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382B1 -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 Google Patents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382B1
KR100980382B1 KR1020090122439A KR20090122439A KR100980382B1 KR 100980382 B1 KR100980382 B1 KR 100980382B1 KR 1020090122439 A KR1020090122439 A KR 1020090122439A KR 20090122439 A KR20090122439 A KR 20090122439A KR 100980382 B1 KR100980382 B1 KR 10098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emergency
door
coupl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오
Original Assignee
(주) 신진도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진도아스 filed Critical (주) 신진도아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권취롤러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 비상구가 관통되어 있는 메인스크린; 상기 비상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기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1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어느 일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1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1 비상문;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2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상기 제1 비상문을 기준으로 반대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2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2 비상문; 및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3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3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상기 제2 비상문을 기준으로 반대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3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3 비상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상문이 열리면서 제1 지지부재에 의하여 제2 지지부재가 접촉되어 제2 비상문이 열리고, 제2 지지부재에 의하여 제3 지지부재가 접촉되어 제3 비상문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의 비상구를 개폐하는 3중의 비상문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비상문이 밀착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여닫힘으로써, 각 비상문의 개폐가 원활함과 동시에, 3중 차단에 의하여 연기, 유독가스 및 화염 등을 확실하게 차단시켜 준다.
화재, 비상문, 3중, 차단, 방화스크린, 셔터

Description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Fireproof screen shutter having triple exit door}
본 발명은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재시에 자동으로 하강 되는 방화스크린 셔터로서, 중앙부의 비상구를 개폐하는 3중의 비상문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비상문이 밀착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여닫힘으로써, 각 비상문의 개폐가 원활함과 동시에, 3중 차단에 의하여 연기, 유독가스 및 화염 등을 확실하게 차단시켜 주는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천정에 부착된 열 감지기 또는 연소감지기에 의해 정격전원은 차단되고, 비상전원이 공급되면서 건물 천정에 구역별로 설치된 방화스크린이 하강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재지역을 방화스크린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은 방화스크린 중앙 또는 측면에 설치된 비상문을 개방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스크린은 출렁거림과 비틀림으로 인해 비상문의 닫힘 속 도가 지연되고, 완벽하게 닫히지 못함으로써 비상문과 방화스크린 사이의 틈새로 연기, 유독가스, 화염 등이 새어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시 피난 방향으로 비상문을 쉽게 밀고 나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에 자동으로 하강 되는 방화스크린 셔터로서, 중앙부의 비상구를 개폐하는 3중의 비상문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비상문이 밀착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여닫힘으로써, 각 비상문의 개폐가 원활함과 동시에, 3중 차단에 의하여 연기, 유독가스 및 화염 등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는, 권취롤러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 비상구가 관통되어 있는 메인스크린; 상기 비상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기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1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어느 일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1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1 비상문;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2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상기 제1 비상문을 기준으로 반대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2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2 비상문;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3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3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상기 제2 비상문을 기준으로 반대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3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3 비상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상문이 열리면서 제1 지지부재에 의하여 제2 지지부재가 접촉되어 제2 비상문이 열리고, 제2 지지부재에 의하여 제3 지지부재가 접촉되어 제3 비상문이 열리며, 상기 제1 비상문과 제3 비상문은 상부 폭보다 하부 폭이 각각 더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비상문은 하부 폭보다 상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비상문과 제2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제2 비상문과 제3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어, 상기 제1 비상문과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지그재그의 형태로 밀착되고, 상기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은, 각기 구부러지기 쉬운 방염직물의 재질로서, 각기 비상구에 닫힌 상태에서는 비상구의 좌 우측변 중에서 결합되지 아니한 나머지 변인 상기 제1 비상문의 보강대(515)와 상기 제2 비상문의 보강대(555) 및 상기 제3 비상문의 보강대(575)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각기 형성하고, 각기 비상구에서 동일 방향으로만 여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제1 와이어, 제2 와이어 및 제3 와이어를 당기는 탄성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 제2 힌지 및 제3 힌지는, 상기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열려진 후, 다시 각각 닫히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상문과 제2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제2 비상문과 제3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는 차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스크린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는 비상구를 개폐하도록 3중의 비상문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은 상부 폭보다 하부 폭이 각각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비상문은 하부 폭보다 상부 폭이 더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비상문과 제2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제2 비상문과 제3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됨으로써, 비상문의 개폐에 따른 부하가 줄어듦에 따라, 화재시 피난 방향으로 각 비상문을 쉽게 밀고 나갈 수 있어, 화재를 피하여 안전한 곳으로의 대피가 용이하다.
