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07B1 -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807B1
KR102027807B1 KR1020180015827A KR20180015827A KR102027807B1 KR 102027807 B1 KR102027807 B1 KR 102027807B1 KR 1020180015827 A KR1020180015827 A KR 1020180015827A KR 20180015827 A KR20180015827 A KR 20180015827A KR 102027807 B1 KR102027807 B1 KR 102027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x block
towing
box
tow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195A (ko
Inventor
이덕희
박원희
신경호
임휘영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1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1/00Devices for reconditioning breathing air in seale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57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은 상자블록, 견인유닛 및 확장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자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형성된다.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상자블록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비상시 상기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견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위치하며, 비상시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어 상기 상자블록과 상기 견인유닛 사이에 대피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은 인접한 위치의 상자블록의 후면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EVACUATING SYSTEM HAVING A FOLDING TYPE TUNNEL}
본 발명은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사 등의 지하공간이나 건물 등의 내부공간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대피장소나 대피통로를 형성하여 피난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탈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역사 등의 지하공간이나 건물 등의 내부공간과 같은 복합 공간에 다수의 사람들이 모임에 따라, 복합 공간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다수의 사람들에 대한 효과적인 대피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단순히 피난자가 구조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 소정의 밀폐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구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피난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대피하기 위해, 최근에는 피난자가 외부로 효과적으로 탈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피난자의 외부 탈출을 가이드하는 피난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에서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롤스크린이 하부로 내려와 피난 통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피난 통로를 통해 피난자가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롤스크린을 이용한 피난 통로의 형성시, 피난 경로로 형성되는 천정 모두에 롤스크린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실제 비상 상황에서 롤스크린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충분히 야기될 수 있어 안정성의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2942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비상 상황시에는 효과적인 대피장소와 대피통로를 형성하며,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실제 상황에 맞춰 최적의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피난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은 상자블록, 견인유닛 및 확장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자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형성된다.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상자블록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비상시 상기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견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위치하며, 비상시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어 상기 상자블록과 상기 견인유닛 사이에 대피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은 인접한 위치의 상자블록의 후면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후면부가 복합공간의 벽에 접촉되거나, 상기 벽의 내측에 고정되며, 비상시에는 회전하여 측면부가 상기 벽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전면부 상에 위치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확장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 출입문, 측면부에 형성된 측면 출입문, 및 상기 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과 연결되는 후면 출입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출입문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방향을 내부에서 확인하는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견인유닛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에 따라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확장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자블록의 후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는 천막부, 상기 천막부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천막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천막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막부를 이동시키는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상자블록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롤러부, 및 끝단이 상기 견인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확장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롤러부로부터 풀리며 상기 견인유닛과 상기 확장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형성된 상기 대피 경로의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급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마커부, 및 상기 견인유닛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커부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마커부를 센싱함에 따라,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마커부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부는 서로 인접한 상자블록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열되거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자블록들은 지하 공간, 건물의 내부 또는 복합 공간의 내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상자블록들 각각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상시에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확장되며 인접 상자블록과 연결되어 연속 피난 통로를 형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대피통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자블록은 전면부나 측면부만이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평상시에 공간 활용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고, 전면부를 통해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어 활용성도 높으며, 비상시에 비상 안내 상황을 표시할 수 있어 피난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자블록이 일정 간격으로 위치함으로써, 비상시에 인접 상자블록들 사이만을 연속해서 연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외부 또는 안전지대까지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단순히 밀폐 공간의 내부에서 구출이나 비상 상황의 종료까지 대기하는 것과 대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자블록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포함되며, 별도의 구조물을 공간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성은 물론 제작비용이나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자블록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공간의 