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4580A -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4580A
KR20150054580A KR1020130137192A KR20130137192A KR20150054580A KR 20150054580 A KR20150054580 A KR 20150054580A KR 1020130137192 A KR1020130137192 A KR 1020130137192A KR 20130137192 A KR20130137192 A KR 20130137192A KR 20150054580 A KR20150054580 A KR 2015005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housing
air
nozzle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447B1 (ko
Inventor
이영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7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447B1/ko
Priority to CN201420649634.5U priority patent/CN204184163U/zh
Priority to DE102014116460.1A priority patent/DE102014116460B4/de
Publication of KR2015005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와 상기 덕트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베젤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젤 사이에 차실방향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노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벤트{AIRVENT}
본 발명은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변경하는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실의 냉난방 및 환기를 위한 공기조화기(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조화기를 통해 공조된 공기의 토출량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에어벤트 장치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계기판, 오디오장치 및 글로브박스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상기 에어컨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송풍하는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송풍구에 설치되어서 공조된 공기의 토출량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최근에는 원가절감을 위해 공기의 토출량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삭제되고, 차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커버에 복수의 메시홀이 형성된 에어벤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즉, 이러한 에어벤트는 차량에는 계절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조시스템이 장착 되고 있는데, 이러한 공조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냉, 온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고, 이러한 냉, 온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거쳐 공기 통풍구로 유입되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도록 공기통풍구에는 공조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냉, 온기의 풍향 및 풍량을 조절할 수 있게 에어벤트(Airvent)가 구비된다.
에어벤트에는 노즐 타입(NOZZLE TYPE)과 윙클로즈 타입(WING CLOSE TYPE)이 있으며, 노즐 타입에 구비된 각각의 윙(WING)이 방향을 제어하는 대신 노즈(NOZZLE)이 윙과 일체형으로 회전해 바람의 각도를 조절한다. 또, 윙클로즈 타입(WING CLOSE TYPE)은 클로즈 댐퍼(CLOSE DAMPER)를 대신해서 윙을 완전히 접으므로서 바람이 차폐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노즐 타입의 에어벤트에서 윙클로즈 타입의 적용하여 공기를 차폐하는 구조로 발전하였으나, 노즐이 작동시 회전갭 즉, 회전을 위해 형성된 이격된 갭(GAP)에 의해서 누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즐 타입의 에어벤트에서 윙클로즈 타입의 적용하여 공기를 차폐하는 구조에서, 노즐이 작동시 회전을 위해 형성된 이격된 갭(GAP)에 누기가 발생을 막는 에어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베젤;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젤 사이에 차실방향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노즐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어셈블리는, 중공부가 내측에 형성된 노즐하우징이 구비되어, 상기 중공부에 좌,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제1 윙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에 상, 하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제2 윙이 설치된 베젤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의 상기 제2 윙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윙과 상기 제2 윙을 회동시켜 공기를 개폐시키도록 연결된 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둘레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힌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노브의 작동으로 상기 노즐어셈블리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복수개의 중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어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에어벤트에서 발생되는 누기를 차단하므로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누기를 막기 위한 별도의 패드 및 차폐부재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서 누기 차폐가 가능함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벤트의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는 에어벤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에어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벤트의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에어벤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에어벤트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어벤트인 경우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벤트의 분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덕트(미도시)와 덕트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되게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베젤(20) 및 하우징(10)과 베젤(20) 사이에 차실방향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노즐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덕트는 차실 내부에 배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공조 시스템과 관련되며, 덕트의 양측 및 중간은 차실 방향으로 개구되어 공조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공기 등을 차실내로 토출시킨다.
