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903Y1 -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 Google Patents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7903Y1 KR200197903Y1 KR2020000003202U KR20000003202U KR200197903Y1 KR 200197903 Y1 KR200197903 Y1 KR 200197903Y1 KR 2020000003202 U KR2020000003202 U KR 2020000003202U KR 20000003202 U KR20000003202 U KR 20000003202U KR 200197903 Y1 KR200197903 Y1 KR 20019790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arc
- wall
- boxless
- rai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1. 본 고안은 호형레일(1b)을 따라 좌·우로 또는 일측 방향으로 개(A-A)폐(B-B)되는 셔터로서, 실내의 벽면(B-B)을 따라 레일을 연장하여 그 위에 열린 셔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특징은 박스없는 셔터이다.
2. 본 고안은 박스없는 셔터를 실용화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대·소 건축물에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라 하겠다.
3. 종래의 셔터는 박스를 전면부에 꼭 부착해야 하며 또한 공간 차지의 단점 때문에, 현재 시내 곳곳에 박스형 소형 점포가 실내외의 공간 부족 때문에 박스를 부착하지 못하고 덧문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어떤 점포는 전면과 측면에 셔터의 박스를 두 개이상 부착해야 하는 필요 이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장소에 특히 본 고안의 특징인 박스없는 셔터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고안의 박스없는 셔터는 호형이나 곡면으로 좌·우 또는 일측방향으로 개폐하므로 종래의 사각적인 틀을 벗어난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시대의 흐름과 도시적인 미화 차원에서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본 고안은 작은 규모의 점포일수록 셔터를 벽면에 저장하므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호형 또는 곡면으로 좌·우 또는 일측방향으로 개폐되는 셔터를 적용하므로 미려한 디자인의 대·소 건축물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Description
도 1. 본 고안은 호형레일(1b)을 따라 좌우로 또는 일측 방향으로 개(A-A)폐(B-B)되는 셔터로서, 실내의 벽면(B-B)을 따라 레일(1b)을 연장하여 그 위에 열린 셔터를 저장(B-B)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박스가 없는 셔터를 실용화하여, 구조적으로 박스를 부착할 수 없는 시내 곳곳의 박스형 점포 또는 미관을 중요시하는 관광 장소의 점포 등, 디자인을 강조하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본 고안을 실용화한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이 들어보고자 한다.
태극의 그림이 있는데, 이는 위에서 본 소형 점포의 단면도이다. 중간에 태극선을 사이에 두고, 한쪽 둘레가 셔터가 열린 상태이며 다른 한쪽 둘레의 안쪽에 셔터가 저장되어 있다.
실시 예를 보는 바와 같이, 열린 폭이 크며 셔터의 박스가 없다. 작은 면적을 크게 활용한 실용성이라 사료되며, 현재 시내 곳곳에 있는 박스형 점포는 셔터의 박스를 부착하기 어려운 구조성으로 인하여 덧문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도시적인 미화 차원에서도 본 고안에 의미가 있다고 사료한다.
도 2.의 셔터판(2)의 재료는 알미늄 성형 사출의 재료로서, 본 고안자가 시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주문 구입을 하였든바, 그 재료의 판재를 단면(2)하여 도안지에 찍어 도면(2)한 것으로 사실적인 작동 기능을 나타내고 싶은 도안자의 의도이다. 그리고 판재의 재질면에서 포합구(8a)(8b)와 포합관(9a)(9b)의 작동 기능상 적합하였으며, 시중의 여러 종류의 판재는 얇고 가벼워 포합구나 포합관의 기능상 부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도 1. 다음은 레일(1b)의 제작 과정으로, 전면(A-A)과 벽면(B-B)으로 각각 나누어 제작하여 조립 고정시키면 되는데,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판의 재료를 단면이 '' 형상으로 절곡하면 직선 레일이 되고, 두번째로 잔넬을 재료로 한 단면이 '' 형상을 호형으로 벤딩하여 준비한다. 세번째로 평판의 재료를 단면 '' 형상으로 절단하여 호형으로 벤딩한 다음, 준비된 두번째와 접합하면 단면 '' 형상으로 용접된 호형레일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또하나 작은 호형레일(c-c)을 제작하면 두 종류의 호형레일이 제작되므로, 그 중간에 첫번째의 직선레일을 맞춰서 양쪽 각각 접합 용접하면 전면(A-A)의 호형레일이 제작된다. 그다음, 전면과 벽면의 레일을 각각 제작하면 레일의 제작이 종료되는데, 레일의 제작 전문 설비를 갖추면 전면(A-A)와 벽면(B-B)을 각각 올벤딩으로 제작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다음의 작업은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란에서 설명한다.
