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534A -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534A
KR20090110534A KR1020080036092A KR20080036092A KR20090110534A KR 20090110534 A KR20090110534 A KR 20090110534A KR 1020080036092 A KR1020080036092 A KR 1020080036092A KR 20080036092 A KR20080036092 A KR 20080036092A KR 20090110534 A KR20090110534 A KR 2009011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tructure
fire screen
fire
screen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순
김해식
권병용
Original Assignee
임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흥순 filed Critical 임흥순
Priority to KR102008003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0534A/ko
Publication of KR2009011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가 설치되는 양쪽 측부 벽에 설치되어 방화 스크린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과 일체를 이루고 방화 스크린(100)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대칭구조의 지지부재(22a, 22b),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대칭구조의 곡면 가이드(24a, 24b),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방화 스크린(100)에 밀착되어 차폐효과를 위한 대칭구조의 차단부재(21a, 21b), 및 상기 차단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23a, 2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곡면 가이드(24a, 24b) 안쪽에 형성된 공간내에서 캡 볼트(102)가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캡 볼트는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 셔터, 가이드 구조물, 캡 볼트, 곡면 가이드

Description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Guide Structure for Fireproof Screen Shutter at Both Sides}
제1도는 방화 스크린 셔터가 한 실내 복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도는 방화 스크린(100)의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캡 볼트(102)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제3도는 방화 스크린(100)과 그 측부 벽에 매입되어 설치된 가이드 구조물(20)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4도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종래의 한 가이드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절개 사시도이다.
제7도는 캡 볼트의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비상구 20 : 가이드 구조물
21 : 차단부재 22 : 지지 부재
23 : 고정 수단 24 : 곡면 가이드
100 : 방화 스크린 101 : 하중 바
102 : 캡 볼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의 방화 스크린이 아래로 하강하거나 위로 상승할 때 스크린을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측부의 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방화 스크린 셔터는 지하철역사, 지하상가, 지하보도 등을 비롯하여, 학교, 백화점, 호텔 등과 같은 건축물에 다양하게 설치된다.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 발생시에 방제실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효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연효과를 발휘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주로 상부쪽 천정에 롤(roll) 형태로 감겨져 있지만, 화재가 발생하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던 스크린이 바닥면까지 펼쳐지면서 특정의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제1도는 방화 스크린 셔터가 한 실내 복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방화 스크린(100)은 측부 벽에 세로로 설치된 가이드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아래로 하강하거나 위로 상승한다.
제3도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벽에 설치된 가이드 구조물(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가이드 구조물(20)은 매입형으로 설치되어, 벽 속에 거의 내장되어 설치된다. 물론 벽체로부터 돌출된 돌출형의 가이드 구조물도 설치될 수 있다.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구조물은 차연성이나 방염성이 향상되도록 밀폐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이러한 밀폐 구조를 이루면서 방화 스크린(100)이 상하로 이동할 때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방화 스크린(100)의 양 측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추로서의 역할을 하는 캡 볼트(102)가 제2도와 같이 고정된다. 이들 캡 볼트들은 방화 스크린(100)에 고정된 채 가이드 구조물(20) 내부에서 방화 스크린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4도에는 종래의 한 가이드 구조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 가이드 구조물에서는 캡 볼트(102)가 운동하는 공간이 상당히 넓다. 따라서 캡 볼트의 원활한 이동을 기대하기 어렵고, 나아가 캡 볼트 부근의 방화 스크린이 손상되기도 한다.
