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370B1 -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 Google Patents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370B1
KR102265370B1 KR1020190127830A KR20190127830A KR102265370B1 KR 102265370 B1 KR102265370 B1 KR 102265370B1 KR 1020190127830 A KR1020190127830 A KR 1020190127830A KR 20190127830 A KR20190127830 A KR 20190127830A KR 102265370 B1 KR102265370 B1 KR 10226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ire
track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543A (ko
Inventor
강성배
Original Assignee
강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배 filed Critical 강성배
Priority to KR102019012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370B1/ko
Priority to US17/070,279 priority patent/US20210108461A1/en
Publication of KR2021004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07Shutter boxes; Details or component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2Fire-dampers with provision for the removal of an obstacle, e.g. rails, conveyors, before closing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69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무동력 방식의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셔터는 셔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셔터의 폭 방향의 양 단부를 가이드하는 셔터트랙, 상기 셔터를 권취하는 권취축이 설치되어 상기 셔터를 코일 형태로 보관하는 코일박스, 상기 권취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모터 및 상기 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박스에 보관된 상기 셔터가 상기 셔터트랙을 따라 전개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므로, 초기 설비투자비용 및 유지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비상전원의 손실 등에 따른 동력 상실시 발생될 수 있는 방화 셔터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화재 차단 기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FIREPROOF SHUTTER THAT OPENS AND CLOSES WITHOUT POWER}
본 발명은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관통형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수평 방식의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건축물의 다양화에 따라, 다층 건축물은 동일한 층에서도 별도의 독립된 공간을 구획하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고려하여 내부가 수직으로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된 이른바, 중정(中庭)이 형성된 아파트나 상가 등과 같은 건축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수직 관통형의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굴뚝 현상에 의해 고층으로 화재가 신속하게 확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수직 관통형의 건축물에는 각 층마다 수평 방식의 방화 셔터가 설치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수평 방식의 방화 셔터는 화재발생시 비상전원을 인가하여, 전동 모터의 동작에 따라 셔터가 전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동 구동 방식의 방화 셔터는 별도의 비상전원을 구비해야 함에 따른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비상전원의 손실 등에 따른 동력 상실시 방화 셔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화재를 차단하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1986-0009504호 (1986. 08. 1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과 같은 별도의 동력 없이도 개폐 가능한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셔터는 셔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셔터의 폭 방향의 양 단부를 가이드하는 셔터트랙, 상기 셔터를 권취하는 권취축이 설치되어 상기 셔터를 코일 형태로 보관하는 코일박스, 상기 권취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모터 및 상기 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박스에 보관된 상기 셔터가 상기 셔터트랙을 따라 전개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 셔터는 상기 셔터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 및 상기 셔터와 상기 무게추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를 구름 지지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전개될 수 있도록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코일박스, 상기 권취모터, 상기 견인와이어 및 상기 도르래는 상기 한쌍의 셔터에 대응하여 각각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상기 한쌍의 견인와이어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한쌍의 견인와이어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셔터트랙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셔터트랙, 상기 제1셔터트랙으로부터 만곡되는 제2셔터트랙 및 상기 제2셔터트랙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셔터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의 이송거리를 상기 무게추의 이송거리의 배수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르래는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철재 셔터와, 방화스크린이 서로 교번되도록 연결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셔터는 초기 설비투자비용 및 유지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셔터는 비상전원의 손실 등에 따른 동력 상실시 발생될 수 있는 방화 셔터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화재 차단 기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셔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주로 건물의 중정 부위를 관통하여 화염 및 연기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셔터(100), 셔터트랙(200), 코일박스(300), 권취모터(400), 견인와이어(500), 무게추(600) 및 도르래(700)를 포함할 수 있다.
셔터(100)는 방화 및 방연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방화 및 방연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셔터로는 철재셔터와, 실리카(silica) 섬유로 제조된 방화스크린이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셔터(100)는 철재셔터로 이루어지거나, 방화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마련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철재셔터의 내구성과, 방화스크린의 경량화의 장점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철재셔터(110)와 방화스크린(120)이 서로 교번된 형태로 마련할 수 있다.
