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63B1 -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63B1
KR101290663B1 KR1020120032698A KR20120032698A KR101290663B1 KR 101290663 B1 KR101290663 B1 KR 101290663B1 KR 1020120032698 A KR1020120032698 A KR 1020120032698A KR 20120032698 A KR20120032698 A KR 20120032698A KR 101290663 B1 KR101290663 B1 KR 10129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link
duct
flow pat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용
Original Assignee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과 조립성이 향상되고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메인덕트부, 제1덕트부, 제2덕트부 그리고 링크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인덕트부는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가지고,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댐퍼노브가 구비된다. 제1덕트부는 제1유로부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댐퍼가 구비된다. 제2덕트부는 제2유로부에 연결되고 제1덕트부와 나란히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댐퍼가 구비된다. 그리고, 링크조립체는 제1덕트부와 제2덕트부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일단부는 댐퍼노브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댐퍼와 제2댐퍼에 각각 연결되어 댐퍼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댐퍼와 제2댐퍼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air-vent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성과 조립성이 향상되고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로 냉난방장치에 적용하여 에어컨이나 히터로부터 발생되는 냉난방 기류를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벤트(air-vent)가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벤트는 전체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냉난방 기류의 풍량을 조절하게 되는 댐퍼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는 댐퍼노브의 조작시 연동되는 링크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댐퍼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풍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화 등의 추세에 따라 쾌적한 실내 공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위시간당, 냉난방 기류의 보다 많은 풍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에어벤트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차량용 에어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댐퍼노브가 각각의 에어벤트에 구비되기 때문에, 각각의 에어벤트에서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두 개의 댐퍼노브를 각각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둘째,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댐퍼노브로 각각의 에어벤트의 댐퍼를 작동하도록 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 경우, 링크가 각각의 에어벤트 사이의 좁은 공간에 구비됨으로써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링크가 각각의 에어벤트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조립됨에 따라 링크 부재 간의 결합부분이 변형되거나 결합부분이 이탈되고, 심한 경우 결합부분에 크랙이 발생되어 고질적으로 품질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성과 조립성이 향상되고 품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유로부와 상기 제2유로부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댐퍼노브가 구비되는 메인덕트부; 상기 제1유로부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댐퍼가 구비되는 제1덕트부; 상기 제2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덕트부와 나란히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댐퍼가 구비되는 제2덕트부; 그리고 상기 제1덕트부와 상기 제2덕트부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일단부는 상기 댐퍼노브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댐퍼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일단부가 상기 댐퍼노브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로드; 일단부는 상기 제1댐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링크로드의 타단부와 힌지연결되며, 중앙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링크;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제2댐퍼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되는 제2링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과 상기 키홈의 일측에 확대 형성되는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키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키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키와, 상기 키의 일측에 확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키의 삽입 이동을 정지시키는 걸림돌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덕트부에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댐퍼노브를 결합하는 단계; 내측에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댐퍼가 구비되는 제1덕트부를 상기 제1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 내측에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댐퍼가 구비되는 제2덕트부가 상기 제1덕트부와 나란히 구비되도록 상기 제2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덕트부와 상기 제2덕트부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댐퍼노브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댐퍼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 방법을 제공ㅎ나다.
