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948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948A
KR20150077948A KR1020130166927A KR20130166927A KR20150077948A KR 20150077948 A KR20150077948 A KR 20150077948A KR 1020130166927 A KR1020130166927 A KR 1020130166927A KR 20130166927 A KR20130166927 A KR 20130166927A KR 20150077948 A KR20150077948 A KR 20150077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ir
air conditioner
controll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685B1 (ko
Inventor
정해석
최의현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6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제어방식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컨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고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낮아,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많은 조건인 경우, 공기의 토출모드를 창유리측부분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모드 도어들을 포함하고, 모드 도어들은 캠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유기적으로 회전되면서 특정 모드로 제어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캠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와, 에어컨이 오프(OFF)되고, 공기의 토출방향이 차실내 바닥면의 플로어 모드 인 상태에서,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단수 이하일 시에,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하면서 공기의 토출방향이 창유리측을 향하도록 모드 도어들의 위치 제어용 캠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수동제어방식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고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낮아,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많은 조건인 경우, 공기의 토출모드를 창유리측부분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차실내를 냉, 난방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로 수동제어방식(Manual Temp. Controller Type)이 있다.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는, 사용자가 토출공기의 온도와 풍량 및 공기의 토출모드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면,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템프 도어(Temp. Door)와 블로어(Blower)와 각종 모드 도어(Mode Door)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겨울철에 사용자가 토출공기의 온도와 풍량을 높게 설정하고, 공기의 토출모드를 "플로어 모드(Floor Mode)"로 설정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가 온(ON)됨과 아울러 템프 도어(3)의 개도각이 설정온도에 맞게 제어되고, 블로어(5)의 회전 단수가 설정풍량에 맞게 제어되며, 각 모드 도어(7)들이 "플로어 모드"로 제어된다.
따라서, 높은 온도의 토출공기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다량 토출되면서 차실내를 난방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토출공기의 온도와 풍량 및 공기의 토출모드 등이 사용자가 설정한대로 수동으로 제어되게 한다.
한편, 이러한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는, 사용자가 공기의 토출모드를 "플로어 모드"로 설정할 지라도, 창유리측의 디프로스트 벤트(8)로도 소량의 공기가 토출되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창유리측으로도 공기가 토출되게 함으로써, 창유리측에 발생될 우려가 있는 김서림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동제어방식 공조장치는, 에어컨의 증발기(9)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공기의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의 토출모드가 "플로어 모드"로 제어될 경우, 창유리측의 디프로스트 벤트(8)로도 소량의 공기가 토출됨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창유리부분에 김서림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많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블로어(5)의 회전단수가 낮을 경우, 창유리측의 디프로스트 벤트(8)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현저하게 저감되므로,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더욱 많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주행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많은 조건인 경우, 예를 들면, 에어컨이 오프(OFF)되고, 공기의 토출모드가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낮을 경우,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공기의 토출모드를 창유리측부분으로 자동제어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많은 조건인 경우, 공기의 토출모드를 창유리측부분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시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시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현상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창유리의 김서림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를 덜어줄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모드 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도어들은 캠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유기적으로 회전되면서 특정 모드로 제어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캠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와, 에어컨이 오프(OFF)되고, 공기의 토출방향이 차실내 바닥면의 플로어 모드 인 상태에서, 상기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단수 이하일 시에,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하면서 공기의 토출방향이 창유리측을 향하도록 상기 모드 도어들의 위치 제어용 캠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김서림 방지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모드 도어들이 공기의 토출방향을 창유리측과 차실내의 바닥면을 향하는 믹스 모드(Mix Mode)로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캠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에어컨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고, 블로어의 회전단수가 낮아,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많은 조건인 경우, 공기의 토출모드를 창유리측부분으로 자동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시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현상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현상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창유리의 김서림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를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컨의 오프(OFF) 상태와, 플로어 모드 상태와, 블로어의 회전단수를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 도어의 캠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만 설치하면,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에도 창유리의 김서림 자동 방지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공조케이스(10)에는 블로어(12)와 증발기(14)와 히터(16)가 설치된다.
블로어(12)는 내,외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0a)로 송풍하고, 에어컨의 증발기(14)는 내부통로(10a)로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며, 히터(16)는 내부통로(10a)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통로(10a)에 설치되는 다수의 모드 도어(20, 22, 24)들을 구비한다.
다수의 모드 도어(20, 22, 24)들은, 디프 도어(20)와 페이스 도어(22) 및 플로어 도어(24)들을 포함하며, 이들 모드 도어(20, 22, 24)들은,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캠(Cam)(3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모드 도어(20, 22, 24)들은, 캠(30)의 회전위치에 따라 서로 유기적으로 회전되면서 특정 모드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벤트 모드(Vent Mode), 디프 모드(Def. Mode), 플로어 모드(Floor Mode), 바이 레벨 모드(Bi-Level Mode), 믹스 모드(Mix Mode)로 제어된다.