그리고, 탄성수단이 구비된 각각의 힌지에 의하여,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순차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닫힐 뿐만 아니라, 제1 비상문에 제2 비상문이 견고하게 밀착되고, 상기 제2 비상문에도 제3 비상문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상기 비상문들이 비상구를 확실하게 3중으로 밀폐시킴으로써, 연기, 유독가스 및 화염 등이 확실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방화스크린을 통하여 연기, 유독가스 및 화염 등이 새어나오지 못하므로, 화재로 인한 피해가 다른 곳으로 더 이상 확산 되지는 못한다.
특히, 메인스크린 및 각 비상문들은 방염직물로 구성하여 쉽게 구부러지므로, 권취부 안에 배치되어 있는 귄취롤러에 용이하게 감기거나 또는 풀릴 수 있음으로써, 방화스크린 셔터의 이동, 설치, 탈거 및 점검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화스크린 셔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방화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각각의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는, 천정(미도시)에 설치되는 귄취부(200)에 감겨 있다가 화재 시에 자동으로 하강하는 메인스크린(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권취부(200) 안에는 권취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스크린(100)은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그리고, 메인스크린(100)의 상측에는 상부지지대(410)가 폭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하측에는 하부지지대(450)가 폭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부지지대(410)와 하부지지대(450)는 메인스크린(100)을 밑으로 당김으로써 표면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정한 중량을 가지며 내열성 을 가진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지지대(410)와 하부지지대(450) 사이의 메인스크린(100)에는 비상구(300)가 관통되어 형성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이를 통과하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구(300)에는 제1 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및 제3 비상문(570)이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비상문(510)은 하부지지대(450) 일측에 제1 힌지(514)로써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512)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비상구(300)의 일부분이 덮이면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고, 제2 비상문(550)은 하부지지대(450) 일측에 제2 힌지(554)로써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552)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제1비상문(510)과 일부분 겹쳐지면서 비상구(300)의 일부분이 덮이면서 또 다른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제3 비상문(570)은 비상구(300)의 일측 즉, 제1 비상문(510)과 동일한 방향에 결합되어 제2 비상문(550)의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및 제3 비상문(570)은, 비상구(300)의 우측변 또는 좌측변 중의 결합되지 아니한 나머지 한 변, 즉 보강대(515,555,575)에 의하여 각각 개구부를 형성하는바, 상기 비상구(300)의 각기 개구부는 전체적으로 덮임으로써, 각 비상문(510,550,570)과 메인스크린(100) 사이, 그리고 각 비상문(510,550,570) 사이로 연기, 유독가스 및 화염 등이 새어나오지 못하므로, 화재로 인한 피해가 다른 곳으로 더 이상 확산 되지 못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1 비상문(510)의 폭이 제일 짧고, 제2 비상문(550)의 폭이 두번째이고, 제3 비상문(570)의 폭이 제일 넓게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스크린(100), 제1 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및 제3 비상문(570)은 방염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은 각기 구부리기 쉬운(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권취부(200) 안에 배치되어 있는 귄취롤러에 용이하게 감기거나 또는 풀릴 수 있어, 방화스크린 셔터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제1 비상문(510)의 상부 일측은 제1 와이어(511)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1 와이어(511)의 타단은 상부지지대(410)와 연결되고, 제2 비상문(550)의 상부 일측은 제2 와이어(551)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2와이어(551)의 타단은 상부지지대(410)와 연결되며, 마찬가지로 제3 비상문(570)의 상부 일측은 제3 와이어(571)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3와이어(571)의 타단은 상부지지대(410)와 연결된다.
이때, 상부지지대(410)는 제1 와이어(511), 제2 와이어(551) 및 제3 와이어(571)를 각각 끌어당길 수 있는 인장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미도시)이 각기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각 비상문(510,550,570)이 쉽게 여닫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비상문(510,550,570)이 닫혀진 상태에서 각기 메인스크린(100)에 밀착됨으로써, 권취부(200) 안에 배치되어 있는 권취롤러에 용이하게 감기거나 또는 풀릴 수 있다.