여기서, 상기 제1덕트부가 상기 제1유로부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댐퍼노브에는 상기 링크조립체의 링크로드의 일단부가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링크조립체의 제1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제1댐퍼부가 상기 제1유로부에 결합된 후 또는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링크로드와 상기 제1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덕트부가 상기 제2댐퍼에 상기 링크조립체의 제2링크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유로부와 결합될 때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2덕트부가 상기 제2유로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의 키가 상기 제1링트의 키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인덕트부에 제2덕트부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턱트부의 제1유로부에 제1덕트부를 결합하면서, 상기 메인덕트부의 댐퍼노브에 결합된 링크로드와 상기 제1덕트부에 결합된 제1링크를 결합하므로, 작업공간이 넓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제2덕트부에 제2링크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덕트부를 메인덕트부의 제2유로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를 제1링크에 결합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셋째, 제1링크의 키홈과 제2링크의 키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덕트부를 제2유로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키가 상기 키홈에 자연스럽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링크로드와는 제1링크만이 힌지결합되고, 제1링크와 제2링크는 키홈결합이 되기 때문에 작동부위가 감소되고, 이를 통해, 내구성도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링크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링크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순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벤트는 메인덕트부(10), 제1덕트부(20), 제2덕트부(30) 그리고 링크조립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인덕트부(10)의 댐퍼노브(16), 제1덕트부(20)의 제1댐퍼(21) 및 제2덕트부(30)의 제2댐퍼(31)는 링크조립체(5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댐퍼노브(16)의 작동만으로 제1댐퍼(21) 및 제2댐퍼(31)의 회전이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더하여, 제1댐퍼(21)와 연결된 제1링크(60)는 제1덕트부(20)가 메인덕트부(10)의 제1유로부(11)에 결합될 때, 댐퍼노브(16)에 결합된 링크로드(51)와 먼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링크로드(51)와 제1링크(60)의 조립을 위한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작업성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후, 제2댐퍼(31)에 연결된 제2링크(70)는 제2덕트부(30)가 메인덕트부(10)의 제2유로부(12)에 결합될 때, 제1링크(6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링크(70)와 제1링크(60)는 수평방향으로의 키홈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덕트부(30)가 제2유로부(12)에 결합될 때, 제2링크(70)와 제1링크(60)의 결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에어가 차량용 에어벤트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정의하여 그에 따라, 전후의 방향을 설명한다.
상세히, 차량용 에어벤트는 메인덕트부(10), 제1덕트부(20), 제2덕트부(30) 그리고 링크조립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인덕트부(10)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전방을 형성하게 되며, 에어가 배출되는 제1유로부(11)와 제2유로부(12)를 가질 수 있다.
제1유로부(11)와 제2유로부(12)는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부(11) 및 제2유로부(1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수평윙(13)과 수직윙(14)이 구비되어 배출되는 에어의 풍향을 변경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평윙(13)은 윙노브(15)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수직윙(14)은 윙노브(15)의 후방에 연결되어 윙노브(15)의 수평방향이동에 연동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덕트부(10)의 전방 중앙부에는 댐퍼노브(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댐퍼노브(16)는 중심축(17)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유로부(11)에는 제1덕트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덕트부(20)는 제1유로부(1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부(20)의 내측에는 제1댐퍼(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댐퍼(21)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회전결합부(22a,22b)가 제1유로부(11)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유로부(12)에는 제2덕트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덕트부(30)는 제2유로부(12)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덕트부(30)의 내측에는 제2댐퍼(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댐퍼(31)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회전결합부(32a,32b)가 제2유로부(12)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노브(16), 제1댐퍼(21) 및 제2댐퍼(31)는 링크조립체(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조립체(50)는 링크로드(51), 제1링크(60) 및 제2링크(70)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링크로드(51)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52)가 댐퍼노브(16)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로드(51)의 일단부(52)는 댐퍼노브(16)의 후방에 형성된 결합부(18)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로드(51)는 제1유로부(11)와 제2유로부(12)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00)에 위치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부(11)와 제2유로부(12)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00)에는 제1링크(60)와 제2링크(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링크(60)에는 제1삽입돌기(61), 결합홈(63) 및 축홈(6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삽입돌기(61)는 제1링크(60)의 일단부에 하나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댐퍼(21)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삽입돌기(61)는 제1유로부(11)와 제2유로부(12)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00)으로 노출되는 제1덕트부(20)의 제1회전결합부(22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회전결합부(22a)에는 제1삽입돌기(61)가 삽입되도록 한 쌍의 제1삽입홀(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결합부(22a)에는 삽입된 제1삽입돌기(61)에 형성된 고정홀(6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링크(60)와 제1댐퍼(21)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링크(60)의 중앙에는 결합홈(6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63)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64)과, 키홈(64)의 일측에 확대 형성되는 걸림턱(65)을 가질 수 있다.
