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390B1 -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 Google Patents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390B1
KR102289390B1 KR1020190102212A KR20190102212A KR102289390B1 KR 102289390 B1 KR102289390 B1 KR 102289390B1 KR 1020190102212 A KR1020190102212 A KR 1020190102212A KR 20190102212 A KR20190102212 A KR 20190102212A KR 102289390 B1 KR102289390 B1 KR 10228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vertical screen
extens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883A (ko
Inventor
이덕희
박원희
권태순
임휘영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0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3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는 고정 프레임, 상부 스크린, 수직 스크린, 홀더 프레임, 접이 프레임 및 상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벽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급기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스크린은 비상시에 펼쳐져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 스크린은 비상시에 하강하여 대피통로의 측부를 형성한다. 상기 홀더 프레임은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크린의 끝단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된다. 상기 접이 프레임은 비상시에 상기 홀더 프레임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자부는 평상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상기 홀더 프레임 및 상기 접이 프레임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따라 연장된다.

Description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FOLDABLE EVACUATION PASSAGE}
본 발명은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이나 지하 공간 등에 설치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에 긴급하게 펼쳐져 사용자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대피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간이나 지하 공간에 설치되어, 비상시에 피난자들의 대피 공간을 확보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563호에서는, 접혀있던 상태에서 펼쳐지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해당 공간에서 피난자들이 구출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피난자들은 해당 공간에서 머물러 있어야 하는 것으로, 비상 상태의 종류에 따라 피난자들이 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에서는, 측면에서 롤스크린이 하강하여 피난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개시하며, 이를 통해, 피난자들이 외부로 피난 통로를 따라 피난할 수 있으며, 롤 스크린을 통해 형성되는 피난 통로의 내부에 화재 등으로 인한 연기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양압 형성 기술도 개시하고 있다.
나아가,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224232호에서도, 롤 스크린이 하강하여 피난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개시하며, 내측에 물을 분사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다수의 비상 대피통로와 관련된 기술들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설치 구조나 설치 비용 등의 문제와, 설치 공간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현장 설치의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5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2-224232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의 설치 공간을 최소로 차지하며, 비상시에 작동이 용이하며, 계단과 같은 경사구간에 적용될 수 있어, 사용성,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대피통로는 고정 프레임, 상부 스크린, 수직 스크린, 홀더 프레임, 접이 프레임 및 상자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벽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급기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스크린은 비상시에 펼쳐져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수직 스크린은 비상시에 하강하여 대피통로의 측부를 형성한다. 상기 홀더 프레임은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크린의 끝단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된다. 상기 접이 프레임은 비상시에 상기 홀더 프레임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상자부는 평상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상기 홀더 프레임 및 상기 접이 프레임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따라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외면에 복수의 배기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통로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부들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환부에 의해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바를 포함하며, 비상시에 상기 회전바는 고정(locking)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스크린이 펼쳐지고, 상기 수직 스크린이 하강하는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경사각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각 고정핀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 사이의 고정각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은, 비상시에, 주름지며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하단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자중으로 수직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하면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중부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이 프레임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관절부, 및 상기 제2 관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접혀져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상시에 상기 벽면에 고정되며, 비상시에 상기 벽면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 상에 상기 대피통로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 중간문, 및 상기 수직 스크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절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대피통로의 내부로 피난자가 진입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연장방향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은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일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직 스크린보다 길게 연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및 상기 확장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확장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풀리, 및 상기 확장 와이어가 고정되는 확장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평상시에 접이식 대피통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비상시에 피난자가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의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은 물론,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사용성이나 편의성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비상시 대피통로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 이러한 공기 주입 구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접이식 대피통로의 필수 구조물인 고정 프레임의 내부를 급기통로로 이용하고, 고정 프레임에 배기부들을 형성함으로써, 공간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공기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이 프레임이 접혔다 펼쳐지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비상시에 상부 스크린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며 대피 통로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스크린은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비스듬하게 하강하되 상기 접이 프레임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스크린의 경우도,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하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를 생략할 수 있어 대피통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스크린 및 수직 스크린은 고정된 와이어가 고정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으로 와이어와 함께 하강하는 구조로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인 하강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속도 조절부를 통해 회전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하강함으로써, 피난자가 부상당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이 프레임의 연장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대피 공간의 상면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어, 대피 공간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으며, 상부 스크린의 하강 속도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스크린의 하부에는 하중부를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수직 스크린의 하부와 바닥 사이의 공간의 밀폐를 위해 스커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스크린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 외에,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상단 및 하단의 시작 위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접이식 대피통로는 바닥이 평행한 공간에 설치되는 것 외에, 바닥이 경사진 경사 공간, 특히 계단이 설치된 경사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수직 스크린의 하단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확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수직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계단이 설치되거나, 별도의 함입 공간 등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크린을 제외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대피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1)는 실내 공간이나 지하 공간 등의 벽면(5)에 설치되는 통로유닛(10) 및 상기 통로유닛(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간문(20)을 포함한다.
