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553A -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553A
KR20100072553A KR1020080130989A KR20080130989A KR20100072553A KR 20100072553 A KR20100072553 A KR 20100072553A KR 1020080130989 A KR1020080130989 A KR 1020080130989A KR 20080130989 A KR20080130989 A KR 20080130989A KR 20100072553 A KR20100072553 A KR 20100072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automatic control
air conditioning
mode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근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2553A/ko
Publication of KR20100072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60

Abstract

본 발명은 모드 도어, 블로어, 인테이크 도어, A/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 공조 모드 제어 중에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동 조작된 경우, 수동 조작된 수동 제어 인자와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 제어 인자와 자동 제어 인자로 구분하여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공조 제어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공조 제어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차량, 공조, 자동, 세미, 인디케이터, 표시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에게 현재 의 공조 제어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실내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장치인 히터 및 에어컨으로 구성된 공조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차량 운행 중 차실내 탑승자의 쾌적함 및 안락함을 증대시키고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위의 환경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환경 등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게 된다.
차량용 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er)형 공조 시스템은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에어컨)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를 만족시키기 위해 차실내 온도 및 차실외 온도 등을 감지하여 풍향, 풍량, 내/외기 및 A/C ON/OFF 등을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도 1은 차량용 FATC형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차량용 FATC 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FATC형 공조 시스템은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는 차내 온도 센서(410:Incar Sensor), 차외 온도 센서(420:Ambient Sensor), 일사량 센서(430), 습도 센서(440), 증발기 온도 센서(450), 냉각수 온도 센서(460), 및 유해 가스 감지 센서(470)로부터 내/외기 정보가 제어 유니트(100)에 입력되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공조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출구에 각각 도어(510d)(520d)(530d)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510), 페이스 벤트(520), 및 푸트 벤트(530)가 설치되는 공조 케이스(500)와,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입구(550)에 연결되고 상부에 인테이크 도어(630)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내기 흡입구(610) 및 외기 흡입구(620)가 설치되며 송풍기 모터(650)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640)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600)와,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 유로 중 상류측에 설치되는 증발기(700)와, 상기 공조 케이스(500)의 내부 유로 중 하류측에 설치되고 전방에 설치되는 템프 도어(540)에 의해 송풍 개도가 조절되는 히터 코어(7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700)는 압축기(720)와 관로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720)는 응축기(730)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기(730)는 리시버 드라이어(740)와 연결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740)는 상기 증발기(700)와 연결되는 팽창 밸브(750)와 연결됨으로써 냉방 사이클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 코어(710)는 엔진(800)과 연결됨으로써 난방 사이클이 구성된다.
따라서, 냉방 모드 제어 시에는 상기 송풍기(600)에 의해 송풍되는 내기 또는 외기가 상기 증발기(700)를 거치면서 증발기(70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채 개방된 벤트들(510)(520)(530)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난방 모드 제어시에는 송풍 공기가 상기 증발기(700) 및 상기 히터 코어(710)를 거치면서 히터 코어(710)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채 개방된 벤트들(510)(520)(530)을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제어 유니트(100)는 인테이크 도어(630), 송풍기 모터(650), 템프 도어(540), 및 각종 벤트들(510)(520)(530)의 각각의 도어들(510d)(520d)(530d)을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미도시)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내/외기 유입, 풍량, 온도 및 풍향에 대한 공조 모드 패턴을 제어하게 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부(200)에는 에어컨 작동 버튼(210), 풍향 선택 버튼(220), 외기 온도 표시 버튼(230), 자동 버튼(240), 자동 해제 버튼(250), 풍량 조절 버튼(260), 앞유리창 성에 제거 버튼(270), 뒷유리창 열선 버튼(280), 온도 설정 버튼(290), 내/외기 선택 버튼(300), 유해 가스 자동 차단 버튼(310) 및 표시 패널(320)이 설치된다.
상기 에어컨 작동 버튼(210)은 ON 조작 시 소정의 에어컨을 작동시키며 OFF 조작시 에어컨 작동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풍향 선택 버튼(220)은 모드 즉, 디프로스트 모드, 푸트 모드, 벤트 모드 등의 각종 냉난방 모드를 선택함으로 써 선택 냉난방 모드 제어에 대응하여 각 벤트들(510)(520)(530)의 개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외기 온도 표시 버튼(230)은 표시 패널(320)에 외기의 온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자동 버튼(240)은 제어 유니트(1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자동 공조 모드 제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자동 해제 버튼(250)은 자동 공조 모드 제어를 해제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풍량 조절 버튼(260)은 송풍기 모터(65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앞유리창 성에 제거 버튼(270)은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510)를 개방하도록 디프로스트 도어(510d)를 동작시켜 실내 토출 공기에 의하여 앞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뒷유리창 열선 버튼(280)은 뒷유리창에 설치된 열선을 발열시켜 뒷유리창에 낀 성에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온도 설정 버튼(290)은 히터 코어(710) 방향 송풍 통로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템프 도어(540)를 동작시켜 실내 토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내/외기 선택 버튼(300)은 내기 흡입구(610) 또는 외기 흡입구(620)가 개방되도록 인테이크 도어(630)를 동작시켜 내기 순환 모드 또는 외기 모드로 공기를 송풍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유해 가스 자동 차단 버튼(310)은 외부의 유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량 전면에 설치된 유해 가스 감지 센서(470)를 통해 인식되면 자동으로 내기 순환 모드가 이루어지도록 인테이크 도어(630)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표시 패널(320)은 현재의 공조 모드 패턴 상태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종래의 FATC형 공조 시스템은 자동 버튼(240)을 눌러서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가 모두 Full 자동으로 제어될 경우에만 표시 패널(320)에 자동 인디케이터가 켜지게 된다. 