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10Y1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310Y1 KR200491310Y1 KR2020180001827U KR20180001827U KR200491310Y1 KR 200491310 Y1 KR200491310 Y1 KR 200491310Y1 KR 2020180001827 U KR2020180001827 U KR 2020180001827U KR 20180001827 U KR20180001827 U KR 20180001827U KR 200491310 Y1 KR200491310 Y1 KR 2004913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blade
- adjustment
- shaft
- fit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인 등이 불필요하게 임의로 풍량을 조절하지 못하도록 잠금 기능을 부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0)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20);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레버(30); 레버(30)의 타단에 힌지(H)로 연결되어 블레이드(20)를 회전시키는 링크(40);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축공(51)과 다수의 조절공(52)을 구비하는 브래킷(50); 축공(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로 배치된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과 연결되는 연결축(60); 연결축(60)에 연결되는 보스(71)와 조절공(52)에 대응하는 핀공(72)을 구비하는 조절손잡이(70); 조절손잡이(70)에 토션스프링(T)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핀공(72)과 조절공(52)으로 끼워지는 고정핀(81)을 구비하는 해지레버(80); 브래킷(50)의 축공(51)과 다수의 조절공(52) 사이에 형성되는 호형장공(53); 호형장공(53)과 마주하도록 조절손잡이(70)에 형성되는 나사공(73); 호형장공(53)과 나사공(73)으로 끼워지는 고정나사(90); 고정나사(90)에 체결되어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너트(1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기조화용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의 블레이드를 용이하게 개폐함과 동시에 댐퍼의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인 등이 불필요하게 임의로 풍량을 조절하지 못하도록 잠금 기능을 부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는 실내의 쾌적한 환경유지를 위하여 실내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평균유속을 제어하고, 먼지, 유해가스 등을 배제하는 것으로서, 여름에는 차가운 공기를 제공하여 냉방을 수행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공기를 제공하여 난방을 수행하여 실내의 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냉방과 난방을 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는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쾌감공기조화와 실내에서 취급하는 물품과 그것을 가공하는 작업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산업공기조화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방의 용도가 다르면 적합한 실내 상태도 달라지므로 덥거나 추운 방에는 온도가 낮은 또는 높은 공기를 보내서 실온을 목표값으로 유지할 수 있고, 습도가 높을 때는 건조한 공기를, 먼지나 가스의 농도가 허용값을 넘을 때에는 청정한 공기를 보내게 된다 특히, 반도체 산업이나 디스플레이 산업 등에서 실내의 공기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 청정도로 유지하는 것은 제품 수율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공기조화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공기를 여러 가지 상태로 바꿀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기계실에 설치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덕트를 통해 각 방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기조화용 덕트에는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댐퍼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구의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우징과, 그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이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3332호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환기용 덕트와 덕트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회전형 개폐판(210a)(210b)이 함께 연동형으로 동작되게 설치된 댐퍼몸체(200)와; 일측 개폐판(210a)의 회전축(211)이 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댐퍼몸체(20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그 돌출된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다수의 걸림공이 형성된 브라켓(220)과; 상기 돌출된 회전축(211)에 결합되어 개폐판(210a)을 동작시키고, 상기 걸림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핀출입공(231)이 구비된 손잡이(230)와; 선단의 핀(241)이 상기 핀출입공(231)을 통해 다수의 걸림공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스프링(242)의 장력을 받아 핀(241)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손잡이(230) 표면에 설치된 누름부(240);로 이루어진 건물 환기덕트용 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판(210a)(210b)은 손잡이(230)가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위치일 때 최대로 열리게 설정하여 설치하고, 손잡이(230)가 덕트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위치일때 완전히 닫히도록 설정하여 설치하며, 상기 브라켓(220)에 형성하는 다단의 걸림공은 상기 손잡이(230)가 수평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최대열림용 걸림공과, 손잡이(230)가 수직위치일 때 핀(241)이 끼워지는 닫힘용 걸림공 범위 내에서 다단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개폐장치는 손잡이(230)의 회전을 단속하는 잠금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인 등이 불필요하게 임의로 풍량을 조절할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반도체 생산용 클린룸에서는 상기와 같이 댐퍼의 풍량을 임의로 조절할 경우 온도나 습기의 조절이 불가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 및 생산에 차질이 생겨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공기조화용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의 블레이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함과 동시에 댐퍼의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인 등이 불필요하게 임의로 풍량을 조절하지 못하도록 잠금 기능을 부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개폐방향과 