상기 통로유닛(10)은 소정의 길이만큼의 단위로 설치되어, 복수개가 상기 벽면(5) 상에 연장되며 연속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문(20)은 서로 인접하는 통로유닛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로유닛(10)의 길이나 상기 중간문(20)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통로유닛(10)은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가 평상시에 벽면(5)에 설치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벽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스크린을 제외한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에서 대피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는 상자부(100), 고정 프레임(200), 연결 프레임(300), 접이 프레임(400), 홀더 프레임(500), 회전 프레임(600), 상부 스크린(700), 수직 스크린(800) 및 와이어(900)를 포함한다.
상기 상자부(100)는 내부에 수납공간(101)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101)에는, 평상시에, 상기 중간문(20)을 제외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상자부(100)는 예를 들어,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일 면이 상기 벽면(5)에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부(100)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통로유닛(10)의 외면에 해당된다.
한편, 비상시에, 상기 상자부(100)는 외부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상자부(100)의 제거를 위한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상기 벽면(5)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급기 통로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내부에 상기 급기 통로(201)가 형성되는 구조이면, 단면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기 통로(20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공기 급기부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이 일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는 복수의 배기부들(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비상시에, 상기 급기 통로(2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선한 공기는 상기 배기부들(202)을 통해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가 형성하는 대피통로(7)로 공급되며, 이에 상기 대피통로(7)의 내부에는 양압이 형성되어, 상기 대피통로(7)의 외부로부터 화재로 인한 연기 등의 위험물질의 인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공기의 급기를 위해 별도의 공기 급기관을 생략하면서도, 구성요소들의 고정을 위한 고정 프레임의 내부를 급기관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구조물을 생략하여 설치비용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일 면, 예를 들어, 상기 벽면(5)과 마주하는 면에 고정되며, 상기 접이 프레임(400)을 고정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경사각 고정핀(310)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을 통해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일 끝단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프레임(300)에는 이동 공간(32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 공간(320)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은 상기 이동 공간(320)을 따라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이 프레임(400)을 고정하는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은, 상기 이동 공간(320)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 프레임(300)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연장 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이 프레임(400)이 상기 연결 프레임(300)에 대하여 이루는 각이 변화함으로써,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의 경사각이 변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피통로(7)의 너비가 가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이 프레임(400)이 연장되는 방향, 즉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정도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상부 스크린(700)의 하강 속도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연장 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접이 프레임(400)은, 팔이 굽혀졌다 펴지는 것과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평상시에 도 2의 접힌 상태로부터, 비상시에 도 4와 같이 펼쳐진다.
이 경우, 상기 접이 프레임(400)은 복수개가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상기 연결 프레임(300)을 통해 고정되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접이 프레임들(400)은 비상시에 동시에 펼쳐진다.
상기 접이 프레임(400)은, 제1 관절부(410), 제1 연장부(420), 제2 관절부(430) 및 제2 연장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절부(410)는 상기 연결 프레임(300)의 상기 경사각 고정핀(3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장부(420)는 상기 제1 관절부(410)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200)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위치하였다가(평상시),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수직인 방향으로 펼쳐진다(비상시).
이 경우, 상기 제1 연장부(420)는 바(bar) 형상을 가지며,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2 관절부(430)는, 상기 제1 연장부(420) 및 상기 제2 연장부(440)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들(420, 440)이 상대적으로 접혔다 펼쳐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장부(440)도 바(bar) 형상을 가지며, 소정 길이 여장된다.
