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725A -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725A
KR20130013725A KR1020110075493A KR20110075493A KR20130013725A KR 20130013725 A KR20130013725 A KR 20130013725A KR 1020110075493 A KR1020110075493 A KR 1020110075493A KR 20110075493 A KR20110075493 A KR 20110075493A KR 20130013725 A KR20130013725 A KR 20130013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e
defrost
air conditioning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963B1 (ko
Inventor
박지민
김선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9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윈도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조제어기가 센서로부터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현재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 경우,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도록 디프로스트 모드로 제어하되,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or defogg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윈도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와 외부 사이에는 온도차가 있으므로 습도가 높을 경우 차량 윈도우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시야를 차단하는 포깅(fogg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포깅 현상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증대시키고, 특히 전방의 윈드쉴드 글래스에 포깅 현상이 발생하면 주행 중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차단하므로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공조장치의 제어 모드에는 윈도우의 포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즉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한 디포그(defog)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모드는 공기유입방식과 공기토출방식에 따라 여러 모드로 분류되고 있는데, 공기유입방식에 따라서는 외기모드와 내기모드, 혼합모드 등으로 구분되고, 공조장치의 에어 인테이크부에는 내기유입구와 외기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에어 인테이크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외기모드에서는 에어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내기유입구가 닫히고 외기유입구가 열려 차량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반면 내기모드에서는 에어 인테이크 도어에 의해 외기유입구가 닫히고 내기유입구가 열려 차량 내부 공기를 재유입 및 순환시킴으로써 신속한 공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공기 토출 방식에 따라서는 페이스 모드(FACE; 또는 벤트(Vent) 모드라 함)와 디프로스트 모드(DEF), 플로어 모드(FLR), 바이레벨(Bi-level) 모드 등으로 구분되며, 이를 위해 공조장치는 공기 유동 경로를 변화(풍향 조절)시키는 도어와, 각 벤트를 개폐시키는 벤트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공조장치의 벤트는 차량 플로어 및 운전자 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플로어 벤트, 얼굴 및 가슴 등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페이스 벤트, 차량의 윈드쉴드 글래스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디프로스트 벤트로 구분되고, 각 벤트의 입구부에 벤트 도어가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해당 벤트를 개폐시키고 있다.
디포그 모드는 상기한 통상적인 제어와는 달리 포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특별한 제어에 해당하며, 주로 외기를 유입시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시키는 방식으로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디포그시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은 포깅 현상이 발생하거나 예상되었을 때 외기모드로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 전환, 공조블로워 풍량 증대, 에어컨 작동(A/C On)의 방법으로 포깅 현상을 제거하거나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최근 사용자 설정에 따라 실내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해주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주는 오토 에어컨(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의 장착이 증가하고 있다.
오토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이하, 오토 에어컨 차량이라 함)에서는 공조 작동시 윈도우의 습기 발생 조건(포깅 발생 조건)을 감지하는 경우 자동으로 습기를 제거 및 생성 방지하는 오토디포그(autodefog) 모드가 수행된다.
즉, 차량 윈도우에 응집된 습기의 자동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해 공조제어기가 윈도우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고, 검출된 온도와 이슬점 온도(검출된 습도로부터 계산됨)의 차이에 따라 자동으로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한 선택적이면서도 단계적인 공조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도 1은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기본적으로 공조제어기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S1) 소정의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습기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고,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공조장치를 오토디포그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외기모드 전환(S2), 디프로스트 모드 전환(S3), 공조블로워 풍량 증대(S4), 에어컨 작동(S5) 등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S2 ~ S5의 단계를 순서대로 수행하며, 각 단계의 작동만으로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의 작동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에서 외기모드로 전환하되(S2), 외기모드 진입 및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 즉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로 전환하는 식이다(S3).
또한 디프로스트 모드를 통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공조블로워의 풍량을 증대시키고(S4), 공조블로워의 풍량 증대로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에어컨을 작동시킨다(S5).
