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635A -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635A
KR20140034635A KR1020120101213A KR20120101213A KR20140034635A KR 20140034635 A KR20140034635 A KR 20140034635A KR 1020120101213 A KR1020120101213 A KR 1020120101213A KR 20120101213 A KR20120101213 A KR 20120101213A KR 20140034635 A KR20140034635 A KR 2014003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aximum cooling
wind
air conditio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635A/ko
Publication of KR2014003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algorithms or computational models, e.g. fuzzy logic or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 B60H2001/324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humidity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60H2001/3261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of the air at an evapora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8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vaporating unit
    • B60H2001/3282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vaporating unit to control the air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작동이 최대 냉방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온도 도어를 최대 냉방의 위치로 자동 조절하여 탑승자의 빠른 냉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공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최대 냉방모드의 선택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최대 냉방모드가 선택되면 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시키는 온도 도어의 위치를 실내 온도의 설정에 관계없이 최대 냉방위치로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장치의 작동이 최대 냉방모드(MAX A/C)로 선택되는 경우 온도 도어를 최대 냉방의 위치로 자동 조절하여 탑승자의 빠른 냉방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실내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탑승자에게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하고,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공조장치가 구비된다.
공조장치는 하절기 운행에서 냉방을 제공하는 에어컨과 동절기 운행에서 난방을 제공하는 히터로 구성된다.
상기 공조장치는 탑승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에 따라 에어컨 혹은 히터의 온/오프와 풍량, 풍향 등을 조정한다.
공조장치에는 에어컨이 작동되는 하절기 운행에서 실내 온도를 빠른 시간내에 원하는 온도로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최대 냉방모드(MAX A/C)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공조장치는 에어컨 작동에서 최대 냉방모드(MAX A/C)가 선택되는 경우 바람의 방향은 전면부로의 토출을 제공하는 벤트(VENT)로 선택되고, 실외공기의 유입과 실내공기의 순환을 선택하는 내외기선택이 불가한 상태에서 실내공기의 순환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온도 도어는 탑승자가 온도 다이얼로 선택한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공조장치는 하절기의 운행에서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을 최대 냉방모드(MAX A/C)로 선택하는 경우 온도 도어의 위치가 온도 다이얼로 선택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여 더운 바람이 토출될 수 있으므로 냉방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빠른 냉방을 요구하는 탑승자의 의지가 충분하게 반영되지 못하여 하절기의 운행에서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조장치가 에어컨으로 작동되는 하절기의 운행에서 최대 냉방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온도 다이얼의 선택에 관계없이 온도 도어를 최대 냉방의 위치로 자동 조절하여 최대 냉풍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냉방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에어컨 및 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을 선택하는 운전선택부;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환경검출부; 차량 실내 냉방 및 난방을 위한 바람을 토출시키는 공조부; 상기 운전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조부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 바람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선택부에서 최대 냉방버튼이 선택되면 공조부에 구비되는 온도 도어를 최대 냉방의 위치로 조절하여 최대 냉풍의 토출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최대 냉방버튼이 선택되면 실내 온도의 설정에 관계없이 온도 도어를 최대 냉방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 제어에 있어서, 최대 냉방모드의 선택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최대 냉방모드가 선택되면 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시키는 온도 도어의 위치를 실내 온도의 설정에 관계없이 최대 냉방위치로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을 선택하는 운전선택부;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환경검출부; 차량 실내 냉방 및 난방을 위한 바람을 토출시키는 공조부; 상기 운전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조부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 바람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제3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하절기 운행에서 에어컨의 작동이 최대 냉방모드로 선택되는 경우 온도 다이얼의 선택에 관계없이 최대 냉풍 토출을 제공함으로써 빠른 냉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조장치에서 에어컨의 성능 향상을 제공하여 탑승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므로 차량에 대한 신뢰성 및 만족도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조작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운전선택부(100), 환경검출부(200), 제어부(300), 구동부(400) 및 공조부(A)를 포함한다.
운전선택부(100)는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는 필요한 기능버튼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공조장치의 작동 선택 정보를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상기 운전선택부(100)는 첨부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컨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에어컨 작동버튼(101), 실내공기의 유입 혹은 실외공기의 유입을 선택하는 내외기 선택버튼(102),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선택하는 풍향 선택버튼(103), 공조장치의 작동시 실내의 온도 조건을 설정하는 온도 다이얼(104), 에어컨 작동에서 최대 냉방모드(MAX A/C)를 선택하는 최대 냉방버튼(105)를 포함한다.
이외에 외기 온도 표시를 선택하는 버튼,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정하는 풍량 버튼, 앞유리창 맺히는 성애를 제거하는 버튼, 뒷유리창의 열선을 동작시키는 버튼, 유해 가스의 실내 유입을 자동 차단시키는 버튼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풍향 선택버튼(103)은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탑승자 전면부로 선택하는 제1모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탑승자 전면부와 바닥면(탑승자 발 부분)으로 선택하는 제2모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바닥면(탑승자 발 부분)으로 선택하는 제3모드,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윈드 쉴드 글라스와 바닥면(탑승자 발 부분)으로 선택하는 제4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검출부(200)는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상기 환경검출부(200)는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210)와 실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검출부(220)를 포함한다.
공조부(A)는 바람의 토출 방향을 결정하는 모드 도어(510d)(520d)(530d)와 바람을 토출시키는 벤트(510)(520)(530)가 설치되는 공조 케이스(500),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입구(550)에 연결되고 상부에 인테이크 도어(630)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내기 흡입구(610) 및 외기 흡입구(620)가 설치되며 블로어 모터(650)에 의해 회전하는 블로어 팬(640)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어(600),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 유로 중 상류측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증발기(700)와,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 유로 중 하류측에 설치되고 전방에 설치되는 온도 도어(540)의 작동으로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코어(710)를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운전선택부(100)에서 제공되는 공조장치의 작동 선택정보에 따라 구동부(400)를 통해 공조부(A)를 작동시켜 바람의 토출 방향, 바람의 세기, 실내 온도 등을 조정하여 차량의 실내에 냉방 및 난방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운전선택부(100)에 구비되는 에어컨 작동버튼(101)으로 에어컨 온이 선택된 상태에서 풍향 선택버튼(103)의 입력에 따라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판정하고, 구동부(400)를 통해 공조부(A)의 모드 도어(510d)(520d)(530d)를 작동시켜 벤트(510)(520)(530)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구동부(400)를 통해 공조부(A)에 구비되는 블로워 모터(650)를 작동시켜 블로워 팬(640)으로 송풍을 제공하고 풍량버튼으로 선택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블로워 모터(650)의 회전력을 조정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풍량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온도 다이얼(104)로 선택되는 설정 온도에 따라 온도 도어(540)의 위치를 조절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 조건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운전선택부(100)의 최대 냉방버튼(105)이 선택되는 경우 온도 다이얼(104)의 위치에 관계없이 구동부(400)를 통해 공조부(A)에 구비되는 온도 도어(540)를 최대 냉방의 위치로 자동 조절하여 최대 냉풍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최대 냉방버튼(105)이 선택되는 경우 블로워 모터(650)를 작동시켜 토출되는 바람을 최대의 풍량으로 제공하여 냉방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공조부(A)에 구성되는 모드 도어(510d)(520d)(530d), 온도 도어(540), 블로워 모터(650), 인테이크 도어(630)를 작동시켜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 바람의 방향, 바람의 온도 등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냉방 성능 향상을 제공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이 운행되면 제어부(300)는 운전선택부(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공조모드의 선택을 검출하고(S101), 공조모드가 최대 냉방버튼(105)이 온으로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102).
상기 S102에서 제어부(300)는 최대 냉방버튼(105)이 온으로 선택되지 않았으면 일반적인 냉방 혹은 난방모드인 일반모드를 제어한다(S103).
상기 제어부(300)의 일반모드의 제어는 풍향 선택버튼(103)의 선택에 따라 구동부(400)를 통해 공조부(A)의 모드 도어(510d)(520d)(530d)를 작동시켜 벤트(510)(520)(530)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구동부(400)를 통해 공조부(A)에 구비되는 블로워 모터(650)를 작동시켜 블로워 팬(640)으로 송풍을 제공하고 풍량버튼으로 선택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블로워 모터(650)의 회전력을 조정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풍량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온도 다이얼(104)로 선택되는 설정 온도에 따라 온도 도어(540)의 위치를 조절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 조건으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S102에서 제어부(300)는 운전선택부(100)에서 최대 냉방버튼(105)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내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 다이얼(104)의 위치에 관계없이 구동부(400)를 통해 공조부(A)에 구비되는 온도 도어(540)를 최대 냉방의 위치로 작동시킨다(S104).
예를 들어, 블로워 팬(640)의 작동으로 생성되어 증발기(700)를 통과한 냉각된 바람이 히터 코어(71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최대의 냉각 상태로 벤트(510)(520)(530)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블로워 모터(650)의 회전력을 조정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최대로 제공함으로써 냉방 효과를 높여준다.
따라서, 최대 냉방버튼(105)이 선택되는 경우 최대로 냉각된 냉풍의 토출을 제공하여 탑승자의 요구에 따른 빠른 냉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운전선택부 200 : 환경검출부
300 : 제어부 400 : 구동부
A : 공조부