하우징(10)은 덕트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되게 형성되어 덕트의 양측 및 중간의 개구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은 덕트에 삽입되어지는 반대방향 즉, 차실 방향으로 노즐어셈블리(30)와 베젤(20) 순으로 결합되어 덕트에 삽입되고, 이때 베젤(20)에 형성된 고정부(미도시) 및 다른 결합방법에 의해 덕트에 고정된다.
하우징(10)은 노즐어셈블리(30)가 결합되도록 노즐어셈블리(30)에 형성된 고정돌기(미도시)와 대응되게 고정홀(14)이 형성되어 고정돌기가 고정홀(1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 하우징(10)의 외둘레 형성된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베젤(20)에 형성된 결합홀(24)에 의해 하우징(10)에 베젤(20)에 고정되므로서 하우징(10)과 베젤(20) 사이에 배치된 노즐어셈블리(30)도 고정된다.
베젤(20)은 관통되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우징(10)의 일측에서 결합된다. 이때, 베젤(20)에 형성된 결합홀(24)에 하우징(10)의 외둘레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끼워져 결합된다. 결합홀(24) 및 결합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강건성을 높인다. 또, 베젤(20)의 외둘레에 리브(미도시)가 형성되어 덕트에 고정되도록 이용된다.
노즐어셈블리(30)는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 노즐하우징(32)과, 노즐하우징(32)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윙(미도시), 노즐하우징(32)의 일측에 설치되는 노즐(34)로 구비된다.
노즐하우징(32)은 내측에 덕트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도록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노즐하우징(32)의 중공부에 좌,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제1 윙(미도시)이 설치되어, 차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서 제1 윙은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수직윙과 같다. 또, 제2 윙도 제1 윙과 같이 에어벤트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평윙과 같다. 이에 도면상에서는 제2 윙은 도시되나 도면부호를 삽입하지 아니하였고, 수직윙은 수평윙의 후측 즉, 본 발명에서 제2 윙은 제1 윙 후측에 위치한다.
제1 윙은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연결되어 노즐하우징(32)의 내측에 세로방향 즉, 수직되게 설치되어 제1 윙을 좌, 우측으로 조절하여 공기의 흐름 바꾸게 한다. 이때, 제1 윙을 좌, 우측으로 회동되도록 조절하기 제1 윙은 복수개 중 적어도 하나와 베젤(20)에 설치된 노브(35)가 연결된다. 따라서, 노브(35)를 좌, 우측으로 작동시 제2 윙은 같이 움직이며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노즐하우징(32)의 외주연인 외둘레에 돌기부(33)가 형성된다. 돌기부(33)는 복수개의 중공홀이 형성된 힌지(40)가 끼워진다. 돌기부(33)에 끼워진 힌지(40)가 노브(35)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절하면, 노즐어셈블리(30)가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힌지(40)에 형성된 고정홀(42,44)에 의해 고정된다. 보다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노즐하우징(3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돌기부(33)의 주위 즉, 하우징(10)에 형성된 결합홈(14)에 끼워지도록 결함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노즐하우징(32)이 결합된다.
노즐(34)은 중공되어 내주연에 상, 하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제2 윙이 설치된다. 제2 윙은 복수개의 블레이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에 노브가 설치된다. 즉, 노브(35)는 노즐(34)의 제2 윙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윙과 상기 제2 윙을 회동시켜 공기를 개폐 및 흐름을 조절한다.
노브(35)는 노즐(34)의 제2 윙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윙과 상기 제2 윙을 회동시켜 공기를 개폐시킨다. 즉, 노브(35)는 제2 윙에 설치되어 제1 윙과 제2 윙이 연결되어 노브(35)를 좌, 우측으로 회동시 제1 윙이 회동되고, 노브(35)를 상, 하측으로 회동시 제2 윙이 회동되어 공기의 흐름을 조절 및 차폐한다.
힌지(40)는 노브(35)의 작동으로 노즐어셈블리(30)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복수개의 중공홀(42,44)이 형성된다.
힌지(40)는 고무재질로 복수개의 중공홀(42,44)이 형성된다. 노브(35)의 작동으로 노즐어셈블리(30)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복수개의 중공홀(42,44)은 차실내로 공기가 유입될 시 고정돌기(33)가 끼워져 있는 제1 중공홀(42)과 차실내로 공기의 유입을 막을시 위치하는 제2 중공홀(44)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중공홀(42)에 고정돌기(33)가 위치한 상태에서 노브(35)의 차실방향으로 당기면 제2 중공홀(44)에 위치하게 되면 노즐(34)의 외주연과 베젤(20)의 내주연이 접하게 되어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 노브(35)을 차실의 반대방향으로 밀면 노즐(34)의 외주연과 베젤(20)의 내주연이 이격되어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에서의 동일명칭 및 동일기능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노즐(140)의 외주연과 베젤(20)이 접하게 되는 부분에 고무재질의 탄성부재(150)를 설치하여 도 4에서와 달리 차실내로 당기면 탄성부재(150)와 노즐(140)의 외주연이 접하게 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폐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에어벤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에어벤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의 (a)와 도 5의 (a)는 같이 공기를 차폐하는 작동 상태이고, 도 4의 (b)와 도 5의 (b)는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상태이다.
차실내에 구비되는 덕트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에 에어벤트가 설치된다. 여기서 에어벤트는, 하우징(10)과 노즐어셈블리(30) 및 베젤(20)이 결합된 상태이다.
보다상세하게는, 상기 덕트에 상기 하우징(10)을 결합시키기 전에 상기 하우징에 노즐어셈블리(3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노즐어셈블리(30)는 노즐하우징(32)에 노즐(34)을 결합시키고, 상기 노즐(34)에 제1,2 윙을 회동시키는 노브(35)가 설치되어 상, 하, 좌, 우측으로 상기 노브(35)의 회동으로 상기 제1,2 윙이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노즐하우징(32)에 상기 노즐(34)을 결합시킨 상기 노즐어셈블리(30)를, 상기 하우징(10)에 삽입하고, 베젤(20)을 차실방향에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한다.
이에 따른 작동을 살펴보면, 도 4의 (a)에 따라, 상기 노브(35)를 차실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노즐하우징(32)의 외주연이 상기 베젤(20)의 내주연과 접하게 되어 차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차폐된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상기 노브(35)를 차실 반대방향으로 밀면, 상기 노즐하우징(32)의 외주연과 상기 베젤(20)의 내주연에서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공기가 차실내로 유입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하우징 20: 베젤
30: 노즐어셈블리 40: 힌지

