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243A - 내장형 차양 - Google Patents

내장형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243A
KR20110135243A KR1020100055044A KR20100055044A KR20110135243A KR 20110135243 A KR20110135243 A KR 20110135243A KR 1020100055044 A KR1020100055044 A KR 1020100055044A KR 20100055044 A KR20100055044 A KR 20100055044A KR 20110135243 A KR20110135243 A KR 20110135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enclosure
awning
buil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연정
오석원
Original Assignee
임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연정 filed Critical 임연정
Priority to KR102010005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5243A/ko
Publication of KR2011013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04F10/0625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whereby the roller is installed on the articulated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acting on the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85Covers or housings for the rolled-up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와 쇼윈도(show window)에 설치되어 여름철 강한 햇빛과 빗물을 막아주는 차양에 관한 기술로서, 모터와 암(arm)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히는 차양을 함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여 함체 내부에서 전면의 도어를 통해 차양막이 외부로 펼쳐지거나 또는 함체 내부로 접혀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차양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시각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양의 부식과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풍속이 강할 경우 모터가 작동하여 차양막이 함체 내부에 자동으로 접히도록 구성되는 내장형 차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장형 차양{Internal awning}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구와 쇼윈도(show window)에 설치되어 여름철 강한 햇빛과 빗물을 막아주는 차양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터와 암(arm)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히는 차양을 함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여 함체 내부에서 전면의 도어를 통해 차양막이 외부로 펼쳐지거나 또는 함체 내부로 접혀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차양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시각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양막의 변질과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풍속이 강할 경우 모터가 작동하여 차양막이 함체 내부에 자동으로 접히도록 구성되는 내장형 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은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되어 여름철 강한 햇빛과 빗물을 막아주기 위한 기구로서, 이러한 차양은 건물을 출입하는 사람들과 쇼윈도에 진열된 각종 상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건물이나 상점 등의 테라스(terrace)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건물이나 상점의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외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고, 또한 손님들이 옥외에서 식사를 즐기거나 쉴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차양은 다양한 색상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건물의 외적인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광고매체 및 손님들이 쉴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양은 대부분 설치방식에 따라 고정식과 접이식으로 구분되고, 천이나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차양막은 장기간 고유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내후성을 갖고, 강풍에 대한 내구성을 갖도록 견고하게 설치되고 있다.
종래 차양 중에서 접이식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고정식에 비하여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이식 차양은 대부분 건물이나 상점 등의 외부 벽체에 적정 길이로 지지바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에 상부 차양막이 감긴 권취롤러가 브라켓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상부 차양막과 하부 차양막이 끼워져 고정된 이송바가 복수개의 암(arm)에 의해 접철 가능케 설치되며, 전동식의 경우 모터의 구동으로 권취롤러가 회전하여 차양막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차양은 건물이나 상점 등의 외부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므로 햇빛의 강한 직사광과 대기오염에 따른 산성비로 인하여 차양막의 내후성이 떨어져 고유의 색상이 쉽게 변질되고 손상되는 실정이며, 특히 차양막을 펼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혀진 상태로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차양의 시각적인 이미지와 건물의 외적인 인테리어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즉, 차양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양막을 펼쳐 사용하지 않는 시기라 하더라도 햇빛의 직사광과 산성비에 노출되므로 차양막의 내후성과 내구성이 떨어지는 한편 외부에 접혀진 상태로 놓인 차양은 손님들로 하여금 시각적인 이미지를 떨어트리고 더불어 건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차양의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차양의 시각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건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한편 햇빛의 직사광과 산성비로 인한 차양막의 변질과 손상을 방지하도록 차양을 함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차단하고 함체 내부에서 전면의 도어를 통해 차양막이 외부로 펼쳐지거나 또는 함체 내부로 접혀지도록 구성하고, 풍속이 강할 경우 풍속계를 통해 모터가 작동하여 차양막이 자동으로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차양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물의 외부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이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힌지로 개폐가능케 설치된 도어와; 상기 함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와 암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히도록 구성된 차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을 함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여 함체 내부에서 전면의 도어를 통해 차양막이 외부로 펼쳐지거나 또는 차양막이 함체 내부로 접혀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차양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함체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시각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건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햇빛의 직사광과 산성비로 인한 차양막의 변질과 손상을 방지하는 한편 풍속이 강할 경우 풍속계를 통해 모터가 작동하여 차양막이 자동으로 접히므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양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양의 접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양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양의 접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양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양의 접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양의 펼침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차양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하여 시각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건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한편 햇빛의 직사광과 산성비로 인한 차양막의 변질과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풍속이 강할 경우 풍속계를 통해 모터가 작동하여 차양막이 자동으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차양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차양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차양(100)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건물의 외부 벽체에 설치되는 함체(30)와, 상기 함체(30)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 힌지(32)로 개폐가능케 설치되는 도어(31)와, 상기 함체(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25)와 암(21)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히도록 구성되는 차양(10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함체(30)의 한쪽에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계(50)가 설치되고, 상기 풍속계(50)의 신호로 모터(25)가 구동하여 풍속이 강할 경우 차양막이 자동으로 접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함체(30)는 차양(100)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차양(100)의 길이에 따라 적정 길이로 형성되고, 가능한 제작이 용이하도록 사각체의 형태로 제작함이 바람직한 한편 부식이 방지되고 외적으로 미려함을 주도록 스테인리스(stainless) 철판으로 제작함이 이상적이다.
함체(30)는 건물에서 차양(100)이 설치되는 위치의 외부 벽체에 부착 설치되고,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밀폐된 사각체의 구조로서, 그 전면에 개폐가능케 도어(31)가 설치되는 것으로, 여기서 도어(31)는 함체(30)의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 힌지(32)로 개폐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도어(31)의 상측부와 함체(30)의 전면 상측부에 힌지(32)가 부착 설치되어 도어(31)가 회동하여 개폐되며, 상기 도어(31)는 차양(100)에서 상부 차양막(10)과 하부 차양막(11)이 끼워져 고정된 이송바(22)가 함체(30) 내부에서 외부로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폭과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함체(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차양(100)은 함체(30)의 내부 공간에 수평상으로 지지바(20)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20)에 상부 차양막(10)이 권취된 권취롤러(24)가 브라켓(23)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상부 차양막(10)의 끝단과 하부 차양막(11)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된 이송바(22)가 지지바(20)에 암(21)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부 차양막(10)을 펼치거나 접도록 설치되며, 권취롤러(24)가 회전가능케 설치된 한쪽 브라켓(23)에 모터(25)가 장착되어 전동식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풍속계(50)는 함체(30)의 상부나 또는 측면에 부착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풍속계(50)는 바람이 심하게 불 경우 차양막을 자동으로 접어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으로서, 바람이 심하게 불면 풍속계(50)가 현재 풍속을 감지하여 설정된 풍속보다 감지된 풍속이 높으면 모터(25)에 신호를 전달하여 모터(25)를 구동시킴으로써, 권취롤러(24)를 감게 되므로 풍속에 따라 차양막을 자동으로 접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풍속에 따라 차양막을 자동으로 접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풍속을 고려하여 차양막을 접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차양(100)을 구성하는 암(21)과 이송바(22) 등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양막을 펼칠 경우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모터(25)를 구동시키면, 권취롤러(24)에서 상부 차양막(10)이 풀리면서 접혀져 있던 암(21)이 스프링의 탄성으로 서서히 펼쳐져 이송바(22)가 함체(3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31)를 밀고 외부로 나오면서 차양막을 펼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차양막을 접을 경우 사용자가 모터(25)를 역으로 구동시키면, 권취롤러(24)에 상부 차양막(10)이 점차 감기면서 펼쳐져 있던 암(21)이 서서히 접혀져 이송바(22)가 개방된 도어(31)를 통해 함체(3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오면서 차양막이 접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양(1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체(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에 따라 차양막을 접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깔끔하고 미려함을 주어 시각적인 이미지와 더불어 건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한편 햇빛의 직사광과 산성비로 인한 차양막의 변질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건물이나 상점 등의 외부 벽체에 설치되는 간판(40)에 함체(30)가 일체로 설치되고, 함체(30)의 내부 공간에 차양(100)이 설치되며, 상기에서 함체(30)는 간판(40)의 상부나 또는 하부 중 어느 한쪽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기존과 같이 간판(40)과 차양(100)이 각각 별도로 복잡하게 설치되지 않고 간판(40)과 차양(100)이 내장 설치된 함체(30)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건물이나 상점을 찾는 손님들에게 시각적으로 깔끔한 이미지를 주는 한편 건물의 미려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상부 차양막 11: 하부 차양막
20: 지지바 21: 암(arm)
22: 이송바 24: 권취롤러
25: 모터 30: 함체
31: 도어 32: 힌지
40: 간판 50: 풍속계
100: 차양

