(520)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스크린가이더(522)가 설치된다. 따라서 승강바(520)가 상승하면서 스크린천(500)이 폴더식으로 접힐 때 스크린천(500)이 스크린가이더 내에서 안내되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스크린가이더(522)가 스크린천(500)이 폴더식으로 접힐 때 승강바(520)의 외측으로 삐쳐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스크린천(500)이 승강바(520) 내에서 폴더식으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크린가이더(522)는 승강바(520)의 한쪽 단부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양쪽 단부에 같이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승강용와이어(530)가 권취드럼(200)에 감기는 부분에 각각 와이어가이드부재(600)가 추가로 설치되어 승강용와이어(530)가 와이어가이드부재(600)에 형성된 권치홈(626)(636)을 따라 감기면서 항상 정확한 위치에 감기게 구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가이드부재(600)는 권취드럼(200)의 외면에 밀착되고 볼트공(612)이 형성되어 볼트(B)를 통해 권취드럼(200)에 고정되는 반원 형상의 밀착부(610)와, 밀착부(6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승강용와이어(530)의 권취를 돕는 상부가이드부(620)와, 밀착부(6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승강용와이어(530)의 권취를 돕는 하부가이드부(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가이드부(620)는 밀착부(610)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에 상부권취홈(626)이 형성되도록 상부좌측가이드대(622)와 상부우측가이드대(624)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좌측가이드대(622)의 상단에는 상부우측가이드대(624)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우측가이드대(624)의 상단에는 상부좌측가이드대(62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좌측가이드대(622)와 상부우측가이드대(624) 사이의 상단에 상부권취홈(626)으로 승강용와이어(530)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공간(628)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하부가이드부(630)는 밀착부(610)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에 하부권취홈(636)이 형성되도록 하부좌측가이드대(632)와 하부우측가이드대(634)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부좌측가이드대(632)의 하단에는 하부우측가이드대(634)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우측가이드대(634)의 하단에는 하부좌측가이드대(632)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좌측가이드대(632)와 하부우측가이드대(634) 사이의 상단에 하부권취홈(636)으로 승강용와이어(530)를 안내하는 하부가이드공간(638)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승강용와이어(530)가 권취드럼(200)에 감길 때 승강용와이어(530)가 와이어가이드부재(600)의 상부권취홈(626) 및 하부권취홈(636) 내로 안내되어 정확한 위치에 동일한 길이로 감기게 되며, 이로 인해 스크린천(500)을 들어올릴 때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똑바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스크린천(500)의 양측 단부에는 스크린천(500)이 승강 작동을 할 때 양측 단부를 팽팽하게 잡아주는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이 추가로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은 건물의 통로 벽체(30)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면에는 승강바(520)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승강바삽입홈(702)이 형성된 단부지지용기둥(700)과, 승강바삽입홈(702)의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된 볼지지용기둥(710)과, 단부지지용기둥(700)과 볼지지용기둥(710)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관통공(720)과, 볼지지용기둥(710) 내에 설치되어 볼지지용기둥(710)의 내면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볼(730)과, 일단부는 볼(730)과 연결되어 볼(730)을 따라 이동하고 타단부는 수직관통공(720)을 통해 스크린천(500)의 단부에 연결되어 스크린천(500)을 잡아주는 와이어(74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크린천(500)이 승강 작동을 할 때 볼(730)이 볼지지용기둥(710)의 내면을 따라 점 접촉으로 함께 이동하면서 와이어(740)가 스크린천(500)의 단부를 팽팽하게 잡아주어 스크린천(500)이 안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볼(730)과 스크린천(500)의 결합 구조를 좀더 설명하면, 볼(730)은 중앙에 결합공(732)이 관통 형성되고, 와이어(740)는 선단부가 고리 형태를 형성하게 접은 상태에서 후단부를 결합공(732)에 끼워 넣고 고정구(750)를 통해 고정시켜 결합공(732)에서 빠지지 않게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구(750)는 와이어(740)의 후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별도의 공구로 눌러서 와이어(740)의 후단부에 고정되게 하면 되는 데,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결합공(732)의 내부 중간에는 걸림턱(734)이 형성되어 고정구(750)가 와이어(740)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결합공(732) 내에 삽입되었을 때 와이어(740)를 잡아당기면 고정구(750)가 걸림턱(734)에 걸려 결합공(732)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와이어(740)의 