즉, 제1 비상문(510)이 열리게 되면, 상부 지지대(410)에 구비된 탄성 수단이 상기 제1 와이어(511)를 끌어당김으로써, 열려진 제1 비상문(510)이 곧 이어 자 동으로 닫히게 되고, 제2 비상문(550) 및 제3 비상문(570) 또한 열리게 되면, 상부지지대(410)에 구비된 탄성 수단이 제2 와이어(551) 및 제3 와이어(571)를 끌어당김으로써, 곧이어 각기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그리고, 제1 비상문(510)이 첫 번째 즉 가장 내측에 위치하고, 제2 비상문(550)이 두 번째 즉 그 다음에 위치하고, 제3 비상문(570)이 세 번째 위치하므로, 제1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제3 비상문(570)의 순서로 순차적이면서 동일 방향으로 열리게 되고, 순차적이으로 복귀되면서 닫힌다.
따라서, 비상문이 닫히는 순서는 먼저 열린 것부터 곧이어 닫히므로, 각 비상문(510,550,570)은 서로 얽히지 않는다.(도1, 도 4 및 도 5 참고)
아울러, 제1 비상문(510) 및 제3 비상문(570)은 상부 폭보다 하부 폭이 각각 더 넓게 형성되고, 제2 비상문(550)은 하부 폭보다 상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도1, 도 4 및 도 5 참고)
그리고, 각 비상문(510,550,570)의 하단부에는 중량이 무거운 금속 파이프 등의 지지부재(512,552,572)가 결합됨으로써, 각 비상문(510,550,570)은 밑으로 당겨지면서 팽팽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각 비상문(510,550,570)을 밀어서 열면, 마치 판재 형식으로 구성되는 중앙부의 힘 받은 부위의 표면만이 완만하게 돌출되어 표면이 다소 변형될 뿐,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및 제3 비상문(570)은 일반 비상문과 같이 전체로써 여닫힌다.(도 7 참고)
이때, 각기 비상문(510,550,570)이 여닫히는 과정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하게 되며, 회전반경의 차이에 따라서 닫히는 시간이 각각 다르게 되는데, 폭이 제일 좁은 제1 비상문(510)의 닫히는 시간이 제일 빠르고, 이어서 제2 비상문(550)의 닫히는 시간이 두 번째이고, 폭이 제일 넓은 제3 비상문(570)의 닫히는 시간이 제일 느리다.
따라서, 각기 비상문(510,550,570)이 열린 후 닫히는 순서는, 열리는 시간이 제일 빠른 제1 비상문(510)이 먼저 닫히고, 제2 비상문(550)이 그 다음이며, 그리고 제3 비상문(570)이 제일 나중에 닫힌다.
이때, 제1 와이어(511), 제2 와이어(551) 및 제3 와이어(571)는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스틸 와이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비상문(510)의 하단부는 하부지지대(450)와 제1 힌지(514)를 통해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512)에 결합되고, 제2 비상문(550)의 하단부는 하부지지대(450)와 제2 힌지(554)를 통해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552)에 결합되고, 제3 비상문(570)의 하단부는 하부지지대(450)와 제3 힌지(574)를 통해 결합되는 제3 지지부재(572)에 결합된다.
아울러, 제1 힌지(514), 제2 힌지(554) 및 제3 힌지(574)는, 내부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S)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각기 비상문(510,550,570)이 메인스크린(100)에 밀착되도록 가압시키고, 각기 비상문(510,550,570)이 화재발생시의 화압(火壓)에 의하여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기 비상문(510,55 0,570)이 열려진 후 즉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제 3힌지(574)가 제3 비상문(570)을 가압하면, 제3 비상문(570)과 제2 힌지(554)가 제2 비상문(550)을 가압하게 되고, 제2 비상문(550)과 제1 힌지(514)가 제1 비상문(510)을 가압하게 되어, 각기 비상문(510,550,570)과 메인스크린(10 0) 사이의 틈새를 없애주므로, 유독가스, 연기, 화염 등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1비상문(510), 제2비상문(550) 및 제3비상문(570)은 제1 와이어(5 11)와 제1 힌지(514), 제2 와이어(551)와 제2 힌지(554) 및 제3 와이어(571)와 제3힌지(574)에 의해서 평상시 비상구(300)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도 4 참고)
만약, 방화 스크린 셔터가 설치된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 되면, 천정에 부착된 열 감지기(미도시) 등이 이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에 따라 비상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건물 천정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 스크린 셔터가 하강함에 따라,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각기 비상문(510,550,570)은 와이어(511,551,571)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당겨지고, 각 힌지(514,554,574)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비상구(3 00)에 순차적으로 밀착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닫힌다.