개폐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공조덕트용 댐퍼의 하우징에 통풍구를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에 통풍구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양측 회전축과 베어링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회전축에 레버의 일단을 각각 고정하며, 상기 레버의 타단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링크를 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축공과 다수의 조절공이 구비된 브래킷을 고정하며, 상기 축공에 하부로 배치된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축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축에 조절공과 마주하는 핀공이 구비된 조절손잡이의 보스를 끼워 볼트로 고정하며, 상기 조절손잡이에 핀공과 조절공으로 끼워지는 고정핀이 구비된 해지레버를 토션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브래킷의 축공과 다수의 조절공 사이에 호형장공을 형성하며, 상기 호형장공과 마주하도록 조절손잡이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호형장공과 나사공에 고정나사를 장착하며, 상기 고정나사에 조절손잡이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너트를 체결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나사에는 호형장공으로 끼워지는 회전방지용 사각돌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너트는 양측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나비 너트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축에는 요(凹)부를 형성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는 요부에 끼워지는 철(凸)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브래킷의 전면에는 블레이드의 개폐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에 따르면, 연결축과 조절손잡이 및 해지레버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공기조화용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의 블레이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함과 동시에 댐퍼의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량을 조절한 후 고정나사에 체결된 고정너트를 강하게 조이면 조절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인 등이 불필요하게 임의로 풍량을 조절하지 못하도록 잠금 기능을 부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래킷의 전면에 블레이드의 개폐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블레이드의 개폐방향과 블레이드가 어느 정도 개방되었는지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풍구(11)를 구비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양측 회전축(21)과 베어링(2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어 통풍구(11)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20); 상기 블레이드(20)의 일측 회전축(21)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레버(30); 상기 레버(30)의 타단에 힌지(H)로 연결되어 블레이드(20)를 회전시키는 링크(40);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고정되어 축공(51)과 다수의 조절공(52)을 구비하는 브래킷(50); 상기 축공(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로 배치된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과 연결되는 연결축(60); 상기 연결축(60)에 연결되는 보스(71)와 조절공(52)에 대응하는 핀공(72)을 구비하는 조절손잡이(70); 상기 조절손잡이(70)에 토션스프링(T)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핀공(72)과 조절공(52)으로 끼워지는 고정핀(81)을 구비하는 해지레버(80); 상기 브래킷(50)의 축공(51)과 다수의 조절공(52) 사이에 형성되는 호형장공(53); 상기 호형장공(53)과 마주하도록 조절손잡이(70)에 형성되는 나사공(73); 상기 호형장공(53)과 나사공(73)으로 끼워지는 고정나사(90); 상기 고정나사(90)에 체결되어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너트(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는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용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는 하우징(10), 블레이드(20), 레버(30), 링크(40), 브래킷(50), 연결축(60), 조절손잡이(70), 해지레버(80), 고정나사(90) 및 고정너트(10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나사(90)와 고정너트(100)를 통해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조절손잡이(70)에 잠금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공조덕트용 댐퍼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를 토출시키는 통풍구(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전후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에는 공조덕트에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블레이드(20)의 양측 회전축(21)을 장착하기 위한 축공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20)는 하우징(10)에 양측 회전축(21)과 베어링(2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블레이드(20)는 하우징(10)의 통풍구(11)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20)는 도 6에서와 같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통풍구(11)를 개방시키고, 한편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20)는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통풍구(11)를 폐쇄시킨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20)의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음방지 및 기밀유지용 완충재(23)가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완충재(23)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완충재(23)는 블레이드(20)의 개폐작동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함과 동시에 블레이드(20)가 닫힌 상태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레버(30)는 블레이드(20)의 일측 회전축(21)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레버(30)의 타단은 링크(4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레버(30)의 일단은 회전축(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등을 통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같이 회전하게 되고, 한편 상기 레버(30)의 타단은 링크(4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H)로 연결된다.