고리 부분은 고정부재(760)에 형성된 걸림공(762)에 끼워져 걸려 있는 상태로 볼(730)에 결합되어 고정부재(760)가 와이어(740)의 고리 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재(760)의 일부분에는 볼트체결공(764)이 형성되어 스크린천(500)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고정부재(760)를 대고 타측에는 너트부재(770)를 댄 상태에서 볼트(B)가 고정부재(760)의 볼트체결공(764)을 통해 스크린천(500)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부재(770)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와이어(740)의 단부가 스크린천(500)에 연결되어 스크린천(500)의 단부를 팽팽하게 잡아주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볼지지용기둥(7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볼지지용기둥(710)의 내면과 점 첩촉하는 볼(730) 구조를 갖기 때문에 스크린천(500)이 상하로 작동할 때 이동부재의 걸림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동부재가 바퀴나 롤러로 구성되면 스크린천(500)이 바람에 흔들리면서 바퀴가 롤러가 회전하여 구동시 걸림현상이 생기지만 볼은 걸림현상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볼(730)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가 분리된 조립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볼(730)이 반구 형상의 좌측볼부(702)와 우측볼부(704)로 구분되고, 우측볼부(704)에는 중앙에 좌측볼부(702)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보스(706)가 형성되고, 좌측볼부(702)에는 체결보스(706)와 대응되는 체결홈(708)이 형성되며, 체결보스(706)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체결홈(708)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볼부(702)와 우측볼부(704)가 결합되었을 때 중앙에는 결합공(732)이 관통 형성되는 데, 체결보스(706)에는 결합공(732)과 연통되는 연통공(709)이 관통 형성되어 결합공(732)을 통해 와이어(740)를 끼워넣을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볼(730)은 좌측볼부(702)와 우측볼부(704)가 나사 결합방식이 아닌 후크 결합 방식 등으로 결합할 수도 있지만,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스크린천(500)의 일부분에는 피난문체(800)가 구비되어 스크린천(500)을 들어올리지 않아도 사람들이 통과할 수 있는 피난 공간을 편리하게 확보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피난문체(800)는 스크린천(500)의 일부분을 절결하여 좌측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게 설치된 직사각형의 피난문(810)을 구비한다. 물론, 피난문(810)의 개방 부분 일부에는 손잡이(812)가 설치된다. 그리고 피난문(810)의 상측변과 하측변에 근접 위치되도록 스크린천(500)에 폭 방향으로 상부지지레일(820) 및 하부지지레일(830)이 고정 설치되고, 상부지지레일(820) 및 하부지지레일(830)에는 다수개의 롤러(8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물론, 다수개의 롤러(840)는 각각 피난문(810)의 상측변부와 하측변부에 연결와이어(842)를 통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지지레일(830) 내에는 인장코일스프링(850)이 설치되는 데, 인장코일스프링(850)의 일단은 피난문(810)의 하측변부의 최외측단 롤러(8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지지레일(830)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피난문(810)에 상시 닫힘 방향으로의 탄성 당김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피난문(810)의 상측과 우측변부에 근접되게 상부커버(860) 및 측면커버(870)가 설치되는 데, 상부커버(860) 및 측면커버(870)의 내측변에는 개방상태의 입구를 구성하고 각 외측변은 스크린천(500)에 봉착 고정되는 포켓 타입의 형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피난문(810)의 하측변에는 하측커버(880)가 부착 구성되는 데, 하측커버(880)는 하부지지레일(830)을 커버하여 피난문(810)의 하측변과 하부지지레일(830) 사이의 틈새를 밀폐 차단시키게 된다. 그리고 피난문(810)이 닫혔을 때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난문(810)의 우측변 단부에는 자석(890)이 부착 고정되고, 측면커버(870)의 내부에는 자력을 통해 선택적으로 자석(89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V"자형의 금속 탄성편(892)이 고정 설치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승강바(520)가 상승하여 스크린천(500)과 함께 천장에 설치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작동하면서 승강바(520) 및 스크린천(500)이 하강하게 된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권취드럼(200)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용와이어(530)를 풀게 되고, 승강용와이어(530)가 풀리면서 승강바(520)와 스크린천(500)이 하강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520)가 건물의 바닥(20)에 닿게 된다. 그러면, 스크린천(500)이 건물의 통로를 완벽하게 밀폐시키거나 건물의 일부분을 완벽하게 구획 및 밀폐시켜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천(500)이 통로 또는 일부분 구간을 밀폐하게 되지만, 스크린천(500)의 일부분에는 피난문(81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들이 피난문(810)을 열고 쉽게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를 설치하거나 화재 진압 후 스크린천(500)과 승강바(520)를 천장(10)으로 들어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권취드럼(20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승강용와이어(530)가 권취드럼(200)에 권취되면서 승강바(520)를 들어올리게 되고 승강바(520)가 스크린천(500)을 받쳐 들어올리면서 스크린천(500)이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상승하게 된다. 물론, 한 개의 구동모터(300)에서 공급되는 동력이 유니버셜 조인트(220)를 통해 모든 권취드럼(200)에 전달되기 때문에 모든 권취드럼(200)은 항상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굴곡진 스크린천(500)은 일정하게 승강 작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천장 20: 바닥
