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69B1 -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269B1
KR101421269B1 KR1020130122669A KR20130122669A KR101421269B1 KR 101421269 B1 KR101421269 B1 KR 101421269B1 KR 1020130122669 A KR1020130122669 A KR 1020130122669A KR 20130122669 A KR20130122669 A KR 20130122669A KR 101421269 B1 KR101421269 B1 KR 10142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fting
drum
side plat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일
Original Assignee
이세일
주식회사 세일롤업도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일, 주식회사 세일롤업도어스 filed Critical 이세일
Priority to KR1020130122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72Locking means to prevent slat dis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상기 회전드럼에 끼워져 고정되는 좌측판과, 우측판과,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간격유지판과, 좌측판과 우측판과 간격유지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적용하면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될 때 항상 정확한 위치에 동일한 길이로 권취되기 때문에 스크린천을 들어올릴 때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똑바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천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천장에 스크린천이 매달렸을 때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Wire guide device for screen shutter}
본 발명은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드럼에 설치되어 스크린을 들어올리는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될 때 항상 정확한 위치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린이 들어 올려질 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화재시 대피하는 사람들의 시간을 벌어주며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다.
현재 방화 및 방연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셔터는 강철로 형성되어 건물 천장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하강시켜 건물의 입구 또는 통로를 차폐토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화셔터는 다수개의 강철이 연결되어 있어 이에 따른 중량과 부피가 커 천정의 설치 공간이 커지고 셔터의 승,하강을 작동하는 모터가 커지게 되어 설치되는 비용이 높고 시공이 까다로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내열성이 강하면서 얇고 가벼운 스크린천을 이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이 높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한 방화 스크린셔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화 스크린셔터의 선행문헌을 들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844525호, 등록실용신안 제0425980호, 제04119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534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및 실용신안에 개시된 종래의 대부분의 스크린셔터는 스크린천이 회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통로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굴절 및 굴곡진 설치구간에는 스크린천을 설치하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스크린천이 굴절된 상태로 회전드럼에 감기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등록번호 제1243062호(명칭: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제1243061호(명칭: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에는 스크린천이 회전드럼에 감기는 것이 아니라,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감기면서 스크린천을 들어올리면 스크린천이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개시된 회전드럼은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될 때 항상 정확한 위치에 감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스크린천이 기울어진 상태로 들어 올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 와이어(W)가 회전드럼(D)에 권취될 때 가이드가 없기 때문에 한쪽 승강용 와이어(W)는 회전드럼(D)에 옆으로 나란하게 감기고 다른 쪽 승강용 와이어(W)는 회전드럼(D)에 적층되게 감기는 현상이 생기는 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스크린천을 당기는 승강용 와이어의 길이 차이가 생겨 스크린천이 승강될 때 기울어지게 되고 천장에 기울어진 상태로 매달려 불안감을 제공하며 미려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린을 들어올리는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될 때 항상 정확한 위치에 권취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스크린천이 들어 올려질 때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똑바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돕는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바를 들어올리면 스크린천이 승강바 상에서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에 끼워져 고정되는 좌측판과, 상기 회전드럼에 끼워져 고정되는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간격유지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과 간격유지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판, 간격유지판, 우측판은 서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하나의 판조립체를 구성하며, 이 판조립체의 중앙에는 드럼결합공이 형성되어 드럼결합공을 통해 회전드럼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위치를 조정한 후 조정된 위치에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 각각 드럼결합공 주변으로 등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볼트체결공과, 상기 간격유지판에 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볼트관통공과, 상기 볼트체결공과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볼트와 함께 좌측판, 간격유지판, 우측판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일부분에는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끼워져 삽입되는 슬릿이 상기 간격유지판의 외주면까지 절개되게 형성되어, 승강용 와이어의 단부를 슬릿에 끼워 고정되도록 한 후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로 안내한 다음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면 승강용 와이어가 간격유지판의 외주면에 포개지면서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적용하면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될 때 항상 정확한 위치에 동일한 길이로 권취되기 때문에 스크린천을 들어올릴 때 기울어지지 않고 항상 똑바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천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천장에 스크린천이 매달렸을 때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크린 셔터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W)가 회전드럼(D)에 권취되면서 승강바(B)를 들어올리면 스크린천(S)이 승강바(B) 상에서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 셔터에 적용된다. 즉, 스크린천(S)이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W)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스크린 셔터는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W)가 회전드럼(D)에 권취되는 형태가 각각 다르면 스크린천(S)을 들어올리는 승강용 와이어(W)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스크린천(S)이 기울어진 상태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를 회전드럼(D)에 적용하면 모든 승강용 와이어(W)가 회전드럼(D)에 항상 정확하게 권취되고 스크린천(S)이 똑바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좌측판(20)과 우측판(30)과 간격유지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측판(20)은 회전드럼(D)에 끼워지게 형성되며 원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우측판(30)도 회전드럼(D)에 끼워지게 형성되며 원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간격유지판(40)은 좌측판(20)과 우측판(30)이 결합될 때 그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용 와이어(W)가 권취될 수 있는 공간(14)을 확보하게 된다. 여기서, 좌측판(20)과 우측판(30)은 원판이 아니라 다각형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간격유지판(40)의 외주면은 승강용 와이어(W)가 권취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간격유지판(40)은 승강용 와이어(W)의 한 가닥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간격유지판(40)에 의해 좌측판(20)과 우측판(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4)은 와이어 한 가닥이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하여 승강용 와이어(W)가 간격유지판(40)의 외주면에 권취될 때 한 가닥씩 포개지면서 권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모든 승강용 와이어(W)가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길이로 권취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판(20), 간격유지판(40), 우측판(30)은 세트를 이루는 것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판조립체(10)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판조립체(10)의 중앙에는 회전드럼(D)에 끼워 넣을 수 있게 드럼결합공(12)이 관통 형성되고, 판조립체(10)는 회전드럼(D)에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용 와이어(W)가 자연스럽게 권취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정한 후 조정된 위치에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게 구성된다. 물론, 판조립체(10)는 승강용 와이어(W)의 개수만큼 회전드럼(D)에 설치되며, 회전드럼(D)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만 있다면 용접 말고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결합수단은 좌측판(20)과 우측판(30)에 각각 드럼결합공(12) 주변으로 등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볼트체결공(22)(32)과, 간격유지판(40)에 볼트체결공(22)(3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볼트관통공(42)과, 볼트체결공(22)(32)과 볼트관통공(4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50)와, 볼트(50)에 체결되어 볼트(50)와 함께 좌측판(20), 간격유지판(40), 우측판(30)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판(20)과 우측판(30)의 일부분에는 승강용 와이어(W)가 끼워져 삽입되는 슬릿(24)(34)이 간격유지판(40)의 외주면까지 절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용 와이어(W)의 단부를 슬릿(24)(34)에 끼워 고정되도록 한 후 좌측판(20)과 우측판(30) 사이로 안내한 다음 회전드럼(D)을 회전시키면 승강용 와이어(W)가 간격유지판(40)의 외주면에 포개지면서 권취된다. 여기서, 슬릿(24)(34)은 좌측판(20)과 우측판(30)의 일부분 한 곳에만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편리하게 끼울 수 있도록 여러 곳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조립체(10)는 회전드럼(D)의 원하는 위치에 바로 결합할 수 있도록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판조립체(10)는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바람직하나, 반원으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는 다수의 판조립체(10)를 다수의 승강용 와이어(W)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회전드럼(D)에 끼워지게 조립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용 와이어(W)의 단부를 슬릿(24)(34)에 끼워 공간(14) 내로 안내되도록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나서 회전드럼(D)을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용 와이어(W)가 간격유지판(40)의 외주면에 일렬로 적층되게 쌓이면서 권취된다. 따라서 모든 승강용 와이어(W)는 동일하게 일렬로 적층되면서 권취되기 때문에 스크린천(S)을 들어올릴 때 기울어짐 없이 똑바로 안정적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판조립체 20: 좌측판
24: 슬릿 30: 우측판
34: 슬릿 40: 간격유지판
50: 볼트 60: 너트
D: 회전드럼 S: 스크린천
W: 승강용 와이어

