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74Y1 -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 Google Patents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74Y1
KR200464774Y1 KR2020100005566U KR20100005566U KR200464774Y1 KR 200464774 Y1 KR200464774 Y1 KR 200464774Y1 KR 2020100005566 U KR2020100005566 U KR 2020100005566U KR 20100005566 U KR20100005566 U KR 20100005566U KR 200464774 Y1 KR200464774 Y1 KR 200464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shutter
guide rail
flame
retarda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217U (ko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filed Critical 이동주
Priority to KR2020100005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74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있어서, 일 측에 폐루프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두 겹의 불연성 재질로서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18
" 형상으로 형성된 차연가스킷으로 이루어진 차연부재와, 상기 차연가스킷 타 측에서 상기 차연가스킷 일부를 고정하며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19
"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존 벽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철거하지 않고 기존의 가이드레일에 차연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차연부재 시공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철거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고정부재에 불연성 차연부재를 폐루프형상의 홀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형성함으로써 차연 효과가 크며, 특히 고정부재에 차연부재를 매입시켜 고정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빠른시간 내에 차연부재를 대량생산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셧터용 차연부재{smokeproof member for fireproot shutter}
본 고안은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셧터의 양 측면을 안내할 수 있도록 통행로의 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내부에 용접 부착되어 화재시 연기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셧터는, 방범을 목적으로 일정한 공간의 통행로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셧터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셧터는 양 측벽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에 셧터의 양 측면이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상하 자유롭게 승강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셧터는 다양한 구성으로 제안된 바 있는데, 여기서 통행로의 양 측벽에 설치되어 셧터의 양 측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의 내부에는 차연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셧터가 통행로를 폐쇄하고 있는 공간에서의 화재발생시 연기가 출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종래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및 그 설치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셧터구조에 있어서 차연부재(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가이드레일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차연부재(10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레일을 제조해야 한다. 즉 별도 제조되는 가이드레일(101)의 내벽 일 측에는 불연성 차연부재(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02)를 설치하는 요입홈(103)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가이드레일(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연부재(100)를 요입홈(103)에 접촉시킨 후 차연부재(100)의 일부가 요입홈(103)에 접촉되도록 하되 차연부재(100)의 일단은 요입홈(103)으로부터 일정길이 외출되도록 한 다음 고정부재(102)를 요입홈(103)에 끼워 넣고 고정부재(102)와 가이드레일(101)을 용접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며 가이드레일(101)에는 셧터(40)가 삽입 위치되어 승강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차연부재를 시공을 할 경우 기존 통행로의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은 그대로 이용할 수 없고, 따라서 반드시 기존의 가이드레일을 철거한 후 차연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요입홈이 절곡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가이드레일 제조자 입장에서는 요입홈을 형성하는 작업의 난이성과. 재료 증가라는 부담이 뒤따르고, 셧터를 주문 설치해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경제적 부담이 큰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차연부재는 불연성으로 이루어진 한 겹의 차연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연을 위한 기밀성이 떨어지고 특히 빈번한 셧터 승강에 따라 접촉 파손되어 차연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단점도 있다. 특히 종래 차연부재를 요입홈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고 아울러 차연부재와 고정부재를 각각 별도로 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빠른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연부재를 제안함에 있어서, 기존 통행로의 양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철거하지 않고, 기존의 가이드레일에 차연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철거작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는 한편, 고정부재에 불연성 차연부재를 폐루프형상의 홀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형성함으로써 차연 효과가 크도록 하고, 특히 고정부재에 차연부재를 매입시켜 고정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빠른시간 내에 차연부재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방화셧터용 차연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있어서,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있어서, 일 측에 폐루프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두 겹의 불연성 재질로서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14
" 형상으로 형성된 차연가스킷으로이루어진 차연부재와, 상기 차연가스킷 타 측에서 상기 차연가스킷 일부를 고정하며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15
"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존 벽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철거하지 않고 기존의 가이드레일에 차연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차연부재 시공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철거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고정부재에 불연성 차연부재를 폐루프형상의 홀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형성함으로써 차연 효과가 크며, 특히 고정부재에 차연부재를 매입시켜 고정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빠른시간 내에 차연부재를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연부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연부재를 기존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평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차연부재의 설치구성을 보인 평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연부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연부재를 기존 가이드레일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평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연부재(10)는, 폐루프형상의 홀(11)이 형성될 수 있도록 두 겹의 불연성 재질로서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16
"로 형성된 차연가스킷(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연부재(10)를 이루는 차연가스킷(12)의 타 측에는 차연가스킷(12) 일부를 고정하며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17
"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13)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연부재(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의 가이드레일(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홀(31)의 내벽(32)에서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셧터(40)가 가이드홀(31)에 삽입되면 셧터(40)의 면과 차연가스킷(12)의 면이 상호 기밀하게 접촉되는 것으로서 차연 가능하다. 특히 차연가스킷(12)이 폐루프형상의 홀(11)이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력이 발생되고 따라서 셧터(40)면과 차연가스킷(12)은 기밀한 접촉을 유지한 채 차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연가스킷(12)은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05
" 형상으로 되도록 두 겹의 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홀(31)에서 승강하는 셧터(40) 양 측면이 빈번하게 접촉되어도 쉽게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차연 효과는 오랜 기간 동안 지속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 벽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을 철거하지 않아도 되고, 고정부재에 불연성 차연부재를 폐루프형상의 홀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형성함으로써 차연 효과가 크다.
10 : 차연부재,
11 : 홀,
12 : 차연가스킷,
13 : 고정부재,
30 : 가이드레일,
31 : 가이드홀,
32 : 내벽,
40 : 셧터

