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989A -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 Google Patents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989A
KR20100122989A KR1020090041958A KR20090041958A KR20100122989A KR 20100122989 A KR20100122989 A KR 20100122989A KR 1020090041958 A KR1020090041958 A KR 1020090041958A KR 20090041958 A KR20090041958 A KR 20090041958A KR 20100122989 A KR20100122989 A KR 20100122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fuse
block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선
Original Assignee
임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원선 filed Critical 임원선
Priority to KR102009004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2989A/ko
Publication of KR20100122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종래에는 조절장치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들고 유지관리가 힘들뿐만 아니라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고 있으나 전기부품 및 모터의 외장재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어 섭씨 280˚C 에 도달하기전에 녹아내려 작동이 않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조절용으로 사용되다가 화재시, 열에의한 단락으로 화재 및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시켜주는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만들어지며, 상판(110)에는 통기홀(120)과 상부축홀(130)이 형성되고 하판(140)에 하부축홀(150)이 형성되며, 측판(160) 일측에 스프링걸림부(180)를 구비하는 몸체부(100);와 상판(110)의 상부축홀(130)과 하판(140)의 하부축홀(150)에 각각 상부축(210)과 하부축(220)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스프링고정부(230)가 형성되는 차단판(200);과 일측은 몸체부(100)의 스프링걸림부(180)에 고정되고, 타측은 차단판(200)의 스프링고정부(230)에 결합되어 차단판(200)이 닫힌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300);과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 모터축홀(410)이 형성되는 차단부몸체(400);와 상측 중앙에 차단부몸체(400)의 모터축홀(410)에 끼워지는 모터축(510)이 구비되는 퓨즈상판(550)과, 중앙에 상부축(210)이 끼워지는 상부축고정홀(560)이 형성되는 퓨즈하 판(590)의 양단 플랜지(520)(530)를 서로 용접하여 화재시 통기홀(120)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서로 분리되는 퓨즈(500);와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축결합홀(610)이 모터축(510)에 끼워져 결합되며, 입력신호에 따라서 모터축(510)을 회전시켜 차단판(200)을 개.폐 시키는 모터(6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제연댐퍼, 볼륨댐퍼, 플랜지, 퓨즈, 회전판, 모터

Description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combination fire smoke moter damper}
본 발명은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냉. 난방 및 환기용 덕트의 공기조절장치로 사용하다가, 화재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제어기의 전기신호에 의해 모터가 작동되어 공기조절댐퍼가 개. 폐되어 제연설비를 수행하고, 실내온도가 섭씨 280℃ 에 도달하면 퓨즈에 의해 차단판이 폐쇄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몸체부 일측에 스프링걸림부를 설치하고, 몸체부 내부 중앙에 회전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의 일측에 스프링고정부를 설치하여, 스프링의 일측을 스프링걸림부에 고정하고 타측은 스프링고정부에 고정한 후, 일측이 차단판의 상부와 결합되는 모터를 차단판을 개방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차단판이 개방되게하고, 화재시에는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퓨즈상판과 퓨즈하판을 용접시켜 형성되는 퓨즈가 몸체부에 형성되는 통시홀을 통해 일정온도 이상에서 서로 분리되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차단판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한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이어 볼륨댐퍼(fire volume damper)란 평상시 덕트 등의 공조시스템 내부의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조절용으로 사용하다가, 화재 발생시에 열에 의해 퓨즈가 단락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이 폐쇄되는 형태의 댐퍼로서, 이러한 작동의 상태가 핸들의 구조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비교적 복합사용에 편리하게 만들어져 있다.
단점이 있다면, 화재 발생시 잠금장치가 역시 핸들에서만 이루어지므로 구조상 하단부위의 날개는 풍압 등에 약하게 되어 화재확산을 방지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어 많이 소비되지 않으며, 편리성에 의하여 특이한 장소에는 권장되는 품목이기도 하다.
또한, 일본 등지에서 생산되는 품목중에는 평상시 조절용으로 사용하다가, 연기감지기나 화재감지기 등에서 보낸 신호에 의하여 단락되는 핸들만을 생산하여 댐퍼제조업체에 판매하는 특수한 상품도 있으며, 기억형상합금을 사용한 퓨즈를 채용한 볼륨댐퍼손잡이가 있기도 하다.