30: 벽체 100: 지지프레임
110: 받침판 120: 베어링하우징
200: 권취드럼 210: 드럼축
220: 유니버셜 조인트 300: 구동모터
400: 권취드럼받침부재 410: 드럼삽입홈
420: 받침롤러 430: 축
500: 스크린천 510: 고정바
520: 승강바 530: 승강용와이어
540:가이드브라켓 600: 와이어가이드부재
610: 밀착부 612: 볼트공
620: 상부가이드부 630: 하부가이드부
700: 단부지지용기둥 710: 볼지지용기둥
720: 수직관통공 730: 볼
740: 와이어 750: 고정구
760: 고정부재 770: 너트부재
800: 피난문체 810: 피난문
820: 상부지지레일 830: 하부지지레일
840: 롤러 842: 연결와이어
850: 인장코일스프링 860: 상부커버
870: 측면커버 880: 하측커버
890: 자석 892: 탄성편

Claims (4)

  1. 설치구간에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스크린천; 건물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천의 상단이 고정 설치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하부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천의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승강바;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게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천의 상부에서 스크린천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력을 통해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하단은 상기 승강바에 고정되고 상단은 권취드럼에 감기게 설치되어 권취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승강바를 승강시키는 다수의 승강용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드럼에 감기면서 승강바를 들어올리면 스크린천이 승강바 상에서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함께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갖는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로써,
    상기 스크린천의 양측 단부에는 스크린천이 승강 작동을 할 때 팽팽하게 잡아주는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승강용와이어가 권취드럼에 감기는 부분에 각각 와이어가이드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승강용와이어가 와이어가이드부재에 형성된 상부 및 하부권치홈을 따라 감기면서 항상 정확한 위치에 감기게 구성되며, 상기 권취드럼의 하부에는 받침롤러를 구비한 권취드럼받침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받침롤러가 권취드럼을 받쳐 지지하고 권취드럼이 회전할 때 권취드럼과 함께 받침롤러가 회전하면서 권취드럼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게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가이드부재는, 상기 권취드럼의 외면에 밀착되고 볼트공이 형성되어 볼트를 통해 권취드럼에 고정되는 반원 형상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에 상부권취홈이 형성되도록 상부좌측가이드대와 상부우측가이드대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좌측가이드대의 상단에는 상부우측가이드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우측가이드대의 상단에는 상부좌측가이드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좌측가이드대와 상부우측가이드대 사이의 상단에 상부권취홈으로 승강용와이어를 안내하는 상부가이드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밀착부의 하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에 하부권취홈이 형성되도록 하부좌측가이드대와 하부우측가이드대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부좌측가이드대의 하단에는 하부우측가이드대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우측가이드대의 하단에는 하부좌측가이드대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좌측가이드대와 하부우측가이드대 사이의 상단에 하부권취홈으로 승강용와이어를 안내하는 하부가이드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하부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받침부재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부 중간에는 상방향으로 개구되는 드럼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드럼이 드럼삽입홈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드럼삽입홈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받침롤러가 축을 중심으로 권취드럼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취드럼이 드럼삽입홈 내에서 받침롤러에 받쳐 지지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천단부지지수단은,