Claims (4)

  1. 에어컨 및 히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을 선택하는 운전선택부;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환경검출부;
    차량 실내 냉방 및 난방을 위한 바람을 토출시키는 공조부;
    상기 운전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조부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 바람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선택부에서 최대 냉방버튼이 선택되면 공조부에 구비되는 온도 도어를 최대 냉방의 위치로 조절하여 최대 냉풍의 토출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대 냉방버튼이 선택되면 실내 온도의 설정에 관계없이 온도 도어를 최대 냉방 위치로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 제어에 있어서,
    최대 냉방모드의 선택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최대 냉방모드가 선택되면 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시키는 온도 도어의 위치를 실내 온도의 설정에 관계없이 최대 냉방위치로 조정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4.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을 선택하는 운전선택부;
    차량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환경검출부;
    차량 실내 냉방 및 난방을 위한 바람을 토출시키는 공조부;
    상기 운전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조부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온도, 바람의 방향 및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제3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20101213A 2012-09-12 2012-09-12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34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13A KR20140034635A (ko) 2012-09-12 2012-09-12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13A KR20140034635A (ko) 2012-09-12 2012-09-12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35A true KR20140034635A (ko) 2014-03-20

Family

ID=5064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213A KR20140034635A (ko) 2012-09-12 2012-09-12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8052A (zh) * 2017-12-07 2018-05-29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空调温度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控制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8052A (zh) * 2017-12-07 2018-05-29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空调温度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控制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956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JP200624040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83288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0346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101085A (ko) 공간 분할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8846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080759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KR2013002190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874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7482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JP6167848B2 (ja) 車両用暖房装置及び車両用暖房装置駆動プログラム
JP201412512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58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89092A (ko) 차량의 후석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1458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043601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20100072553A (ko)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10148169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022209A (ko) 자동차의 실내 조건 유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22626B1 (ko) 초기 난방성능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제어방법
KR201600740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71573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