'다음은 종래의 기술 분야'이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셔터는 수직식으로써, 박스 내부의 스프링의 인장도와 셔터의 무게와 비중을 조절하여 개폐시에 원할함을 기했는데, 셔터판의 판재가 너무 약해 단점으로 사료되며, 만약 두껍게 하면 무거워지므로 기술적인 연구 대상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존의 종류인 관재로 된 수직식은 스탠파이프로 된 관재로서, 비교적 고급스럽고 고가인 것이 단점이나 대체로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도 1. 본 고안의 중요 부분인 전면(A-A)과 벽면(B-B)의 호형레일을 제작하는 기술적인 과제로, 먼저 전면(A-A)가 벽면(B-B)을 각각 구분해서 제작하고 설치시 결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전면(A-A)을 제작 과정으로 정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단, 길이와 높이 등의 규격은 생략한다.
먼저, 평판을 재료로 한 단면이 '' 형상으로 절곡하면 직선레일이 된다. 직선의 레일을 양쪽으로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호형으로 벤딩을 해야하므로, 벤딩에 대한 전문 설비를 갖추는 기술적인 접근을 해야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직선레일의 어느 부분부터는 곡선으로 벤딩해야 하므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계적 장치가 필수적이며, 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작 방법으로 완성하여야 한다. 중간 부분은 직선레일이 되고, 양쪽으로는 각각 호형레일이 되어야 완성이 되는 것이다. 전문 설비와 그에 따르는 기계적 장치는 정해지는 규격에 따라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이 연결된 올벤딩을 하여야만 완성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도 1.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로서 위에서 본 단면도
도 2. 도 1.의 c-c와 c'-c'는 같은 곡면, 확대한 단면도
도 3. 셔터의 로울러와 호차가 연속으로 결합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4. 셔터판의 상·하단부 포합관에 삽입 고정되는 수평 로울러의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a)(1b) 호형레일 (2) 셔터판
(3a)(3b) 수평 로울러 (4b) 하부 호차
(4a) 수직 로울러 (5) 호차 지지구
(6)(7a)(7b) 중심축 지지구 (8a)(8b) 포합구
(9a)(9b) 포합관 (10a)(10b) 수평 로울러 중심축
(11) 원형홈 (12) 원형핀
(13) 왓샤 (14a)(14b) 리벳트
(15a)(15b)
(16) 호차, 중심축 (17) 리벳트
(18a)(18b) 높이차 (19) 내벽면
(20) 잠금 기둥 (21) 잠금 고리
(22) 입구 (30) 셔터
도 1. 전면(A-A)에서 열리는 셔터가 호형레일(1b)을 따라 곡면(c-c)을 회전하여 벽면(B-B)으로 들어 가는데, 이는, 즉 곡면(c-c) 회전하는 부분의 기능이 중요하므로, 다음과 같이 두가지 정도를 정리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의 수평로울러(3a)(3b)의 축(10a)(10b)과 포합구(8a)(8b) 그리고 포합관(9a)(9b), 이상 세부분의 기능이 상·하단으로 수직선을 이루게 되어 결국 같은 중심의 축이 되므로, 셔터가 이동할 때의 저항을 최소화하였으며,
도 3.은, 셔터가 레일에서 이동할 때, 접촉되는 부분은 레일과 로울러 뿐으로써 접촉하는 로울러는 수평(3a)(3b) 수직(4a)로울러와 하부호차(4b)로울러로서 셔터의 상·하단부에 결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레일 위의 저항을 최소화하였으며, 하부호차 역시 셔터의 자중을 해소시키므로 셔터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4.에 구체적으로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호차 지지구(5)에 로울러(4b)를 결합하고 지지구(5)의 측공에 중심축(16)을 결합하여 리벳트(17)한다. 또한 상부 수직로울러(4a)의 결합도 같은 순서이다.
도 4.에 수평로울러 중심축(10a)(10b)에 왓샤(13)와 로울러(3a)(3b) 그리고 왓샤(13)를 순서대로 결합하고, 원형핀(12)을 원형홈(11)에 끼운다. 이로써 수평로울러(3a)(3b)가 결합되었다.
도 3.에 앞서 결합된 하부호차(4b)를 셔터판(2)에 결착시켜 리벳트(17)한다. 이로써 셔터판(2)에 하부호차(4b)가 결착 고정되었다.
도 4.에 상·하단부 셔터판(2)에 먼저 결합한 수평로울러의 중심축(7a)(7b) 부분을 포합관(9a)(9b)에 삽입하고 지지구(6a)(6b)를 리벳트(14a)(14b)(15a)(15b)를 각각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셔터판(2)을 연속 결속시키며 반복 작업을 해 결속이 끝이 나면, 상부 수직로울러(4a)를 결합하는데 셔터(30)의 길이에 따라 수량을 달리해 정해진 간격대로 하부호차와 같은 방식으로 결착 리벳트(17)한다.
상부 수직로울러(4a)의 수량을 조절하는 이유는 셔터의 자중때문이므로, 따라서 소량만 필요로 한다.