구조적 변경 등에 따른 대피 경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자블록은 모든 면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용이한 진입이 가능하며, 전면에 형성된 투명창을 통해 인접 사각블록을 향해 견인유닛을 이송시킬 수 있어 화재나 연기로부터 밀폐된 상황에서 인접 사각블록과의 연결을 통한 탈출 통로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견인유닛의 경우 구동부를 포함하여 확장되는 확장유닛을 효과적으로 이송시켜 인접 상자블록과의 빠른 연결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확장유닛은 접혔다 펴지기가 용이한 천막부를 포함하며 천막부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통해 상기 천막부가 연결되어, 천막부가 보다 빠르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고, 천 재질의 천막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급기유닛을 통해 밀폐된 공간 내부로 양압을 제공하여 내부로 연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바닥에 설치된 자기마커를 센싱하며 견인유닛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어 견인유닛을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 등의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탈출 경로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상자블록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상자블록이 비상 상황에서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견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의 이송유닛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의 확장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대피통로 시스템(10)은 상자블록(100), 견인유닛(200) 및 확장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대피 경로로 형성되는 경로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상자블록(10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상기 견인유닛(200)은 연장되어 인접 상자블록의 타면까지 연장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되는 탈출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에 의해 내부공간(11)은 밀폐되어, 외부공간(12)에 발생한 화재나 유독 가스 등이 인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하,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상자블록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상자블록이 비상 상황에서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상자블록(100)은 전면부(101), 후면부(102), 상면부(103), 측면부(104) 및 표시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101)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前面)을 형성하며, 후술되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前面)에도 해당된다.
상기 전면부(101)에는 전면 출입문(210)이 형성되며, 전면 출입문(21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후면부(102)에는 후면 출입문(130)이 형성되며, 후술되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구동부(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3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131)는 상기 구동부(220)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인접한 상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가 상기 후면부(102)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220)가 상기 삽입부(131)에 삽입되어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상기 후면부(102)는 인접한 상자블록으로부터 연장된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와 연결되며, 상기 후면 출입문(130)이 개방되어 상기 인접한 상자블록과의 개방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후면 출입문(130)은 연장된 견인유닛(200)과 접촉되기 전에라도 피난자가 언제든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측면부(104)에는 측면 출입문(120)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피난자가 언제든지 출입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상자블록(100)의 모든 면에는 출입문들이 각각 형성되어, 피난자는 접근하는 방향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출입문을 통해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로 진입하여, 위험요소로부터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03)에는 알람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알람부(140)는 비상시에 음성과 비상등을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상자블록(100)을 찾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0)는 표시창(111), 지지부(112) 및 회전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창(111)은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의 앞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창(110)을 통해서, 평상시에는 각종 광고나 기타 안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2)는 상기 표시창(111)의 하단으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되어, 상기 표시창(111)을 고정하며, 예를 들어, 프레임(fram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113)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와 측면부(104)의 사이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기 표시창(111)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회전부(11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표시창(111)은 도 3a에서와 같이 평상시 상기 전면부(101)의 앞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비상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104)와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하여, 상기 표시창(1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유닛(2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표시창(111)을 통해 안내되는 비상 상황에 대한 안내 정보를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후면부(102)가 벽(13)과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자블록(100)의 후면부(102) 및 상기 측면부(104)의 일부가 상기 벽(13)의 내부로 일부 또는 전부가 삽입된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즉, 평상시에 상기 상자블록(100)이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상자블록(1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며, 불필요한 접촉 등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비상시에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에 형성된 스위치(201)를 통해 상기 상자블록(100)이 상기 벽(13)으로부터 돌출되며 회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상자블록(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는 상기 벽(13)과 상기 상자블록(100)의 측면부(104)가 서로 마주하거나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자블록(100)의 측면부(104)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견인유닛(200)이 벽(13)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결국 대피 통로가 벽(13)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하여, 피난자는 벽(13) 쪽으로 이동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대피통로를 찾을 수 있으며, 대피통로 역시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견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의 이송유닛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의 확장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견인유닛(200) 및 상기 확장유닛(300)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견인유닛(200)은 상기 상자블록(100)의 전면부(101)를 형성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단에는 상기 확장유닛(300)이 연결되며,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확장유닛(300)이 펼쳐지며 대피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유닛(200)은 정면 출입문(210), 구동부(220) 및 이송유닛(230)을 포함한다.
