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112B1 - 방화용 커버 - Google Patents

방화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112B1
KR101724112B1 KR1020160055195A KR20160055195A KR101724112B1 KR 101724112 B1 KR101724112 B1 KR 101724112B1 KR 1020160055195 A KR1020160055195 A KR 1020160055195A KR 20160055195 A KR20160055195 A KR 20160055195A KR 101724112 B1 KR101724112 B1 KR 10172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plate
coupled
hinge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방화용 커버는 건축물의 각 층 바닥과 천정을 관통하는 관통홀 인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천정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은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설치관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상기 관통홀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화용 커버{COVER FOR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방화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관이 관통되도록 건축물의 각 층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을 화재 시 폐쇄하여 관통홀을 통해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치관은 건축물의 각 층 바닥을 관통하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설치관은 건축물의 각 층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서 각 층 바닥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설치관에는 각종 전선관 및 케이블 등이 설치되며 PVC로 이루어진다.
특히, PVC는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유독성 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관통홀에 설치된 설치관을 통해 유입되는 유독성 물질 및 화염을 차단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관통홀을 통해서 설치관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유입되어 화재가 건물 전체로 확산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특 2002-003413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의 화재 발생 시 설치관이 설치된 관통홀을 폐쇄하여 관통홀을 통해서 유독성 물질과 화염의 유입을 차단하여 건축물의 전체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방화용 커버는 건축물의 각 층 바닥과 천정을 관통하는 관통홀 인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천정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은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설치관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상기 관통홀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 내주면에는 관통 파이프가 밀착 결합되며, 상기 관통 파이프와 설치관 사이에는 상기 설치관을 지지하는 지지 패드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관과 지지 패드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팽창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할 수 있는 열 팽창 테이프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일측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천정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가 형성 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설치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제2 힌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 사이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관의 외측면을 지지 시 커버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며, 탄성력에 의해서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할 수 있도록 일단이 제1 힌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힌지부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1,2 힌지부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통해서 상기 설치관이 화재에 의해 파손 시 상기 관통홀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천정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상호 대응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부의 일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부에 각각 결합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서 회동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 일부 또는 전체가 중첩되어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한 쌍이 상호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커버는 건축물의 각 층 바닥에 형성된 관통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폐쇄 플레이트가 화재 발생 시 관통홀 측으로 회동되어 관통홀을 폐쇄하므로 설치관이 파손되며 발생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 플레이트를 통해서 화염이 차단되므로 건축물의 전체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 시 건축물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 플레이트 이외에 열에 의해 팽창되는 열 팽창 테이프가 관통홀을 폐쇄하므로 이차적으로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관통홀을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커버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방화용 커버(100)는 건축물의 각 층 바닥(10)과 천정(20)을 관통하는 관통홀(30) 인근에 설치되는 설치관(40)이 화재 발생 시 파손되며 발생하는 유독성 물질 및 화염이 관통홀(30)을 통해 유입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방화용 커버(100)는 힌지부(110)와 커버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110)는 관통홀(20)이 형성된 천정(20)에 일측이 설치되며, 타측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110)는 제1 힌지부(111)과 제2 힌지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힌지부(111)는 일측이 관통홀(30)이 형성된 천정(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112)가 형성 된다.
상기 제2 힌지부(113)는 제1 힌지부(111)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홀(30)을 관통하여 설치된 설치관(4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힌지부(111)와 제2 힌지부(112) 사이에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설치관(40)의 외측면을 지지 시 커버 플레이트(120)의 유동을 방지하며, 탄성력에 의해서 커버 플레이트(120)가 관통홀(30)을 폐쇄할 수 있도록 일단이 제1 힌지부(1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힌지부(113)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114)가 개재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제1,2 힌지부(111)(113)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114)의 탄성력을 통해서 설치관(40)이 화재에 의해 파손 시 관통홀(30) 측으로 회동하여 관통홀(30)을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제2 힌지부(111)에 결합되어 설치관(40)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있다가 화염에 의해 설치관(40)이 파손 시 관통홀(20) 측으로 회동되어 관통홀(30)을 폐쇄하며, 설치관(40)에서 발생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관통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힌지부(111)는 일측이 관통홀(30)이 형성된 천정(2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상호 대응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제1 힌지부(111)의 일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부(113)에 각각 결합되어 화재 발생 시 관통홀(30)의 양측에서 회동되어 커버 플레이트(120)가 일부 또는 전체가 중첩되어 관통홀(30)을 폐쇄하도록 한 쌍이 상호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30)을 중첩되게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120)의 중첩 부위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160)가 구비되어 커버 플레이트(120)의 중첩 부위를 밀폐하여 관통홀(30)을 통해 유입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의 유입을 차단시키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0)의 내주면에는 관통 파이프(130)가 밀착 결합되며, 관통 파이프(130)와 설치관(40) 사이에는 설치관(40)을 지지하는 지지 패드(140)가 개재된다.
또한, 상기 설치관(40)과 지지 패드(140)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관통홀(30)의 내부로 팽창되어 관통홀(30)을 폐쇄할 수 있는 열 팽창 테이프(150)가 개재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방화용 커버(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천정(20)에 결합된 힌지부(11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상태로 설치관(40)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제1 힌지부(11)와 제2 힌지부(113)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114)를 통하여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관(40)을 지지한다.
그리고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어 설치관(40)의 파손 시 설치관(40)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120)가 관통홀(30) 측으로 회동되면서 관통홀(30)을 폐쇄 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20)는 설치관(40)을 지지하고 있다가 화염에 의해 설치관(40)이 파손 시 관통홀(30) 측으로 회동되어 관통홀(30)을 폐쇄하며, 설치관(40)에서 발생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관통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 패드(140)와 설치관(40) 사이에 개재된 열 팽창 테이프(150)는 화염에 의해 관통홀(30)의 내부로 팽창되면서 관통홀(30)을 이차적으로 폐쇄하여, 설치관(40)이 파손되면서 발생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관통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커버(100)는 건축물의 각 층 바닥(10)과 천정(20)을 관통하는 관통홀(30)의 천정(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폐쇄 플레이트(120)가 화재 발생 시 관통홀(30) 측으로 회동되어 관통홀(30)을 폐쇄하므로 설치관(40)이 파손되며 발생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관통홀(30)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쇄 플레이트(120)를 통해서 화염이 차단되므로 건축물의 전체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 시 건축물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쇄 플레이트(120) 이외에 열에 의해 관통홀(30) 내부에서 팽창되는 열 팽창 테이프(150)가 관통홀(30)을 폐쇄하므로 이차적으로 유독성 물질과 화염이 관통홀(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바닥 20: 천정
30: 관통홀 40: 설치관
100: 방화용 커버 110: 힌지부
111: 제1 힌지부 112: 결합 돌기
113: 제2 힌지부 114: 탄성 부재
120: 커버 플레이트 130: 관통 파이프
140:지지 패드 150: 열 팽창 테이프
160: 실링 부재