이와 같이 차량 내 온/습도 검출을 통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위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상기 S2 ~ S5 단계를 자동 수행하는 방식으로 공조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조 제어는 디포그를 위해 에어컨 작동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무조건 에어컨을 작동시킬 경우 차량 연비가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 에어컨 작동을 최소화하면서 디포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상황에서만 에어컨을 작동시키므로 습기 제거의 목적 달성과 더불어 연비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조 제어 과정은 오토 에어컨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오토 에어컨의 경우 외기모드로의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의 전환, 풍량 제어, 에어컨 작동이 모두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는 공조제어기가 FET 회로를 제어하여 공조블로워의 회전속도와 풍량을 별도 수조작 없이 전기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이하, 수동 에어컨 차랑이라 함)의 경우 외기모드로의 전환, 디프로스트 모드로의 전환, 에어컨 작동은 필요 시점에서 공조제어기가 자동으로 전환 및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절에 대해서는 운전자가 직접 풍량조절 스위치를 조작할 때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상기한 공조 제어 과정 중 습기 제거를 위한 풍량 증대 과정(S4)의 수행이 불가하고,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모드가 오토 에어컨 차량만큼 세분화될 수 없다.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풍량조절 스위치로서 주로 회전식 풍량조절 노브(가변 레지스터(resistor) 타입)가 사용되므로 운전자 수조작이 있기 전에는 전기적으로 스위치 제어 및 풍량 제어가 불가능하다.
특히,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 운전자가 풍량조절 스위치를 저단으로 조작해놓은 상태에서 풍량 부족시에는 디프로스트 모드를 통한 습기 제거에 한계가 있으므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동 에어컨이 장착된 차량에서 윈도우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공조제어기가 센서로부터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b)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현재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c)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 경우,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도록 디프로스트 모드로 제어하되,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설정된 풍량 조작 단수를 기준으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일수록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미리 설정된 단수 이상의 고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된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고,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상기 설정된 단수 미만의 저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많게 설정된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로부터 계산된 이슬점 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 c) 단계의 공조 제어 과정은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오토디포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은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조 제어 방법에 의하면,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만 가능한 풍량 증대 모드 대신, 수동 에어컨 차량의 오토디포그 작동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 배분율(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자동 습기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토디포그시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증대시켜 풍량 부족을 보완해줌으로써, 보다 용이한 습기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동 에어컨 차량의 오토디포그시 습기 제거를 위한 에어컨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연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오토 에어컨 차량에서 자동 습기 제거(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수동 에어컨 차량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한 풍향조절 캠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해 수동 에어컨 차량에 구비되는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동 에어컨 차량에 적용될 수 있는 자동 습기 제거(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토 에어컨 차량의 풍량 증대 모드 대신,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외기를 토출시키는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 배분율(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차별화한 복수의 모드(후술하는 제1 및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세분화하여 제어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는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 효율적인 오토디포그 모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 에어컨 차량에서는 풍량 자동 제어가 불가하여(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만 풍량 조절이 가능한 레지스터 타입)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 조작 상태(예, 풍량 1단 조작 상태 등)에서 풍량 부족으로 인해 습기 제거의 어려움이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자동으로 풍량을 증대시키는 모드 대신, 본 발명에서는 오토디포그시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에서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증가시켜,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증가된 풍량으로 습기 제거 및 생성 방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어할 경우, 오토 에어컨 차량의 풍량 제어를 대신할 수 있어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에어컨 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바, 차량의 연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수동 에어컨 차량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한 풍향조절 캠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을 위해 수동 에어컨 차량에 구비되는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에서는 수동 에어컨 차량의 풍량 자동 제어가 불가함을 고려하여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풍량 배분율(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 이하, 디프로스트 배분량이라 약칭함)을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디프로스트 모드가 세분화된다.
특히,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에서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 디프로스트 모드에서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공조제어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공조제어기가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디프로스트 모드의 세분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 풍향조절 캠의 구조가 변경된다.
상기 풍향조절 캠은 공조장치에서 사용자의 공조스위치 조작, 즉 노브 또는 버튼 조작에 따라 공조모드를 변경시키는 기구로, 공조장치의 하우징 외면에 설치되고, 회전 위치에 따라 공기 유동 경로를 변화(풍향 조절)시키는 도어의 위치를 변화시키게 된다.
통상 풍향조절 캠의 주변에는 3개의 아암이 구비되고, 풍향조절 캠이 케이블에 의해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3개의 아암이 동시에 작동하여 아암축에 연결된 덕트 내 도어들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선택된 공조모드가 실행된다.
또한 풍향조절 캠(21)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안내슬롯(22,23,24)이 형성되고, 풍향조절 캠의 회전에 따른 각 아암의 움직임은 상기 안내슬롯에 의해 안내 또는 제한된다.
즉, 각 아암에 형성된 돌기(25,26,27)가 풍향조절 캠(21)의 안내슬롯(22,23,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아암들의 움직임이 제어되는데, 도 3의 캠(21)이 회전되면 돌기(25,26,27)들은 안내슬롯(22,23,24) 내에서 그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돌기(25,26,27)들의 위치에 따라 아암의 위치가 결정되면서 공조모드가 선택된다.
