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759A -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759A
KR20080080759A KR1020070020867A KR20070020867A KR20080080759A KR 20080080759 A KR20080080759 A KR 20080080759A KR 1020070020867 A KR1020070020867 A KR 1020070020867A KR 20070020867 A KR20070020867 A KR 20070020867A KR 20080080759 A KR20080080759 A KR 2008008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motor
voltage
mode
defrost mod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0759A/ko
Publication of KR2008008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algorithms or computational models, e.g. fuzzy logic or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제어에 있어서,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둔 풍량 단수의 구동전압인 소정전압과 비교하고, 현재 구동전압이 소정전압 미만이면 강제로 소정전압으로 조절하여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키고, 소정전압 이상이면 그대로 유지하여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키며, 디프로스트 모드가 해제되면 원래의 풍량 단수로 환원시켜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 디프로스트, 제습, 블로워 모터, 풍량, 단수, 구동전압

Description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DEF mode of car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 모터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 모터 제어를 위한 블로워 전압 제어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포함하는 블로워 모터 제어방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트롤패널 11 : 온도 조절 노브
12 : 풍량 조절 노브 13 : 모드 조절 노브
20 : 공조 콘트롤러 21 : 블로워 모터 구동부
22 :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 검출부 30 : 공조 어셈블리
31 : 블로워 모터 32 : 증발기
33 : 히트 싱크 34a : 내/외기 도어
34a : 온도조절 도어 34c :벤트모드 도어
34d : 디프로스트 모드 도어 34e : 플로어 모드 도어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앞유리에 생기는 김서림(Window fogging)을 제거하기 위하여 디프로스트 모드(DEF)를 선택하였을 때 블로워 모터(Blower motor)의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일정전압 이하인 경우 상기 일정 전압까지 상승시켜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기후나 주행조건에서도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동시에 유리창의 김서림 등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고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되어있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 내부의 냉, 난방을 위한 에어컨 및 히터 유니트에 의하여 차가워지거나 따뜻해진 공기를 덕트를 통해 실내로 유입시키는 블로어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바람의 방향을 선택하는 모드 조작노브에 의해 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플로우 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믹스모드 등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김서림 제거(제습모드)를 위해서는 앞유리로 바람을 송풍시키는 디프로스트모드(DEF)를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풍량 선택노브에 의해 블로워 모터의 구동 단수를 선택하게 되며, 운전자가 풍량 조작노드(1, 2, 3, 4 단)를 선택 온시켜 풍량을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공조장치에서는 제습모드 즉,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하여 앞유리창의 김서림을 제거하고자 할 때 자동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에서는 에어컨 온과 자동으로 내기모드로 전환되면서 디프로스트모드로서 제어하게 된다. 이때 풍량 단수는 사용자가 풍량조작 노브를 선택한 단수 대로 풍량이 제어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풍량이 1단인 경우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1단으로만 송풍되기 때문에 빠르게 제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통상 풍량 조절노브를 조작하여 3단 이상으로 풍량 단수를 조절하여 빠른 제습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조작해야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배터리 영향에 따라 블로워 전압이 떨어지게 되어 디프로스트 모드 선택시 일정수준의 풍량을 유지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로인하여 효과적인 디포깅(De-fogging)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공조제어에 있어서 앞유리창의 제습기능을 위하여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블로워 모터의 단수를 3단 이상으로 자동 조절하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소정 전압 이하인 경우 송풍단수가 3단이 되도록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자동조절하며,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이 상기한 소정전압 이상인 경우는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해당 전압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빠른 제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믹스모드에서는 블로워 모터의 구동단수를 조절하지 않고 현재 설정된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유지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제어를 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공조장치를 공조 콘트롤러가 제어함에 있어서, 디프로스트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디프로스트 모드가 선택된 경우,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판단한 현재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이 상기 소정전압 미만인 경우 현재 블로워 모터 구동 전압을 미리 설정된 소정 전압으로 상승시켜 블로워 모터를 구동하여 풍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공조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판단한 현재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이 상기 소정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의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유지하여 블로워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소정전압으로 조절하여 블로워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 경우, 디프로스트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된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으로 환원하여 블로워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풍량 조절노브를 조작하여 풍량 단수를 수동 조절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풍량 단수로 블로워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믹스 모드에서의 디프로스트 기능에서는 블로워 모터를 별도로 제어하지 않으며, 난방기동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디프로로스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어를 하지 않는다. 여기서 별도의 제어란, 상기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 판단에 의거하여 소정전압 이하일 때 자동으로 소정전압으로 블로워 모터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 공조장치의 제어를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패널(10)과, 상기 콘트롤패널(10)의 운전조작에 의해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공조 콘트롤러(20)와, 상기 공조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온도조절 및 토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공조 어셈블리(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패널(10)에는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실내온도 조절노브(11)와, 블로워 모터의 구동 단수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풍량 조절 노브(12)와, 공조 어셈블리(30)를 통해서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을 선택 조절하기 위한 모드 조절 노브(13)로 구성되며, 모드 조절노브(13)에는 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모드 및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자동모드 버튼, 내기/외기 버튼등이 구비되어 구성되고, 운전석의 인스투르먼트패널에 설치된다.