그리고, 독일이나 미국 등지에서 생산되는 이러한 종류들의 겸용제품은 평상시 통제에 의하여 볼륨조절댐퍼로 사용하다가, 연기감지기나 화재감지기 등에서 보내어진 신호에 의하여 댐퍼를 폐쇄시킴으로서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들도 생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이어 볼륨댐퍼의 문제점을 보안한 제품으로, 모터를 설치하여 평상시에 사용자나 또는 제어기에 미리 입력해놓은 값에 따라 공기의 유통량을 조절하다가 화재시 센서가 유통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모터를 작동시켜 댐퍼를 폐쇄시키는 모터댐퍼가 많이 쓰이고 있다.
즉, 도 1 은 종래의 복합형 화이어 모터댐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도 3 은 종래의 복합형 화이어 모터댐퍼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모터(60)에 의해서 차단판(20)이 개.폐되는 화이어 모터댐퍼는 몸체부(10) 상부에 상부축(21)이 돌출되는데, 모터(60)에 형성되는 모터결합홀(61)에 상부축(21)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10) 상판(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센서결합홀(12)에 센서(50)가 몸체부(10) 내부로 노출되게 결합되어 몸체부(10) 내부에 유통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평상시 공기의 유통을 위해 차단판(20)이 개방되어 있으나, 사용자나 또는 제어기에 입력된 입력값에 의해 모터(60)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화재 발생시에 센서(50)가 온도를 감지하여 모터(60)를 작동시켜 차단판(20)을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화이어 모터댐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고가이고, 또한 화재 발생시와 같이 공기의 온도가 고온일때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모터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화재 발생시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모터가 훼손되어 댐퍼 내부를 폐쇄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 일측과 차단판의 일측을 스프링으로 연결하고, 몸체부 상부에서 결합되는 모터와 상부축이 사이에 퓨즈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모터에 의해 차단판이 작동되다가 화재 발생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내부공기 온도가 상승하면 퓨즈의 단락되면서 스프링에 탄발력에 의해 모터의 작동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몸체부 내부가 차단판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한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퓨즈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생산단가 및 유지보수비를 낮추고,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조절용으로 사용되다가 화재시, 열에의한 단락으로 화재 및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시켜주는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만들어지며, 상판에는 통기홀과 상부축홀이 형성되고 하판에 하부축홀이 형성되며, 측판 일측에 스프링걸림부를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판의 상부축홀과 하판의 하부축홀에 각각 상부축과 하부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 며, 일측에 스프링고정부가 형성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일측은 몸체부의 스프링걸림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차단판의 스프링고정부에 결합되어 차단판이 닫힌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과 몸체부의 상판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 모터축홀이 형성되는 차단부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측 중앙에 차단부몸체의 모터축홀에 끼워지는 모터축이 구비되는 퓨즈상판과, 중앙에 상부축이 끼워지는 상부축고정홀이 형성되는 퓨즈하판의 양단 플랜지를 서로 용접하여 화재시 통기홀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서로 분리되는 퓨즈;와 몸체부의 상판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축결합홀이 모터축에 끼워져 결합되며, 입력신호에 따라서 모터축을 회전시켜 차단판을 개.폐 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퓨즈는, 양단 플랜지가 용접되는 퓨즈상판과 퓨즈하판의 중앙부 사이를 이격시켜서 퓨즈하판의 상부축고정홀에 끼워지는 상부축이 깊이 결합되도록 상부축의 수용공간이 구비되게 하며, 상판의 상부축홀에 하단이 끼워지는 상부축에는 상판의 통기홀과 대응되는 통기공과 차단부가 서로 대향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회전판을 설치하여, 모터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홀과 통기공이 일치되어 열림상태가 유지되고, 화재시에는 퓨즈 단락으로 인해 닫히는 차단판을 따라 회전판의 차단부가 통기홀을 차단토록 하므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 차단판을 복귀시켜주는 스프링의 일측을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몸체부 