Claims (3)

  1. 건물의 외부 벽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이 구비된 함체(30)와;
    함체(3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힌지(32)로 개폐가능케 설치된 도어(31)와,
    상기 함체(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모터(25)와 암(21)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히도록 구성된 차양(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차양.
  2. 제1항에 있어서;
    함체(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차양(100)은 전면의 도어(31)를 통하여 외부로 펼쳐지고 내부로 접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차양.
  3. 제1항에 있어서;
    함체(30)의 한쪽에 풍속계(50)가 설치되고, 상기 풍속계(50)의 신호로 모터(25)가 구동하여 차양(100)이 접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차양.
KR1020100055044A 2010-06-10 2010-06-10 내장형 차양 KR20110135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044A KR20110135243A (ko) 2010-06-10 2010-06-10 내장형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044A KR20110135243A (ko) 2010-06-10 2010-06-10 내장형 차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243A true KR20110135243A (ko) 2011-12-16

Family

ID=4550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044A KR20110135243A (ko) 2010-06-10 2010-06-10 내장형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52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707B1 (ko) * 2012-05-25 2015-06-01 위성학 차양 장치
KR20210022883A (ko) * 2019-08-21 2021-03-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707B1 (ko) * 2012-05-25 2015-06-01 위성학 차양 장치
KR20210022883A (ko) * 2019-08-21 2021-03-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름 스크린을 적용한 접이식 대피통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0913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US9732554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US9322211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US9739087B2 (en) Blind assembly
WO2015081790A1 (zh) 一种一体化卷帘窗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EP3101196A1 (en) Window sunlight-shielding device
US20080285294A1 (en) Decorative lighting devices
KR100777325B1 (ko) 접이식 차양
KR20110135243A (ko) 내장형 차양
US20090307991A1 (en) Bower
KR101302689B1 (ko)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101746553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CN103291183B (zh) 节能环保型多功能窗户
US10030437B2 (en) Vertical blind assembly
KR200450472Y1 (ko) 발열 및 조명기능을 갖는 차양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200446420Y1 (ko) 베니션블라인드의 고정장치
KR200318023Y1 (ko) 창 가리개
JPH0115835Y2 (ko)
KR101189735B1 (ko) 가변형 차양장치
KR100866614B1 (ko) 이중 롤 블라인드
KR102612970B1 (ko) 아암 승강식 어닝
KR101524707B1 (ko) 차양 장치
US20090078376A1 (en) Retractable Pool Privacy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