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501B1 -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 Google Patents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501B1
KR102467501B1 KR1020220069385A KR20220069385A KR102467501B1 KR 102467501 B1 KR102467501 B1 KR 102467501B1 KR 1020220069385 A KR1020220069385 A KR 1020220069385A KR 20220069385 A KR20220069385 A KR 20220069385A KR 102467501 B1 KR102467501 B1 KR 102467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fire extinguishing
suffocation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
김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 김호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
Priority to KR102022006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for varying speed or reversing direction of rotation of drums or barrels, i.e. variable ratio or reversing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5Actuated by chain, belt or by fri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질식소화포가 밀폐형으로 제작되고 수납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차량의 상측에서 질식소화포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SUFFOCATION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FIRE OF CARS}
본 발명은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질식소화포가 밀폐형으로 제작되고 수납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차량의 상측에서 질식소화포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화재는 탑승자뿐만 아니라 주변을 통행하는 다른 차량 및 보행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성이 높다. 차량 화재는 통풍이 원활하고 유류가 연료로 사용된다는 점으로 인해 빠르게 연소 확대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연소성이 강한 리튬 이온 배터리로 인해 진압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근래에는 차량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 불연성 소화포를 이용하고 있다. 질식 소화를 위해 불연성 소화포를 화재 차량에 덮는 경우, 내연 기관 차량의 화재 진압은 가능할 수 있으나, 연소성이 강한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 자동차의 화재 진압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불연성 소화포로 차량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방관들이 직접 차량 근처로 접근하여 차량에 불연성 소화포를 덮는 작업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차량 폭발등에 인한 안전 사고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차량에 불연성 소화포를 덮는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량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화재 차량을 둘러싸는 대형 컨테이너 수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형 컨테이너 수조 차량을 일선 소방서에 모두 보급하는 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질식소화포를 밀폐형으로 제작하고, 이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수납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차량의 상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질식형 차량 화재 진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수납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와이어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수납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양단이 설치되고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고정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승강프레임과,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통해 고정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되는 밀폐형 질식소화포와, 상기 고정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와이어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승강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프레임을 들어올리고 동시에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하단부터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져 상기 수납프레임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고, 회전드럼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프레임과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하강하면서 바닥에 닿아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차량을 사방에서 한번에 감싸면서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은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 내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이 배치되고 고정프레임이 고정판에 결합되면서 고정판에 고정됨과 아울러, 고정프레임의 외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부고정판이 밀착되고 상부고정판을 나사를 통해 고정프레임에 결합하여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이 고정프레임에 밀착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은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 내면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외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 둘레를 따라 하부고정판이 밀착되고 하부고정판을 나사를 통해 승강프레임에 결합하여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이 승강프레임에 밀착되면서 고정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의 와이어관통공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와이어관통공 및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와이어관통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 및 외측 와이어관통공은 고정프레임을 따라 지그재그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내측 가이드롤러 및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 가이드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의 저면에는 승강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에 상기 승강용 와이어의 하단이 결합되는 와이어고정구가 설치되는 승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는 상기 승강판에 승강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내측 와이어고정구 및 상기 승강판에 승강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외측 와이어고정구로 구성되되, 내측 와이어고정구 및 외측 와이어고정구는 승강판에 결합되는 수나사고정봉 및 상단에 승강용 와이어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볼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수나사고정봉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암나사고정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용 와이어는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내측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내측 와이어고정구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내측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내측 승강용 와이어 및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외측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외측 