일측에 스프링걸림부에 설치하고, 스프링의 타측을 몸체부 내부 중앙에 회전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의 일측에 스프링고정부에 설치하여, 몸체부 상부에 설치되는 핸들을 사용자가 회전시켜 차단판을 개방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평상시에는 차단판이 개방되게하고, 화재시에는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판과 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퓨즈상판과 퓨즈하판을 용접시켜 형성되는 퓨즈가 몸체부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통해 일정온도 이상에서 서로 분리되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차단판이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생산단가를 낮추고, 고온으로 인한 부품들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조절용으로 사용되다가 화재시, 열에의한 단락으로 화재 및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시켜주는 혼합 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만들어지며, 상판(110)에는 통기홀(120)과 상부축홀(130)이 형성되고 하판(140)에 하부축홀(150)이 형성되며, 측판(160) 일측에 스프링걸림부(180)를 구비하는 몸체부(100);와 상판(110)의 상부축홀(130)과 하판(140)의 하부축홀(150)에 각각 상부축(210)과 하부축(220)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스프링고정부(230)가 형성되는 차단판(200);과 일측은 몸체부(100)의 스프링걸림부(180)에 고정되고, 타측은 차단판(200)의 스프링고정부(230)에 결합되어 차단판(200)이 닫힌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3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 모터축홀(410)이 형성되는 차단부몸체(400);와 상측 중앙에 차단부몸체(400)의 모터축홀(410)에 끼워지는 모터축(510)이 구비되는 퓨즈상판(550)과, 중앙에 상부축(210)이 끼워지는 상부축고정홀(560)이 형성되는 퓨즈하판(590)의 양단 플랜지(520)(530)를 서로 용접하여 화재시 통기홀(120)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서로 분리되는 퓨즈(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축결합홀(610)이 모터축(510)에 끼워져 결합되며, 입력신호에 따라서 모터축(510)을 회전시켜 차단판(200)을 개.폐 시키는 모터(600);로 이루어지며, 특히 퓨즈(500)는 양단 플랜지(520)(530)가 용접되는 퓨즈상판(550)과 퓨즈하판(590)의 중앙부 사이를 이격시켜서 퓨즈하판(590)의 상부축고정홀(560)에 끼워지는 상부축(210)이 깊이 결합되도록 상부축(210)의 수용공간(580)이 구비되게 하며, 상판(110)의 상부축홀(130)에 하단이 끼워지는 상부축(210)에는 상판(110)의 통기홀(120)과 대응되는 통기공(710)과 차단부(720)가 서로 대향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회전판(700)을 설치하여, 모터(6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홀(120)과 통기공(710)이 일치되어 열림상태가 유지되고, 화재시에는 퓨즈(500) 단락으로 인해 닫히는 차단판(200)을 따라 회전판(700)의 차단부(720)가 통기홀(120)을 차단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덕트 등과 같은 공조시스템에 설치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 및 화재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평상시에는 건축물의 냉. 난방 및 환기용 덕트의 공기조절용댐퍼로 사용하다가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발생으로 유발되는 유독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제어기에 의해 제연설비모드로 전환되어 모터가 작동하여 공기조절댐퍼의 차단판을 개. 폐하여 제연설비활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연설비활동을 수행하다가 실내온도가 섭씨 280℃ 에 도달하면 제어기가 제연의 범주에서 화재의 범주로 인식하여 화재확산방지를 위해 개방되어 있던 댐퍼를 폐쇄하여게 되는데, 이때 고온으로 인하여 전기설비 및 모터가 훼손되어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휴즈를 설치하여 댐퍼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댐퍼의 구조는, 공조시스템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몸체부(100)의 상판(110)에는 통기홀(120)과 상부축홀(130)이 형성되고, 하판(140)에는 하부축홀(1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판(160) 일측에는 스프링걸림부(180)가 형성되어 있어서, 차단판(200)의 상부축(210)이 상부축홀(130)에 결합되고 하부축(220)이 하부축홀(15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차단판(200)의 일측에 스프링고정부(230)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체부(100)의 스프링걸림부(180)와 차단판(200)의 스프링고정부(230)를 스프링(300)으로 결합하여 차단판(200)이 몸체부(100)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차단판(200)의 상부축(210)은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형성되는 상부축홀(130)을 통해 회전판(700)에 결합되는 것이다.