이러한 풍향조절 캠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 수준에서 주지의 기술적 사항이고, 공개특허 제2009-0034150호 등의 선행특허문헌에도 개시되어 있는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향조절 캠(21)에 기존 공조모드 외에 오토디포그 모드시 선택되는 2개의 모드 위치가 추가되며(예, 기존 7 개소→ 본 발명 9 개소), 이때 추가되는 모드는 오토디포그시 공조블로워의 고단 풍량(예, 전체 4단 중 2단 이상) 조작 상태에서 선택되는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 공조블로워의 저단 풍량(예, 전체 4단 중 1단) 조작 상태에서 선택되는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토디포그 제어시에는, 특히 오토디포그의 디프로스트 모드가 수행될 때에는, 풍행조절 캠(21)의 회전이 공조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풍향조절 캠의 각 안내슬롯(22,23,24)에서 아암의 돌기(25,26,27)들이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2단 이상의 고단 풍량시)에 있게 되거나,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저단 풍량시)에 있게 된다.
상기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와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는 기존의 디프로스트 모드 위치와 구분되는 것으로, 도 2의 오토디포그 모드 수행에 있어서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결정하는 위치이며,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에서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에 비해 디프로스트 배분량이 증가되도록 설정된다(돌기, 아암, 도어의 위치가 설정됨).
이에 아암들의 움직임이 제1,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위치로 제한되면서 도어의 위치가 결정되고, 도어의 위치에 따라 디프로스트 배분량이 조절될 수 있는바, 결국 오토디포그시 풍향조절 캠의 회전 제어를 통해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2의 공조 제어 과정, 즉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이 운전자나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 자동 수행될 수 있도록 별도의 오토디포그 스위치(11)가 추가되며, 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공조스위치들과 함께 오토디포그 스위치(11)가 차량에 설치되는데, 운전자나 사용자가 오토디포그 스위치(11)를 조작할 경우 공조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오토디포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이에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도 2의 공조 제어 과정이 수행된다.
오토디포그 스위치(11)는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식이 될 수도 있으나, 회전 조작으로 선택할 수 있는 노브식이 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 습기 제거(오토디포그)를 위한 공조 제어 과정에서는 디프로스트 모드 작동시 공조블로워의 설정된 풍량 조작 단수를 기준으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일수록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 배분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킨다.
먼저, 공조 일반 모드 작동 동안 오토디포그 스위치가 조작된 상태에서 공조제어기가 차량 윈도우 표면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실내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게 되고, 검출된 온도와 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게 된다(S11).
이때,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이슬점 온도(검출된 습도로부터 계산됨)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이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오토디포그 모드가 수행된다.
즉,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게 되면, 공조제어기는 현재 외기모드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S12), 만약 내기모드나 혼합모드로 작동되고 있는 경우라면, 외기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S13).
이렇게 외기모드로 전환시킨 상태에서 설정시간 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데(S22),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와 이슬점 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오토디포그 모드가 해제되고, 다시 공조 일반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S12 단계에서,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으로 판정한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었다면,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할 때까지 오토디포그를 위한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한바, 이후 단계인 디프로스트 벤트로 공기(외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어 과정이 진행된다.
즉, 외기모드에서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현재의 디프로스트 모드가 100 % 디프로스트 모드이거나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인지를 확인하고(S14), 여기서 100 % 디프로스트 모드 및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모두 아닌 경우,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또는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게 된다(S15,S16,S17).
100% 디프로스트 모드는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율이 100%인 상태로서, 공기가 모두 디프로스트 벤트로 배분되는 모드를 의미하며,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는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와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S14 단계에서 100 % 디프로스트 모드 및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모두 아닌 경우, 현재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미리 설정된 단수 이상의 고단 상태인가를 확인하는데(S15), 예를 들어 2단 이상의 고단 상태이면, 풍향조절 캠의 회전 제어를 통해 쾌적성 위주의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시킨다(S16).
반면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1단의 저단 상태이면(고단 상태가 아니면), 풍향조절 캠의 회전 제어를 통해 디프로스트 배분량을 증대시켜 풍량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시킨다(S17).
상기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 또는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도 설정시간 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데(S22),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오토디포그 모드가 해제되고, 다시 공조 일반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S14 단계에서 현재의 디프로스트 모드가 100% 디프로스트 모드이거나,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2단 이상의 고단인지를 판정하고(S18), 여기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2단 이상인 경우라면, 고단 상태에서도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신속한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에 도달하기 위해 에어컨을 작동시키게 된다(S20,S21).