상기 정면 출입문(210)은 상기 전면부(101)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출입이 가능하도록 열리는 것은 물론이며,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되어 인접 상자블록(100)의 후면부(102)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후면부(102)의 개방과 함께 개방되어 상기 대피통로를 연장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정면 출입문(210)의 상부에는 투명창(211)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창(211)을 통해 내부의 피난자들은 외부의 상황을 관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견인유닛(200)은 대피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인접 상자블록과 연결되어야 하며, 비상시에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내부에서 피난자 또는 관리자 등은 상기 투명창(211)을 통해 외부를 관측하며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20)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220)는 도면에서는 전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는 경우 상기 전면부(101)와 접촉되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후면부(102)에는 상기 구동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유닛(230)은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송에 따라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확장유닛(300)을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유닛(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31) 및 이동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231) 및 이동부(232) 모두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방의 하단에 한 쌍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31)와 상기 이동부(232)는 평상시, 즉 상기 확장유닛(300)이 펼쳐지기 전에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위치한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시, 즉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되어 상기 확장유닛(300)이 펼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231)가 상기 이동부(23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이송유닛(230)의 전체의 길이는 증가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232)는 하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상기 견인유닛(200)이 이동하는 경우 이동을 수월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230)은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송에 따라 상기 확장유닛(300)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도면에 도시된 구조 외에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유닛(300)은 일 단은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단에 연결되며, 타 단은 상기 상자블록(100)에 연결되어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견인유닛(200)과 상기 상자블록(100) 사이에서 대피통로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장유닛(300)은 천막부(310), 프레임(320) 및 바퀴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천막부(310)는 비상시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쳐지며 내부에 대피통로를 형성한다. 다만, 상기 천막부(310)는 평상시에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 공간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며, 비상시에 상기 견인유닛(200)이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인접 상자블록으로 이동되면서 펼쳐지며 대피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320)은 상기 천막부(310)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확장되는 상기 천막부(310)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320)은 상기 천막부(310)의 상면 및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320)의 끝단에는 상기 바퀴부(3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20)은 소정의 간격으로 한 쌍의 프레임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역시 상기 천막부(310)가 졉혀짐에 따라 접혀진 상태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상기 바퀴부(330)는 상기 프레임(32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200)이 전진함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프레임(320) 및 상기 천막부(310)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바퀴부(330)는, 평상시에 상기 천막부(31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이송유닛(230)의 이동부(232)의 상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천막부(310)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232)의 상면으로부터 바닥으로 이동되며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견인유닛(200)이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접 상자블록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견인유닛(200)의 후단에 연결되는 상기 확장유닛(300)은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지며 연장되고, 이를 통해 대피통로가 상기 확장유닛(3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10)의 표시창(111)은, 비상시에 상기 천막부(3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천막부(310) 상에서 필요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부에 위치하는 급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대피통로 시스템(20)은 롤러부 및 급기유닛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20)에서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상면부(103) 상에 상면 공간(109)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 공간(109)의 내부에 롤러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150)에는 상기 롤러부(150)가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151)가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와이어(151)는 상기 천막부(310)의 상면을 따라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200)의 상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견인유닛(200)이 