그리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제1 연장부(420)와 상기 제2 연장부(440)는 서로 중첩되는 상태로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인접하도록 접혀 위치하지만, 비상시에는, 상기 제1 연장부(420)와 상기 제2 연장부(440)는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수직인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접이 프레임(400)의 상기 제2 연장부(440)의 끝단에 고정되며, 내부에 홀더 공간(501)을 형성한다.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접이 프레임(400)이 비상시에 펼쳐짐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근접한 위치에서부터,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의 끝단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일 측, 즉 상부의 일 측면에는 상기 상부 스크린(700)의 끝단(701)이 고정되며,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하면에는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상단(801)이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500)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상부 스크린(700)도 상기 끝단(701)이 상기 고정 프레임(200)으로부터 멀어져,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펼쳐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스크린(700)과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상기 와이어(9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상부 스크린(700)의 하강 방향과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강 방향은 서로 다르므로,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홀딩 공간(501)에 전환부(510)를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전환부(510)는 장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바(bar) 형상으로, 외주면의 일부에 와이어가 접촉하며 연장하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방향으로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관통하며 연장된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전환부(510)에 접촉하며 하부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되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을 관통하며 연장되게 된다.
상기 회전 프레임(600)은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일 면, 예를 들어, 상면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 회전바(630) 및 풀리부(6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은 각각 상기 회전 프레임(600)의 양 끝단에 해당되며, 상기 회전바(630)의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바(630)는 별도의 구동력이 제공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들(610, 6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고정장치에 고정(locking)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비상시에는, 상기 고정장치가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바(630)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풀리부(640)는 복수개가 상기 회전바(630)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바(6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풀리부(640)에는 상기 와이어(900)가 감기게 되며, 상기 와이어(900)는 평상시에, 상기 회전바(63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풀리부(640)에 감긴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비상시에, 상기 회전바(630)에 대한 고정장치가 해제되면, 상기 와이어(900)에 작용하는 자중에 의해 상기 풀리부(640)는 상기 회전바(630)와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900)는 자중이 작용하는 만큼 지속해서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게 된다.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끝단(701)은 상기 홀더 프레임(500)에 고정되며, 일 단(702)은 상기 회전 프레임(600)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600)과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보호 또는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71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형상으로 평상시에는 접힌 상태로 위치하게 되나, 비상시에는 접혀있던 주름이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스크린(700)이 확장되면, 상기 대피통로(7)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900)는, 평상시에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관통하며, 상기 풀리부(640)에 감긴 상태이며, 비상시에 상기 와이어(900)가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기 시작하면서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한편,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주름 형상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롤 스크린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스크린(700)이 롤 스크린이라면,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상기 회전바(610)의 외주면에 직접 롤링되어 감긴 상태로부터 풀리며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단(801)은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하면에 고정되며, 하단(802)에는 하중부(810)가 고정된다.
상기 수직 스크린(800)도 상기 상부 스크린(700)과 같은 주름 형상으로 평상시에는 접힌 상태로 위치하게 되나, 비상시에는 접혀있던 주름이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확장하게 되면, 상기 대피통로(7)의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900)는, 평상시에 상기 수직 스크린(800)을 관통하며, 비상시에 상기 와이어(900)가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기 시작하면서 상기 수직 스크린(800)도 상기 와이어(9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펼쳐지며 길이가 확장된다.