회전판(700)은 상판(110)에 형성되는 통기홀(120)과 대응되는 통기공(710)과 차단부(720)가 서로 대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판(700)이 회전함에 따라 통기홀(120)을 개.폐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회전판(700)에 결합되는 상부축(210)은 퓨즈하판(590)에 형성되는 상부축고정홀(560)에 결합되는데, 이때 퓨즈(500)는 퓨즈하판(590)와 퓨즈상판(550)로 형성되며 퓨즈상판(550)과 퓨즈하판(590)의 양단 플랜지(520)(530)를 서로 용접하여 형성되며, 퓨즈상판(550)의 상부 중앙에는 모터축결합홀(610)에 결합되는 모터축(510)이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판(700)과 퓨즈(500)는 몸체부(100) 상부에서 차단부몸체(400) 내부에 설치되는데, 차단부몸체(400) 상부 중앙에는 모터축홀(410)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터축(510)이 차단부몸체(400) 상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노출된 모터축(510)에는 모터(600)가 결합되어 사용자나 제어기에 설정된 설정값에 의해 모터(600)가 작동되어 차단판(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몸체부(100) 내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평상시 몸체부(100) 내부에서 차단판(20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가 발생할 경우, 내부온도가 발화시점부터 섭씨 280℃ 까지는 건물내의 연기나 유독가스를 배출해야함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건물 내부온도가 섭씨 280℃ 이상으로 상승하면 더이상 화재가 번지는 현상을 방지해야하기 때문에 차단판(200)이 폐쇄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퓨즈상판(550)과 퓨즈하판(590)의 플랜지(520)(530)의 용접은 섭씨 280℃ 에서 분리되는데, 퓨즈상판(550)과 퓨즈하판(590)이 각각 분리되면, 차단판(200)의 스프링고정부(230)와 몸체부(100)의 스프링걸림부(180)에 설치되는 스프링(300)의 탄발력에 의해 차단판(200)은 자동으로 몸체부(100) 내부를 페쇄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평상시 차단판(200)이 개방되어 있을때,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형성되는 통기홀(120)과 회전판(700)의 통기공(710)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어 화재 발생시 정확한 온도에서 퓨즈(500)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퓨즈(500)가 단락되어 차단판(700)이 폐쇄된 후, 통기홀(120)은 회전판(700)의 차단부(720)에 막혀 더이상 차단부몸체(400)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지 않기때문에 열로 인한 부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혼합형 화이어 모터댐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도 3 은 종래의 혼합형 화이어 모터댐퍼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상판
120 : 통기홀 130 : 상부축홀
150 : 하부축홀 160 : 측판
180 : 스프링걸림부 200 : 차단판
210 : 상부축 220 : 하부축
230 : 스프링고정부 300 : 스프링
400 : 차단부몸체 410 : 모터축홀
500 : 퓨즈 510 : 모터축
520 : 플랜지 530 : 플랜지
550 : 퓨즈상판 560 : 상부축고정홀
590 : 퓨즈하판 600 : 모터
700 : 회전판 710 : 통기공
720 : 차단부

Claims (3)

  1. 평상시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조절용으로 사용되다가 화재시, 열에의한 단락으로 화재 및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시켜주는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에 있어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만들어지며, 상판(110)에는 통기홀(120)과 상부축홀(130)이 형성되고 하판(140)에 하부축홀(150) 형성되며, 측판(160) 일측에 스프링걸림부(180)를 구비하는 몸체부(100);와
    상판(110)의 상부축홀(130)과 하판(140)의 하부축홀(150)에 각각 상부축(210)과 하부축(220)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스프링고정부(230)가 형성되는 차단판(200);과
    일측은 몸체부(100)의 스프링걸림부(180)에 고정되고, 타측은 차단판(200)의 스프링고정부(230)에 결합되어 차단판(200)이 닫힌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스프링(300);과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 모터축홀(410)이 형성되는 차단부몸체(400);와
    상측 중앙에 차단부몸체(400)의 모터축홀(410)에 끼워지는 모터축(510)이 구비되는 퓨즈상판(550)과, 중앙에 상부축(210)이 끼워지는 상부축고정홀(560)이 형성되는 퓨즈하판(590)의 양단 플랜지(520)(530)를 서로 용접하여 화재시 통기홀(120)을 통해 유입되는 열기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서로 분리되는 퓨즈(500); 와
    몸체부(100)의 상판(110)에 고정설치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축결합홀(610)이 모터축(510)에 끼워져 결합되며, 입력신호에 따라서 모터축(510)을 회전시켜 차단판(200)을 개.폐 시키는 모터(6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퓨즈(500)는,
    양단 플랜지(520)(530)가 용접되는 퓨즈상판(550)과 퓨즈하판(590)의 중앙부 사이를 이격시켜서 퓨즈하판(590)의 상부축고정홀(560)에 끼워지는 상부축(210)이 깊이 결합되도록 상부축(210)의 수용공간(580)이 구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판(110)의 상부축홀(130)에 하단이 끼워지는 상부축(210)에는
    상판(110)의 통기홀(120)과 대응되는 통기공(710)과 차단부(720)가 서로 대향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회전판(700)을 설치하여,