상기와 같이 닫힌 각 비상문(510,550,570)은 지그재그 형태로 밀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우수한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화재발생시 유독 가스, 매연, 화염 등이 화재발생구역 밖으로 누출 및 확산 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에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특히, 화재로 인하여 화재현장에서 화압이 발생 되더라도, 각기 비상문(51 0,550,570)을 가압하는 각 힌지(514,554,574의 탄성력이 지지해줌으로써, 비상문( 510,550,570)이 무단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각기 비상문(510,550,570)이 닫힌 상태에서, 우선 대피자가 출구 방향 즉 피난 방향을 향하여 제1 비상문(510)을 밀어서 열면, 이어서 제2 비상문(550)이 밀려서 열리고, 끝으로 제3 비상문(570)도 밀리면서 열리게 됨으로써, 비로소 화재발생구역으로부터 대피하게 된다.
상기 대피 과정에서는, 제1 비상문(510)을 열고난 후 제2 비상문(550)을 여는 사이에 제1 비상문(510)은 먼저 닫힌다. 그리고, 제2 비상문(550)을 열고난 후 제3 비상문(570)을 여는 사이에 제2 비상문(550)은 먼저 닫힌다. 끝으로, 제3비상문(570)을 열고 나가면, 최종적으로 제3 비상문(570)이 닫힌다.
따라서, 제1 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제3 비상문(570)의 순서로 밀어서 열면, 제1 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제3 비상문(570)의 순서로 자동으로닫힘은 명백하다.
이때, 각기 비상문(510,550,570)은, 상단부와 하단부를 잇는 테두리부분인 각 보강대(515,555,57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비상문(510), 제2 비상문(550) 및 제3 비상문(570)이 지그재그 형태로 중첩되므로, 제1 비상문(510)을 열고 난 후, 쉽게 제2 비상문(550) 및 제3 비상문(570)을 순차적으로 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지지대(450)와 제3 힌지(574)를 통해 제3 지지부재(572)에 하단부가 결합되고, 제3 와이어(571)에 의하여 상단부 일측이 상부지지대(410)에 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비상문(570)이 열리는 모습을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비상문(510) 및 제2 비상문(550)이 열리고 나서 최종적으로 제3 비상문(570)이 열릴 때, 제3 힌지(574)를 통하여 하부지지대(450)에 여닫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3 비상문(570)은 상부지지대(410)에 열결되어 있는 제3 와이어(571)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력과 상기 제3 힌지(574)의 작동에 따른 탄성력을 동시에 받는다.
그리고, 상기 제3 비상문(570)은 일측 테두리부에 제3 보강대(575)로써 마감처리되며, 특히 하단부는 금속재질의 제3 지지대(572)에 결합되고, 별도의 제3 하부와이어(576)로써 상기 제3 지지대(572)와 하부지지대(450)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제3 와이어(571)와 함께 작동되면서, 여닫히는 작동이 원활해진다.