상기 공조 콘트롤러(20)에는 실내외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각종 센서들에 의해 에어컨의 작동과 상기 공조 어셈블리(30)의 각종 도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되,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풍량 조절노브(12)의 조작에 따라 블로워 모터(31)의 구동전압을 제어하는 블로워 모터구동부(21) 및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 검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 어셈블리(30)에는 공조장치의 블로워 모터(31)와, 증발기(32)와, 히트 싱크(33)가 설치되고, 공기를 외기/내기를 선택하는 내외기 선택도어(34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증발기(32)를 거치거나 또는 히트 싱크(33)를 거치도록 선택하는 온도조절도어(34b)와, 상기 온도조절도어(34a)에 의해 온도가 조절된 공기를 밴트모드로 토출하기 위한 벤트도어(34c), 디프로스트 모드로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도어(34d) 및 플로어 모드로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도어(34e)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조 장치는, 콘트롤패널(10)에 있는 조작노브(11-13)를 조작하여 차량의 냉방 또는 난방을 제어하면, 공조 콘트롤러(100)는 냉방/난방에 따라 공조 덕트(30)내의 온도조절도어(34d)의 개도 방향을 조절하여 냉방/난방을 선택하며, 토출모드에 따라 각각의 모드 도어(34c ~ 34e)를 제어하여 공조제어를 한다.
여기서, 공조 제어를 위한 공조 콘트롤러(20)에는 각종 센서들과 공조 어셈블리(30)의 각 도어 및 장치들이 연결되어 공조제어를 하게 되나, 일반적인 사항들이므로 설명하지 않고,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 모터를 제어하는 것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 모터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콘트롤패널(10)의 버튼들 및 조작노브(11-13)의 조작에 의해 공조 콘트롤러(20)가 공저 어셈블리 및 공조장치를 제어함에 있어서, 공조제어를 하는 과정중에, 상기 공조 콘트롤러(20)는, 디프로스트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S10)를 수행한다. 즉, 공조 콘트롤러(20)는 풍량 조절노브(12)의 선택 단수에 따라 블로워모터 구동부(21)를 통해서 블로워 모터(31)를 구동시키면서 공조제어를 하는 중에 모드 선택 노브(13)의 조작에 의해 디프로스트 모드(DEF)가 선택되면, 다른 도어들을 닫고 디프로스트 모드 도어를 열어주면서, 에어컨 온 및 내기모드로서 자동 설정된다.
상기 제1단계의 판단에서 디프로스트 모드(DEF)가 선택된 경우, 블로워 모터(31)의 구동전압을 검출하는 제2단계(S20)를 수행한다. 블로워모터 구동전압 검출부(22)를 통해서 블로워 모터(31)의 구동전압을 검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 모터 제어를 위한 블로워 전압 제어 특성도이다.
상기 제2단계에서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이 검출되면,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예; 3단 구동전압, 6.5V)과 비교하여 검출된 구동전압이 소정전압보다 낮으면,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도 3의 "A"와 같이 소정전압(예; 6.5V)으로 상승시켜 변경한다(S40).
만약,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이 상기 소정전압 이상인 경우 도 3의 "B"와 같이 그 구동전압을 유지하고,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킨다(S50).