상기 상자블록(100)으로부터 이동되면 상기 롤러부(150)도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롤러부(150)에 감겨있던 상기 와이어(151)가 풀려지고, 이에 따라 상기 천막부(310)가 보다 일정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51)는 상기 펼쳐진 천막부(310)에 대한 고정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어, 상기 천막부(31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20)의 상기 상면 공간(109)에는 급기유닛(19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급기유닛(190)은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 및 상기 확장유닛(30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자블록(100)의 내부 및 상기 확장유닛(300)의 내부에는 양압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될 수 있는 연기를 차단하며, 내부에 위치하는 피난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연기 등에 의한 질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기유닛(190)은 상기 상면 공간(109)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2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이 확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대피통로 시스템(30)은 센서부(250) 및 마커부(26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대피통로 시스템(30)에서는, 상기 견인유닛(200)의 전면부(101)의 하단에 센서부(250)가 구비되며, 바닥에는 마커부(260)가 일정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마커부(260)를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마커부(260)가 바닥에 부착되므로, 상기 마커부(260)의 보다 효과적인 센싱을 위해 상기 전면부(101)의 하단에 구비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상자블록(100)의 하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커부(260)는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일정한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부착되며, 상기 마커부(260)가 배열되는 방향은 결국 대피 통로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최종적으로는 외부나 안전지대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마커부(260)는 비상시를 위해, 평소에도 바닥에 부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마커부(260)를 센싱하는 것으로, 상기 마커부(260)로부터 인가되는 센싱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마커부(260)를 향해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커부(260)는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마커일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250)는 상기 자기력이 발생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견인유닛(200)을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견인유닛(200)은 상기 구동부(22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250)에서 센싱되는 상기 마커부(260)의 신호의 강도를 바탕으로 상기 견인유닛(200)의 이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견인유닛(200)은 상기 마커부(260)가 배열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피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비상시에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확장되며 인접 상자블록과 연결되어 연속 피난 통로를 형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한 피난을 유도할 수 있는 대피통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자블록은 전면부나 측면부만이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므로, 평상시에 공간 활용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고, 전면부를 통해 광고 등을 표시할 수 있어 활용성도 높으며, 비상시에 비상 안내 상황을 표시할 수 있어 피난자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자블록이 일정 간격으로 위치함으로써, 비상시에 인접 상자블록들 사이만을 연속해서 연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외부 또는 안전지대까지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단순히 밀폐 공간의 내부에서 구출이나 비상 상황의 종료까지 대기하는 것과 대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자블록의 내부에 모든 구성이 포함되며, 별도의 구조물을 공간상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성은 물론 제작비용이나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자블록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공간의 구조적 변경 등에 따른 대피 경로의 변경과 무관하게 효과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자블록은 모든 면으로 출입문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용이한 진입이 가능하며, 전면에 형성된 투명창을 통해 인접 사각블록을 향해 견인유닛을 이송시킬 수 있어 화재나 연기로부터 밀폐된 상황에서 인접 사각블록과의 연결을 통한 탈출 통로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견인유닛의 경우 구동부를 포함하여 확장되는 확장유닛을 효과적으로 이송시켜 인접 상자블록과의 빠른 연결을 도모할 수 있으며, 확장유닛은 접혔다 펴지기가 용이한 천막부를 포함하며 천막부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통해 상기 천막부가 연결되어, 천막부가 보다 빠르게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고, 천 재질의 천막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급기유닛을 통해 밀폐된 공간 내부로 양압을 제공하여 내부로 연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바닥에 설치된 자기마커를 센싱하며 견인유닛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어 견인유닛을 사용자가 직접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 등의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탈출 경로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은 지하공간이나 복합공간의 대피통로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20, 30 :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00 : 상자블록 110 : 표시부
120 : 측면출입문 130 : 후면출입문
140 : 알람부 150 : 롤러부
190 : 급기유닛 200 : 견인유닛
210 : 정면출입문 220 : 구동부
230 : 이송유닛 250 : 센서부
260 : 마커부 300 : 확장유닛
310 : 천막부 320 : 프레임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형성된 상자블록;
    상기 상자블록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비상시 상기 상자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견인유닛; 및