만약에 사용자가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동으로 설정하게 되면 자동 인디케이터는 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FATC형 공조 시스템은 일부의 자동 제어 인자가 수동으로 제어되더라도 실제로는 수동 제어되지 않는 다른 자동 제어 인자가 자동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동 ON시 이전의 공조 상태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처음 시동을 켰을 때 Full 자동으로 제어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동 제어 인자와 자동 제어 인자를 구분하여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정확하게 표시 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도어, 블로어, 인테이크 도어, A/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은, 자동 공조 모드 제어 중에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동 조작된 경우, 수동 조작된 수동 제어 인자와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자동 공조 모드 제어시 자동 제어 인자의 각 인디케이터를 ON시키되,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동 조작된 경우, 수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FF시키고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N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자동 공조 모드 제어시 자동 제어 인자의 각 인디케이터를 ON시키되,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동 조작된 경우, 수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와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의 컬러 또는 밝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심볼을 구비하고, 상기 인자 중에서 자동 제어 인자에 해당하는 심볼을 표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은 수동 제어 인자와 자동 제어 인자로 구분하여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공조 제어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공조 제어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풀 자동 제어 상태 및 세미 자동 제어 상태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은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인자별로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표시 할 수 있도록, 자동 공조 모드 제어 중에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게 되면, 수동 조작된 수동 제어 인자와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를 별도로 구분하여 세미 자동 제어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여기에서, 세미 자동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첫째로는, 자동 공조 모드임을 표시하는 자동 인디케이터 및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각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자동 공조 모드 제어시 자동 인디케이터 및 자동 제어 인자의 각 인디케이터를 ON 시키되, 자동 제어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게 되면, 자동 인디케이터가 ON 상태에서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인자별로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수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FF시키고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N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세미 자동 제어 상태를 표시 할 수 있다.
둘째로는, 자동 공조 모드임을 표시하는 자동 인디케이터 및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각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자동 공조 모드 제어시 자동 인디케이터 및 자동 제어 인자의 각 인디케이터를 ON 시키되, 자동 제어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게 되면, 자동 인디케이터가 ON 상태에서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인자별로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수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 및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의 컬러 또는 밝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세미 자동 제어 상태를 표시 할 수 있다.
셋째로는,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심볼을 구비하고, 자동 제어 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게 되면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자동 제어 인자별로 정확하게 표시하 기 위하여 상기 인자 중에서 수동 조작되지 않은 자동 제어 인자에 해당하는 심볼을 표시함으로써 세미 자동 제어 상태를 표시 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 하나의 자동 버튼 상에 자동 인디케이터 및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의 각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자동 버튼이 눌러져서 자동 공조 모드 제어시 풀 자동 상태로서 자동 인디케이터 및 모든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가 ON되고, 이후에 블로어 및 인테이크 자동 제어 인자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게 되면 세미 자동 상태로서 자동 인디케이터가 ON 상태에서 블로어 및 인테이크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FF되고 모드 및 A/C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N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은 수동 제어 인자와 자동 제어 인자로 구분하여 현재의 공조 제어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공조 제어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FATC형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차량용 FATC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풀 자동 제어 상태 및 세미 자동 제어 상태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 유니트 200 : 조작부
210 : 에어컨 작동 버튼 220 : 풍향 선택 버튼
230 : 외기 온도 표시 버튼 240 : 자동 버튼
250 : 자동 해제 버튼 260 : 풍량 조절 버튼
270 : 앞유리창 성에 제거 버튼 280 : 뒷유리창 열선 버튼
290 : 온도 설정 버튼 300 : 내/외기 선택 버튼
310 : 유해 가스 자동 차단 버튼 320 : 표시 패널
410 : 차내 온도 센서 420 : 차외 온도 센서
430 : 일사량 센서 440 : 습도 센서
450 : 증발기 온도 센서 460 : 냉각수 온도 센서
470 : 유해 가스 감지 센서 500 : 공조 케이스
510 : 디프로스트 벤트 520 : 페이스 벤트
530 : 푸트 벤트 540 : 템프 도어
600 : 송풍기 610 : 내기 흡입구
620 : 외기 흡입구 630 : 인테이크 도어
640 : 송풍팬 650 : 송풍기 모터
700 : 증발기 710 : 히터 코어
720 : 압축기 730 : 응축기
740 : 리시버 드라이어 750 : 팽창 밸브
800 : 엔진