상기와 같이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소정전압으로 변경 한 경우 상기 블로워모터 구동부(21)를 통해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변경하여 블로워 모터(31)를 구동시키며, 검출된 구동전압이 소정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그대로 유지시켜 블로워 모터의 구동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프로스트 모드가 선택되면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전압 미만인 경우 소정전압으로 변경하여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일정한 풍량 단수(예; 3단)로 블로워 모터를 자동제어함으로써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제습 효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 모터 제어 기능을 수행 하는 중에 디프로스트 모드가 해제되면(S60), 이전의 풍량 단수 즉, 상기 제2단계(S20)에서 검출된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으로 환원하여 블로워 모터 구동부(210를 통해 블로워 모터를 제어(S70)하면서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모터 제어를 종료한다.
여기서 반드시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 검출부(22)를 구비하여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검출할 필요는 없으며, 현재 블로워 모터 구동부(21)를 통해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키는 단수를 판단하여 해당 단수가 미리 설정된 단수(예;3단) 미만인 경우에는 3단으로 조절하여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키고, 3단 이상인 경우에는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사용자 조작을 포함하는 블로워 모터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프로스트 모드에서의 블로워 모터 제어 루틴에서, 사용자가 풍량 조절노브(12)를 조작하여 풍량 단수를 조절하게 되면, 수동으로 조절된 단수의 블로워 전압으로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설정하여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키는 사용자 조작 제어단계(S80)를 수행한다. 즉, 디스프로스트 모드 선택 단계에서 풍량이 1단 또는 2단으로 제어되는 중에, 디프로스트 모드가 선택되면 자동으로 상기 루틴에 의해 3단으로 조절되어 풍량이 상승 되는데, 사용자가 다시 1단 또는 2단으로 풍량 단수를 조작하게 되면, 사용자가 조작한 단수의 풍량으로 유지하면서 디프로스트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물론 단수를 상승시키면 상승된 단수로 블로워 모터의 구동이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믹스 모드에서의 디프로스트 기능에서는 블로워 모터를 별도로 제어하지 않으며, 난방기동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디프로로스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제어를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제어에 있어서,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둔 풍량 단수의 구동전압인 소정전압과 비교하고, 현재 구동전압이 소정전압 미민이면 강제로 소정전압으로 조절하여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키게 함으로써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효과적인 제습작용을 할 수 있고 디프로스트 모드 해제시 원래의 풍량 단수로 자동환원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소정전압 미만일 때 블로워 전압을 상승시키고 소정전압 이상일 때 블로워 전압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 제어하게 되면, 디-포깅을 위한 충분한 풍량을 확보할 수 있고 일정한 수준 이상의 풍량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자동차 공조장치의 공조 콘트롤러가 공조 제어를 함에 있어서,
    디프로스트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디프로스트 모드가 선택된 경우,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이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판단한 현재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이 상기 소정전압 미만인 경우 현재 블로워 모터구동 전압을 상기 소정 전압으로 상승시켜 블로워 모터를 구동시여 풍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공조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판단한 현재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이 상기 소정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의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을 유지하여 블로워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블로워 모터의 구동전압을 소정전압으 로 조절하여 블로워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 경우, 디프로스트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된 블로워 모터 구동전압으로 환원하여 블로워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풍량 조절노브를 조작하여 풍량 단수를 수동 조절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풍량 단수로 블로워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KR1020070020867A 2007-03-02 2007-03-02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KR20080080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67A KR20080080759A (ko) 2007-03-02 2007-03-02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67A KR20080080759A (ko) 2007-03-02 2007-03-02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759A true KR20080080759A (ko) 2008-09-05

Family

ID=4002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67A KR20080080759A (ko) 2007-03-02 2007-03-02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07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585A (ko) 2013-03-19 2014-09-2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89585A (ko) * 2015-01-19 2016-07-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1645485A (zh) * 2020-05-29 2020-09-1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开启控制方法及其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4585A (ko) 2013-03-19 2014-09-2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89585A (ko) * 2015-01-19 2016-07-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1645485A (zh) * 2020-05-29 2020-09-1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开启控制方法及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2728A (ko) 차량의 자동 습기제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80080759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EP2899044A1 (en) Cooling and heating air conditioner
KR1019866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0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JP58846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2190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554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17816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포깅 제어방법
KR10147482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0758105B1 (ko) 송풍기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58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346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309191B1 (ko) 차량의 실내 환기 제어장치
KR100541240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22892B1 (ko) 실내 공기 흐름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389065Y1 (ko) 차량의 댐퍼 조절용 자동 온도 조절장치
KR101250273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의전환시 제어 방법
KR10142211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KR201600740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723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디포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