종래의 가이드 구조물의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캡 볼트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가이드 구조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 스크린의 상하 이동시 스크린의 측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캡 볼트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용 측부 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캡 볼트를 원활하게 이동하게 함으로써 방화 스크린의 물리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 셔터용 측부 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캡 볼트를 원활하게 이동하게 함으로써 차연 및 방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화 스크린 셔터용 측부 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가 설치되는 양쪽 측부 벽에 설치되어 방화 스크린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과 일체를 이루고 방화 스크린(100)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대칭구조의 지지부재(22a, 22b),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대칭구조의 곡면 가이드(24a, 24b),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방화 스크린(100)에 밀착되어 차폐효과를 위한 대칭구조의 차단부재(21a, 21b), 및 상기 차단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23a, 2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곡면 가이드(24a, 24b) 안쪽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캡 볼트(102)가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캡 볼트는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화 스크린 셔터의 방화 스크린이 아래로 하강하거나 위로 상승할 때 스크린을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양 측부의 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 발생시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효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연효과를 발휘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주로 상부쪽 천정에 롤(roll) 형태로 감겨져 있지만, 화재가 발생하 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던 스크린이 바닥면까지 펼쳐지면서 특정의 공간을 차단하게 된다.
제1도는 방화 스크린 셔터가 한 실내 복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방화 스크린(100)은 측부 벽에 세로로 설치된 가이드 구조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아래로 하강하거나 위로 상승한다. 제3도는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벽에 설치된 가이드 구조물(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도는 방화 스크린(100)의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캡 볼트(102)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방화 스크린의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캡 볼트가 가이드 구조물(20)로 내부에 삽입되어, 방화 스크린이 아래쪽으로 하강하거나 위쪽으로 상승할 때, 방화 스크린 직물이 팽팽하게 지지되고 또한 방화 스크린이 측부에서 차단됨으로써 화염이나 연기 또는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캡 볼트는 통상 20 내지 40 cm의 간격으로 고정된다.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구조물(20)은 매입형과 돌출형으로 구분하는데, 제3도에 도시된 가이드 구조물(20)은 매입형으로 설치되어, 벽 속에 거의 내장되어 설치된다. 매입형은 벽속에 내장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돌출형보다 미관상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방화 스크린 셔터의 설치 장소에 따라 벽체로부터 돌출된 돌출형의 가이드 구조물도 설치될 수 있다.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구조물은 차연성이나 방염성이 향상되도록 밀폐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이러한 밀폐 구조를 이루면서 방화 스크린(100)이 상하로 이동할 때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제4도에는 종래의 한 가이드 구조물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가이드 구조물은 실용신안등록 제20-399893호에서 개시하는 구조물이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가이드 구조물에서는 캡 볼트(102)가 운동하는 공간이 상당히 넓다. 따라서 캡 볼트의 원활한 이동을 기대하기 어렵고, 나아가 캡 볼트 부근의 방화 스크린이 손상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가이드 구조물은 가이드 구조물과 일체를 이루고 방화 스크린(100)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대칭구조의 지지부재(22a, 22b),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대칭구조의 곡면 가이드(24a, 24b),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방화 스크린(100)에 밀착되어 차폐효과를 위한 대칭구조의 차단부재(21a, 21b), 및 상기 차단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23a, 2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구조물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구조물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절개 사시도이다.