상기 링크(40)는 레버(30)의 타단에 힌지(H)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링크(40)는 다수의 블레이드(20)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라 2개의 블레이드(20)와 레버(30)가 설치된 상태를 참고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블레이드(20)와 레버(30)는 2개 이상의 다수 개가 다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브래킷(50)은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브래킷(50)의 중앙에는 연결축(60)이 끼워지는 축공(51)이 형성되고, 브래킷(50)의 일측 하부에는 동심원상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절공(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50)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연결편(50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50a)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하우징(10)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고정편(50b)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50)의 축공(51)과 다수의 조절공(52) 사이에는 동심원상으로 호형장공(5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호형장공(53)에는 고정나사(90)가 끼워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50)의 전면에는 블레이드(20)의 개폐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54)가 구비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54)를 통해 블레이드(20)의 개폐방향과 블레이드(20)가 어느 정도 개방되었는지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 연결축(60)은 브래킷(50)의 축공(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축(60)은 하우징(10)의 하부로 배치된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60)과 회전축(21)은 같이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축(60)에는 요부(6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에는 요부(61)에 끼워지는 철부(21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부(61)에 철부(21a)를 끼우면 연결축(60)과 회전축(21)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조절손잡이(70)는 연결축(6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손잡이(70)의 전방에는 연결축(6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71a)로 고정되는 보스(71)가 구비되고, 조절손잡이(70)의 중앙부에는 조절공(52)에 대응하는 핀공(7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손잡이(70)의 선단에는 표시침(70a)이 돌출되고, 상기 표시침(70a)은 블레이드(20)의 개폐작동시 연결축(60)과 같이 표시부(54)를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침(70a)과 표시부(54)를 통해 블레이드(20)의 개폐방향과 블레이드(20)가 어느 정도 개방되었는지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 조절손잡이(70)는 다수의 블레이드(20)들 중 하부에 배치된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라 브래킷(50)과 조절손잡이(70)가 하부에 배치된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을 회전시키도록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참고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브래킷(50)과 조절손잡이(70)는 상부에 배치된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을 구동시키도록 하우징(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조절손잡이(7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축(6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연결축(60)의 회전력은 회전축(21)에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하부 회전축(21)과 하부 블레이드(20) 및 하부 레버(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레버(30)가 회전하면 링크(40)를 통해 상부 레버(30)와 상부 회전축(21) 및 상부 블레이드(20)가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부 블레이드(20)와 하부 블레이드(20)는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0)의 통풍구(11)를 개폐시키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조절손잡이(70)의 보스(71)와 핀공(72) 사이에는 호형장공(53)과 마주하는 나사공(7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호형장공(53)과 나사공(73)에는 고정나사(90)가 끼워진다.
상기 해지레버(80)는 조절손잡이(70)에 토션스프링(T)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해지레버(80)의 전방에는 핀공(72)과 조절공(52)으로 끼워지는 고정핀(81)이 구비된다.
상기 해지레버(80)와 조절손잡이(70)에는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토션스프링(T)이 끼워지며,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된다. 이때, 평상시 상기 고정핀(81)은 토션스프링(T)의 탄력을 받으면서 핀공(72)과 조절공(52)에 끼워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해지레버(80)를 누르면 고정핀(81)이 조절공(52)에서 빠져나와 고정이 해지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조절손잡이(70)와 해지레버(8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풍량을 조절할 수 있고, 풍량을 조절한 후 해지레버(80)를 놓으면 토션스프링(T)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81)은 해당 위치에 형성된 조절공(52)으로 끼워진다.