이 때,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전환부(510)를 통해 사선으로 연장된 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900)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회전바(630)의 회전을 고정하던 고정장치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회전바(630)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상기 풀리부(640)로부터 풀리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와이어(900)에는 소정의 하중이 작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기 하중부(810)는 상기 수직 스크린(800) 및 상기 상부 스크린(700)은 물론, 이들을 연결하는 상기 와이어(900)에 소정의 하중을 인가하므로, 상기 회전바(630)의 고정장치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풀리부(640)부터 풀리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900)는 상기 수직 스크린(800) 및 상기 상부 스크린(700)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및 연결하기 위해,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풀리부(640)도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문(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벽면(5)에 고정되며, 상기 벽면(5)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도어(door)가 배치되도록 위치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는, 상기 벽면(5)으로부터 회전되어 위치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벽면(5)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중간문(2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대피 통로(7)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피난자는 상기 대피 통로(7)를 통과하며, 상기 중간문(20)을 개폐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문(20)이 상기 대피 통로(7)의 중간 중간에 위치함에 따라, 일정 구역에서 상기 대피 통로(7)의 내부로 연기나 화재가 유입되더라도 인접 구역의 대피 통로로의 확장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중부(810)의 하단에는, 스커트(82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820)는 상기 하중부(8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하중부(81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추가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하중부(810)가 바닥면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하중부(810)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스커트(820)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커트(820)는 상기 바닥면과의 효과적인 밀폐를 위해, 유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비상시에,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하강하여 상기 대피 통로(7)의 측면을 밀폐하는 경우에도, 서로 인접한 통로유닛들(10) 사이의 수직 스크린들 사이에는 단절부(8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단절부(850)는, 소위, 출입문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피난자는 상기 출입문을 통해 상기 대피 통로(7)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절부(850)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시 수직 스크린(800)의 외면에는 소정의 표시부(21)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난자에게 피난 방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다만,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홀더 프레임(500) 및 수직 스크린(800) 만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2)는 수직 스크린의 펼쳐지는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바닥면이 평평한 지면인 경우, 앞서 설명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로 대피통로(7)를 형성할 수 있으나, 바닥면이 경사진 경우, 또는, 계단이 형성된 바닥과 같은 경우라면, 앞서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로는 상기 하중부 또는 스커트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없다.
이에, 도 8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접이식 대피통로(2)를 이용하여, 바닥면이 평면의 연장방향(X)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a) 만큼 기울어진 방향(A)으로 연장되는 경우라도,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면서 대피통로(7)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펼쳐진 경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이 아니라, 평행 사변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펼쳐지게 되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802)은 경사면의 경사진 방향(A)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상기 경사진 방향(A)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벽면(5)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802)의 연장방향은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 프레임(500)은 결국, 상기 고정 프레임(200) 및 상기 통로유닛(1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802)의 연장방향은 상기 통로유닛(10)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 스크린(800)은, 상단(801)의 시작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시작부(501)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지만, 하단(802)의 시작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시작부(501)로부터 소정 거리(B)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상단(801)의 끝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끝부(502)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지만, 하단(802)의 끝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500)의 끝부(502)로부터 소정 거리(B)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 및 배열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연장됨으로써, 바닥면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는 경우라도 상기 수직 스크린(800)의 하단은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형상 및 배열로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연장됨에 따라,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 일 끝단이 중력에 의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며 이렇게 연장되는 부분은 인접한 수직 스크린(800)과 중첩되는 등, 수직 스크린들의 사이가 중첩되거나 불균일하게 연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 상측의 수직 스크린의 일 끝단이 하측의 수직 스크린 쪽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더라도 서로 중첩되거나 불균일하게 연결되지 않으며, 사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대피통로가 펼쳐진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한 개념도이다.
다만,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전 프레임(600)의 일부, 상부 스크린(700), 홀더 프레임(500) 및 수직 스크린(800) 만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는 수직 스크린의 펼쳐지는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바닥면이 평평한 지면 또는 경사진 지면인 경우, 앞서 설명한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1, 2)로 대피통로(7)를 형성할 수 있으나, 평평한 바닥면 또는 경사진 바닥면에 소정의 함몰부 또는 높이가 다른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앞서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 2)로는 상기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없다.