Claims (1)

  1. 방화셧터용 차연부재에 있어서,
    일 측에 폐루프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도록 두 겹의 불연성 재질로서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06
    " 형상으로 형성된 차연가스킷으로 이루어진 차연부재와, 상기 차연가스킷 타 측에서 상기 차연가스킷 일부를 고정하며 그 평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74764982-utm00007
    "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KR2020100005566U 2010-05-28 2010-05-28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KR200464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66U KR200464774Y1 (ko) 2010-05-28 2010-05-28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566U KR200464774Y1 (ko) 2010-05-28 2010-05-28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17U KR20110011217U (ko) 2011-12-06
KR200464774Y1 true KR200464774Y1 (ko) 2013-01-16

Family

ID=5136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566U KR200464774Y1 (ko) 2010-05-28 2010-05-28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7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677A (ja) 1999-10-22 2001-05-08 Unitika Glass Fiber Co Ltd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
JP2004108018A (ja) 2002-09-19 2004-04-08 Taiyo Kogyo Corp 防火または防煙用シャッター
JP2004251021A (ja) 2003-02-20 2004-09-09 Nikken Sekkei Ltd スクリーン装置
KR20090110534A (ko) * 2008-04-18 2009-10-22 임흥순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677A (ja) 1999-10-22 2001-05-08 Unitika Glass Fiber Co Ltd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
JP2004108018A (ja) 2002-09-19 2004-04-08 Taiyo Kogyo Corp 防火または防煙用シャッター
JP2004251021A (ja) 2003-02-20 2004-09-09 Nikken Sekkei Ltd スクリーン装置
KR20090110534A (ko) * 2008-04-18 2009-10-22 임흥순 방화 스크린 셔터의 측부 가이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17U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2418B2 (ja) 防火サッシ
KR200464774Y1 (ko) 방화셧터용 차연부재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KR101725722B1 (ko) 하부 문틀이 없는 기밀성 슬라이딩 자동 방화문
KR200411903Y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110111617A (ko) 비금속내화단열재로 이루어진 비상도어를 구비한 철재방화셔터
KR101292364B1 (ko) 차열 방화셔터용 셔터박스
JP6570847B2 (ja) 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KR101292406B1 (ko) 차열 방화셔터용 가이드레일
JP6271133B2 (ja) 窓シャッター装置
KR20060040092A (ko) 방화셔터
KR101315658B1 (ko) 차열 방화셔터용 하부바
KR101913762B1 (ko) 방화문용 슬라이딩바텀 구조
KR20110037478A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JP6563217B2 (ja) 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KR101301836B1 (ko) 차열 방화셔터
KR200418284Y1 (ko) 투시형 방화셔터
TWM543863U (zh) 配置隔絕元件的電梯門結構
KR1006618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구용 차연부재 및 그를 이용한 방화셔터
KR101186378B1 (ko)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차열 방화벽 겸용 다용도 차열 방화셔터
KR101343047B1 (ko) 방화 커튼 장치
JP5937849B2 (ja) 窓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JP7066574B2 (ja) 引戸の戸袋部構造
KR200176972Y1 (ko)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