키홈(64)은 전방 및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턱(65)은 키홈(64)의 후방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60)의 타단부에는 축홈(6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축홈(68)은 결합홈(63)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암(67)의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축홈(68)에는 링크로드(51)의 타단부(53)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댐퍼노브(16)가 상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링크로드(51)의 일단부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링크로드(51)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링크(60)의 암(67)이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1댐퍼(21)가 제1덕트부(20)의 내측을 개방하도록 회전하게 되여 풍량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댐퍼노브(16)가 하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링크로드(5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링크(60)의 암(67)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1댐퍼(21)가 제1덕트부(20)의 내측을 밀폐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풍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링크(70)에는 제2삽입돌기(71) 및 결합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삽입돌기(71)는 제2링크(70)의 일단부에 하나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댐퍼(31)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삽입돌기(71)는 제1유로부(11)와 제2유로부(12)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00)으로 노출되는 제2덕트부(30)의 제2회전결합부(32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삽입돌기(71)와 제2회전결합부(32a)의 구성은 전술한 제1삽입돌기(61)와 제1회전결합부(22a)와 대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2링크(70)의 타단부에는 결합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75)는 키(76)와 걸림돌기(77)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키(76)는 제2링크(70)의 결합홈(63)에 형성되는 키홈(6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키(76)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77)는 키(76)의 일측에 확대 형성되어 걸림턱(65)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키홈(64)에서 키(76)의 삽입 이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링크(70)는 제1링크(6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댐퍼노브(16)의 조작으로 제1댐퍼(21)와 제2댐퍼(31)의 동시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제1링크(60)와 제2링크(70)는 키홈 결합이 되기 때문에, 링크조립체(50)에서 회전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내구성도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즉, 제1덕트부(20)가 제1유로부(11)에 결합되기 전에, 댐퍼노브(16)와 링크로드(51), 제1댐퍼(21)와 제1링크(60), 그리고 제2댐퍼(31)와 제2링크(70)가 각각 조립되므로, 조립성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제1링크(60)와 링크로드(51)의 결합은 제1덕트부(20)가 제1유로부(11)에 결합되고 나서 또는 제1덕트부(20)가 제1유로부(11)에 결합됨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2덕트부(30)가 아직 제2유로부(1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넓은 조립공간(110)이 확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성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후, 제2덕트부(30)를 제2유로부(12)에 결합하면서, 제2링크(70)의 키(76)가 제1링크(60)의 키홈(64)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키(76)와 키홈(6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덕트부(30)와 제2유로부(12)도 수평방향으로 조립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즉, 제2덕트부(30)를 제2유로부(12)에 결합할 때, 키(76)가 키홈(64)에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립성 및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덕트부(30)가 제2유로부(12)에 결합이 완료될 때, 키(76)의 걸림돌기(77)는 키홈(64)의 걸림턱(65)에 걸려 삽입이 멈추게 되면서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에어벤트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덕트부에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댐퍼노브를 결합하는 단계(S110)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댐퍼가 내측에 구비되는 제1덕트부를 제1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S120)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댐퍼가 내측에 구비되는 제2덕트부를 제1덕트부와 나란히 구비되도록 제2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S130)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1덕트부와 제2덕트부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댐퍼노브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댐퍼와 제2댐퍼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댐퍼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댐퍼와 제2댐퍼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S140)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S140)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덕트부가 제1유로부에 결합되기 전에, 댐퍼노브에는 링크로드가 결합되고, 제1덕트부에는 제1댐퍼와 결합되도록 제1링크가 조립되는 단계(S210)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덕트부를 제1유로부에 연결한 이후에 링크로드와 제1링크를 연결하는 단계(S22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덕트부를 제1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S120)와 링크로드와 제1링크를 연결하는 단계(S220)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링크로드와 제1링크의 조립시 넓은 조립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작업성 및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덕트부를 제2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S130)에서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는 단계(S230)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2링크의 키가 상기 제1링트의 키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메인덕트부 11: 제1유로부
12: 제2유로부 16: 댐퍼노브
20: 제1덕트부 21: 제1댐퍼
30: 제2덕트부 32: 제2댐퍼
50: 링크조립체 51: 링크로드
60: 제1링크 61: 제1삽입돌기
63: 결합홈 64: 키홈
65: 걸림턱 67: 암
68: 축홈 70: 제2링크
71: 제2삽입돌기 75: 결합돌기
76: 키 77: 걸림돌기
110: 작업공간

Claims (7)

  1.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유로부와 상기 제2유로부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댐퍼노브가 구비되는 메인덕트부;