참고로, 벤트 모드는, 증발기(14)와 히터(16)를 통과한 공기를 탑승객의 얼굴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고, 디프 모드는, 증발기(14)와 히터(16)를 통과한 공기를 창유리 방향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플로어 모드는, 증발기(14)와 히터(16)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바이 레벨 모드는, 증발기(14)와 히터(16)를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바닥면과 탑승객의 얼굴부분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며, 믹스 모드는 증발기(14)와 히터(16)를 통과한 공기를 창유리와 차실내의 바닥면으로 토출하는 모드이다.
한편, 캠(30)은, 각 모드 도어(20, 22, 24)의 일측부분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슬롯(32)들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케이블(34) 또는 액츄에이터(36)가 작동되면, 상기 케이블(34) 또는 액츄에이터(36)에 의해 정,역회전운동하면서 각 모드 도어(20, 22, 24)들의 개도각을 유기적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모드 도어(20, 22, 24)들을 특정 모드로 제어한다.
캠(30)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에어컨이 오프(OFF)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에어컨 오프 감지수단(40)를 포함한다.
에어컨 오프 감지수단(40)은, 운전석의 전면패널에 설치된 공조장치 제어용 콘트롤러의 에어컨 온,오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에어컨 온,오프 스위치는, 사용자가 에어컨을 오프(OFF)시키기 위해 수동조작하면, "에어컨 오프 신호(S1)"를 출력하여 에어컨을 오프시키는 것으로, 상기 "에어컨 오프 신호(S1)"의 출력여부에 따라 현재 에어컨이 오프(OFF)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기 토출모드가 "플로어 모드"인지를 감지하는 플로어 모드 감지수단(50)과, 블로어(12)의 회전단수를 감지하는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을 포함한다.
플로어 모드 감지수단(50)은, 공기의 토출모드를 "플로어 모드"로 선택하기 위한 플로어 모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플로어 모드 스위치는, 사용자가 수동 조작하여 "플로어 모드"를 선택하면, "플로어 모드 신호(S2)"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플로어 모드 신호(S2)"의 출력을 통해 현재의 공기 토출모드가 "플로어 모드"인지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은, 블로어(12)의 회전단수를 조절하기 위한 풍량조절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풍량조절스위치는, 차실내로 토출되는 블로어(12)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특정한 "회전단수"를 선택하면, 선택된 "회전단수"에 해당하는 신호(S3)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특정의 "회전단수 신호(S3)"를 통해 블로어(12)의 현재 회전단수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에어컨 오프 감지수단(40)과 플로어 모드 감지수단(50)에서 "에어컨 오프 신호(S1)"와 "플로어 모드 신호(S2)"가 각각 입력된 상태에서,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60)로부터 블로어(12)의 현재 회전단수가 입력되면, 입력된 블로어(12)의 현재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단수"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2단"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준 회전단수"이하이면, 제어부(70)는, 현재 에어컨이 오프(OFF)된 상태여서 공기의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아울러 공기의 토출방향도 차실내의 바닥면을 향하며, 그 풍량마저 현저하게 저감되어 창유리부분에서 김서림이 발생될 염려가 매우 많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70)는,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하면서 "제어신호(S4)"를 출력하여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믹스 모드"로 제어한다. 특히, 모드 도어(20, 22, 24)들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캠(30)의 액츄에이터(36)를 제어하여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믹스 모드"로 제어한다.
따라서, 블로어(12)의 공기가 창유리측과 차실내의 바닥면측으로 토출하게 한다. 이로써, 창유리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킨다.
그 결과, 창유리부분의 제습성능을 강화시킨다. 이에 따라, 에어컨이 오프(OFF)되고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어,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발생에 유리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김서림 발생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창유리의 김서림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를 덜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70)는,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믹스 모드"를 제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에어컨을 온(ON)시킬 경우,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원래의 "플로어 모드"로 복귀시킨다.
또한, 제어부(70)는,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믹스 모드"를 제어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기의 토출모드를 "플로어 모드"에서 해제시키고 다른 모드로 선택하면,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토출 모드"대로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2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공조장치가 온(ON)된 상태에서(S101), 에어컨이 오프(OFF)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3).
판단 결과, 에어컨이 오프되었으면, 제어부(70)는, 현재의 공기 토출모드가 "플로어 모드"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05).
판단 결과, 현재의 공기 토출모드가 "플로어 모드"이면, 제어부(70)는, 블로어(12)의 현재 회전단수가 "기준 회전단수"이하인지를 판단한다(S107).