와이어고정구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외측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외측 승강용 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수납프레임으로 수납되거나 수납프레임에서 펼쳐질 때,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내측 및 외측면이 내측 승강용 와이어 및 외측 승강용 와이어 사이에서 지지 가이드되면서 순차적으로 접혀서 수납되거나 펼쳐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회전드럼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에 의해 회전드럼으로 전달되게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구동스프로킷 사이에는 클러치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클러치를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구동스프로킷에 전달되게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에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클러치를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구동스프로킷에 전달되지 않게 분리시켜 승강프레임 및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자중에 의해 승강용 와이어가 빠르게 풀림되면서 차량의 상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을 사방에서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되고,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외면에는 도장액으로 도장면을 형성하되, 상기 도장면을 형성하는 도장액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입도를 갖는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 20중량부,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15중량부,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 10중량부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는 질식소화포가 밀폐형으로 제작되고, 이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수납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가져, 차량의 상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는 수납프레임을 소방차, 각종기중장비 또는 기중장치에 설치하여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할 뿐만이 아니라, 소방관이 직접 차량 근처로 접근할 필요가 없이 차량의 상부에 크레인을 통해 밀폐형 질식소화포를 위치시킨 후 한번에 밀폐형 질식소화포로 차량을 덮어 차량의 화재 진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 진압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는 질식소화포가 밀폐형으로 제작되고 수납프레임에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차량의 상측에서 질식소화포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을 사방에서 감싸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조를 좀 더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는 수납프레임(100), 고정판(200), 지지프레임(300), 회전드럼(400), 고정프레임(500), 승강프레임(600), 밀폐형 질식소화포(700), 가이드롤러(800) 및 승강용 와이어(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프레임(100)은 내부에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프레임(100)은 차량 및 장비를 덮어 씌울 수 있는 돔,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각박스형태의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납프레임(100)은 후술하는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내부에 수납되거나 하강하면서 펼쳐지게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수납프레임(100)은 미도시된 소방차 등에 설치되어 이동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소방차의 크레인 및 각종 기중장비나 기중장치에 설치와이어(W)를 통해 설치되어 화재 차량(C)의 상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펼쳐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200)은 상기 수납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와이어관통공(2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판(200)은 후술하는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상단이 고정되게 지지하고, 가이드롤러(80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200)은 중앙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수납프레임(100)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회전드럼(4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300)은 상기 수납프레임(100)의 상단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회전드럼(40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드럼(400)은 상기 지지프레임(300)에 양단이 설치되고 구동수단(4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드럼(400)은 지지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를 승강시키는 후술하는 승강용 와이어(900)가 권취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400)은 구동수단의 동력을 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 상기 구동수단(410)은 구동모터(411)와, 구동모터(411)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412)과, 회전드럼(4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스프로킷(413)과, 구동스프로킷(412)과 피동스프로킷(413)을 연결하는 체인(41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체인 방식 외에도 풀리 방식이나 기어 방식으로 이용하여 구동모터(411)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동모터(411)는 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상기 고정판(200)에 후술하는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를 고정시키는 프레임으로 상기 고정판(2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500)은 상기 수납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각형태의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프레임(600)은 상기 고정프레임(500)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고정프레임과 대응되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승강프레임(600)은 후술하는 승강용 와이어(900)를 통해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는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은 상기 고정프레임(500)을 통해 고정판(200)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6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형 질실소화포는 돔,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각박스형태의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는 상기 수납프레임(100)에 승강용 와이어(700)를 통해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승강하는 구조를 가져, 수납프레임(100)이 차량(C)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납프레임(100)에서 하강하면서 차량(C)을 사방에서 감싸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는 공지의 불연성 재료 및 방수성 재료를 적용할 수 있으나,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는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실리카 원단(유리섬유) 또는 내화도가 높은 각종 코팅섬유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상단은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상단 내면에 상기 고정프레임(500)이 배치되고 고정프레임(500)이 고정판(200)에 결합되면서 고정판에 고정됨과 아울러, 