이로써 셔터판(2)에는 상·하단부의 수평로울러(3a)(3b)와 하부호차(4b) 그리고 상부 수직로울러(4a)의 결착 작업이 끝나서, 셔터(30)가 완성되었다.
다음은 호형레일(1a)(1b)을 설치하는 과정이다.
도 1.에 상단의 호형레일(1a)은 단면이 ''형상이고 하단(1b)은 단면이 '' 형상이다.
이와 같은 호형레일(1a)(1b)을 전면(A-A)에서 벽면(B-B)을 따라 연장하는데, 연장하는 길이는 상·하단 각각 전면(A-A)의 길이이며, 이와 같이 준비가 되면 설치와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다음 작업은 미리 완성된 셔터를 레일(1a)(1b)에 삽설하는 것이다. 셔터를 작업이 완료된 레일 끝부분의 입구(22)로 삽설하면, 삽설된 셔터(30)가 좌·우로 기우는 현상이 올 수 있다. 이 현상의 방지용 부품으로 도 4.의 상·하단부의 수평로울러(3a)(3b)의 지지구(7a)(7b)가 포합관(9a)(9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포합구(8a)(8b)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러므로 상·하단 모두가 안정되고 셔터(30) 전체가 정립(正立)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레일(1a)(1b)에 셔터(30)가 삽설되어 작업은 완성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특징인 박스없는 셔터로서, 전면(A-A)이 트이는 효과와 개(A-A)폐(B-B)할 때 전면과 측면이 동시에 열리는 효과가 있으며, 호형으로 된 셔터이므로 다양한 디자인과 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1)
- 호형레일(1a)(1b)을 따라 좌,우로 또는 일측 방향(A-A)(B-B)개폐되는 서터(30)를 실내의 벽면(B-B)을 따라 서터의 길이만큼 레일을 연장하고, 레일은 단면이 '' 형상의 호형레일(1a)을 상단에 단면이 '' 형상 호형레일(1b)을 하단에 각각 설치 고정시키며, 수평 로울러(3a)(3b)의 축(10a)(10b)과 포합구(8a)(8b) 그리고 포합관 (9a)(9b)이 상,하단으로 수직선을 이루게 되고, 셔터판(2)의 상단부의 수평(3a),수직(4a)로울러가 하단의 수평로울러(3b)와 하부호차(4b)가 셔터판(2)에 연속으로 결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202U KR200197903Y1 (ko) | 2000-02-07 | 2000-02-07 |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202U KR200197903Y1 (ko) | 2000-02-07 | 2000-02-07 |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7903Y1 true KR200197903Y1 (ko) | 2000-10-02 |
Family
ID=1964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3202U KR200197903Y1 (ko) | 2000-02-07 | 2000-02-07 |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790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9526B1 (ko) * | 2007-09-17 | 2008-09-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
KR100859527B1 (ko) * | 2007-09-17 | 2008-09-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
-
2000
- 2000-02-07 KR KR2020000003202U patent/KR20019790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9526B1 (ko) * | 2007-09-17 | 2008-09-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
KR100859527B1 (ko) * | 2007-09-17 | 2008-09-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9601773T2 (de) | Zerlegbare Präsentationsvorrichtung für ein Plakat | |
US5220951A (en) | Hinge construction for a folding closure assembly | |
KR200197903Y1 (ko) | 호형으로 좌·우로 개폐되면서 벽면내에 저장되는 셔터 | |
EP1746234A2 (de) | Beschlag für Falt-Schiebewand | |
EP1357249A3 (en) | Non-binding sectional door and method of assembly | |
DE19731064C2 (de) | Aluminium-Montagezarge für Türöffnungen oder dergleichen | |
DE602004004045T2 (de) | Schaukasten | |
DE102005002255A1 (de) | Wandanschlussprofil | |
KR101923397B1 (ko) | 겹판 조립식 문짝을 구비한 접이식 문 | |
DE10138731B4 (de) | Verbund-Fenster oder -Tür | |
CN201705169U (zh) | 一种带铰链偏心定位结构的升降式防盗栅栏 | |
CN206888791U (zh) | 一种窗框型材 | |
DE8633829U1 (de) | Faltwand | |
CN204899594U (zh) | 一种具有防水框的一体化窗 | |
CN209621078U (zh) | 一种折叠门 | |
DE9317852U1 (de) | Vitrine, insbesondere für Werbezwecke | |
CN216041727U (zh) | 一种房屋建设用钢管连接装置 | |
KR0113273Y1 (ko) | 절첩식 바리케이드 대문 | |
CN213844578U (zh) | 一种可开启的多用防水展示面板 | |
JPH0245432Y2 (ko) | ||
CN101761304B (zh) | 一种带铰链偏心定位结构的升降式防盗栅栏 | |
JP2552657Y2 (ja) | 排煙窓 | |
JPH0352957Y2 (ko) | ||
JP3648737B2 (ja) | サッシ窓枠 | |
CN116792644A (zh) | 三脚架连接片型撑杆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