판단 결과, "기준 회전단수"이하이면, 제어부(70)는, 현재 에어컨이 오프(OFF)된 상태여서 공기의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공기의 토출방향도 차실내의 바닥면을 향하며, 그 풍량마저 현저하게 저감되어 창유리부분에서 김서림이 발생될 염려가 매우 많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이 들면, 제어부(70)는,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하면서 "제어신호(S4)"를 출력하여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믹스 모드"로 제어한다(S109).
그러면, 블로어(12)의 공기가 창유리측과 차실내의 바닥면측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창유리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창유리부분의 제습성능이 강화되면서 창유리의 김서림이 방지된다.
특히, 공조장치가 수동제어방식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는, 모드 도어(20, 22, 24)를 "믹스 모드"로 제어한 상태에서, 에어컨이 온(ON)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11).
판단 결과, 에어컨이 온(ON)되었으면, 제어부(70)는,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원래의 "플로어 모드"로 복귀시킨다(S113). 따라서, 공조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원래의 모드 대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S1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에어컨이 온(ON)되지 않았으면(S111-1), 제어부(70)는, 사용자가 공기의 토출모드를 "플로어 모드"에서 해제시켰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13).
판단 결과, "플로어 모드"에서 해제시켰으면, 제어부(70)는,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토출 모드"대로 각 모드 도어(20, 22, 24)를 제어한다(S115).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에어컨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제어되고, 블로어(12)의 회전단수가 낮아,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우려가 많은 조건인 경우, 공기의 토출모드를 창유리측부분으로 자동제어하는 구조이므로,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창유리의 김서림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창유리부분에 김서림이 발생될 시에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현상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창유리부분의 김서림 현상을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관계없이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창유리의 김서림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를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의 오프(OFF) 상태와, 플로어 모드 상태와, 블로어(12)의 회전단수를 비교 판단하는 제어부(70) 및,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 도어(20, 22, 24)의 캠(30)을 제어하는 액츄에이터(36)만 설치하면, 수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에도 창유리의 김서림 자동 방지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 12: 블로어(Blower)
14: 증발기 16: 히터(Heater)
20, 22, 24: 모드 도어 30: 캠(Cam)
32: 슬롯(Slot) 34: 케이블(Cable)
36: 액츄에이터(Actuator) 40: 에어컨 오프 감지수단
50: 플로어 모드 감지수단 60: 블로어 회전단수 감지수단
70: 제어부

Claims (4)

  1.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12)와, 차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모드 도어(20, 22, 24)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 도어(20, 22, 24)들은 캠(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캠(30)의 회전위치에 따라 유기적으로 회전되면서 특정 모드로 제어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캠(3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36)와,
    에어컨이 오프(OFF)되고, 공기의 토출방향이 차실내 바닥면의 플로어 모드 인 상태에서, 상기 블로어(12)의 회전단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단수 이하일 시에,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하면서 공기의 토출방향이 창유리측을 향하도록 상기 모드 도어(20, 22, 24)들의 위치 제어용 캠(30)의 액츄에이터(36)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김서림 방지모드의 진입 시에, 상기 모드 도어(20, 22, 24)들이 공기의 토출방향을 창유리측과 차실내의 바닥면을 향하는 믹스 모드(Mix Mode)로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캠(30)의 액츄에이터(36)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이 온(ON)될 시에, 상기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모드 도어(20, 22, 24)들이 원래의 플로어 모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캠(30)의 액츄에이터(36)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김서림 방지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기의 토출모드를 플로어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선택할 시에, 상기 김서림 방지모드로부터 해제되면서 상기 모드 도어(20, 22, 24)들이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캠(30)의 액츄에이터(36)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30166927A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27A KR101649685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927A KR101649685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948A true KR20150077948A (ko) 2015-07-08
KR101649685B1 KR101649685B1 (ko) 2016-08-19

Family

ID=5379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927A KR101649685B1 (ko) 2013-12-30 2013-12-30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664A (zh) * 2019-04-23 2019-08-09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节能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545A (ja) * 2000-10-17 2002-04-2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306064A (ja) * 2004-04-16 2005-11-0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31821A (ko) * 2008-09-16 2010-03-2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KR101222506B1 (ko) * 2006-09-15 2013-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545A (ja) * 2000-10-17 2002-04-2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306064A (ja) * 2004-04-16 2005-11-0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1222506B1 (ko) * 2006-09-15 2013-01-15 한라공조주식회사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20100031821A (ko) * 2008-09-16 2010-03-2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 공기조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3664A (zh) * 2019-04-23 2019-08-09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节能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685B1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4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293963B1 (ko)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KR1014757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954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9677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6000442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866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811994B1 (ko) 차량의 제습제어방법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80759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KR10164518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1331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1282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0064661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2129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9854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346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00043601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JP200700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KR1021719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3563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3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