이에, 도 9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가 확장 스크린(860) 및 관련 구성요소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함몰부 또는 높이가 다른 구간에 대한 밀폐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에서는, 풀리부(650)가, 풀리(651) 외에 확장 풀리(652)를 더 포함하며, 와이어(900) 외에 확장 와이어(901)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장 스크린(860), 확장 하중부(811) 및 확장 스커트(8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이식 대피통로(3)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접이식 대피통로(1)의 수직 스크린(800)의 일정 영역(즉, 일정 구간)에 상기 확장 스크린(86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확장 스크린(860)이 구비되는 영역이나 구간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함몰부 또는 높이가 다른 구간의 길이나 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9에서는 하나의 확장 스크린(860)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확장 스크린은 복수개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 스크린(860)은 상기 수직 스크린(800)과 동일하게 주름 형태의 스크린이 펼쳐지는 구조를 가지며, 하단에는 상기 확장 하중부(811)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 스크린(860) 역시 자중에 의해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장 하중부(811)의 하면에는 상기 확장 스커트(821)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 하중부(811)와 상기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장 스커트(821)가 유연성 소재일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확장 스크린(860) 및 상기 확장 스크린(86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스크린(800) 및 상부 스크린(700)은, 도 1에서 설명한 와이어들(900)과는 다른 확장 와이어(901)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확장 스크린(860)에 의해,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확장 와이어(901)는 여타의 와이어들(900)보다 긴 와이어가 적용되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 확장 스크린(860)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수직 스크린(800)이 모두 펼쳐진 이후에도, 추가로 펼쳐져야 하므로, 상기 확장 스크린(860)을 연결하는 확장 와이어(901)가 감긴 확장 풀리(652)는, 다른 풀리(651)보다 추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상기 확장 스크린(860)이, 상기 함몰부나 높이가 다른 구간에서 추가적으로 확장됨으로써,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밀폐를 수행할 수 있어, 화재나 연기 등이 상기 대피통로(7)로 인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평상시에 접이식 대피통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비상시에 피난자가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의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은 물론,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사용성이나 편의성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비상시 대피통로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으며, 종래 이러한 공기 주입 구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접이식 대피통로의 필수 구조물인 고정 프레임의 내부를 급기통로로 이용하고, 고정 프레임에 배기부들을 형성함으로써, 공간 사용성을 향상시키며 공기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이 프레임이 접혔다 펼쳐지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비상시에 상부 스크린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며 대피 통로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스크린은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비스듬하게 하강하되 상기 접이 프레임에 의해 하강하는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스크린의 경우도,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력 제공 없이 자중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하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를 생략할 수 있어 대피통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스크린 및 수직 스크린은 고정된 와이어가 고정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으로 와이어와 함께 하강하는 구조로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인 하강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속도 조절부를 통해 회전바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하강함으로써, 피난자가 부상당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이 프레임의 연장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대피 공간의 상면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어, 대피 공간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으며, 상부 스크린의 하강 속도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스크린의 하부에는 하중부를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의 자중에 의한 하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수직 스크린의 하부와 바닥 사이의 공간의 밀폐를 위해 스커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스크린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 외에,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상단 및 하단의 시작 위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접이식 대피통로는 바닥이 평행한 공간에 설치되는 것 외에, 바닥이 경사진 경사 공간, 특히 계단이 설치된 경사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수직 스크린의 하단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확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수직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형성함으로써, 바닥에 계단이 설치되거나, 별도의 함입 공간 등이 형성되는 경우, 해당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2, 3 : 접이식 대피통로
10 : 통로유닛 20 : 중간문
100 : 상자부 200 : 고정 프레임
201 : 급기통로 202 : 배기부
300 : 연결 프레임 400 : 접이 프레임
500 : 홀더 프레임 510 : 전환부
600 : 회전 프레임 630 : 회전바
640 : 폴더부 700 : 상부 스크린
710 : 상부 커버부 800 : 수직 스크린
810 : 하중부 820 : 스커트
821 : 확장 스커트 850 : 단절부
860 : 확장 스크린 900 : 와이어
901 : 확장 와이어

Claims (18)

  1. 벽면을 따라 연장되며 내부에 급기통로를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
    비상시에 펼쳐져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스크린;
    비상시에 하강하여 대피통로의 측부를 형성하는 수직 스크린;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스크린의 끝단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의 상단이 고정되는 홀더 프레임;
    비상시에 상기 홀더 프레임을 상기 벽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접이 프레임;
    평상시에, 상기 고정 프레임,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상기 홀더 프레임 및 상기 접이 프레임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벽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자부; 및
    평상시에 상기 벽면에 고정되고, 비상시에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과는 별개로 상기 벽면으로부터 펼쳐지며,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대피통로의 내부에 상기 대피통로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하는 중간문을 포함하고,
    벽면 및 바닥면이 경사진 경우 상기 홀더 프레임은 상기 벽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고정되고,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은 상기 홀더 프레임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수직 스크린의 상단의 시작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시작부와 일치하도록 위치하지만,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시작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시작부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 스크린은 전체적으로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외면에 복수의 배기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통로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배기부들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환부에 의해 연장 방향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바를 포함하며,
    비상시에 상기 회전바는 고정(locking)된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스크린이 펼쳐지고, 상기 수직 스크린이 하강하는 속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접이 프레임을 고정하는 경사각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각 고정핀은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에서 이동되어, 상기 접이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 사이의 고정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은,
    비상시에, 주름지며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하단에 상기 고정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자중으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은,
    상기 하중부의 하면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수직 스크린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중부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된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에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관절부; 및
    상기 제2 관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장부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3. 제12항에 있어서,
    평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접혀져 중첩하도록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펼쳐져 상기 대피통로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절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대피통로의 내부로 피난자가 진입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스크린의 하단의 일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수직 스크린보다 길게 연장되는 확장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 및 상기 수직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상부 스크린, 상기 수직 스크린 및 상기 확장 스크린을 고정 및 통과하며 연장되는 확장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크린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회전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와이어가 고정되는 풀리, 및 상기 확장 와이어가 고정되는 확장 풀리를 포함하는 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대피통로.