Claims (5)

  1.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바를 들어올리면 스크린천이 승강바 상에서 폴더식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에 끼워져 고정되는 좌측판과, 상기 회전드럼에 끼워져 고정되는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간격유지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과 간격유지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판, 간격유지판, 우측판은 서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하나의 판조립체를 구성하며, 이 판조립체의 중앙에는 드럼결합공이 형성되어 드럼결합공을 통해 회전드럼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위치를 조정한 후 조정된 위치에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 각각 드럼결합공 주변으로 등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의 볼트체결공과, 상기 간격유지판에 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 형성된 다수의 볼트관통공과, 상기 볼트체결공과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볼트와 함께 좌측판, 간격유지판, 우측판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의 일부분에는 상기 승강용 와이어가 끼워져 삽입되는 슬릿이 상기 간격유지판의 외주면까지 절개되게 형성되어, 승강용 와이어의 단부를 슬릿에 끼워 고정되도록 한 후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로 안내한 다음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면 승강용 와이어가 간격유지판의 외주면에 포개지면서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22669A 2013-10-15 2013-10-15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142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69A KR101421269B1 (ko) 2013-10-15 2013-10-15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69A KR101421269B1 (ko) 2013-10-15 2013-10-15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269B1 true KR101421269B1 (ko) 2014-07-18

Family

ID=5174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669A KR101421269B1 (ko) 2013-10-15 2013-10-15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02B1 (ko) * 2016-02-23 2016-06-30 동락산업 주식회사 방화 셔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603B1 (ko) 2011-08-31 2012-09-14 메코시스 주식회사 경사창의 롤스크린 복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603B1 (ko) 2011-08-31 2012-09-14 메코시스 주식회사 경사창의 롤스크린 복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02B1 (ko) * 2016-02-23 2016-06-30 동락산업 주식회사 방화 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22B1 (ko) 굴곡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43061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217257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구조 및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외장재 시공방법
KR101300908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JP2021008812A (ja) 遮蔽装置
KR102054460B1 (ko) 운반이 용이한 버티칼블라인드용 레일장치
CN108301750A (zh) 一种窗户防火装置
KR101421269B1 (ko) 스크린 셔터의 승강용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10044543A (ko)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KR101273817B1 (ko)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TWM556278U (zh) 防火遮煙捲簾機構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JP5382458B2 (ja) 機械排煙設備
KR100980382B1 (ko)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EP3480411B1 (en) Partition wall and containment device for a roll-up curtain roller for the partition wall
TWI678462B (zh) 横型百葉窗
KR101386714B1 (ko)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JP4870417B2 (ja) 開閉装置
KR20210013385A (ko) 차열 강화 방화셔터
JP6124077B2 (ja) 防煙垂れ壁
KR101654343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20210005389A (ko) 복열 구조의 방화셔터
TWI434989B (zh) 防墜窗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