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506B1 -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506B1
KR101222506B1 KR1020060089563A KR20060089563A KR101222506B1 KR 101222506 B1 KR101222506 B1 KR 101222506B1 KR 1020060089563 A KR1020060089563 A KR 1020060089563A KR 20060089563 A KR20060089563 A KR 20060089563A KR 101222506 B1 KR101222506 B1 KR 10122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ir conditioner
defrost
ai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861A (ko
Inventor
박민우
이대웅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5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앞유리창에 포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토출모드 입력부가 조작되어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전환되면 컨트롤 유닛은 에어컨 구동부를 통해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 유닛은 파악된 에어컨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폐쇄시키고 디프로스트 도어의 폐쇄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 유닛은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내기 모드 상태이면 내외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외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제습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공조장치, 포그,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 플로어 모드

Description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OR FOGGING PRE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포깅 방지를 위한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포깅 방지를 위한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조장치 110 : 컨트롤 유닛
120 : 내외기 입력부 130 : 토출모드 입력부
140 : 에어컨 동작 스위치 150 : 내외기 구동부
160 : 토출모드 구동부 170 : 에어컨 구동부
180 : 표시부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믹스 모드 또 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앞유리창에 포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공조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차량 운행 중 차내 탑승자의 쾌적함 및 안락함을 증대시키고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위의 환경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환경 등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내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장치인 히터 및 에어컨으로 구성되는데, 차량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차내 공기와 바꿔주기 위한 외기(Fresh) 모드와, 차내의 공기가 연속해서 순환하는 내기(Recycle)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 및 다수의 벤트(13,14,15)가 형성된 공조 케이스(11)와, 상기 공조 케이스(11)의 공기유입구(12) 측에 설치된 증발기(17)와, 상기 증발기(17)의 후방측에 설치된 히터 코어(18)와, 상기 증발기(17)와 히터 코어(18)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변화시키는 템프 도어(19) 및 각 벤트(13,14,15)를 개폐시키는 벤트 도어(16a,16b,16c)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조 케이스(11)의 벤트는 차량의 바닥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플로어 벤트(13)와, 차량의 앞유리창 쪽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디프로스트 벤트(14)와, 운전자의 얼굴 등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페이스 벤트(15)로 구분되고, 각 벤트(13,14,15)의 입구부에는 각각 벤트 도어(16a,16b,16c)가 설치되어 공조 토출모드에 따라 해당 벤트(13,14,15)를 개폐시키고 있다.
대체적으로, 공조 토출모드는 공조 목적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난방 시에는 플로어(Floor) 모드, 성에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믹스(Mix)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Defrost) 모드, 냉방 시에는 페이스(Face) 모드가 주로 적용된다.
한편, 차량 운행 시 앞유리창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시야를 차단하는 포깅(Fogging) 현상에 대한 불만이 점점 커지면서 자동차 메이커들은 포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다.
포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를 선택하여 외기로 전환시키면서 에어컨을 강제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때, 운전자가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에어컨을 수동으로 오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포그 발생을 방지하는데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일부 차종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내기 모드로 전환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에어컨 온 상태로 작동하다가 에어컨이 오프되는 플로어 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증발기 코어(Evap Core)의 전면에는 응축수가 있는 상태이므로 증발기 코어를 거친 공기가 고온 다습한 상태로서 순간적으로 앞유리창에 강한 포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컨이 온 상태인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증발기 코어의 응축수로 인해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앞유리창으로 토출되어 포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은, 컨트롤 유닛, 내외기 입력부, 토출모드 입력부, 에어컨 동작 스위치, 내외기 구동부, 토출모드 구동부, 에어컨 구동부 및 표시부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차량의 유리창에 포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토출모드 입력부가 조작되어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전환되면 컨트롤 유닛은 에어컨 구동부를 통해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 유닛은 파악된 에어컨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폐쇄시키고 디프로스트 도어의 폐쇄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 유닛은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내기 모드 상태이면 내외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외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파악된 에어컨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라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즉시 개방시킴과 아울러 내기 모드 상태이면 내외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외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포깅 방지를 위한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포깅 방지를 위한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장치(100)는 컨트롤 유닛(110), 내외기 입력부(120), 토출모드 입력부(130), 에어컨 동작 스위치(140), 내외기 구동부(150), 토출모드 구동부(160), 에어컨 구동부(170) 및 표시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 유닛(110)은 내외기 입력부(120), 토출모드 입력부(130) 및 에어컨 동작 스위치(14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내외기 구동부(150), 토출모드 구동부(160) 및 에어컨 구동부(170)를 제어하고, 아울러 표시부(180)를 통해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내외기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내기 모드 또는 외기 모드를 입력받아 컨트롤 유닛(110)으로 보내며, 통상적인 내외기 입력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토출모드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플로어, 믹스, 디프로스트 등의 토출모드를 입력받아 컨트롤 유닛(110)으로 보내며, 통상적인 토출모드 입력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에어컨 동작 스위치(140)는 버튼식 스위치를 사용하거나 그 밖의 다른 입력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에어컨의 온/오프 선택을 입력받는다.
상기 내외기 구동부(150)는 사용자가 내외기 입력부(12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 유닛(110)으로부터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기 모드 또는 외기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토출모드 구동부(160)는 사용자가 토출모드 입력부(13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 유닛(110)으로부터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플로어, 믹스, 디프로스트 등의 토출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컨 구동부(170)는 사용자가 에어컨 동작 스위치(14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 유닛(110)으로부터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에어컨을 온 시키거나 오프시키게 된다.
상기 표시부(180)는 발광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여 컨트롤 유닛(110)의 제어에 의해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 외부 온도가 10~15℃ 정도로서 습한 날씨인 경우 플로어 모드를 선택하여 에어컨을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운전하게 되지만, 포그가 발생하게 되면 토출모드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로 전환시켜서 에어컨 작동에 의해 포그를 제거하면서 운전하게 된다.
그렇지만, 포그가 어느 정도 제거됨에 따라 운전자가 토출모드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다시 플로어 모드로 전환시키게 되면, 컨트롤 유닛(110)은 포그 발생 방지를 위해 에어컨 구동부(170)를 통해 에어 컨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S110,S120).
이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110)은 파악된 에어컨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라면 토출모드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가 앞유리창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디프로스트 도어를 강제로 폐쇄시키고 디프로스트 도어의 폐쇄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S130).
이어서,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 유닛(110)은 토출모드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개방시키고 또한 내기 모드 상태에 있다면 내외기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외기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S140,S150). 즉, 시간이 경과하여 증발기 코어의 응축수 중 일부가 마르고 일부는 외기에 의해 흡수되어 응축수의 상당 부분이 제거되었을 때 디프로스트 도어를 개방시키고 외기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앞유리창에 발생된 포그를 제거시키는 것이다. 여기서의 포그는 디프로스트 도어가 설정된 시간 동안 폐쇄되어 앞유리창으로 풍량이 나오지 않고 차량 내 탑승자로부터 발생하는 습기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상기 설정 시간은 실차 테스트 결과, 앞유리창에 발생한 포그량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증발기 코어의 응축수가 제거될 수 있는 4~6분 정도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만약에 파악된 에어컨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라면 상기 컨트롤 유닛(110)은 토출모드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즉시 개방시키고 또한 내기 모드 상태에 있다면 내외기 구동부(150)를 제어하여 외기 모드로 전환시 키게 된다(S150).
한편, 본 발명에 따라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가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증발기 코어의 응축수로 인해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앞유리창으로 토출되어 포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습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여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컨트롤 유닛, 내외기 입력부, 토출모드 입력부, 에어컨 동작 스위치, 내외기 구동부, 토출모드 구동부 및 에어컨 구동부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차량의 유리창에 포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토출모드 입력부가 조작되어 믹스 모드 또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플로어 모드로 전환되면 컨트롤 유닛은 에어컨 구동부를 통해 에어컨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 유닛은 파악된 에어컨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폐쇄시키고 디프로스트 도어의 폐쇄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컨트롤 유닛은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내기 모드 상태이면 내외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외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파악된 에어컨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이면 토출모드 구동부를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도어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내기 모드 상태이면 내외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외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20060089563A 2006-09-15 2006-09-15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122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63A KR101222506B1 (ko) 2006-09-15 2006-09-15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63A KR101222506B1 (ko) 2006-09-15 2006-09-15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61A KR20080024861A (ko) 2008-03-19
KR101222506B1 true KR101222506B1 (ko) 2013-01-15