반면 S18 단계에서 공조불로워의 풍량이 고단 상태가 아닌 경우, 예컨대 1단의 저단 상태인 경우, 현재 디프로스트 모드가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인지를 확인하고, 만약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아니라면, 풍량 보족을 보완하기 위해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렇게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전환되고 나면, 이후 오토디포그 해제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를 계속 유지하거나, 공조 일반 모드로 전환된다(오토디포그 모드 해제).
이와 같이 하여, 도 2의 공조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과정은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자동 수행되고, 위에서 오토디포그 모드시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가 풍량에 따라 제1 및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선택됨을 예로 들었으나, 디프로스트 배분 모드와 배분 모드의 선택 기준이 되는 풍량 단수는 좀더 세분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1 : 오토디포그 스위치
21 : 풍향조절 캠
22, 23, 24 : 안내슬롯
25, 26, 27 : 돌기

Claims (5)

  1. a) 공조제어기가 센서로부터 검출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를 토대로 현재의 실내 조건이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b)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현재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c)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외기모드가 작동되고 있는 경우, 외기가 디프로스트 벤트를 통해 토출되도록 디프로스트 모드로 제어하되, 공조블로워의 풍량에 따라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설정된 풍량 조작 단수를 기준으로 공조블로워의 풍량이 적은 저단일수록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의 공기 배분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미리 설정된 단수 이상의 고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설정된 제1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고,
    공조블로워의 풍량 조작 단수가 상기 설정된 단수 미만의 저단인 경우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공기 배분량이 상대적으로 많게 설정된 제2디프로스트 배분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윈도우 온도와 실내습도로부터 계산된 이슬점 온도의 차이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 오토디포그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 c) 단계의 공조 제어 과정은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오토디포그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오토디포그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은 공조제어기의 제어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KR1020110075493A 2011-07-28 2011-07-28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KR10129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493A KR101293963B1 (ko) 2011-07-28 2011-07-28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493A KR101293963B1 (ko) 2011-07-28 2011-07-28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725A true KR20130013725A (ko) 2013-02-06
KR101293963B1 KR101293963B1 (ko) 2013-08-07

Family

ID=4789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493A KR101293963B1 (ko) 2011-07-28 2011-07-28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9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420A (zh) * 2014-09-12 2016-11-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除雾的方法和系统
KR20180059132A (ko) * 2016-11-25 2018-06-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CN110049887A (zh) * 2016-12-21 2019-07-23 三电汽车空调系统株式会社 车辆用空气调和装置
CN113375289A (zh) * 2021-06-17 2021-09-10 中洁环境科技(西安)集团有限公司 全品质空调的除霜方法和装置
KR20230044063A (ko) * 2021-09-24 2023-04-03 김태훈 인공지능 기반 차량용 디포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84B1 (ko) * 2013-08-13 2016-08-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0391B2 (ja) 1988-12-28 1997-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ヒータユニット
KR19990070967A (ko) * 1998-02-26 1999-09-15 홍종만 성에 생성 자동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534888B1 (ko) * 2003-05-21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자동 습기제거용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420A (zh) * 2014-09-12 2016-11-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除雾的方法和系统
CN106143420B (zh) * 2014-09-12 2019-06-1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除雾的方法和系统
KR20180059132A (ko) * 2016-11-25 2018-06-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CN110049887A (zh) * 2016-12-21 2019-07-23 三电汽车空调系统株式会社 车辆用空气调和装置
CN113375289A (zh) * 2021-06-17 2021-09-10 中洁环境科技(西安)集团有限公司 全品质空调的除霜方法和装置
KR20230044063A (ko) * 2021-09-24 2023-04-03 김태훈 인공지능 기반 차량용 디포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963B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963B1 (ko) 차량의 윈도우 자동 습기 제거를 위한 공조 제어 방법
JP4710616B2 (ja) 車両用電池冷却装置
KR20070062728A (ko) 차량의 자동 습기제거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222506B1 (ko) 포깅 방지를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JP483288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34888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자동 습기제거용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JP4331532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5725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64968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80759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KR20050105664A (ko) 냉각수온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온도제어방법
KR10157554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10124651A (ko)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및 이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199137B1 (ko) 차량 윈도우의 자동 습기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S60440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2037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0931678B1 (ko)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자동차 공조장치 제어방법
KR20090090642A (ko) 차량 실내의 포그 가능성 표시 제어방법
KR100412847B1 (ko) 자동차의 가변제어형 실내 환기장치
JP396908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214486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895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034635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