상기 고정나사(90)는 브래킷(50)의 호형장공(53)과 조절손잡이(70)의 나사공(73)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나사(90)에는 고정너트(100)가 나사결합으로 체결된다. 이때, 고정나사(90)에는 와셔(W)가 끼워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4,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나사(90)에는 브래킷(50)의 호형장공(53)으로 끼워지는 회전방지용 사각돌부(9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나사(90)에는 호형장공(53)으로 끼워지는 회전방지용 사각돌부(91)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나사(90)에 체결된 고정너트(100)를 조일 때 고정나사(90)가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00)는 고정나사(90)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나사(90)는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을 단속 및 단속을 해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해지레버(80)를 누르고 조절손잡이(7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풍량을 조절한 후,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나사(90)에 체결된 고정너트(100)를 강하게 조이면 고정너트(100)가 조절손잡이(70)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의해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조절손잡이(7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절손잡이(70)를 회전시킬 경우 고정너트(100)를 느슨하게 풀면 조절손잡이(70)의 단속이 해지되어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이 상태에서는 해지버튼(80)를 누르고 조절손잡이(7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조절손잡이(70)의 회전시 고정나사(90)와 고정너트(100)는 호형장공(53)을 따라 조절손잡이(70)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너트(100)는 양측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나비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100)는 양측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나비 너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스패너 등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고정너트(100)를 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연결축(60)과 조절손잡이(70) 및 해지레버(80)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공기조화용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의 블레이드(2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개폐함과 동시에 댐퍼의 풍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풍량을 조절한 후 고정나사(90)에 체결된 고정너트(100)를 강하게 조이면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인 등이 불필요하게 임의로 풍량을 조절하지 못하도록 잠금 기능을 부여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고안은 브래킷(50)의 전면에 블레이드(20)의 개폐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54)가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표시부(54)를 통해 블레이드(20)의 개폐방향과 블레이드(20)가 어느 정도 개방되었는지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하우징 11 : 통풍구
20 : 블레이드 21 : 회전축
21a : 철부 22 : 베어링
30 : 레버 40 : 링크
50 : 브래킷 51 : 축공
52 : 조절공 53 : 호형장공
54 : 표시부 60 : 연결축
61 : 요부 70 : 조절손잡이
71 : 보스 72 : 핀공
73 : 나사공 80 : 해지레버
81 : 고정핀 90 : 고정나사
91 : 사각돌부 100 : 고정너트
H : 힌지 T : 토션스프링
20 : 블레이드 21 : 회전축
21a : 철부 22 : 베어링
30 : 레버 40 : 링크
50 : 브래킷 51 : 축공
52 : 조절공 53 : 호형장공
54 : 표시부 60 : 연결축
61 : 요부 70 : 조절손잡이
71 : 보스 72 : 핀공
73 : 나사공 80 : 해지레버
81 : 고정핀 90 : 고정나사
91 : 사각돌부 100 : 고정너트
H : 힌지 T : 토션스프링
Claims (5)
- 하우징(10)에 양측 회전축(21)과 베어링(2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다단으로 설치되어 통풍구(11)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20); 상기 블레이드(20)의 일측 회전축(21)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레버(30); 상기 레버(30)의 타단에 힌지(H)로 연결되어 블레이드(20)를 회전시키는 링크(40);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고정되어 축공(51)과 다수의 조절공(52)을 구비하는 브래킷(50); 상기 축공(5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로 배치된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과 연결되는 연결축(60); 상기 연결축(60)에 연결되는 보스(71)와 조절공(52)에 대응하는 핀공(72)을 구비하는 조절손잡이(70); 상기 조절손잡이(70)에 토션스프링(T)의 탄력을 받도록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핀공(72)과 조절공(52)으로 끼워지는 고정핀(81)을 구비하는 해지레버(80); 상기 브래킷(50)의 축공(51)과 다수의 조절공(52) 사이에 형성되는 호형장공(53); 상기 호형장공(53)과 마주하도록 조절손잡이(70)에 형성되는 나사공(73); 상기 호형장공(53)과 나사공(73)으로 끼워지는 고정나사(90); 상기 고정나사(90)에 체결되어 조절손잡이(70)의 회전을 단속하는 고정너트(100)를 