Claims (6)

  1. 덕트;
    상기 덕트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중공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베젤;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베젤 사이에 차실방향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노즐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에어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어셈블리는,
    중공부가 내측에 형성된 노즐하우징이 구비되어,
    상기 중공부에 좌, 우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제1 윙이 설치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에 상, 하측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제2 윙이 설치된 베젤이 결합하는 에어벤트.
  3. 상기 노즐의 상기 제2 윙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윙과 상기 제2 윙을 회동시켜 공기를 개폐시키도록 연결된 노브를 더 포함하는 에어벤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하우징의 외둘레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에어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에어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노브의 작동으로 상기 노즐어셈블리가 전, 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복수개의 중공홀이 형성된 에어벤트.

KR1020130137192A 2013-11-12 2013-11-12 차량의 에어벤트 KR10213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92A KR102131447B1 (ko) 2013-11-12 2013-11-12 차량의 에어벤트
CN201420649634.5U CN204184163U (zh) 2013-11-12 2014-11-03 汽车的通风口装置
DE102014116460.1A DE102014116460B4 (de) 2013-11-12 2014-11-11 Be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Automob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92A KR102131447B1 (ko) 2013-11-12 2013-11-12 차량의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580A true KR20150054580A (ko) 2015-05-20
KR102131447B1 KR102131447B1 (ko) 2020-07-08

Family

ID=5261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192A KR102131447B1 (ko) 2013-11-12 2013-11-12 차량의 에어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31447B1 (ko)
CN (1) CN204184163U (ko)
DE (1) DE10201411646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88B1 (ko) * 2014-09-24 2016-01-1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DE102016001902B3 (de) * 2016-02-18 2017-03-30 Audi Ag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Luftstroms und Be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651A (en) * 1996-01-26 1998-05-05 Collins & Aikman Plastics, Inc. Eyeball outlet assembly
KR19990021349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자동차의 에어밴트 조립체
KR101283132B1 (ko) * 2012-04-27 2013-07-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KR20130006160U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31376Y1 (it) * 1993-04-30 1999-08-03 Foggini Progetti Bocchetta di erogazione dell'aria di climatizzazione per autoveicoli con griglia di diffusione orientabile.
DE202005000794U1 (de) * 2005-01-18 2005-06-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Luftausströme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DE202010008051U1 (de) 2010-07-13 2010-10-07 Key Plastics Germany Gmbh Luftausströmer als Ausstattungsteil für Kraftfahrzeuge
WO2012091187A1 (ko) 2010-12-27 2012-07-05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붐-선회 복합구동 유압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6651A (en) * 1996-01-26 1998-05-05 Collins & Aikman Plastics, Inc. Eyeball outlet assembly
KR19990021349U (ko) * 1997-11-29 1999-06-25 양재신 자동차의 에어밴트 조립체
KR20130006160U (ko) * 2012-04-16 2013-10-2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KR101283132B1 (ko) * 2012-04-27 2013-07-0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16460A1 (de) 2015-05-13
CN204184163U (zh) 2015-03-04
KR102131447B1 (ko) 2020-07-08
DE102014116460B4 (de)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293B2 (en) Airflow outlet
KR20120136968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JP6497481B2 (ja) 内外気切替ユニット
KR20150054580A (ko) 에어벤트
KR101558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80318510A1 (en) Air Distribution System
KR10154285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CN103587419A (zh) 工程机械及其仪表台装置
KR1018757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682942B2 (ja) 空調装置
KR10083992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1713560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20130043495A (ko) 에어벤트 장치
JP647266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912713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81864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150109945A (ko) 차량의 에어벤트
JP2020131963A (ja) 車両用レジスタ
KR101290663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605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20150081489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23120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153718A (ja) 換気システム
JP201521789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5984612A (ja) 車両用ドラフ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