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058B1 -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058B1
KR101946058B1 KR1020120110231A KR20120110231A KR101946058B1 KR 101946058 B1 KR101946058 B1 KR 101946058B1 KR 1020120110231 A KR1020120110231 A KR 1020120110231A KR 20120110231 A KR20120110231 A KR 20120110231A KR 101946058 B1 KR101946058 B1 KR 10194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duct
wings
wind direction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4183A (ko
Inventor
조성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0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에어덕트로부터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가 자동으로 토출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차실 내의 전(全)방향으로 토출되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는, 공조된 공기를 차실 내로 토출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 내에 외측 둘레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윙이 형성되되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윙을 타고 흐르는 상기 공조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전환하는 풍향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AN AIR VEN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시키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실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기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기에서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시킴과 아울러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벤트 장치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계기판, 오디오장치 및 글로브박스 등이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구비된다. 상기 에어벤트 장치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서 상기 공조기와 연결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를 통해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덕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윙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윙은, 상기 에어덕트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프론트 윙과, 차실 측에서 상기 에어덕트에 결합되는 복수의 리어 윙을 포함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프론트윙 및 복수의 리어윙이 회전되어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기의 토출을 원하지 않을 시엔 상기 복수의 프론트윙 및 복수의 리어윙으로 토출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어윙은 차실 내측에 노출되고, 상기 복수의 프론트윙은 상기 복수의 리어윙의 전방에 배치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프론트윙 및 복수의 리어윙을 조작할 수 있도록 윙노브가 상기 복수의 리어윙 중 하나에 배치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윙노브 잡고 들어올리거나 내리면 상기 복수의 리어윙이 위아래로 회전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윙노브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상기 프론트윙이 좌우로 회전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는,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윙노브를 잡고 수동으로 조절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윙노브를 반드시 설치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상하좌우로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에어덕트로부터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가 자동으로 토출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차실 내의 전(全)방향으로 토출되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는, 공조된 공기를 차실 내로 토출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 내에 외측 둘레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윙이 형성되되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윙을 타고 흐르는 상기 공조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전환하는 풍향조절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는,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에 의해 풍향조절부재가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이 상기 차실 내의 전(全)방향으로 전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에서 에어덕트에 풍향조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에서 에어덕트에 풍향조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이 구속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서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에서 에어덕트에 풍향조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벤트 장치는, 에어덕트(10)와, 풍향조절부재(20)와, 커버부재(30)와, 결합부재(40)를 포함한다.
에어덕트(1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 내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자동차에 구비된 공조기(미도시)와 연결된다. 에어덕트(10)는 차실 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기에서 공조된 공기를 공급받아 차실 내로 토출시킨다. 에어덕트(10)는 내부로 공조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에어덕트(10)는 전단부가 상기 공조기와 연결되고, 후단부는 전단부에 비해 확경되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풍향조절부재(20), 커버부재(30) 및 결합부재(40)는, 에어덕트(10)의 확경된 후단부에 설치된다.
풍향조절부재(20)는 내부로 상기 공조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에어덕트(10) 내에 외측 둘레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에어덕트(10)에는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윙(25)이 형성된다.
에어덕트(10) 내를 흐르는 상기 공조된 공기는, 풍향조절부재(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차실내로 토출되게 되는 데, 복수의 제1 윙(25)은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된다. 그런데, 풍향조절부재(20)는 에어덕트(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제1 윙(25)을 타고 흐르는 상기 공조된 공기에 의해 풍향조절부재(20)는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차실 내의 전(全)방향으로 전환한다.
복수의 제1 윙(25)은, 자동차의 전방을 향하는 전단이, 상기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는 후단에 비해 우측에 배치된다. 즉, 각각의 제1 윙(25)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좌측을 향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1 윙(25)을 타고 흐르는 상기 공조된 공기는, 차실 측에서 볼 때 풍향조절부재(20)의 내측 둘레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출되며, 이 때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풍향조절부재(20)가 회전된다.
커버부재(30)는 에어덕트(10) 내에 풍향조절부재(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에어덕트(10)의 후단에 결합되어, 풍향조절부재(20)가 에어덕트(10) 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커버부재(30)에는 풍향조절부재(20)를 통과한 상기 공조된 공기가 차실 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홀(35)들이 형성된다.
커버부재(3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풍향조절부재(20)가 에어덕트(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데 반해, 커버부재(30)는 에어덕트(10)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커버부재(30)에는 내측에 복수의 제2 윙(32)이 좌우로 길게 배치되며, 복수의 제2 윙(32) 사이에 토출홀(35)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2 윙(32)은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커버부재(30) 내에 양단이 고정 형성된다. 따라서, 풍향조절부재(20)를 통과한 상기 공조된 공기는, 상기 복수의 제2 윙(32)을 지나면서 일부가 하측으로 토출방향이 전환된다. 다만, 커버부재(30)를 통과하여 차실 내로 토출되는 전체 공기의 흐름은, 풍향조절부재(20)의 회전에 의해 커버부재(30)의 둘레방향 전(全)방향으로 토출되며, 일부의 공기만이 복수의 제2 윙(32)에 의해 하측으로 토출방향이 전환되어 토출된다. 한편, 복수의 제2 윙(32)은 커버부재(30)에 고정 형성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차실 내로 토출된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결합부재(40)는 커버부재(30)의 둘레를 감싸 에어덕트(10)에 결합된다. 결합부재(4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둘레에 커버부재(30)의 외측 둘레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또한, 커버부재(30)가 에어덕트(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40)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의 제1 결합부(45)가 형성되고, 에어덕트(10)의 외측 둘레에는 각각의 제1 결합부(45)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결합부(15)가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공조된 공기가 차실 내의 전(全)구간으로 토출되기를 원하지 않을 때도 있다. 이때에는 풍향조절부재(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면 된다. 풍향조절부재(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에서 에어덕트에 풍향조절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이 구속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서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풍향조절부재(20)의 외측 둘레에는 걸림홈(22)이 더 형성된다. 걸림홈(22)은 풍향조절부재(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형성된다.
또한, 에어덕트(10)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걸림홈(22)에 삽입되어 풍향조절부재(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부재(50)가 배치된다. 걸림부재(5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탄성변형되어서 걸림홈(22)으로 삽입되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는, 차실 내로 토출되는 공조된 공기에 의해 풍향조절부재(20)가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이 상기 차실 내의 전(全)방향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윙노브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에어덕트 20: 풍향조절부재
22: 걸림홈 25: 제1 윙
30: 커버부재 32: 제2 윙
35: 토출홀 40: 결합부재