    건물의 통로 벽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면에는 승강바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승강바삽입홈이 형성된 단부지지용기둥과,상기 승강바삽입홈의 중간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된 볼지지용기둥과, 상기 단부지지용기둥과 볼지지용기둥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관통공과, 상기 볼지지용기둥 내에 설치되어 볼지지용기둥의 내면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볼과, 일단부는 상기 볼과 연결되어 볼을 따라 이동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관통공을 통해 스크린천의 단부에 연결되어 스크린천을 잡아주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스크린천이 승강 작동을 할 때 볼이 볼지지용기둥을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와이어가 스크린천의 단부를 팽팽하게 잡아주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볼은 중앙에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는 선단부가 고리 형태를 형성하게 접은 상태에서 후단부를 결합공에 끼워 넣고 고정구를 통해 고정시켜 결합공에서 빠지지 않게 결합되며, 와이어의 고리 부분은 고정부재에 형성된 걸림공에 끼워져 걸려 있는 상태로 볼에 결합되어 고정부재가 와이어의 고리 부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부재의 일부분에는 볼트체결공이 형성되어 스크린천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고정부재를 대고 타측에는 너트부재를 댄 상태에서 볼트가 고정부재의 볼트체결공을 통해 스크린천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부재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와이어의 단부가 스크린천에 연결되어 스크린천의 단부를 팽팽하게 잡아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20150030569A 2015-03-04 2015-03-04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654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69A KR101654343B1 (ko) 2015-03-04 2015-03-04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569A KR101654343B1 (ko) 2015-03-04 2015-03-04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343B1 true KR101654343B1 (ko) 2016-09-05

Family

ID=5693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569A KR101654343B1 (ko) 2015-03-04 2015-03-04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437A (ja) * 1997-08-26 1999-03-05 Sanwa Shutter Corp シ−トシャッタ−のシ−トの巻径補正構造
KR200411903Y1 (ko) 2005-12-26 2006-03-21 하나이앤지 주식회사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25980Y1 (ko) 2006-06-22 2006-09-08 김동선 스크린 방화셔터의 롤러구동장치
KR100844525B1 (ko) 2006-05-09 2008-07-08 강연구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100930544B1 (ko) 2002-02-25 2009-12-09 유니티카 세쯔비 기쥬쯔 가부시키가이샤 방화 구획용 스크린 셔터
KR101348122B1 (ko) * 2013-05-15 2014-01-08 이세일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437A (ja) * 1997-08-26 1999-03-05 Sanwa Shutter Corp シ−トシャッタ−のシ−トの巻径補正構造
KR100930544B1 (ko) 2002-02-25 2009-12-09 유니티카 세쯔비 기쥬쯔 가부시키가이샤 방화 구획용 스크린 셔터
KR200411903Y1 (ko) 2005-12-26 2006-03-21 하나이앤지 주식회사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844525B1 (ko) 2006-05-09 2008-07-08 강연구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200425980Y1 (ko) 2006-06-22 2006-09-08 김동선 스크린 방화셔터의 롤러구동장치
KR101348122B1 (ko) * 2013-05-15 2014-01-08 이세일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061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JPS6360357A (ja) 天窓用日除組立体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20200030992A (ko) 연기확산방지용 커튼모듈이 구비된 수밀문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008203B1 (ko) 갤러리 창호
KR101654343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CN209277773U (zh) 一种防火卷帘门
JP5353941B2 (ja)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KR20110004534A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101266399B1 (ko) 출몰식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20180088179A (ko) 화재 확산 방지 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JP5138562B2 (ja) 開閉体装置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KR101930344B1 (ko) 스크린 고정부재가 구비된 천장, 경사 및 곡면용 롤 스크린 블라인드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JP2004251021A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0526151B1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1421269B1 (ko)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JP2010121299A (ja) 出窓採光装置
JP2002364267A (ja) ブラインド装置
KR101531857B1 (ko) 샤프트의 처짐방지와 스크린의 겹침방지가 동시에 가능하게 구동되는 방화 스크린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