고정프레임(500)의 외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부고정판(710)이 밀착되고 상부고정판(710)을 나사(S)를 통해 고정프레임(500)에 결합하여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상단이 고정프레임(500)에 밀착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하단은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하단 내면에 상기 승강프레임(600)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승강프레임(600)의 외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하단 둘레를 따라 하부고정판(720)이 밀착되고 하부고정판(720)을 나사(S)를 통해 승강프레임(600)에 결합하여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하단이 승강프레임(600)에 밀착되면서 고정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롤러(800)는 상기 고정판(2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와이어관통공(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판(200)의 와이어관통공(210)을 통해 설치되는 승강용 와이어(800)가 회전드럼(400)에 권취되거나 회전드럼(400)에서 풀림될 때, 가이드롤러(710)를 통해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권취 및 풀림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용 와이어(900)는 하단이 상기 승강프레임(60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와이어관통공(210)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롤러(800)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400)에 권취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드럼(40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승강용 와이어(900)가 회전드럼(400)에 권취되면서 승강프레임(600)을 상승시키게 되고, 회전드럼(400)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승강용 와이어(900)가 회전드럼(400)에서 풀리면서 승강프레임(600)을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승강프레임(600)의 저면에는 승강프레임(600)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에 상기 승강용 와이어(900)의 하단이 결합되는 와이어고정구(620)가 설치되는 승강판(6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용 와이어(600)가 와이어고정구(620)가 고정되는 방식은 일단이 회전드럼(400)에 고정되어 있는 승강용 와이어(600)의 타단이 고정판(200)에 형성된 와이어관통공(210)을 통과하여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측방을 따라 하측으로 설치되며 승강판(610)에 설치된 와이어고정구(620)에 고정된다. 물론, 승강용 와이어(600)는 와이어관통공(210)을 통과하여 회전드럼(400)에 고정될 때 가이드롤러(800)를 통해 안내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프레임(100)이 소방차의 크레인 및 각종 기중장비나 기중장치에 설치와이어(W)를 통해 설치된 상태에서 수납프레임(100)을 화재 차량(C)의 상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수납프레임(100)에 수납된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를 하강시키게 된다. 즉, 차량(C)에 화재가 발생하면 회전드럼(400)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용 와이어(900)를 풀게 되고, 승강용 와이어(900)가 풀리면서 승강판(610)이 설치된 승강프레임(600)과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하강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610)이 바닥에 닿아된다. 그러면,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차량(C)을 사방에서 한번에 감싸면서 질식시켜 차량(C)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다. 즉,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를 통해 화재 차량(C)을 감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게 구성되어 차량(C)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는 차량(C)의 화재 진압 후 승강판(610)이 설치된 승강프레임(600)과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를 수납프레임(100)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회전드럼(40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승강용와이어(900)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판(610)을 들어올리게 되고 승강판(610)이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를 받쳐 들어올리면서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상승하고 접혀진 밀폐형 질식소화포(700)는 수납프레임(100)의 내부로 수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승강용 와이어(900)에 그 양측이 지지되어 승강용 와이어(900) 내에서 안내되면서 접히거나 펼쳐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판(200)의 와이어관통공(210)은 상기 고정프레임(5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와이어관통공(211) 및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와이어관통공(212)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211) 및 외측 와이어관통공(212)은 고정프레임(500)을 따라 지그재그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800)는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내측 가이드롤러(810) 및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8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 가이드롤러(8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고정구(620)는 상기 승강판(610)에 승강프레임(600)의 내측으로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211)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내측 와이어고정구(621) 및 상기 승강판(610)에 승강프레임(600)의 외측으로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212)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외측 와이어고정구(6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와이어고정구(621) 및 외측 와이어고정구(622)는 승강판(610)에 결합되는 수나사고정봉(621a,622a) 및 상단에 승강용 와이어(900)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볼(621b,622b)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수나사고정봉(621a,622a)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암나사고정봉(621c,622c)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나사고정봉(621a,622a)에 암나사고정봉(621c,622c)이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승강판(610)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용 와이어(900)는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내측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내측 와이어고정구(621)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211)을 통과하여 내측 가이드롤러(810)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400)에 권취되는 내측 승강용 와이어(910) 및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외측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외측 와이어고정구(622)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212)을 통과하여 외측 가이드롤러(820)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400)에 권취되는 외측 승강용 와이어(9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수납프레임(100)으로 수납되거나 수납프레임(100)에서 펼쳐질 때,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내측 및 외측면이 내측 승강용 와이어(910) 및 외측 승강용 와이어(920) 사이에서 지지 가이드되면서 순차적으로 접혀서 수납프레임(100)에 수납되거나 수납프레임(100)에서 펼쳐지게 구성된다.