셔터트랙(200)에는 셔터(100)의 폭 방향 양 끝단이 삽입된다. 이러한 셔터트랙(200)은 셔터(100)의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셔터트랙(20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셔터(100)가 수평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코일박스(300)는 함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내부에 셔터(100)를 권취하는 권취축(301)이 설치될 수 있다. 권취모터(400)는 권취축(301)을 회전 구동하여 권취축(301)에 셔터(100)가 코일 형태로 보관되도록 한다.
견인와이어(500)는 일단부가 셔터(100)에 연결되며, 견인와이어(500)의 타단부에는 무게추(600)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견인와이어(500)는 셔터(100)가 모두 전개된 길이와, 셔터(100)의 전개를 위해 무게추(600)가 승강될 수 있는 길이를 고려하여 충분한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르래(700)는 셔터(100)와 무게추(6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르래(700)는 견인와이어(500)를 구름 지지한다. 무게추(600)는 비상시, 무게추(600)의 자중에 의해 셔터(100)가 코일박스(300)로부터 풀려나와 전개될 수 있는 무게로 마련된다.
여기서, 도르래(700)는 견인와이어(500)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래 방식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고정도드래 방식에 비해 무게추(600)가 중력이 작용되는 방향의 짧은 이동거리 만으로도 셔터의 전개 거리를 배수로 늘려 비교적 긴 이송거리를 필요로 하는 셔터(100)의 전개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도르래가 연결된 형태의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비상시 별도의 동력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무게추(600)의 자중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셔터(100)를 전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셔터(10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전개될 수 있도록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셔터(100)가 제1셔터(110)와 제2셔터(120)로 분리된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코일박스(300), 권취모터(400), 견인와이어(500) 및 도르래(700)는 각각 한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셔터(110)는 도 3의 우측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배치되며, 제2셔터(120)는 도 3의 좌측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배치된다. 제1셔터(110)의 좌측에는 제1코일박스(310)와 제1권취모터(410)가 배치되며, 제1셔터(110)의 우측단부에는 제1견인와이어(510)가 연결된다. 제2셔터(120)의 우측에는 제2코일박스(320)와 제2권취모터(420)가 배치되며, 제2셔터(120)의 우측단부에는 제2견인와이어(520)가 연결된다.
제1무게추(610)는 제1견인와이어(510)에 연결되며, 제2무게추(620)는 제2견인와이어(520)에 연결된다. 제1셔터(110)와 제1무게추(610)의 사이에는 제1도르래(710)가 배치되어 제1견인와이어(510)를 구름 지지하며, 제2셔터(120)와 제2무게추(620)의 사이에는 제2도르래(720)가 배치되어 제2견인와이어(520)를 구름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제1셔터(110)와 제2셔터(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전개되므로, 비상시 화재구역을 보다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으며 비교적 넓은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4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셔터(100)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화재구역을 폐쇄할 수 있다.
즉, 셔터트랙(20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셔터트랙(210), 제1셔터트랙(210)으로부터 만곡되는 제2셔터트랙(220) 및 제2셔터트랙(22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셔터트랙(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방화 셔터는 셔터(100)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전개할 수 있으므로, 화염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화 셔터의 설치 공간에 따라, 제3셔터트랙(230)을 바닥면까지 연장하지 않고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가 셔터(100)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3셔터트랙(230)을 바닥면까지 연장한다면 화재구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셔터 200 : 셔터트랙
300 : 코일박스 400 : 권취모터
500 : 와이어 600 : 무게추
700 : 도르래

Claims (8)

  1. 셔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셔터의 폭 방향의 양 단부를 가이드하는 셔터트랙;
    상기 셔터를 권취하는 권취축이 설치되어 상기 셔터를 코일 형태로 보관하는 코일박스:
    상기 권취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권취모터;및
    상기 셔터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박스에 보관된 상기 셔터가 상기 셔터트랙을 따라 전개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되,
    상기 셔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전개될 수 있도록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코일박스, 상기 권취모터, 견인와이어 및 도르래는 상기 한쌍의 셔터에 대응하여 각각 한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무게추는 상기 한쌍의 견인와이어에 함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및
    상기 셔터와 상기 무게추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견인와이어를 구름 지지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트랙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셔터트랙;
    상기 제1셔터트랙으로부터 만곡되는 제2셔터트랙;및
    상기 제2셔터트랙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셔터트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이송거리를 상기 무게추의 이송거리의 배수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르래는 복합도르래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철재 셔터와, 방화스크린이 서로 교번되도록 연결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셔터.