    상기 견인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위치하며, 비상시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확장되어 상기 상자블록과 상기 견인유닛 사이에 대피 경로를 형성하는 확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은 인접한 위치의 상자블록의 후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송되고, 상기 견인유닛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견인유닛의 이송에 따라 길이가 확장되며 상기 확장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후면부가 복합공간의 벽에 접촉되거나, 상기 벽의 내측에 고정되며,
    비상시에는 회전하여 측면부가 상기 벽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평상시에는 상기 전면부 상에 위치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확장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전면 출입문;
    측면부에 형성된 측면 출입문; 및
    상기 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된 견인유닛과 연결되는 후면 출입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출입문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방향을 내부에서 확인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자블록의 후면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닛은,
    상기 상자블록의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는 천막부;
    상기 천막부의 외부에 고정되어 상기 천막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천막부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천막부를 이동시키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상자블록의 상면부에 위치하는 롤러부; 및
    끝단이 상기 견인유닛에 고정되고, 상기 확장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롤러부에 감긴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견인유닛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롤러부로부터 풀리며 상기 견인유닛과 상기 확장유닛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은,
    상기 견인유닛의 이동에 따라 형성된 상기 대피 경로의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급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마커부; 및
    상기 견인유닛의 전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커부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마커부를 센싱함에 따라, 상기 견인유닛은 상기 마커부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서로 인접한 상자블록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열되거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블록들은 지하 공간, 건물의 내부 또는 복합 공간의 내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상자블록들 각각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KR1020180015827A 2018-02-08 2018-02-08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KR102027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27A KR102027807B1 (ko) 2018-02-08 2018-02-08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27A KR102027807B1 (ko) 2018-02-08 2018-02-08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95A KR20190096195A (ko) 2019-08-19
KR102027807B1 true KR102027807B1 (ko) 2019-10-02

Family

ID=6780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27A KR102027807B1 (ko) 2018-02-08 2018-02-08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390B1 (ko) * 2019-08-21 2021-08-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KR102626089B1 (ko) * 2023-06-23 2024-01-17 (주)킴블스 화재현장용 비상터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ko)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KR101117033B1 (ko) * 2010-09-15 2012-03-16 옥물결 비상구 안내판
JP2013031591A (ja) * 2011-08-03 2013-02-14 Shinya Katano 救助・避難用器具
KR101798837B1 (ko) * 2016-01-25 2017-1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랜드마크를 이용한 이동 로봇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942B1 (ko) 2012-12-28 2014-06-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563B1 (ko) * 2009-12-22 2010-07-05 김광수 피난장치
KR101117033B1 (ko) * 2010-09-15 2012-03-16 옥물결 비상구 안내판
JP2013031591A (ja) * 2011-08-03 2013-02-14 Shinya Katano 救助・避難用器具
KR101798837B1 (ko) * 2016-01-25 2017-12-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랜드마크를 이용한 이동 로봇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95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807B1 (ko) 접이터널식 대피통로 시스템
CN104902965B (zh) 避难装置
KR101312337B1 (ko) 권상 셔터
KR10205003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JP5138562B2 (ja) 開閉体装置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JPH09313632A (ja) 連装式防火シャッタ−
KR102224389B1 (ko) 엘이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피안내장치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JP4169765B2 (ja) 耐火遮煙装置
JPH10165531A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102398147B1 (ko) 방화 커튼 장치, 이를 포함하는 방화 커튼 시스템과 이의 작동 방법
JP2007146382A (ja) 開閉装置
JP4441216B2 (ja)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装置
JP2004016600A (ja) エレベータ出入口部の防煙装置
JP4010619B2 (ja) 通路
JPH11131943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10265578A (ja) 開閉体装置
JPH1122341A (ja) スクリーン装置
JP6977971B2 (ja) 折り畳み式の防煙垂れ壁または防火壁
JP3865755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H11256953A (ja) 巻取り式防火スクリーン装置
JP6178082B2 (ja) 防火部材
JP4012104B2 (ja) 開閉体装置
JP2010202310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