포함하는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90)에는 호형장공(53)으로 끼워지는 회전방지용 사각돌부(9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100)는 양측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나비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60)에는 요부(6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에는 요부(61)에 끼워지는 철부(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50)의 전면에는 블레이드(20)의 개폐방향을 안내하는 표시부(5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827U KR200491310Y1 (ko) | 2018-04-25 | 2018-04-25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827U KR200491310Y1 (ko) | 2018-04-25 | 2018-04-25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747U KR20190002747U (ko) | 2019-11-04 |
KR200491310Y1 true KR200491310Y1 (ko) | 2020-03-18 |
Family
ID=6853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827U KR200491310Y1 (ko) | 2018-04-25 | 2018-04-25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31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4662B1 (ko) * | 2020-08-26 | 2021-05-21 | 홍성완 | 다용도 양방향 댐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19758A (zh) * | 2020-11-30 | 2021-02-05 | 大连中远海运川崎船舶工程有限公司 | 一种可控制开度的风闸操控装置设计 |
GB2614974B (en) * | 2023-02-14 | 2024-03-13 | Swegon Air Man Limited | Linkage assembly for a damper |
CN118418665A (zh) * | 2024-07-03 | 2024-08-02 | 日新科宇汽车用品(大连)有限公司 | 一种汽车空调出风口的风门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3332Y1 (ko) | 2006-05-24 | 2006-08-07 | 최부순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
KR200485947Y1 (ko) | 2017-07-27 | 2018-03-16 | 주식회사성일티이씨 | 방화 댐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8649Y2 (ja) * | 1992-09-11 | 1999-08-16 |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 風量調節用ダンパーの駆動装置 |
KR101726801B1 (ko) * | 2014-11-25 | 2017-04-26 | 성호경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
2018
- 2018-04-25 KR KR2020180001827U patent/KR20049131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3332Y1 (ko) | 2006-05-24 | 2006-08-07 | 최부순 |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
KR200485947Y1 (ko) | 2017-07-27 | 2018-03-16 | 주식회사성일티이씨 | 방화 댐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4662B1 (ko) * | 2020-08-26 | 2021-05-21 | 홍성완 | 다용도 양방향 댐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747U (ko) | 2019-1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1310Y1 (ko)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
KR101726801B1 (ko)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
KR101671744B1 (ko) | 병렬형 댐퍼를 이용한 건조기 배습장치 | |
EP1239229B1 (en) | Cooking chamber having a device for de-humidifying in an apparatus for food-cooking. | |
US20130082115A1 (en) | Remote Controlled Vent Register | |
KR200494832Y1 (ko) |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
US4876951A (en) | Air register handle arrangement | |
KR101839602B1 (ko) | 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 |
JP3440016B2 (ja) | 空気調和機 | |
KR101542853B1 (ko) | 차량의 에어벤트 | |
JP2514244Y2 (ja) | 空調用吹出し装置 | |
US5584312A (en) | Fire damper for ceiling diffuser | |
KR20080078188A (ko) | 공기조화기 | |
KR101930212B1 (ko) | 공조기용 에어 댐퍼 | |
US4686892A (en) | Automatic energy saving vent system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heating systems | |
KR200452110Y1 (ko) | 다분지 배기팬의 풍량조절 장치 | |
KR200493894Y1 (ko) | 댐퍼용 개폐핸들 | |
GB1604277A (en) | Apparatuses having temperature sensitive elements for controlling dampers in ventilation systems | |
AU2015200818B2 (en) | Ventilation System | |
JP2000146277A (ja) | 手動操作用の吹出装置 | |
JPH043845A (ja) | 空気調和装置 | |
AU2014200657B2 (en) | Ventilation System | |
KR100188395B1 (ko) |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 |
JPH0594641U (ja) | 送風ダクト | |
KR960009030Y1 (ko) | 에어콘용 좌우풍향조절기의 소음저감 및 유동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