KR1020190127830A 2019-10-15 2019-10-15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KR10226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30A KR102265370B1 (ko) 2019-10-15 2019-10-15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US17/070,279 US20210108461A1 (en) 2019-10-15 2020-10-14 Fireproof shutter that opens and closes without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30A KR102265370B1 (ko) 2019-10-15 2019-10-15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43A KR20210044543A (ko) 2021-04-23
KR102265370B1 true KR102265370B1 (ko) 2021-06-15

Family

ID=7538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830A KR102265370B1 (ko) 2019-10-15 2019-10-15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08461A1 (ko)
KR (1) KR102265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6880B (zh) * 2021-11-03 2023-02-21 湖南翰坤实业有限公司 防火密封装置及控制系统
CN115387706B (zh) * 2022-08-17 2023-12-01 吉林建筑大学 一种钢结构装配式住宅防火窗台和应用方法
CN115715856A (zh) * 2022-11-04 2023-02-28 慧境有限公司 配重防火装置、复式车库及建筑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604B1 (ko) * 2010-11-09 2014-06-24 장종복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8509A (en) * 1938-05-14 1940-01-30 Cornell Iron Works Inc Escalator cover
US4761352A (en) 1985-05-17 1988-08-02 Eastman Kodak Company Accordian folded electrode assembly
EP0252839A3 (fr) * 1986-07-09 1988-06-01 Mac GREGOR-NAVIRE (F) S.A. Dispositif de fermeture au moins partielle d'une baie verticale dans un bâtiment; son application comme obturateur mécanique antigel
JPH0570555U (ja) * 1992-03-06 1993-09-24 文胤 市川 横引、水平引防火用シャッター扉
US5355927A (en) * 1992-12-17 1994-10-18 Mckeon Rolling Steel Door Company, Inc. Self-closing fire door
US6615894B1 (en) * 2000-12-15 2003-09-09 Mckeon Rolling Steel Door Co., Inc.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US8307877B1 (en) * 2005-05-20 2012-11-13 McKeon Rolling Steel Door Co. Two-sided fire door with single motor drive
US7748431B2 (en) * 2006-06-05 2010-07-06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Track and guide system for a door
US9525308B1 (en) * 2013-03-15 2016-12-20 Overhead Door Corporation Emergency door release with backup power
GB2581456B (en) * 2018-01-31 2021-03-03 Gliderol Doors S Pte Ltd Slat assembly for roller shutter, roller shutt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604B1 (ko) * 2010-11-09 2014-06-24 장종복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08461A1 (en) 2021-04-15
KR20210044543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370B1 (ko) 무동력 개폐 방화 셔터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JP2011522981A (ja) 巻くことができるドアリーフを有する高速ロールアップドア
KR20200021565A (ko) 하부 롤러를 갖춘 방화셔터
CN108301750A (zh) 一种窗户防火装置
KR100983342B1 (ko)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CN103742062A (zh) 一体化盒式防火阻隔装置
JP5382458B2 (ja) 機械排煙設備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KR100859527B1 (ko) 버티컬 블라인드형 셔터
KR20090009915U (ko) 브레이크 장치를 결합한 상, 하 개폐용 스크린 문
KR100859526B1 (ko) 수평 이동형 접이식 셔터
JP6670773B2 (ja) エレベータ用ガバナロープの振れ抑制ガイド装置
RU192908U1 (ru) Подъемное ограждение
KR200407042Y1 (ko)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CN218644164U (zh) 一种防火涡轮快卷门
KR20210018021A (ko) 외벽 방화용 창호
JP4926508B2 (ja) 開閉装置
JP6573810B2 (ja) 構造物
US2059047A (en) Venetian blind guide construction
KR102531531B1 (ko) 철재 자동 방화 셔터
KR102580957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 및 리프트용 화염차단 방화도어
JP3785617B2 (ja) 建築用シートシャッター
CN107108177B (zh) 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