더블어,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400)이 회전되게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410)에는 상기 구동모터(411)의 축과 구동스프로킷(412) 사이에 구동모터(411)의 동력을 구동스프로킷(412)으로 선택적으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41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드럼(40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클러치(415)를 통해 구동모터(411)의 동력이 구동스프로킷(412)에 전달되게 연결하여 구동모터(411)의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400)에 승강용 와이어(900)가 권취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드럼(400)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클러치(415)를 통해 구동모터(411)의 동력이 구동스프로킷(412)에 전달되지 않게 분리시켜 승강프레임(600) 및 밀폐형 질식소화포(700)의 자중에 의해 승강용 와이어(900)가 빠르게 풀림되면서 차량(C)의 상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C)을 사방에서 빠르게 감싸 질식시켜 차량(C)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C)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수납프레임(100)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700)가 빠르게 펼쳐지면서 차량(C)을 사방에서 한번에 질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C)에 발생된 화재를 빠르게 진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외면에는 에폭시수지로 제조된 도장액으로 도장처리하여 도장면을 형성함으로써 내열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장액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입도를 갖는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 20중량부,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15중량부,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 10중량부를 첨가하여 도장액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와 지르코니아의 표면활성 증대 특성을 활용하여 완충, 흡음을 강화시키며, 성분간 응집력을 높여 크랙발생을 억제하고 견고한 결합체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TCPP는 내열성을 강화시켜 높은 온도에서도 피로도를 낮춰 크랙, 파단이 생기지 않고 도장면이 장수명화를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은 산소의 흡습 침투를 막아 도장면의 크랙과 파단을 막아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내열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장액 100중량부에 대해, 붕규산유리 15중량부, PEBAX(Polyether-block-amide) 10중량부, 폴리아미드아민 10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 붕규산유리는 내열충격성이 뛰어나고 화학적내구성이 우수하여 도장면의 장수명화를 유도하고; PEBAX는 저온에서도 경도변화가 작고, 내피로성이 뛰어나며, 비중이 작아 성형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낮고, 내굴곡 피로성, 내후성, 유연성, 내크립성, 우수한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은 내열, 내한성을 가일층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수납프레임 200: 고정판
300: 지지프레임 400: 회전드럼
500: 고정프레임 600: 승강프레임
700: 밀폐형 질식소화포 800: 가이드롤러
900: 승강용 와이어

Claims (4)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수납프레임과, 상기 수납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와이어관통공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수납프레임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양단이 설치되고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측으로 설치되고 고정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승강프레임과,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단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통해 고정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고정되는 밀폐형 질식소화포와, 상기 고정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와이어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하단은 상기 승강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승강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용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면서 승강프레임을 들어올리고 동시에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하단부터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들어 올려져 상기 수납프레임 내부로 수납되게 구성되고, 회전드럼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프레임과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하강하면서 바닥에 닿아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차량을 사방에서 한번에 감싸면서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판의 와이어관통공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와이어관통공 및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와이어관통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 및 외측 와이어관통공은 고정프레임을 따라 지그재그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내측 가이드롤러 및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외측 가이드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의 저면에는 승강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면에 상기 승강용 와이어의 하단이 결합되는 와이어고정구가 설치되는 승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는 상기 승강판에 승강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내측 와이어고정구 및 상기 승강판에 승강프레임의 외측으로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외측 와이어고정구로 구성되되, 내측 와이어고정구 및 외측 와이어고정구는 승강판에 결합되는 수나사고정봉 및 상단에 승강용 와이어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볼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상기 수나사고정봉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암나사고정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용 