    모터(6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통기홀(120)과 통기공(710)이 일치되어 열림상태가 유지되고, 화재시에는 퓨즈(500) 단락으로 인해 닫히는 차단판(200)을 따라 회전판(700)의 차단부(720)가 통기홀(120)을 차단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KR1020090041958A 2009-05-14 2009-05-14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KR20100122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58A KR20100122989A (ko) 2009-05-14 2009-05-14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58A KR20100122989A (ko) 2009-05-14 2009-05-14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989A true KR20100122989A (ko) 2010-11-24

Family

ID=4340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58A KR20100122989A (ko) 2009-05-14 2009-05-14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298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2393A1 (ko) * 2012-02-16 2013-08-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체인기어 방식의 블레이드 진퇴장치를 구비한 무지향성 제연댐퍼
KR200473282Y1 (ko) * 2013-03-07 2014-06-24 (주)미도이앤씨 복합댐퍼 자동개폐기
KR101487899B1 (ko) * 2014-11-07 2015-02-02 히어로화이어엔지니어링(주)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WO2016204582A1 (ko) * 2015-06-18 2016-12-22 주식회사 미도이앤씨 댐퍼 개폐기
KR101887508B1 (ko)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887505B1 (ko)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887507B1 (ko)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2194117B1 (ko) * 2020-06-26 2020-12-22 송호용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KR102575447B1 (ko) * 2023-01-06 2023-09-06 주식회사 이에스시솔루션 방화 댐퍼의 센서 체결 구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2393A1 (ko) * 2012-02-16 2013-08-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체인기어 방식의 블레이드 진퇴장치를 구비한 무지향성 제연댐퍼
US9452304B2 (en) 2012-02-16 2016-09-27 Daelim Industrial Co., Ltd. Non-directional smoke control damper having chain gear type blade advancing/retreating device
KR200473282Y1 (ko) * 2013-03-07 2014-06-24 (주)미도이앤씨 복합댐퍼 자동개폐기
KR101487899B1 (ko) * 2014-11-07 2015-02-02 히어로화이어엔지니어링(주) 방화 댐퍼 기능을 갖는 과압 배출구
WO2016204582A1 (ko) * 2015-06-18 2016-12-22 주식회사 미도이앤씨 댐퍼 개폐기
JP2018524552A (ja) * 2015-06-18 2018-08-30 ミドイーエヌシ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ダンパー開閉器
US10670291B2 (en) 2015-06-18 2020-06-02 Midoenc Co., Ltd. Damper switch
KR101887508B1 (ko)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887505B1 (ko)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887507B1 (ko)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2194117B1 (ko) * 2020-06-26 2020-12-22 송호용 에어덕트용 방화댐퍼
KR102575447B1 (ko) * 2023-01-06 2023-09-06 주식회사 이에스시솔루션 방화 댐퍼의 센서 체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2989A (ko)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CA2912177C (en) Integrated basement ventilation apparatus
KR101732181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US20200412107A1 (en) Switchgear cabinet arrangement with a safety function, and a corresponding method
KR101033313B1 (ko) 화재확산방지 및 풍량조절댐퍼
KR200423332Y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JP2013088086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1194362B1 (ko) 선박의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
JP2698902B2 (ja) 排煙ダクトシステム
JP3839689B2 (ja) 換気装置
KR101843856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US2912920A (en) Thermally controlled roof ventilator damper
KR200477999Y1 (ko) 역류방지 댐퍼
KR20170051117A (ko) 환기구
KR20060025509A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KR101945500B1 (ko) 도어용 자연환기장치
KR10083992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1737305B1 (ko) 환기시스템의 바이패스장치
JP201501780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150054580A (ko) 에어벤트
CN113438871B (zh) 机房及机房温度控制方法
KR20070113074A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및 풍량조절 댐퍼
KR102659346B1 (ko) 화재 감지 기능이 적용된 바닥 공조 터미널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812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0145040A (ja) 設備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