KR1020190102212A 2019-08-21 2019-08-21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KR10228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2A KR102289390B1 (ko) 2019-08-21 2019-08-21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2A KR102289390B1 (ko) 2019-08-21 2019-08-21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83A KR20210022883A (ko) 2021-03-04
KR102289390B1 true KR102289390B1 (ko) 2021-08-17

Family

ID=7517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12A KR102289390B1 (ko) 2019-08-21 2019-08-21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6939A4 (en) 2020-08-13 2024-01-03 Koreatech Co Ltd MASK WITH SIDE FIXING PARTS
KR102349379B1 (ko)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67B2 (ja) * 1997-12-11 2000-07-3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101480956B1 (ko) * 2013-11-14 2015-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대피통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232A (ja) 2001-01-30 2002-08-13 Bunka Shutter Co Ltd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KR100967563B1 (ko)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KR20110096308A (ko) * 2010-02-22 2011-08-30 임동현 띠장의 덧댐 구조에 의하여 비상문의 임의 벌어짐을 방지토록 되는 방화셔터
KR20110135243A (ko) * 2010-06-10 2011-12-16 임연정 내장형 차양
KR101402942B1 (ko)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피난장치
KR101742044B1 (ko) * 2015-03-13 2017-06-01 김상근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102027807B1 (ko) * 2018-02-08 2019-10-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1167B2 (ja) * 1997-12-11 2000-07-31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101480956B1 (ko) * 2013-11-14 2015-01-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접이식 대피통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83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390B1 (ko)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KR100845297B1 (ko) 발코니 난간 설치식 비상 탈출용 사다리
RU2391231C2 (ru) Воздушная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с затягивающим патрубком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эффектов смещения положения
CA2535633A1 (en)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ITMI20121911A1 (it) Struttura di copertura a pale basculanti.
KR101099760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US6102155A (en) Combined window and emergency escape ladder
KR101480956B1 (ko) 접이식 대피통로
ITTV970047U1 (it) Dispositivo per la movimentazione di porte verticali flessibili
TWI767005B (zh) 具有底部軌條調平機構的用於建築特徵之遮蓋物
JP2003155882A (ja) ブラインド装置
JP5784698B2 (ja) 穴を少なくとも部分的に塞ぐ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のような装置を組み込んだ、特に機械を修理するための設備
JP7489852B2 (ja) 開口部養生装置、及び開口部養生方法
KR20110062251A (ko) 건물 화재 피난장치
JP3939447B2 (ja) 閉鎖装置
CN220167624U (zh) 空间可分隔车库及建筑物
KR20220074540A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20074541A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JP7280139B2 (ja) ブラインド
KR102084145B1 (ko) 비상 탈출을 위한 자동 안전 탈출 장치
JP2907707B2 (ja) ヘリポート
JP3653229B2 (ja) 連装シャッター
JP2023087924A (ja) 保護パネル
KR100597047B1 (ko) 지붕
JP2673254B2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