Family

ID=3941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563A KR101222506B1 (ko) 2006-09-15 2006-09-15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5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48A (ko) * 2013-12-30 2015-07-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45967A (ko) 2014-10-17 2016-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26225A (ko) 2020-02-24 2020-03-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09370A (ko) 2020-02-27 2021-09-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6193A (zh) * 2019-07-10 2019-10-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防止起雾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559A (ja) * 1994-06-07 1995-12-19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H0966727A (ja) * 1995-09-01 1997-03-1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254922A (ja) 2001-03-01 2002-09-1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150992A (ja) 2004-11-25 2006-06-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559A (ja) * 1994-06-07 1995-12-19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H0966727A (ja) * 1995-09-01 1997-03-1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2254922A (ja) 2001-03-01 2002-09-1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6150992A (ja) 2004-11-25 2006-06-1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制御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48A (ko) * 2013-12-30 2015-07-0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685B1 (ko) * 2013-12-30 2016-08-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45967A (ko) 2014-10-17 2016-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26225A (ko) 2020-02-24 2020-03-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09370A (ko) 2020-02-27 2021-09-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61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777B1 (ko) 윈드실드의 포그방지를 위한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JP431127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22506B1 (ko)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70071013A (ko) 자동차의 공기 청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293963B1 (ko)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KR20080038907A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포깅 방지 방법
KR20090017816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포깅 제어방법
KR101448108B1 (ko) 차량 실내의 포그 가능성 표시 제어방법
JPH0715663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8846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53127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15572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15725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220976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2074691B1 (ko) 공조장치 내의 증발기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1227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082937A (ko) 디포그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1235040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187224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150035910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를 사용하는 차량
JP200914930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45206B1 (ko) 차량용 제습 제어 시스템
KR20220141604A (ko) 차량의 제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