    상기 제1유로부에 연결되고, 내측에는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댐퍼가 구비되는 제1덕트부;
    상기 제2유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덕트부와 나란히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댐퍼가 구비되는 제2덕트부; 그리고
    상기 제1덕트부와 상기 제2덕트부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며, 일단부는 상기 댐퍼노브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댐퍼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일단부가 상기 댐퍼노브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로드;
    일단부는 상기 제1댐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링크로드의 타단부와 힌지연결되며, 중앙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링크;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제2댐퍼에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되는 제2링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키홈과 상기 키홈의 일측에 확대 형성되는 걸림턱을 가지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키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키에 수평방향으로 삽입 키와, 상기 키의 일측에 확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키의 삽입 이동을 정지시키는 걸림돌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4. 메인덕트부에 나란히 구비되어 각각에서 에어가 배출되는 제1유로부와 제2유로부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댐퍼노브를 결합하는 단계;
    내측에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1댐퍼가 구비되는 제1덕트부를 상기 제1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
    내측에 양단부가 힌지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에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댐퍼가 구비되는 제2덕트부가 상기 제1덕트부와 나란히 구비되도록 상기 제2유로부에 연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덕트부와 상기 제2덕트부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댐퍼노브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댐퍼노브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링크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부가 상기 제1유로부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댐퍼노브에는 상기 링크조립체의 링크로드의 일단부가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1댐퍼는 상기 링크조립체의 제1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제1댐퍼부가 상기 제1유로부에 결합된 후 또는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링크로드와 상기 제1링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부가 상기 제2댐퍼에 상기 링크조립체의 제2링크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2유로부와 결합될 때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도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2덕트부가 상기 제2유로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링크의 키가 상기 제1링트의 키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링크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조립 방법.
KR1020120032698A 2012-03-29 2012-03-29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98A KR101290663B1 (ko) 2012-03-29 2012-03-29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698A KR101290663B1 (ko) 2012-03-29 2012-03-29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663B1 true KR101290663B1 (ko) 2013-07-30

Family

ID=4899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698A KR101290663B1 (ko) 2012-03-29 2012-03-29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8291A (zh) * 2023-05-05 2023-06-02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出风口总成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79A (ko) * 2003-08-11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밴트 개폐장치
KR100794504B1 (ko) * 2007-04-02 2008-01-16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에어벤트용 댐퍼링크
KR200457556Y1 (ko) * 2009-09-30 2011-12-2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KR200457979Y1 (ko) * 2009-10-09 2012-01-1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79A (ko) * 2003-08-11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밴트 개폐장치
KR100794504B1 (ko) * 2007-04-02 2008-01-16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에어벤트용 댐퍼링크
KR200457556Y1 (ko) * 2009-09-30 2011-12-2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KR200457979Y1 (ko) * 2009-10-09 2012-01-16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8291A (zh) * 2023-05-05 2023-06-02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出风口总成及车辆
CN116198291B (zh) * 2023-05-05 2023-08-01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出风口总成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80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JP6385567B2 (ja) 自動車用エアベント
US10500928B2 (en) Air vent for a vehicle
JP6491874B2 (ja) 風向調整装置
JP6093092B2 (ja) 車両用エアベントのデュアルダンパ装置
KR101283132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US20140308887A1 (en) Blade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20090264061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car
KR20050017879A (ko) 자동차의 에어밴트 개폐장치
US10787062B2 (en) Damper assembly of vehicle air vent
US20150183300A1 (en) Air vent apparatus for vehicle
JP3156703U (ja) レジスタ
KR101290663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84125B2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JP6421743B2 (ja) 空調用薄型レジスタ
KR200452765Y1 (ko) 차량용 에어벤트
CN106123262A (zh) 风道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JP6459935B2 (ja) 空調用レジスタの操作機構
KR20220136744A (ko)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JP2019188845A (ja) レジスタ
JPH11278046A (ja) 車両用空気吹出口構造
JP6462304B2 (ja) レジスタ
KR101481916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다이얼
CN107328075B (zh) 用于空调室内机的壳体组件和具有其的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