와이어는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내측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내측 와이어고정구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내측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내측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내측 승강용 와이어 및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외측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외측 와이어고정구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외측 와이어관통공을 통과하여 외측 가이드롤러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외측 승강용 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수납프레임으로 수납되거나 수납프레임에서 펼쳐질 때,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내측 및 외측면이 내측 승강용 와이어 및 외측 승강용 와이어 사이에서 지지 가이드되면서 순차적으로 접혀서 수납되거나 펼쳐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은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 내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이 배치되고 고정프레임이 고정판에 결합되면서 고정판에 고정됨과 아울러, 고정프레임의 외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부고정판이 밀착되고 상부고정판을 나사를 통해 고정프레임에 결합하여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상단이 고정프레임에 밀착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은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 내면에 상기 승강프레임의 외측면이 밀착되게 배치되고, 승강프레임의 외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 둘레를 따라 하부고정판이 밀착되고 하부고정판을 나사를 통해 승강프레임에 결합하여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하단이 승강프레임에 밀착되면서 고정 결합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과, 회전드럼의 일단에 결합되는 피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에 의해 회전드럼으로 전달되게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구동스프로킷 사이에는 클러치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클러치를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구동스프로킷에 전달되게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에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되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드럼이 권취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클러치를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구동스프로킷에 전달되지 않게 분리시켜 승강프레임 및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자중에 의해 승강용 와이어가 빠르게 풀림되면서 차량의 상측에서 밀폐형 질식소화포가 빠르게 하강하면서 차량을 사방에서 한번에 질식시켜 차량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되고,
    상기 밀폐형 질식소화포의 외면에는 도장액으로 도장면을 형성하되, 상기 도장면을 형성하는 도장액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입도를 갖는 실리카-지르코니아 복합분체 20중량부, TCPP(Tris 2-chloropropyl phosphate) 15중량부, 6-브로모헥산산(6-bromohexanoic acid) 10중량부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1020220069385A 2022-06-08 2022-06-08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102467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85A KR102467501B1 (ko) 2022-06-08 2022-06-08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85A KR102467501B1 (ko) 2022-06-08 2022-06-08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501B1 true KR102467501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385A KR102467501B1 (ko) 2022-06-08 2022-06-08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272B1 (ko) 2023-05-30 2024-05-08 주식회사 쉴드원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61B1 (ko) * 2012-10-30 2013-03-13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644626B1 (ko) * 2015-03-04 2016-08-01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61B1 (ko) * 2012-10-30 2013-03-13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644626B1 (ko) * 2015-03-04 2016-08-01 이세일 밀폐형 스크린 셔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272B1 (ko) 2023-05-30 2024-05-08 주식회사 쉴드원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822B1 (ko) 살수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102467501B1 (ko) 질식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CN106246085A (zh) 一种多功能防护窗
CN102755707A (zh) 高楼火灾灭火喷水枪吊升方法及灭火喷水枪
CN106178296A (zh) 一种建筑物消防救生系统
KR101646497B1 (ko)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CN203935526U (zh) 一种用于建筑的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JP2005305076A (j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CN203935529U (zh) 一种用于建筑的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CN203154635U (zh) 一种缓降器
CN214994840U (zh) 一种防火保温安全型钢结构
CN115591157A (zh) 一种沉降式电动汽车灭火系统
CN114602086A (zh) 高层建筑用高空消防救援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569487B (zh) 高层建筑消防用逃生装置
CN114597832A (zh) 一种防火型电缆桥架
CN114865466A (zh) 一种工业配电柜
CN214845061U (zh) 一种防火涂料耐火性实验装置
KR102663272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CN203989533U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CN205031799U (zh) 一种建筑的火灾救援供气系统
CN213884818U (zh) 一种电力电缆密集区实时监控设备
CN104906700A (zh) 一种具有救援功能的放绳设备
CN215169692U (zh) 一种消防梯
CN114259660B (zh) 一种消防器材存储及应急避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