Claims (5)

  1. 건축물의 각 층 바닥과 천정을 관통하는 관통홀 인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천정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은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설치관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화재 발생 시 상기 힌지부에 대해 상기 관통홀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일측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천정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가 형성 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된 설치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제2 힌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천정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상호 대응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부의 일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힌지부에 각각 결합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서 회동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 일부 또는 전체가 중첩되어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한 쌍이 상호 대응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홀을 중첩되게 폐쇄하는 커버 플레이트의 중첩 부위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중첩 부위를 밀폐하여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는 유독성 물질과 화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방화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 내주면에는 관통 파이프가 밀착 결합되며, 상기 관통 파이프와 설치관 사이에는 상기 설치관을 지지하는 지지 패드가 개재되는 방화용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관과 지지 패드 사이에는 화재 발생 시 팽창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할 수 있는 열 팽창 테이프가 개재되는 방화용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 사이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관의 외측면을 지지 시 커버 플레이트의 유동을 방지하며, 탄성력에 의해서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할 수 있도록 일단이 제1 힌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힌지부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제1,2 힌지부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통해서 상기 설치관이 화재에 의해 파손 시 상기 관통홀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방화용 커버.
  5. 삭제
KR1020160055195A 2016-05-04 2016-05-04 방화용 커버 KR10172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95A KR101724112B1 (ko) 2016-05-04 2016-05-04 방화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95A KR101724112B1 (ko) 2016-05-04 2016-05-04 방화용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112B1 true KR101724112B1 (ko) 2017-04-06

Family

ID=5858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195A KR101724112B1 (ko) 2016-05-04 2016-05-04 방화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1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4599A (ja) * 1992-04-16 1993-11-09 Komura Seisakusho:Kk 熱源器設置作業装置
KR20020034134A (ko) 2002-04-12 2002-05-08 조정용 열팽창 난연 테이프
JP2009178398A (ja) * 2008-01-31 2009-08-13 Cci Corp 防火アタッチメント
KR100980382B1 (ko) * 2009-07-10 2010-09-07 (주) 신진도아스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JP2011250553A (ja) * 2010-05-25 2011-12-08 Sekisui Chem Co Ltd 船舶の防火区画貫通部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4599A (ja) * 1992-04-16 1993-11-09 Komura Seisakusho:Kk 熱源器設置作業装置
KR20020034134A (ko) 2002-04-12 2002-05-08 조정용 열팽창 난연 테이프
JP2009178398A (ja) * 2008-01-31 2009-08-13 Cci Corp 防火アタッチメント
KR100980382B1 (ko) * 2009-07-10 2010-09-07 (주) 신진도아스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JP2011250553A (ja) * 2010-05-25 2011-12-08 Sekisui Chem Co Ltd 船舶の防火区画貫通部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4966A (en) Fire stopping apparatus
KR200487404Y1 (ko)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KR101687140B1 (ko) 건물의 배관 내 내화충전재 장착장치
KR20150033328A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KR20100074363A (ko) 방화 댐퍼가 구비된 환기구
JP6391722B2 (ja) 排水配管構造
KR101724112B1 (ko) 방화용 커버
JP5426860B2 (ja) 閉塞部材及び該閉塞部材を用いた排水配管構造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JP2010139056A (ja)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NO20082966L (no) Varmesperreflens
JP2007056537A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樹脂製排水配管継手
JP5859042B2 (ja) 排水配管継手
KR20210156496A (ko) 방화문의 소화장치
GB2517476A (en) Fire resistant ducting systems
JP2007056538A (ja) 排水管
RU24060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 и задвижек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6628094B2 (ja) 熱膨張テープ防火シャッタ
KR101262824B1 (ko) 방화구획체의 구조
KR20190068167A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JP2008510943A (ja) 隔壁の設置構造用の火災保護構造
CN110140268A (zh) 具有防烟和防火保护的过渡装置
KR101477964B1 (ko) 후드방화용뎀퍼모듈
BR112018073573A2 (pt) equipamento vedador metal-metal de poç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