방화 스크린 셔터의 가이드 구조물은 SUS 또는 스틸(steel)로 제작되어 방화 스크린의 측부 모서리를 지지하면서 방화 스크린이 원활하게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측부 벽에 세로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SUS 1.5T 또는 Steel 1.6T로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구조물은 구조물과 일체를 이루고 방화 스크린(100)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부에 대칭구조의 지지부재(22a, 22b)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와 거의 접촉하도록 대칭구조의 곡면 가이드(24a, 24b)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 사이에 차단부재(21a, 21b)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지지부재(22a, 22b)는 가이드 구조물과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SUS 또는 스틸로 제작된다. 곡면 가이드(24a, 24b)도 또한 지지부재와 마찬가지로 SUS 또는 스틸로 제작된다. 그러나 차단부재(21a, 21b)는 방화 스크린과 같은 재질인 방화 직물로 제작된다. 차단부재는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그 사이로 방화 스크린(100)이 접촉한 채로 상하로 이동한다. 즉 한 쌍의 차단부재(21a, 21b)가 항상 방화 스크린(100)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측부에서의 밀폐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곡면 가이드(24a, 24b) 안쪽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방화 스크린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된 캡 볼트(102)가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캡 볼트는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곡면 가이드에 의하여 캡 볼트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유연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방화 스크린이 상하 이동시에 물리적인 손상을 입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곡면 가이드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 부재로서, 한 쌍의 곡면 가이드(24a, 24b)가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타원형에 가까운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을 따라 캡 볼트가 이동하는 것이다. 곡면 가이드의 반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23a, 23b)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제7도는 캡 볼트의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분해사시도이다. 캡 볼트는 일종의 추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변형된 형태의 캡 볼트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의 상하 이동시 스크린의 측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캡 볼트를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캡 볼트를 원활하게 이동하게 함으로써 방화 스크린의 물리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차연 및 방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화 스크린 셔터용 측부 가이드 구조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

  1. 방화 스크린 셔터가 설치되는 양쪽 측부 벽에 설치되어 방화 스크린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과 일체를 이루고 방화 스크린(100)과 예각을 이루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대칭구조의 지지부재(22a, 22b);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대칭구조의 곡면 가이드(24a, 24b); 및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고 방화 스크린(100)에 밀착되어 차폐효과를 위한 대칭구조의 차단부재(21a, 21b);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가이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와 곡면 가이드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23a, 23b)응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가이드 구조물.
KR1020080036092A 2008-04-18 2008-04-18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KR20090110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92A KR20090110534A (ko) 2008-04-18 2008-04-18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92A KR20090110534A (ko) 2008-04-18 2008-04-18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534A true KR20090110534A (ko) 2009-10-22

Family

ID=4153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092A KR20090110534A (ko) 2008-04-18 2008-04-18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05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74Y1 (ko) * 2010-05-28 2013-01-16 이동주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KR101292364B1 (ko) * 2011-05-06 2013-08-01 정순자 차열 방화셔터용 셔터박스
KR101292406B1 (ko) * 2011-05-06 2013-08-01 정순자 차열 방화셔터용 가이드레일
KR101315658B1 (ko) * 2011-05-06 2013-10-08 정순자 차열 방화셔터용 하부바
EP4299141A1 (en) * 2022-06-29 2024-01-03 Coopers Fire Limited Smoke se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74Y1 (ko) * 2010-05-28 2013-01-16 이동주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KR101292364B1 (ko) * 2011-05-06 2013-08-01 정순자 차열 방화셔터용 셔터박스
KR101292406B1 (ko) * 2011-05-06 2013-08-01 정순자 차열 방화셔터용 가이드레일
KR101315658B1 (ko) * 2011-05-06 2013-10-08 정순자 차열 방화셔터용 하부바
EP4299141A1 (en) * 2022-06-29 2024-01-03 Coopers Fire Limited Smoke se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90110534A (ko)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WO2012080534A1 (es) Método de evaluación del riesgo en caso de incendio en la edificación
TWM496677U (zh) 防火捲門之捲幕箱布幕氣密結構改良
KR20160110851A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JP2013028907A (ja) シェルター付建物
JP2001087406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20110064811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하단바 구조
JP2017101506A (ja) 吊り足場側壁用扉パネルと、吊り足場側壁と、側壁付き吊り足場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1386714B1 (ko) 스크린천 유동방지 가이드장치
KR102085439B1 (ko)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JPH09187525A (ja) 可動式防火・防煙区画構造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0425337Y1 (ko) 방화 셔터용 비상구의 중간 고정구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EP3674511A1 (en) Fire protection closure system of the fire curtain type equipped with a mantle with insulating chamber
JP3097543B2 (ja) 人が容易に通過できる防火・防煙区画構造
KR20050059424A (ko) 방화문용 연기 및 열 차단장치
KR101556005B1 (ko) 공간차연시스템
US10960495B2 (en) Laser curtain containment system
JPH0642681Y2 (ja) 可動式防火壁
JP5592416B2 (ja) 津波対策用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