따라서, 대피자는 각기 비상문(510,550,570)을 피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밀어서 개방시킴으로써, 화재발생구역으로부터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방화스크린 셔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방화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각각의 비상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방화스크린 셔터에 있어서, 각각의 비상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각각의 비상문에 구비된 힌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제3 와이어 및 제3 힌지가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에 각기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방화문이 열리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스크린 200 : 권취부
300 : 비상구 410 : 상부지지대
450 : 하부지지대 510 : 제1 비상문
511 : 제1 와이어 512 : 제1 지지부재
513 : 제1 원단 514 : 제1 힌지
515 : 제1 보강대 550 : 제2 비상문
551 : 제2 와이어 552 : 제2 지지부재
553 : 제2 원단 554 : 제2 힌지
555 : 제2 보강대 570 : 제3 비상문
571 : 제3 와이어 572 : 제3 지지부재
573 : 제3 원단 574 : 제3 힌지
575 : 제3 보강대 576 : 제3 하부와이어
H : 대피자 S : 스프링

Claims (8)

  1. 권취롤러에 의해 승강되며, 중앙부에 비상구가 관통되어 있는 메인스크린;
    상기 비상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기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부지지대 및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1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어느 일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1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1 비상문;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2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상기 제1 비상문을 기준으로 반대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2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2 비상문;
    상기 하부지지대 일측에 제3 힌지로써 결합되는 제3 지지부재에 하단변이 결합되고, 좌 우측변 중에서 상기 제2 비상문을 기준으로 반대측 변이 상기 메인스크린에 결합되며, 상단변의 일측은 상기 상부지지대에 제3 와이어로써 연결되는 제3 비상문;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상문이 열리면서 제1 지지부재에 의하여 제2 지지부재가 접촉되어 제2 비상문이 열리고, 제2 지지부재에 의하여 제3 지지부재가 접촉되어 제3 비상문이 열리며,
    상기 제1 비상문과 제3 비상문은 상부 폭보다 하부 폭이 각각 더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비상문은 하부 폭보다 상부 폭이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비상문과 제2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제2 비상문과 제3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어, 상기 제1 비상문과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지그재그의 형태로 밀착되고,
    상기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은, 각기 구부러지기 쉬운 방염직물의 재질로서,
    각기 비상구에 닫힌 상태에서는 비상구의 좌 우측변 중에서 결합되지 아니한 나머지 변인 상기 제1 비상문의 보강대(515)와 상기 제2 비상문의 보강대(555) 및 상기 제3 비상문의 보강대(575)를 포함하는 개구부를 각기 형성하고,
    각기 비상구에서 동일 방향으로만 여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제1 와이어, 제2 와이어 및 제3 와이어를 당기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제2 힌지 및 제3 힌지는, 상기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열려진 후, 다시 각각 닫히도록 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상문과 제2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고, 상기 제2 비상문과 제3 비상문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의 중앙부에서 일부분이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상문, 제2 비상문 및 제3 비상문이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비상구는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KR1020090122439A 2009-07-10 2009-12-10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KR100980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157 2009-07-10
KR20090063157 2009-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382B1 true KR100980382B1 (ko) 2010-09-07

Family

ID=4300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439A KR100980382B1 (ko) 2009-07-10 2009-12-10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3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5B1 (ko) * 2010-11-25 2011-06-09 위선복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269599B1 (ko) 2013-01-24 2013-06-05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KR101724112B1 (ko) * 2016-05-04 2017-04-06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방화용 커버
KR101994223B1 (ko) 2019-01-18 2019-07-0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KR20200018924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선일기업 방화 스크린 셔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95Y1 (ko) * 2006-03-07 2006-06-08 박재성 일체형 자동방화셔터
KR200428452Y1 (ko) * 2006-07-19 2006-10-12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KR20080022480A (ko) * 2006-09-06 2008-03-11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방화구획용 스크린 셔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295Y1 (ko) * 2006-03-07 2006-06-08 박재성 일체형 자동방화셔터
KR200428452Y1 (ko) * 2006-07-19 2006-10-12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KR20080022480A (ko) * 2006-09-06 2008-03-11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방화구획용 스크린 셔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25B1 (ko) * 2010-11-25 2011-06-09 위선복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269599B1 (ko) 2013-01-24 2013-06-05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 구조
KR101724112B1 (ko) * 2016-05-04 2017-04-06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방화용 커버
KR20200018924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선일기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106786B1 (ko) * 2018-08-13 2020-05-06 주식회사 선일기업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994223B1 (ko) 2019-01-18 2019-07-0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382B1 (ko)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KR100842219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KR100789767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KR102389924B1 (ko) 수평이동 비상탈출구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TWM496677U (zh) 防火捲門之捲幕箱布幕氣密結構改良
KR101742044B1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JP4789763B2 (ja) ウォークスルー耐火スクリーン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JP3740332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100695878B1 (ko) 방화스크린장치
JP2000160960A (ja) シートシャッター
KR200411903Y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644626B1 (ko)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60040092A (ko) 방화셔터
KR101386714B1 (ko)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106786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20210128692A (ko) 방화기능이 향상된 방화장치
JP3643611B2 (ja) 耐火シート製巻取式可動たれ壁
JP3457908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CN213683799U (zh) 一种防火卷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