Claims (7)

  1. 공조된 공기를 차실 내로 토출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 내에 외측 둘레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제1 윙이 형성되되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 윙을 타고 흐르는 상기 공조된 공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전환하는 풍향조절부재; 및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통과한 상기 공조된 공기를 차실 내로 토출하는 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가 상기 에어덕트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덕트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외측 둘레에는 걸림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에어덕트에 배치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에어덕트에 고정되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토출홀을 사이에 형성하는 복수의 제2 윙이 배치되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윙은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윙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에 대해 하측으로 경사져서 형성된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둘레를 감싸 상기 에어덕트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1020120110231A 2012-10-04 2012-10-04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10194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31A KR101946058B1 (ko) 2012-10-04 2012-10-04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31A KR101946058B1 (ko) 2012-10-04 2012-10-04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183A KR20140044183A (ko) 2014-04-14
KR101946058B1 true KR101946058B1 (ko) 2019-02-08

Family

ID=5065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231A KR101946058B1 (ko) 2012-10-04 2012-10-04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0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183A (ko) 201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0293B2 (en) Airflow outlet
US10239384B2 (en) Air outlet device for feeding air to a vehicle interior in an controlled manner
US9211779B2 (en) Comfort air vent nozzle
KR10171356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20130005076A (ko) 에어벤트 장치
US9827829B2 (en) Deployable vent for automotive ventilation system
JP613453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293963B1 (ko)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US9969244B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with deployable air register
KR10194605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KR101724941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토출 풍향 조절 장치
US11364774B2 (en)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KR102131447B1 (ko) 차량의 에어벤트
KR10187148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JP2012131308A (ja) 車両用送風装置
CN107933931B (zh) 用于航空器的同轴通风口和流体阀的电子控制
KR101859758B1 (ko) 에어벤트 장치
KR20130043495A (ko) 에어벤트 장치
KR20150109945A (ko) 차량의 에어벤트
JP2020142550A5 (ko)
KR102002844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장치
US20200369109A1 (en) Adjustable Steering-Wheel Ventilation
JP2018086940A5 (ko)
KR100391323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구조
KR20150077948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