Claims (4)

  1. 모드 도어, 블로어, 인테이크 도어, A/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자동 공조 모드 제어 중에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동 조작된 경우, 수동 조작된 수동 제어 인자와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자동 공조 모드 제어시 자동 제어 인자의 각 인디케이터를 ON시키되,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동 조작된 경우, 수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FF시키고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는 ON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자동 공조 모드 제어시 자동 제어 인자의 각 인디케이터를 ON시키되,
    자동 제어 인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동 조작된 경우, 수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와 수동 조작되지 않은 나머지 자동 제어 인자의 인디케이터의 컬러 또는 밝기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드, 블로어, 인테이크 및 A/C 등의 자동 제어 인자를 표시하는 심볼을 구비하고,
    상기 인자 중에서 자동 제어 인자에 해당하는 심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1020080130989A 2008-12-22 2008-12-22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20100072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989A KR20100072553A (ko) 2008-12-22 2008-12-22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989A KR20100072553A (ko) 2008-12-22 2008-12-22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553A true KR20100072553A (ko) 2010-07-01

Family

ID=4263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989A KR20100072553A (ko) 2008-12-22 2008-12-22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25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08B1 (ko) * 2011-09-05 2013-10-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08B1 (ko) * 2011-09-05 2013-10-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6956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20070028937A (ko) 자동차의 정차시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10134611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238661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설정 온도 자동 조절 방법
KR20100072553A (ko) 차량용 공조 컨트롤러의 제어방법
KR10147482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198745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100931678B1 (ko)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자동차 공조장치 제어방법
JP2015189422A (ja) 車両用冷房装置
KR20130071573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KR1012209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및 템프 도어 제어 방법
KR101758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0102883A (ko) 자동 공기조화시스템의 디프로스팅에 따른 실내온도보상방법
KR101669986B1 (ko) 포깅 방지용 내외기 흡입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46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0011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50273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장치의 외기 모드에서 내기 모드로의전환시 제어 방법
JP201412496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2037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58872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1823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66363A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성능 보정 방법
JP2002370522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